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148B1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1148B1 KR101971148B1 KR1020170124342A KR20170124342A KR101971148B1 KR 101971148 B1 KR101971148 B1 KR 101971148B1 KR 1020170124342 A KR1020170124342 A KR 1020170124342A KR 20170124342 A KR20170124342 A KR 20170124342A KR 101971148 B1 KR101971148 B1 KR 101971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rest
- rod
- headrest cover
- cover
- slid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33—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 B60N2/938—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rota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헤드레스트 커버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로드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브라켓과 상기 잠금부재가 모듈화되어 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상기 잠금부재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베개의 역할을 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줌으로써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헤드레스트 중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회전시키거나 틸팅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123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4406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161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2796호 등에 제시된 것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123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는 헤드레스트를 틸팅시키는 장치가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제3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링크와,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제3링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4링크 또는 상기 제2링크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커버가 제4링크에 설치되어 제1,2,3,4링크를 구비해야 한다. 이로 인해 부품수가 극히 많아져서 조립이 어렵게 되고 장치의 중량도 커지게 되고 제조단가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2796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는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는 장치가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축 결합하는 래칫부재와 상기 래칫부재가 일측판의 내면에 접촉하게 양측판의 하부에 형성한 축공을 상기 수평부에 결합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래칫부재의 내면과 회동부재의 타측판의 내면사이에 개재되게 수평부에 결합하며 내단은 래칫부재에 걸어주고 외단은 회동부재에 걸어주어 탄성이 회동부재를 눕혀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래칫부재의 직 상부에 위치하게 양측판의 상측부에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축에 축 결합하며 래칫부재와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때에는 회동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토록 제동하고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회동부재가 리턴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눕혀지게 하는 제동부재와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며 일단은 제동부재에 걸어주고 타단은 회동부재에 걸어주어 제동부재와 래칫부재의 걸림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제동스프링 및 상기 제동부재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주는 해제부재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스테이로드의 수평부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회동부재에 스테이로드의 수평부가 삽입되는 축공을 형성하여 헤드레스트와 스테이로드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와 수직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조립 후에 수평부와 수직부를 연결해 주어야 한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조립공정이 극히 복잡해지고, 기존의 스테이로드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스테이로드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커지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전방 하부 모서리 부분의 쿠션을 얇게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회동부재에 커버를 연결하여 회동부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품수가 적으며, 스테이로드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는 동시에 브라켓과 잠금부재가 모듈화되어 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잠금부재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 커버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는 적어도 제1헤드레스트 커버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로 분할되며, 하나의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헤드레스트 커버와 상기 제2헤드레스트 커버에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해 이동되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형성되는 노치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치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중 하나에는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헤드레스트 커버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로드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브라켓과 상기 잠금부재가 모듈화되어 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상기 잠금부재가 여러 부재에 나누어 설치되지 않고 한 부재(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고, 부품수가 감소하여 전체 중량이 감소되는 동시에 제조비용이 감소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는 적어도 제1헤드레스트 커버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로 분할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헤드레스트 커버와 상기 제2헤드레스트 커버에 분할되어 형성되어, 상기 스테이로드의 수평하게 형성된 부분과 수직하게 형성된 부분을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스테이로드를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해 이동되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될 수 있으며, 작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형성되는 노치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치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장치의 구조가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중 하나에는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제2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잠금부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잠금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잠금부재의 수직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스테이로드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직립상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폴딩상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제2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직립상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틸팅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제2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잠금부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잠금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잠금부재의 수직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스테이로드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직립상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폴딩상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제2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직립상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틸팅상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제1실시예
>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와, 스테이로드(100)에 설치되는 브라켓(300)과, 상기 브라켓(300)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200)에는 상기 스테이로드(1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한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머리에 근접한 쪽을 전방이라고 하고, 반대쪽을 후방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헤드레스트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커버(200)를 쿠션(미도시)으로 둘러싸서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사출 등을 통해 제조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전면과 후면과 상면과 하면과 양쪽 측면을 포함하여, 이하 서술되는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 및 상기 잠금부재의 상하부 및 전후방을 덮는다. 즉,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장치의 상하부 및 전후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10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로드(110)와, 제1로드(1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로드(120)를 포함한다.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로드(120)가 제1로드(110)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1로드(110)의 상단에는 경사부(111)가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적어도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로 분할된다.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는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에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전면이 형성되고,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후면이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상하면과 측면은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거나 두쪽에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는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내부에는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된다. 즉,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스테이로드(100)에 회동가능하게 직결(直結)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스테이로드(100)가 직결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드(120)의 중심으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R2)가 종래의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폴딩장치의 제2로드의 중심으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R1) 보다 짧아지게 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제2로드(12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나의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부를 통해 제2로드(120)를 상기 관통공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제2로드(120)를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하나의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는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와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는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는 제2로드(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는 제2로드(120)의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상기 분리부가 2개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상기 관통공은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상기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의 일부는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의 나머지 일부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와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가 결합함에 따라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는 제1,2체결부(215, 225)가 형성되어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는 결합된다. 제1,2체결부(215, 225)에는 볼트가 체결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부재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는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에는 일측은 막히고 일측은 개방된 삽입홈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로 인해 이하 서술되는 슬라이딩부재(510)가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삽입홈의 전후방향 수직단면형상은 원형상이다.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는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212)와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222)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212)는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222)의 전방에 배치된다.
하나의 상기 삽입홈도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212)와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222)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212)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의 일부는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222)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의 나머지 일부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212)와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222)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가 결합함에 따라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양측 중간에 각각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내부에는 양측의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 사이에 잠금부재 유동공간(223)이 형성된다. 잠금부재 유동공간(223)에는 상기 잠금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잠금부재 유동공간(223)은 전방이 개방된 홈형상으로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잠금부재 유동공간(223)은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분할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내부에는 직립시와 폴딩시 슬라이딩부재(51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하면 및 전면 하단에는 제1로드(110)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를 통해 폴딩시 헤드레스트 커버(200)가 제1로드(1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절개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에 형성된 제1절개부(216)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형성된 제2절개부(226)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의 후면에는 이하 서술되는 브라켓(300)의 전방이 삽입되는 브라켓 삽입부(219)가 형성된다. 브라켓 삽입부(219)는 양측에 배치되는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 사이에 배치된다.
브라켓 삽입부(219)에는 브라켓(300)의 전방이 삽입되는 브라켓 삽입홈이 상부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 삽입부(219)로 인해 브라켓(300) 및 상기 잠금부재를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에 가조립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측면에는 버튼부재 설치부(224)가 형성된다. 버튼부재 설치부(224)에는 버튼부재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브라켓(300)은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의 상부 중앙에 고정 설치된다. 브라켓(30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용접 등을 통해 제2로드(120)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제2로드(120)의 중앙에 고정되는 바닥판(310)과, 바닥판(310)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판(3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310)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브라켓(300)은 제2로드(120)에 설치된다.
브라켓(300)의 하단에는 제2로드(120)가 안착되는 제2로드 안착부(322)가 형성된다. 제2로드 안착부(322)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로드 안착부(322)는 바닥판(310) 및 측판(321) 하부에 형성된다. 즉, 제2로드 안착부(322)는 상부 및 하부도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브라켓(300)의 하단은 제2로드(120)의 상단보다 낮고 제2로드(120)의 하단보다는 높게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제2로드 안착부(322)로 인해 브라켓(300)과 제2로드(120)의 접촉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다.
브라켓(300)의 좌측에는 메인 스프링(600)이 배치된다. 메인 스프링(600)은 헤드레스트 커버(200)를 원위치(폴딩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 스프링(600)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부(603)와, 코일부(603)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끝단(601)과, 코일부(603)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끝단(602)을 포함한다. 코일부(503)는 제2로드(120)에 끼워진다.
일측 측판(321)의 후방에는 제2메인 스프링 걸림부(30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메인 스프링 걸림부(301)에는 제2끝단(602)이 걸린다. 제1끝단(601)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형성된 제1메인 스프링 걸림부(미도시)에 걸린다.
브라켓(300)의 양쪽 측판(321)에는 제1힌지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힌지 관통공은 제2로드 안착부(322)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잠금부재는 브라켓(300)에 직접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준다. 또한, 상기 잠금부재는 브라켓(300)에 집중되어 설치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부재는 브라켓(3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540)와, 가이드 로드(5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510)와, 슬라이딩부재(510)가 가이드 로드(540)에 대해 이동되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가이드 로드(540)에 형성되는 노치(54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51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치(541)에 삽입되는 걸림부(521)가 형성되는 이동부재(520)를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29765호에 제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실린더와 피스톤과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이드 로드(540)는 수평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로드 본체(542)와 로드 본체(542)의 하단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 결합부(543)를 포함한다.
로드 본체(542)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미세 돌기가 다수 개 형성되어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로드 본체(542)의 한쪽 측면에는 노치(541)가 형성되어 있는데, 노치(541)는 일정 간격을 띄고 두 개 이상 형성된다. 노치(541)는 수평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폴딩장치이므로 노치(541)가 두 개 형성된다. 직립상태를 유지시키는 노치(541)는 경사면이 상부에 배치되고, 폴딩상태를 유지시키는 노치(541)는 경사면이 하부에 배치된다. 즉, 하부에 배치되는 노치(541)는 경사면이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에 배치되는 노치(541)는 경사면이 하부에 배치된다.
브라켓 결합부(543)에는 좌우방향으로 제2힌지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힌지 관통공과 상기 제2힌지 관통공에는 힌지(545)가 삽입된다. 따라서, 브라켓 결합부(543)는 브라켓(3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딩부재(510)에는 로드 본체(542)가 삽입되는 제1관통공(51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부재(510)의 전방 하부에는 커버 결합부(512)가 형성된다. 커버 결합부(512)는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결합부(512)의 양측은 제1,2슬라이딩부재 결합부(212, 222)에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510)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커버 결합부(512)의 중심은 제1관통공(511)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커버 결합부(512)의 양단은 제1,2슬라이딩부재 결합부(212, 222)에 걸려서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직립시 커버 결합부(512)의 축은 제2로드(120) 및 힌지(545)의 축보다 전방 상부에 배치된다. 직립시 로드 본체(542)는 하단보다 상단이 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슬라이딩부재(510)에는 이동부재(52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513)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513)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이하 서술되는 버튼부재(530)에 근접한 쪽은 개방되고 반대쪽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513)은 제1관통공(511)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딩부재(510)에는 이동부재(520)를 복귀시켜주는 이동부재 스프링(550)이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519)가 두 개 형성된다. 스프링 삽입부(519)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홈(513) 내부에 배치된다. 두 개의 스프링 삽입부(519)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스프링 삽입부(519)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이동부재 스프링(550)이 관통되는 스프링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프링 삽입부(519)는 제1관통공(51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스프링 삽입부(519)의 좌측단은 슬라이딩부재(5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스프링 삽입부(519)로 인해 이동부재 스프링(550)이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스프링 삽입부(519)는 슬라이딩 홈(513)을 형성하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동부재(520)의 걸림부(521)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한다.
이동부재 스프링(550)의 좌측단은 슬라이딩부재(510)의 내벽에 의해 지지된다. 이동부재 스프링(550)의 우측단은 이동부재(520)에 의해 지지된다. 즉, 이동부재 스프링(550)은 슬라이딩부재(510)와 이동부재(520) 사이에 배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520)와 슬라이딩부재(510) 중 하나에는 걸림후크(526)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걸림후크(526)가 삽입되는 장공(518)이 형성된다. 장공(518)은 슬라이딩 홈(513)에 연통된다. 이와 다르게, 장공(518)은 슬라이딩 홈(513)에 연통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520)의 하면에 걸림후크(526)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슬라이딩부재(510)에 장공(518)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장공(518)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장공(518)은 슬라이딩부재(510)의 하단이 우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판에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510)를 사출성형하더라도 장공(518)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조립시 이동부재(520)를 슬라이딩 홈(513)에 밀어넣으면 걸림후크(526)는 장공(518)에 삽입된다. 이러한 걸림후크(526)와 장공(518)으로 인해 이동부재(520)가 이동부재 스프링(550)의 탄성력을 받더라도 조립 후에 이동부재(520)가 슬라이딩부재(5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동부재(520)는 걸림부(521)와, 걸림부(521)의 우측에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부(522)를 포함한다.
걸림부(521) 및 스프링 지지부(522)는 슬라이딩 홈(513)에 삽입된다.
걸림부(521)에는 로드 본체(542)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524)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걸림부(521) 내부에는 보강부재(523)가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걸림부(521)에 보강부재(523)가 조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걸림부(521)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부재(523)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523)는 제2관통공(524)을 둘러싸도록 사각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부재(523)가 노치(541)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보강부재(523)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재(523)의 좌측 내부는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걸림부(521) 내부에 배치되어, 이동부재(520)와 타부재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하면서 노치(541)에 걸리는 부분의 강성은 최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 지지부(522)는 걸림부(521)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스프링 지지부(522)의 좌측면은 평편하게 형성되어 이동부재 스프링(550)의 우측단을 지지한다.
스프링 지지부(522)의 우측면도 평편하게 형성되어, 이하 서술되는 버튼부재(530)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부(522)의 우측면 상단에는 돌출부(525)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525)는 슬라이딩부재(510)에 걸린다.
이동부재(520)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버튼부재(530)를 더 구비한다.
버튼부재(530)는 베젤(531)과, 베젤(531)에 끼워지는 버튼(534)과, 버튼(534)을 복귀시키는 버튼 스프링(533)을 포함한다.
베젤(531)은 베젤 통부(531d)와, 베젤 통부(531d)의 일단을 둘러싸는 베젤 플랜지(531e)를 포함한다.
베젤 통부(531d)는 버튼 스프링(533)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을 둘러싸는 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면의 중앙부에는 버튼 로드 가이드부(531b)가 형성된다. 버튼 로드 가이드부(531b)에는 누름 로드(534d) 및 가이드 편(534c)이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 로드 가이드부(531b)로 인해 버튼(534)이 베젤(531)에 대해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는 동시에 버튼(534)이 베젤(531)에 대해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벽부에는 복수 개의 체결 장공(531c)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벽부에는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 개의 제1체결후크(531a)가 형성된다. 제1체결후크(531a)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 또는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체결된다. 이러한 제1체결후크(531a)로 인해 버튼부재(530)가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버튼(534)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누름부(534a)와, 누름부(534a)에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름로드(534d)를 포함한다.
누름부(534a)의 가장자리에는 제2체결후크(534b)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체결후크(534b)는 체결 장공(531c)에 삽입된다. 이로인해, 버튼(534)은 베젤(531)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면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누름로드(534d)는 스프링 지지부(522)에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누름로드(534d)에 대해 스프링 지지부(522)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이동부재(520)에 원활하게 전달된다.
누름로드(534d)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편(534c)이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 스프링(533)은 베젤(531)과 버튼(534) 사이에 배치된다.
버튼 스프링(533)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버튼 스프링(533)은 누름 로드(534d)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버튼 스프링(533)의 외측은 버튼 스프링 슬리브(532)에 의해 둘러싸인다. 즉, 버튼 스프링(533)과 베젤 통부(531d) 사이에 스프링 슬리브(532)가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립상태의 헤드레스트를 사용자가 폴딩시킬 경우에는 버튼부재(530)의 버튼(534)을 누르면, 버튼(534)의 누름 로드(534d)에 접촉된 이동부재(520)의 스프링 지지부(522)도 눌린다.
이동부재(520)가 눌리게 되면, 노치(541)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부(521)의 보강부재(523)가 노치(541)로부터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523)가 노치(541)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슬라이딩부재(510)는 로드 본체(542)에 대해 이동가능해진다. 즉, 헤드레스트 커버(200)가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해진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각도가 조절 가능해진다.
버튼(534)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버튼 스프링(533) 및 이동부재 스프링(550)에 의해 버튼(534) 및 이동부재(52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헤드레스트는 메인 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폴딩위치로(반시계방향) 회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폴딩위치에 오게 되면 보강부재(523)가 노치(541)에 삽입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고정된다.
<
제2실시예
>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를 틸팅시키는 장치이다.
도 12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 커버(1200)와, 스테이로드(100)에 설치되는 브라켓(1300)과, 상기 브라켓(1300)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1200)에는 상기 스테이로드(1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가이드 로드(1540)에 노치(1541)가 3개 이상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 커버(1200)는 적어도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와,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로 분할된다.
헤드레스트 커버(1200)의 내부에는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제2로드(12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는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1211)와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1221)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1211)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1221)는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1211)와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1221)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가 결합함에 따라 결합된다.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제1,2체결부(1215, 1225)가 형성되어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는 결합된다. 나아가,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의 가조립을 위해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의 가장자리에는 체결후크(1219)가 형성되고,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의 가장자리에는 체결후크(1219)가 삽입되는 체결공(1229)이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120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부재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는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에는 삽입홈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는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1212)와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1222)를 포함한다.
분리된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1212)와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1222)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가 결합함에 따라 결합된다.
헤드레스트 커버(1200)의 내부에는 양측의 상기 슬라이딩부재 결합부 사이에 잠금부재 유동공간(1223)이 형성된다. 잠금부재 유동공간(1223)에는 상기 잠금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헤드레스트 커버(120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잠금부재 유동공간(1223)은 제1헤드레스트 커버(1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에 분할되도록 형성된다.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의 하면 및 후면 하단에는 제1로드(110)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는 헤드레스트 커버(1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를 통해 폴딩시 헤드레스트 커버(1200)가 제1로드(1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2헤드레스트 커버(1210, 1220)의 측면에는 버튼부재 설치부(1214, 1224)가 분할되어 형성된다. 버튼부재 설치부(1224)에는 버튼부재의 베젤(1531)이 삽입되는 버튼부재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브라켓(1300)은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의 상부 중앙에 고정 설치된다. 브라켓(1300)은 바닥판의 전단이 후단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2로드(120)의 후방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브라켓(1300)의 좌측에는 메인 스프링(600)이 배치된다. 메인 스프링(600)의 제2끝단은 브라켓(1300)에 걸리고, 제1끝단은 제2헤드레스트 커버(1220)에 걸린다. 메인 스프링(600)의 탄성력은 헤드레스트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헤드레스트 커버(1200)에 작용한다.
상기 잠금부재는 브라켓(13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1540)와, 가이드 로드(15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1510)와, 슬라이딩부재(1510)가 가이드 로드(1540)에 대해 이동되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가이드 로드(1540)에 형성되는 노치(1541)와, 상기 슬라이딩부재(1510)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치(1541)에 삽입되는 걸림부(1521)가 형성되는 이동부재(1520)를 포함한다.
가이드 로드(1540)는 수평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로드 본체(1542)와 로드 본체(1542)의 하단에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브라켓 결합부(1543)를 포함한다.
또한, 로드 본체(1542)의 한쪽 측면에는 노치(1541)가 형성되어 있는데, 노치(1541)는 일정 간격을 띄고 3개 이상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를 여러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브라켓 결합부(1543)는 힌지(1545)를 통해 브라켓(1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부재(1510)의 전방 하부에는 커버 결합부(1512)가 형성된다. 커버 결합부(1512)는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결합부(1512)의 양측은 제1,2슬라이딩부재 결합부(1212, 222)에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재(1510)는 헤드레스트 커버(1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직립시 커버 결합부(1512)의 축은 제2로드(120)의 축의 상부에 배치되고, 힌지(1545)의 축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직립시 로드 본체(1542)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걸림부(1521) 내부에는 노치(1541)에 삽입되는 보강부재(1523)가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다.
이동부재(1520)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버튼부재를 더 구비한다.
버튼부재는 베젤(1531)과, 베젤(1531)에 끼워지는 버튼(1534)과, 버튼(1534)을 복귀시키는 버튼 스프링(1533)을 포함한다.
베젤(1531)에는 버튼(1534)에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1534f)가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1531f)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돌출부(1534f)와 가이드 구멍(1531f)으로 인해 버튼(1534)의 누름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가이드 돌출부(1534f)는 버튼(153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버튼(1534)의 누름 로드는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누름 로드는 제1누름 로드와 제2누름 로드(1534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누름 로드는 버튼(1534)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누름 로드(1534d)는 제1누름 로드와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제2누름 로드(1534d)에는 상기 제1누름 로드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이동부재(1520)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는 동축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누름 로드(1534d)가 헤드레스트 커버(1200) 내부에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헤드레스트 커버(1200)에는 제2누름 로드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립상태의 헤드레스트를 사용자가 틸팅시킬 경우에는 버튼부재의 버튼(1534)을 누르면, 버튼(1534)의 제2누름 로드(1534d)에 접촉된 이동부재(1520)도 눌린다.
이동부재(1520)가 눌리게 되면, 노치(1541)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부의 보강부재(1523)가 노치(1541)로부터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잠금이 해제되면, 슬라이딩부재(1510)는 로드 본체(1542)에 대해 이동가능해진다. 즉, 헤드레스트 커버(1200)가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해진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 가능해진다.
헤드레스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버튼(1534)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버튼 스프링(1533) 및 이동부재 스프링(1550)에 의해 버튼(1534) 및 이동부재(152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523)가 노치(1541)에 삽입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고정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헤드레스트를 현재 위치에서 바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는 방법도 용이하다. 로킹해제를 위한 구간이 필요없게 되어 장치가 컴팩트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스테이로드 110: 제1로드
111: 경사부 120: 제2로드
200: 헤드레스트 커버 210: 제1헤드레스트 커버
211: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 212: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
215: 제1체결부 216: 제1절개부
219: 브라켓 삽입부 220: 제2헤드레스트 커버
221: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 222: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
223: 잠금부재 유동공간 224: 버튼부재 설치부
225: 제2체결부 226: 제2절개부
300: 브라켓 301: 제2메인 스프링 걸림부
310: 바닥판 321: 측판
322: 제2로드 안착부 510: 슬라이딩부재
511: 제1관통공 512: 커버 결합부
513: 슬라이딩 홈 518: 장공
519: 스프링 삽입부 520: 이동부재
521: 걸림부 522: 스프링 지지부
523: 보강부재 524: 제2관통공
525: 돌출부 526: 걸림후크
530: 버튼부재 531: 베젤
531a: 제1체결후크 531b: 버튼 로드 가이드부
531c: 체결 장공 531d: 베젤 통부
531e: 베젤 플랜지 532: 버튼 스프링 슬리브
533: 버튼 스프링 534: 버튼
534a: 누름부 534b: 제2체결후크
534c: 가이드 편 534d: 누름 로드
540: 가이드 로드 541: 노치
542: 로드 본체 543: 브라켓 결합부
545: 힌지 550: 이동부재 스프링
600: 메인 스프링 601: 제1끝단
602: 제2끝단 603: 코일부
100: 스테이로드 110: 제1로드
111: 경사부 120: 제2로드
200: 헤드레스트 커버 210: 제1헤드레스트 커버
211: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 212: 제1슬라이딩부재 결합부
215: 제1체결부 216: 제1절개부
219: 브라켓 삽입부 220: 제2헤드레스트 커버
221: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 222: 제2슬라이딩부재 결합부
223: 잠금부재 유동공간 224: 버튼부재 설치부
225: 제2체결부 226: 제2절개부
300: 브라켓 301: 제2메인 스프링 걸림부
310: 바닥판 321: 측판
322: 제2로드 안착부 510: 슬라이딩부재
511: 제1관통공 512: 커버 결합부
513: 슬라이딩 홈 518: 장공
519: 스프링 삽입부 520: 이동부재
521: 걸림부 522: 스프링 지지부
523: 보강부재 524: 제2관통공
525: 돌출부 526: 걸림후크
530: 버튼부재 531: 베젤
531a: 제1체결후크 531b: 버튼 로드 가이드부
531c: 체결 장공 531d: 베젤 통부
531e: 베젤 플랜지 532: 버튼 스프링 슬리브
533: 버튼 스프링 534: 버튼
534a: 누름부 534b: 제2체결후크
534c: 가이드 편 534d: 누름 로드
540: 가이드 로드 541: 노치
542: 로드 본체 543: 브라켓 결합부
545: 힌지 550: 이동부재 스프링
600: 메인 스프링 601: 제1끝단
602: 제2끝단 603: 코일부
Claims (6)
- 삭제
- 삭제
- 헤드레스트 커버;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와, 상기 가이드 로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해 이동되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형성되는 노치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치에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 중 하나에는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342A KR101971148B1 (ko) | 2017-09-26 | 2017-09-26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US16/649,200 US11433793B2 (en) | 2017-09-26 | 2018-06-18 |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
PCT/KR2018/006812 WO2019066195A1 (en) | 2017-09-26 | 2018-06-18 | HEADREST ADJUSTMENT DEVICE |
DE112018005476.4T DE112018005476T5 (de) | 2017-09-26 | 2018-06-18 | Kopfstützen-Einstellvorrichtung |
CN201880062377.6A CN111132872B (zh) | 2017-09-26 | 2018-06-18 | 头枕控制装置 |
JP2020538503A JP6979133B2 (ja) | 2017-09-26 | 2018-06-18 | ヘッドレスト調節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342A KR101971148B1 (ko) | 2017-09-26 | 2017-09-26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5292A KR20190035292A (ko) | 2019-04-03 |
KR101971148B1 true KR101971148B1 (ko) | 2019-04-22 |
Family
ID=6590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4342A KR101971148B1 (ko) | 2017-09-26 | 2017-09-26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433793B2 (ko) |
JP (1) | JP6979133B2 (ko) |
KR (1) | KR101971148B1 (ko) |
CN (1) | CN111132872B (ko) |
DE (1) | DE112018005476T5 (ko) |
WO (1) | WO201906619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8217312A1 (de) * | 2017-10-27 | 2019-05-02 | Lear Corporation | Kopfstützenanordnung |
CN113525205B (zh) * | 2021-08-26 | 2022-08-19 | 延锋国际座椅系统有限公司 | 一种座椅电动头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352Y1 (ko) | 2006-07-04 | 2006-09-13 | 서정돈 | 헤드레스트 |
KR101327394B1 (ko) * | 2011-11-23 | 2013-11-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592467B1 (ko) | 2013-12-10 | 2016-02-05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625691A1 (de) * | 1986-07-30 | 1988-02-04 | Fhs Stahlverformung Gmbh | Hoehen- und neigungsverstellbare kopfstuetze mit mittlerem fenster fuer kraftfahrzeugsitze |
ES1052173Y (es) * | 2002-05-31 | 2003-03-16 | Seat Sa | Reposacabezas para asientos de vehiculos automoviles. |
WO2008026371A1 (fr) * | 2006-08-31 | 2008-03-06 |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 Structure de connexion de câble |
KR20080084553A (ko) * | 2007-03-14 | 2008-09-19 | 최순봉 |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0982796B1 (ko) | 2008-01-30 | 2010-09-16 | 정해일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WO2009142063A1 (ja) * | 2008-05-22 | 2009-11-26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自動車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装置 |
KR101044067B1 (ko) | 2009-09-16 | 2011-06-23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071615B1 (ko) | 2009-09-16 | 2011-10-10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US8256838B2 (en) * | 2010-02-25 | 2012-09-04 | Dymos Incorporated | Active headrest |
KR101171234B1 (ko) | 2010-07-26 | 2012-08-0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CN202115384U (zh) * | 2011-04-29 | 2012-01-18 | 佛吉亚(上海)管理有限公司 | 汽车座椅头枕 |
KR101327391B1 (ko) * | 2012-04-10 | 2013-11-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383094B1 (ko) * | 2013-02-20 | 2014-04-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428664B1 (ko) * | 2013-12-10 | 2014-08-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CN204336351U (zh) * | 2014-12-12 | 2015-05-20 | 重庆宏立至信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 方便折叠的头枕骨架机构 |
-
2017
- 2017-09-26 KR KR1020170124342A patent/KR1019711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18 JP JP2020538503A patent/JP6979133B2/ja active Active
- 2018-06-18 WO PCT/KR2018/006812 patent/WO201906619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6-18 US US16/649,200 patent/US11433793B2/en active Active
- 2018-06-18 CN CN201880062377.6A patent/CN111132872B/zh active Active
- 2018-06-18 DE DE112018005476.4T patent/DE112018005476T5/de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352Y1 (ko) | 2006-07-04 | 2006-09-13 | 서정돈 | 헤드레스트 |
KR101327394B1 (ko) * | 2011-11-23 | 2013-11-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592467B1 (ko) | 2013-12-10 | 2016-02-05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979133B2 (ja) | 2021-12-08 |
US20200215947A1 (en) | 2020-07-09 |
JP2020535076A (ja) | 2020-12-03 |
CN111132872B (zh) | 2022-07-19 |
CN111132872A (zh) | 2020-05-08 |
WO2019066195A1 (en) | 2019-04-04 |
US11433793B2 (en) | 2022-09-06 |
DE112018005476T5 (de) | 2020-07-09 |
KR20190035292A (ko) | 2019-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49881B2 (en) | Head rest | |
US9457700B2 (en) | Head rest | |
US7914080B2 (en) | Head restraint guide with two-way locking lever | |
CN110869242B (zh) | 头枕移动装置 | |
US9446695B2 (en) | Head rest | |
KR101971148B1 (ko)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
US20150239378A1 (en) | Head rest | |
EP0970846A1 (en) | A headrest for motor-vehicle | |
EP2902254A1 (en) | Head rest | |
US8172330B2 (en) | Headrest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the same | |
CN111328311B (zh) | 头枕控制装置 | |
KR101815449B1 (ko) |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 |
EP0864461B1 (en) | A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provided with means for a quick height adjustment | |
KR101972509B1 (ko)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
JP2008056089A (ja) | 車両用シート | |
US10155464B2 (en) | Head restraint assemblies | |
KR101915094B1 (ko) |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윙아웃 장치 | |
JP6776875B2 (ja) | 乗物用シート | |
KR20180040951A (ko)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KR102236680B1 (ko) | 다단식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 | |
JP2024037667A (ja) | チャイルドシート | |
CN111186349A (zh) | 用于车辆座椅的腰部支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