KR101592467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467B1
KR101592467B1 KR1020130152809A KR20130152809A KR101592467B1 KR 101592467 B1 KR101592467 B1 KR 101592467B1 KR 1020130152809 A KR1020130152809 A KR 1020130152809A KR 20130152809 A KR20130152809 A KR 20130152809A KR 101592467 B1 KR101592467 B1 KR 101592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nk
headrest
teeth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452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3015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467B1/ko
Priority to BR112015019952A priority patent/BR112015019952A2/pt
Priority to US14/767,172 priority patent/US9499078B2/en
Priority to PCT/KR2014/011775 priority patent/WO2015088177A1/en
Priority to JP2015560133A priority patent/JP6076508B2/ja
Priority to DE112014000425.1T priority patent/DE112014000425B4/de
Priority to CN201480009139.0A priority patent/CN105283349B/zh
Publication of KR2015006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467B1/ko
Priority to JP2017001586A priority patent/JP6333420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7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기어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어, 치형이 다수개 구비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고하중을 버틸수 있고, 일부 치형이 이탈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기어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어, 치형이 다수개 구비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고하중을 버틸수 있어서, 치형을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조작감이 향상되며, 일부 치형이 이탈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상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일정각도 경사지게 하여 탑승자의 후두부와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틸팅(Tilting)구조 및 슬라이딩구조의 헤드레스트가 제안되었다.
또한, 헤드레스트 슬라이딩구조 또는 틸팅구조 적용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790535호 및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5501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403478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105210호 및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221250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치형을 다수개 형성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해 치형을 작게 할 경우 치형의 내구성이 떨어져서 치형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부 치형이 이탈될 경우 작동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고하중을 버틸수 있고, 일부 치형이 이탈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기어와,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하나는 시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와, 상기 제2링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링크에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수평로드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수평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1기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제2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1기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기어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제1,2기어의 이탈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기어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어, 치형의 크기를 아주 미세하게 성형(길이방향/폭방향 미세 기어가 서로 복수개가 치합)하더라도 치형이 고하중에도 버틸 수 있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다단 극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헤드레스트를 3단계정도로만 조절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은 9단계 이상으로 대폭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치형을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부 치형이 이탈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다.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어, 조립시 각 플레이트의 정밀위치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서 조립이 용이해지고, 일부 치형이 이탈되더라도 손상된 치형이 있는 플레이트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기어를 주조나 단조 가공을 하고 마무리 가공을 추가로 하여 가공공정이 복잡하였으나, 본 발명은 플레이트를 프레스에 의해 가공이 가능하여 가공공정이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와, 상기 제2링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링크에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미세하게 슬라이딩시켜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수평로드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수평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1기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제2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1기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기어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제1,2기어의 이탈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미세하게 틸팅시켜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1기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기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후면 사시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
도 14는 도 12의 정면도.
도 15는 도 13에서 제2브라켓의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을 제거한 상태.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다수개의 치형(150)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기어(100)와, 다수개의 치형(240)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기어(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100)와 상기 제2기어(200) 중 하나는 시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100)와 상기 제2기어(200)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150, 240)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150, 240)이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기어(100)는 전후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고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치형(150)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형성된다.
제1기어(100)는 이하 서술되는 제1링크(300)에 설치되어 시트에 연결된다.
제1기어(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150)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100a)가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150)이 형성된다.
제1기어(100)는 전방 하부에 제1돌출부(130)가 형성되며, 후방 하부에 체결공(110)이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기어(100) 하부에는 체결공(11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스프링끼움공(120)이 형성된다.
제1기어(100) 상부 후방에는 치형(15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걸림부(14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기어(100) 후방 하부에는 제2돌출부(16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돌출부(160)의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링크(300)의 걸림턱(304)이 배치된다.
제2기어(200)는 전후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고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치형(240)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형성된다.
제1,2기어(100, 200)의 치형(150, 240)은 일방향(전방)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되 반대방향(후방)으로의 이동은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기어(200)는 이하 서술되는 제2링크(400)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에 연결된다.
제2기어(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240)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200a)가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240)이 형성된다.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치형(240)은 원호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제2기어(200)의 후방에는 제1기어(100)의 제1걸림부(140)와 걸리는 제2걸림부(230)가 전방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걸림부(230)는 치형(240)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다.
제2기어(200)는 좌측에 가이드판(220)이 설치되고, 우측에 보조판(210)이 설치된다. 제2기어(200)와 가이드판(220)과 보조판(210)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제2링크(400)에 설치된다.
가이드판(220)은 플레이트(200a)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제2기어(200)에 치합되는 제1기어(100)를 가이드한다.
보조판(210)은 제2링크(400)와 제2기어(200) 사이에 배치되어 제2링크(400)와 제2기어(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제1링크(300)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스테이로드(730)의 수평로드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에 연결된다.
제1링크(300)는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벽(301,302)과, 측벽(301,302)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수평로드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면(303)을 포함한다.
측벽(301,302)에는 체결공(310, 320)이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체결공(310, 320)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301)에는 체결공(310, 3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기어체결공(330)이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기어체결공(330)과 제1기어(100)의 체결공(110)에 축이 삽입되어, 제1기어(100)는 제1링크(30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측벽(301)에는 체결공(310, 320)의 상부 및 제1기어체결공(33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스프링끼움공(340)이 형성된다.
측벽(301) 후방에는 제1기어체결공(3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걸림턱(304)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링크(400)는 제1링크(300) 일측(전방)에 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링크(400)는 전면(401)과, 전면(401)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402,403)을 포함한다.
측벽(402,403)에는 상부 및 하부에 체결공(430, 420)이 형성되며, 체결공(430, 420)에 상기 축이 삽입되어 제2링크(400)는 제1링크(300) 및 제4링크(6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체결공(430, 420)은 하부에 배치된 체결공(420)이 전방에 배치되도록 엇갈리게 배치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402)에는 체결공(430, 4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기어체결공(410)이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측벽(402) 외측에는 제2기어체결공(410)에 연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측벽(402) 일부가 내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제2기어(200)에 형성된 체결공과 제2기어체결공(41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제2기어(200)는 제2링크(400)에 고정설치된다.
제3링크(500)는 제1링크(300)의 타측(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링크(500)는 후면(502)과 후면(502)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501, 503)을 포함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501)의 전방 하부에는 돌출판(504)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501, 503) 상하부에는 체결공(510, 520)이 형성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공(520)이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3링크(50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체결공(510, 520)에 축이 삽입되어 제3링크(500)는 제1링크(300) 및 제4링크(6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4링크(600)는 제2링크(400)에 일측(전방)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링크(500)에 타측(후방)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4링크(600)는 장치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4링크(600)는 측판(602)과 측판(602)의 전방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설치판(601)을 포함한다.
설치판(601)에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측판(602)에는 체결공(610, 620)이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체결공(610, 620)에 축이 삽입되어 제4링크(600)의 전방과 후방은 제2링크(400) 및 제3링크(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710)은 제1기어(100)와 제1링크(300)의 스프링끼움공(120, 340)에 양단이 각각 끼워져서(연결되어), 제1,2기어(100, 200)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제1,2기어(100, 200)의 이탈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스프링(710)은 오메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2기어(100, 200)가 치합상태에 있을 때에는 치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기어(100)에 탄성력을 가하고, 제1,2기어(100, 200)가 서로 이탈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탈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1기어(100)에 탄성력을 가한다.
나아가, 제1,2기어(100, 200)가 이탈된 상태에 있을 때 헤드레스트에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메인스프링(720)이 구비된다.
메인스프링(720)은 제1링크(300)와 제3링크(500)를 연결하는 축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양단이 제1링크(300)와 제3링크(500)에 연결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치형(150, 240)은 제2기어(200)가 제1기어(1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레스트(제2기어, 제2,3, 4링크)는 스테이로드(730, 제1기어, 제1링크)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헤드레스트가 왔을 때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제1,2기어(100, 200)는 서로 치합되고, 스프링(710)에 의해 치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기어(100)와 제2기어(200)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150, 240)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150, 240)이 서로 치합된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150, 240) 중 어느 하나가 이탈되더라도 같은 폭방향 선상의 다른 치형(150, 240)이 치합된 상태가 되므로 치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치합시 여러개의 폭방향 치형(150, 240) 및 길이방향 치형(150, 240)이 동시에 치합된 상태가 되어 고하중에서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는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150, 240)에 의해 전후방향 위치가 미세하게 조절(1step ~ 9step)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최전방까지 밀게 되면, 제1기어(100)의 제1걸림부(140)는 제2기어(200)의 제2걸림부(230)에 걸리게 되어 제1기어(100)는 회전하게 되어 제1기어(100)는 제2기어(20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제1,2기어(100, 200)의 이탈된 상태는 스프링(710)에 의해 유지된다. 이로 인해 메인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레스트, 제2링크(400), 제2기어(200), 제3링크(500), 제4링크(600)는 스테이로드(730), 제1링크(300), 제1기어(10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상기 헤드레스트가 최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1,2기어(100, 200)는 제2링크(400)의 전면(401)에 걸려서 제2기어(200)의 전방에 제1기어(100)는 치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위치 고정시에는 두 기어가 치합되고,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최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힘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헤드레스트가 최후방으로 이동되며, 두 기어의 치합 및 이탈을 유지시켜주는 스프링이 구비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종래기술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스테이로드(730')의 수평로드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900)과, 상기 수평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8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900)에 상기 제1기어(1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800)에 상기 제2기어(20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900)과 상기 제1기어(1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기어(100', 200')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제1,2기어(100', 200')의 이탈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710')이 구비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기어(100')는 상부에 치형(150')이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치형(150') 후방에 제1걸림부(140')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1기어(100')는 상부에 전후방에 다수개의 플레이트(100a')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
제1기어(100')는 상기 결합공 하부에 축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제1기어(100')는 상기 체결공 전방에 배치되도록 스프링(710')의 일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끼움공이 형성된다.
제2기어(200')는 다수개의 플레이트(200a')가 서로 결합되는 동시에 제2기어(200')가 제2브라켓(800)에 고정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다.
제2기어(200')의 하부에는 치형(240')이 전후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제1브라켓(900)은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벽(910, 920)과, 측벽(910, 920)의 후방을 연결하는 후면(930)을 포함한다.
측벽(910, 920) 상부에는 제1기어체결공(901)이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기어체결공(901)에는 제1기어(100')를 관통하는 축이 설치되어, 제1기어(100')는 제1브라켓(9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측벽(910, 920) 하부에는 상기 수평로드가 관통되는 관통공(904)이 형성되어, 제1브라켓(900)은 상기 수평로드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브라켓(900)은 시트에 연결된다.
제1브라켓(900)은 상기 수평로드 중간에 끼워지는 메인스프링(720')의 좌측에 배치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910) 전방 상부에는 스프링(710')의 타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끼움공(902)이 형성된다.
또한, 측벽(910) 전방 하부에는 메인스프링(720')의 일단이 끼워지는 메인스프링끼움홈(903)이 형성된다.
제2브라켓(800)은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벽(810, 820)을 포함한다.
측벽(810, 820) 하부에는 상기 수평로드가 관통하는 관통공(805)이 형성되어, 제2브라켓(800)은 스테이로드(730') 및 제1브라켓(900) 및 제1기어(100')에 대해 회동가능해진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810)에는 메인스프링(720')의 타단이 끼워지는 메인스프링끼움공(811)이 형성된다.
측벽(810, 820)은 중간 부분에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806)와, 제1절곡부(806)의 끝단에 상부로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807)와, 제2절곡부(807)의 상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801)가 형성된다.
측벽(810, 820)의 중간 부분 및 제1절곡부(806)에는 파형으로 굴곡된 굴곡부(804)가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2절곡부(807)에는 폭방향으로 체결공(803)이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어, 제2기어(200')가 설치될 수 있는 동시에 양측의 측벽(810, 820)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2기어(200')는 제2브라켓(800)에 고정설치된다.
제3절곡부(801)로 인해 제2브라켓(800)에는 헤드레스트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좌측에 배치되는 측벽(820)에는 전방에 제1걸림돌출부(821)가 형성되고, 후방 상부에 제1기어(100')의 제1걸림부(140')가 걸리는 제2걸림부(822)가 형성되고, 후방 하부에 제2걸림돌출부(823)가 형성된다.
조립시, 제2브라켓(800)의 좌측 측벽(820) 상부와 제2브라켓(800)의 우측 측벽(810) 상부 사이에 제2기어(200')가 배치되고, 제1브라켓(900)의 좌측 측벽(920)상부와 우측 측벽(910) 상부 사이에 제1기어(100')가 배치된다.
또한, 좌측에서부터 제2브라켓(800)의 좌측 측벽(820), 제1브라켓(900)의 좌측 측벽(920), 제1브라켓(900)의 우측 측벽(910), 메인스프링(720'), 제2브라켓(800)의 우측 측벽(810)이 순차적으로 스테이로드(730')의 수평로드 중앙 부분에 끼워진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틸팅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치형(150', 240')은 제2기어(200)가 제1기어(1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레스트(제2기어, 제2브라켓)는 스테이로드(730', 제1기어, 제1브라켓)에 대해 전방으로 틸팅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헤드레스트가 왔을 때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제1,2기어(100', 200')는 서로 치합되고, 스프링(710')에 의해 치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고정된다.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최전방까지 밀게 되면, 제1기어(100')의 제1걸림부(140')는 제2브라켓(800)의 제2걸림부(822)에 걸리게 되어 제1기어(100')는 회전하게 되어 제1기어(100')는 제2기어(20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제1,2기어(100', 200')의 이탈된 상태는 스프링(710')에 의해 유지된다. 이로 인해 메인스프링(720')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레스트 및 제2브라켓(800) 및 제2기어(200')는 제1기어(100') 및 제1브라켓(900) 및 스테이로드(73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2브라켓(800)이 최후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1기어(100')는 제1걸림돌출부(821)에 걸려서 제2기어(200')의 전방에 제1기어(100')는 치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기어 200 : 제2기어
100a, 200a : 플레이트 150, 240 : 치형
300 : 제1링크 400 : 제2링크
500 : 제3링크 600 : 제4링크
710 : 스프링 720 : 메인스프링
730 : 스테이로드

Claims (4)

  1. 삭제
  2.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기어;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하나는 시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
    상기 제2링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링크에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수평로드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상기 수평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제1기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제2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1기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2기어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제1,2기어의 이탈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30152809A 2013-12-10 2013-12-1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9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09A KR101592467B1 (ko) 2013-12-10 2013-12-1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BR112015019952A BR112015019952A2 (pt) 2013-12-10 2014-12-03 dispositivo de movimento de encosto de cabeça
US14/767,172 US9499078B2 (en) 2013-12-10 2014-12-03 Headrest moving device
PCT/KR2014/011775 WO2015088177A1 (en) 2013-12-10 2014-12-03 Headrest moving device
JP2015560133A JP6076508B2 (ja) 2013-12-10 2014-12-03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DE112014000425.1T DE112014000425B4 (de) 2013-12-10 2014-12-03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Kopfstütze
CN201480009139.0A CN105283349B (zh) 2013-12-10 2014-12-03 头枕移动装置
JP2017001586A JP6333420B2 (ja) 2013-12-10 2017-01-10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09A KR101592467B1 (ko) 2013-12-10 2013-12-1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198A Division KR101672965B1 (ko) 2016-01-11 2016-01-1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452A KR20150067452A (ko) 2015-06-18
KR101592467B1 true KR101592467B1 (ko) 2016-02-05

Family

ID=5337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809A KR101592467B1 (ko) 2013-12-10 2013-12-1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99078B2 (ko)
JP (2) JP6076508B2 (ko)
KR (1) KR101592467B1 (ko)
CN (1) CN105283349B (ko)
BR (1) BR112015019952A2 (ko)
DE (1) DE112014000425B4 (ko)
WO (1) WO20150881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292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427B1 (ko) 2014-07-11 2015-11-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902847B1 (ja) * 2015-05-14 2016-04-13 備前発条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CN105644400B (zh) * 2016-03-22 2017-12-19 广州铧世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头枕的调节装置
KR101850730B1 (ko) 2016-09-20 2018-05-3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837425B1 (ko) 2017-09-11 2018-03-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936819B1 (ko) * 2017-11-17 2019-01-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N110505976B (zh) 2018-03-16 2023-02-28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头靠组件、座椅及头靠组件的使用方法
CN108275043B (zh) * 2018-03-19 2019-07-19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自复位调节机构
DE102018222808B4 (de) * 2018-09-21 2023-05-17 Adient Us Llc Träger für eine Kopfstütze und Kopfstütze
KR20220050443A (ko) * 2020-10-16 2022-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방 틸팅 메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788B1 (ko) * 2004-03-18 2006-06-3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JP2006523497A (ja) * 2003-04-14 2006-10-19 ウーボ・テク・コーポレイション・リミテッド ヘッドレストの前後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1955U (ja) * 1981-12-16 1983-06-22 池田物産株式会社 可動ヘツドレスト
KR20000015501A (ko) 1998-08-31 2000-03-15 전주범 역내 시스템의 이상상태 검출 및 경보장치
JP4230053B2 (ja) * 1999-06-01 2009-02-2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頭部衝撃吸収装置
KR100403478B1 (ko) 2001-05-29 2003-10-3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3766669B2 (ja) * 2003-08-29 2006-04-12 直伸 山下 角度調整金具
KR20070105210A (ko) *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790535B1 (ko) 2007-02-07 2008-01-02 (주)현대공업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DE102008012217B4 (de) * 2007-11-23 2009-11-26 Johnson Controls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crashaktive Kopfstütze eines Fahrzeugs
KR100930033B1 (ko) 2008-08-25 2009-12-07 대흥산업(주) 차량용 헤드레스트
US8382206B2 (en) * 2010-01-21 2013-02-26 Bae Industries, Inc. Forward incrementally adjustable ratchet headrest
US8641149B2 (en) * 2010-03-11 2014-02-04 Windsor Machine & Stamping (2009) Ltd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JP5706704B2 (ja) * 2011-02-04 2015-04-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前後位置調整装置
DE202011050521U1 (de) 2011-06-21 2012-10-01 Rollax Gmbh & Co. Kg Sitzversteller mit Schwinge
CN202623994U (zh) * 2012-05-17 2012-12-26 上海岱美汽车内饰件股份有限公司 一种带按钮能t型向后折叠的汽车座椅头枕
CN202703346U (zh) * 2012-05-17 2013-01-30 上海岱美汽车内饰件股份有限公司 一种带拉线能折叠的汽车座椅头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3497A (ja) * 2003-04-14 2006-10-19 ウーボ・テク・コーポレイション・リミテッド ヘッドレストの前後進装置
KR100592788B1 (ko) * 2004-03-18 2006-06-3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292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WO2019066195A1 (en) * 2017-09-26 2019-04-04 Woobo Tech Co., Ltd. HEADREST ADJUSTMENT DEVICE
KR101971148B1 (ko) 2017-09-26 2019-04-22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US11433793B2 (en) 2017-09-26 2022-09-06 Woobo Tech Co., Ltd.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99078B2 (en) 2016-11-22
CN105283349A (zh) 2016-01-27
US20150375649A1 (en) 2015-12-31
CN105283349B (zh) 2017-05-17
BR112015019952A2 (pt) 2017-07-18
WO2015088177A1 (en) 2015-06-18
DE112014000425T5 (de) 2015-10-15
KR20150067452A (ko) 2015-06-18
DE112014000425B4 (de) 2021-08-26
JP2016508472A (ja) 2016-03-22
JP2017061321A (ja) 2017-03-30
JP6076508B2 (ja) 2017-02-08
JP6333420B2 (ja)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46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7042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852290B2 (ja)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US8033520B2 (en) Vehicle seat slide mechanism
WO2009028535A1 (ja) フットカバー及び車両用シート
CN101712332A (zh) 婴儿车及婴儿车与汽车座椅的组合
US20080136127A1 (en) Stroller connectable with a car seat
KR10167296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20011317A (ko) 차량용 차일드 시트
CN107709137B (zh) 脚轮的安装结构
JP560122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JP6140546B2 (ja) 乗物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7478861B1 (en) All terrain vehicle with adjustable seat
US6799807B1 (en) Child safety chair with a belt-adjusting unit
JP5902847B1 (ja) ヘッドレスト
KR10165047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어셈블리
KR10104406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374073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10827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203698008U (zh) 儿童安全座椅靠背角度分段调节机构
JP5825658B2 (ja) 車両用エアサスペンション式シート支持装置
JPS6317705Y2 (ko)
JP7386602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208611U (ja) サイドステ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