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553A -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553A
KR20080084553A KR1020070127828A KR20070127828A KR20080084553A KR 20080084553 A KR20080084553 A KR 20080084553A KR 1020070127828 A KR1020070127828 A KR 1020070127828A KR 20070127828 A KR20070127828 A KR 20070127828A KR 20080084553 A KR20080084553 A KR 20080084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headrest
guide
guide frame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봉
Original Assignee
최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봉 filed Critical 최순봉
Publication of KR20080084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와,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안내공간을 가진 안내 프레임과,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 다수의 치형을 가진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치형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진 발톱 및 상기 슬라이더 및 안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을 지지하고, 복수의 구름요소가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이동 지지유닛 끝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레스트, 이동, 시트백, 안내 프레임, 슬라이더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APPARATUS FOR MOVING AN AUTOMOTIVE HEADRES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후방 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나 탑승자의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압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명적인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충돌사고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소지가 많으며, 이때 운전자나 탑승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부연하여, 차량의 후방에서 다른 차량이 충돌하면 운전자나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라 하더라도 그 충돌압력에 의해 운전자나 탑승자의 몸이 순간적으로 후방으로 쏠리면서 충격을 받게 된다.
특히, 뒤로 젖혀지는 몸체는 상체의 등 부위가 시트등받이에 먼저 부딪히게 되면서 충격을 받게 되고 이 충격에 의해 목이 뒤로 꺾이면서 헤드레스트에 머리가 부딪혀 충격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충격은 인체에 가히 치명적인 피해를 주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국내특허출원 제10-2006-100600호(이하 '선출원'이라 함)를 선출원한 바 있으며, 상기 선출원은 차량 충돌시의 반발력으로 몸체가 뒤로 젖혀짐에 의해 상체의 등 부위가 시트등받이에 먼저 부딪힐 때 이에 연동하여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직선 이동시킨 후 정지되게 함으로써, 머리를 지지할 수 있게 하여 목의 꺾임을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머리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뇌 손상방지 등 충격 및 인명 피해를 크게 낮출 수 있게 하는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출원인의 선출원은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됨에 따라 장치의 크기가 복잡해지고, 이에 의해 제조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그 교체 및 수리 등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 사고시(특히, 차량의 후방 충돌시)의 반발력에 의해 뒤로 젖혀지는 사용자의 목 이나 머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자동이동시킴으로써, 목의 꺾임을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머리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뇌 손상방지 등 충격 및 인명 피해를 크게 낮출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그 교체 및 수리 등이 용이한 개선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와,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안내공간을 가진 안내 프레임과,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 다수의 치형을 가진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치형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진 발톱과, 상기 슬라이더 및 안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을 지지하고, 복수의 구 름요소가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이동 지지유닛 및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 및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안내공간을 가진 안내 프레임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 다수의 치형을 가진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치형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진 발톱과, 상기 안내 프레임 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을 고정 및 해제하는 제1 및 제2 클램핑부재, 및 토션 스프링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와,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안내공간을 가진 안내 프레임과,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 다수의 치형을 가지고, 작동돌기를 가진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걸림부를 가진 발톱과, 상기 안내 프레임 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 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안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작동돌기를 가압하는 피스톤로드를 가진 피스톤 그리고 시트백 내에 설치된 에어챔버 및 상기 에어챔버로부터 실린더로 연통된 에어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특히, 차량의 후방 충돌시)의 반발력에 의해 뒤로 젖혀지는 사용자의 목 및/또는 머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자동이동시킴으로써, 목의 꺾임을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머리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뇌 손상방지 등과 같은 충격 및 인명 피해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보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체 및 수리 등이 용이한 개선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크게 헤드레스트(100)와,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110)에 설치된 안내 프레임(120)과, 상기 헤드레스트(100)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 프레임(120)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30)와, 상기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발톱(140, pawl)과, 상기 안내 프레임(120) 및 슬라이더(130)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지지하는 이동 지지유닛(170)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150)을 포함한다.
헤드레스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쿠션 등과 같은 완충재(101)가 내장되며, 이 완충재(101)내에 내부커버(102)가 구비되고, 이 내부커버(102) 내에는 안내 프레임(120), 슬라이더(130), 발톱(140) 등이 구비되며, 내부커버(102)에는 장착 브라켓(190)이 장착되고, 이 장착 브라켓(190)을 통해 슬라이더(130)가 내부커버(10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커버(102)의 하단에는 헤드레스트 스테이(110)가 통과하는 개구(103)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슬라이더(130)는 장착 브라켓(190)과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도 있으며, 또한 장착 브라켓(190)이 생략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30)가 내부커버(102)의 일측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헤드레스트 스테이(110)는 수직부(112) 및 수평부(111)로 이루어지고, 수직부(112)의 단부는 차량의 시트백에 설치되며, 수평부(111)에는 안내 프레임(120)이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안내 프레임(120)은 내부커버(102) 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제1실시예의 안내 프레임(120)은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100)의 수평부(111)에 고정되는 바닥면(121)을 가지며, 이 바닥면(121)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한 쌍의 수직벽면(122)이 연장된다. 이 한 쌍의 수직벽면(122) 사이에는 안내공간(125)이 수평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각 수직벽면(122)에는 한 쌍의 협소벽면(124)이 절곡되어 연장되며, 이 협소벽면(124) 사이에는 발톱(140)이 힌지핀(143)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더(130)는 그 일측단부가 내부커버(102)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190)에 결합되고, 이 장착 브라켓(190)가 내부커버(102)에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130)는 헤드레스트(1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의해 슬라이더(130) 및 헤드레스트(100)는 일체로 이동한다.
이러한, 슬라이더(130)는 수평 또는 경사지게 연장된 다수의 슬라이딩면(132)을 가진 다면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슬라이딩면(132)이 안내 프레임(120)의 안내공간(125)을 통과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한다. 안내 프레임(120)의 안내공간(125) 및 슬라이더(130)의 슬라이딩면(132)이 수평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슬라이더(13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헤드레스트(10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안내 프레임(120)의 안내공간(125) 및 슬라이더(130)의 슬라이딩면(132)이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슬라이더(130)는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헤드레스트(100)는 경사지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30)의 상부에는 다수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을 가지며, 각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들 사이의 피치(pitch)는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슬라이딩면(132) 사이에는 다수의 슬라이딩홈(132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슬라이더(130)의 하단에는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134)가 구비될 수 있다.
발톱(140)은 상기 안내 프레임(120)의 협소벽면(124) 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단부에는 걸림부(141)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30)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며, 그 타측단부에는 해제돌기(142)가 측면방향(즉, 도 1에서 이동 지지유닛(170)의 인입단턱(173)과 해제단턱(174)이 형성된 면을 향해)으로 돌출되고, 걸림부(141)와 해제돌기(1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하며, 이에 의해 해제돌기(142)는 이동 지지유닛(170)의 인입단턱(173) 및 해제단턱(174)에 걸림가능하다.
그리고, 이 발톱(140)에는 텐션장력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링(145)이 연결되고, 이 텐션스프링(145)은 그 양단부가 협소벽면(124) 및 발톱(140) 각각에 결합되어 발톱(140)이 탄성적으로 회동하며, 그 걸림부(141)가 슬라이더(130)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에 걸리도록 텐션장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슬라이더(130)와 안내 프레임(120)의 안내공간(125) 사이에는 이동 지지유닛(170)이 개재되고, 이 이동 지지유닛(170)은 복수의 장착부(171)를 가지며, 각 장착부(171)는 슬라이더(130) 및 안내공간(125)과 인접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착부(171)에는 볼, 롤러 등과 같은 구름요소(172)가 설치되고, 이 구름요소(172)는 안내공간(125) 및 슬라이더(130)의 안내홈(132a)에서 구름 운동을 함으로써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동 지지유닛(170)은 그 상부에 인입단턱(173) 및 해제단턱(174)을 구비하고, 이동 지지유닛(170)의 전진으로 발톱(140)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해제돌기(142)가 해제단턱(174)과 접촉하면,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140)이 상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의해 그 걸림부(141)가 슬라이더(130)의 다수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중 어느 하나에 걸린 상태로부터 이탈되어 발톱(140)과 슬라이더(1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또한, 이동 지지유닛(170)의 후진으로 발톱(140)의 해제돌기(142)가 인입단턱(173)과 접촉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140)이 하향으로 회동하여 그 걸림부(141)가 슬라이더(130)의 다수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중 어느 하나에 인입되어 걸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140)의 걸림부(141)가 슬라이더(130)의 제1치형(131a)에 걸린 상태에 놓여 있다고 가정할 때, 차량의 충돌 사고 등과 같은 외부의 충격이 시트 및 헤드레스트(100)측으로 전달되면, 이 충격력에 의해 이동 지지유닛(170)이 전진함으로써, 이동 지지유닛(170)의 해제단턱(174)에 발톱(140)의 해제돌기(142)가 걸려 발톱(140)이 상향회동하고, 이에 따라 발톱(140)의 걸림부(141)와 슬라이더(130)의 치형(131a)의 결합력이 해제된다. 그 충격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슬라이더(130)는 스테이(110)에 고정된 안내 프레임(120)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한 후에 발톱(140)이 다시 하향 회동함으로써 슬라이더(130)의 제2 내지 제5치형(131b, 131c, 131d, 131e)중 어느 하나에 발톱(140)의 걸림부(141)가 선택적으로 걸려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더(130)의 이동과 더불어 이 슬라이더(130)가 고정된 내부커버(102) 및 헤드레스트(100)도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100),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110)에 설치된 안내 프레임(120), 상기 헤드레스트(100)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 프레임(120)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30), 상기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발톱(140, pawl), 상기 안내 프레임(120) 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130)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180), 및 상기 슬라이더(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150)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쿠션 등과 같은 완충재(101)가 내장되며, 이 완충재(101)내에 내부커버(102)가 구비되고, 이 내부커버(102) 내에는 안내 프레임(120), 슬라이더(130), 발톱(140), 구동유닛(180) 등이 구비되며, 내부커버(102)에는 장착 브라켓(190)이 장착되고, 이 장착 브라켓(190)을 통해 슬라이더(130)가 내부커버(102)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내부커버(102)의 하단에는 헤드레스트 스테이(110)가 통과하는 개구(103)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슬라이더(130)는 장착 브라켓(190)과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도 있으며, 또한 장착 브라켓(190)이 생략된 상태에서 슬라이더(130)가 내부커버(102)의 일측에 일체로 사출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레스트 스테이(110)는 수직부(112) 및 수평부(111)로 이루어지고, 수직부(112)의 단부는 차량의 시트백에 설치되며, 수평부(111)에는 안내 프레임(120)이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안내 프레임(120)은 내부커버(102) 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제2실시예의 안내 프레임(120)은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100)의 수평부(111)에 고정되는 바닥면(121)을 가지며, 이 바닥면(121)의 양단에서 상향으로 한 쌍의 수직벽면(122)이 연장된다. 이 한 쌍의 수직벽면(122) 사이에는 안내공간(125)이 수평하게 형성된다.
각 수직벽면(122)에는 한 쌍의 장착벽면(123)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각 수직벽면(122)의 내측에는 한 쌍의 협소벽면(124)이 절곡되어 연장되며, 각 장착벽면(123)에는 장착공(123a)이 형성되고, 이 장착공(123a)에 체결되는 체결핀(186)에 의해 후술하는 토션 스프링(181)의 코일부(181a)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협소벽면(124) 사이에는 발톱(140)이 힌지핀(143)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안내공간(125)의 하부에는 격벽(129)을 통해 구획된 수용공간(127)이 형성되고, 이 수용공간(127)에는 후술하는 구동유닛(180)의 제한부재(184), 제1 및 제2 클램핑부재(182, 183), 토션 스프링(181) 등이 수용되어 설치된다.
슬라이더(130)는 그 일측단부가 내부커버(102)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190) 에 결합되고, 이 장착 브라켓(190)가 내부커버(102)에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130)는 헤드레스트(10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의해 슬라이더(130) 및 헤드레스트(100)는 일체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130)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다수의 슬라이딩면(132)을 가진 다면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슬라이딩면(132)이 안내 프레임(120)의 수평한 안내공간(125)을 통과하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그 상부에는 다수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을 가지며, 각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들 사이의 피치(pitch)는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슬라이딩면(132) 사이에는 안내 프레임(120)의 안내홈(125a)과 대응하는 다수의 슬라이딩홈(132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내홈(125a)과 상기 슬라이딩홈(132a)은 이동 지지유닛(170)의 구름요소(172)가 구름운동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130)의 하단에는 작동돌기(133) 및 스토퍼(134)가 구비되고, 이 작동돌기(133)는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 작동돌기(133)의 단부에는 걸림홈(133a)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133a)에는 토션 스프링(181)의 안내단부(181c)의 일측 외면이 수용될 수 있다.
발톱(140)은 상기 안내 프레임(120)의 협소벽면(124) 상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일측단부에는 걸림부(141)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130)의 치형(132)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며, 그 타측단부에는 해제돌기(142)가 측면방 향(즉, 도 1에서 이동 지지유닛(170)을 향해)으로 돌출되고, 걸림부(141)와 해제돌기(1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하며, 이에 의해 해제돌기(142)는 이동 지지유닛(170)의 인입단턱(173) 및 해제단턱(174)에 걸림가능하다.
그리고, 이 발톱(140)에는 텐션장력을 부여하는 텐션스프링(145)이 연결되고, 이 텐션스프링(145)은 그 양단부가 협소벽면(124) 및 발톱(140) 각각에 결합되어 발톱(140)이 탄성적으로 회동하며, 그 걸림부(141)가 슬라이더(130)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에 걸리도록 텐션장력을 제공한다.
구동유닛(180)은 차량의 충돌사고 등과 같은 충격이 외부에서 가해질 경우 상기 슬라이더(13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고,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3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토션 스프링(181), 이 토션 스프링(181)을 고정 및 해제하는 제1 및 제2 클램핑부재(182, 183), 및 토션 스프링(181)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재(184)를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181)은 그 일측의 양단부에 원통형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181a)을 구비하고, 이 코일부(181a)는 안내 프레임(120)의 장착벽면(123)에 체결핀(186)을 통해 설치되며, 이 코일부(181a)에서 연장된 일측단부(181b)는 장착벽면(123)에 고정돌기(미도시) 등을 통해 고정된다. 토션 스프링(181)의 타측단부에는 안내단부(181c)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이 안내단부(181c)는 제2 클램핑부재(183)에 형성된 걸림홈(183c)에 선택적으로 끼움되어 고정 및 해제되며, 상기 안내단부(181c)는 제한부재(184)에 의해 그 작동거리가 제한된다.
제한부재(184)는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안내 프레임(120)의 수용공간(127) 내에 설치되고, 제한부재(184)의 일측벽면에는 소정 곡면을 가진 제한홈(184a)이 형성되며, 상기 제한홈(184a)에는 토션 스프링(181)의 안내단부(181c)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져 전후진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181)의 회동작동에 따라 안내단부(181c)는 제한홈(184a)을 따라 그 전후진이 안내된다.
제1클램핑부재(182)는 제한부재(184)의 일측면에 힌지핀(182a)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일측에는 복수의 치형(182b)을 가지며, 그 타측에는 절곡부(182c)가 절곡되어 연장되고, 이 절곡부(182c)의 하단에는 웨이트(182d)가 구비된다.
제2클램핑부재(183)는 제1클램핑부재(182)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제한부재(184)의 일측면에 힌지핀(183a)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일측에 제1클램핑부재(182)의 치형(182b)과 치합하는 복수의 치형(183b)를 가지며, 그 타측에는 토션 스프링(181)의 안내단부(181c)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183c)를 가진다.
그리고, 제2클램핑부재(183)와 안내 프레임(120)의 바닥면(121) 사이에는 인장스프링(187)이 설치되고, 이 인장스프링(187)은 제2클램핑부재(183)를 바닥면(121)으로 인장시키는 인장력을 제공함으로써 제2클램핑부재(183)는 그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충격에 의한 제1클램핑부재(182)의 웨이트(182d)의 관성으로, 예컨 대 제1클램핑부재(18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클램핑부재(182)와 제2클램핑부재(184)와의 계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2클램핑부재(182)의 걸림홈(183c)에 걸린 토션 스프링(181)의 안내단부(181c)의 계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복귀 스프링(150)은 그 양단부가 안내 프레임(120) 및 슬라이더(130)측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그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복귀 스프링(150)는 그 일측단부가 안내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28)에 걸림결합되고, 그 타측단부는 슬라이더(130)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장착 브라켓(190)에 걸림결합되며, 이 장착 브라켓(190)은 내부커버(102)에 체결구(미도시) 등을 통해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30)와 안내 프레임(120)의 안내공간(125) 사이에는 이동 지지유닛(170)이 개재되고, 이 이동 지지유닛(170)에는 복수의 장착부(171)를 가지며, 각 장착부(171)는 슬라이더(130) 및 안내공간(125)과 인접하는 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착부(171)에는 볼, 롤러 등과 같은 구름요소(172)가 설치되고, 이 구름요소(172)는 안내공간(125)의 안내홈(125a) 및 슬라이더(130)의 안내홈(132a)에서 구름운동을 함으로써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지지한다.
그리고, 이동 지지유닛(170)은 그 일측 벽면 상부에 인입단턱(173) 및 해제단턱(174)을 구비하고, 발톱(140)의 해제돌기(142)가 해제단턱(174)과 접촉하면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140)이 상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의해 그 걸림부(141)가 다수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로부터 이탈되어 발톱(140)과 슬라이더(1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며, 발톱(140)의 해제돌기(142)가 인입단 턱(173)과 접촉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톱(140)이 하향으로 회동하여 그 걸림부(141)가 다수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에 인입되어 걸린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발톱(140)의 걸림부(141)가 슬라이더(130)의 제1치형(131a)에 걸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6 내지 도 8은 슬라이더(130)를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시켜 발톱(140)의 걸림부(141)가 슬라이더(130)의 제2 내지 제4 치형(131b, 131c, 131d)에 선택적으로 걸려 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5 내지 도 8의 상태에서 차량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면 토션 스프링(181)의 안내단부(181c)는 제2클램핑부재(182)의 걸림홈(183c)에 걸린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도 5 내지 도 8의 상태에서, 차량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180)의 제1클램핑부재(182)는 그 충격력에 대한 웨이트(182d)의 관성력에 의해 어느 일방향으로(도 9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치형(182b, 183b)들을 통해 제1클램핑부재(182)에 치합된 제2클램핑부재(183)는 제1클램핑부재(182)의 관성운동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및 제2 클램핑부재(182, 183)는 상호 벌어져 토션 스프링(181)의 안내단부(181c)는 제2클램핑부재(183)의 걸림홈(183c)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이 토션 스프링(181)의 안내단부(181c)의 걸림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토션 스프링(181)은 그 코일부(181a)의 탄성력을 안내단부(181c)를 통해 슬라이더(130)측에 전달함으로써 슬라이더(130)의 작동돌기(133)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130)는 안내 프레 임(120)의 수평한 안내공간(125)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같이 슬라이더(1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발톱(140)의 걸림부(141)는 예컨대, 슬라이더(130)의 제5치형(131e)에 걸린다. 이러한 슬라이더(130)의 이동과 함께 내부커버(102) 및 헤드레스트(100)도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도 10(a)는 도 5에 대응하는 발톱(140) 및 이동 지지유닛(170)의 상대적인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도 6에 대응하는 발톱(140) 및 이동 지지유닛(170)의 상대적인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c)은 도 7에 대응하는 발톱(140) 및 이동 지지유닛(170)의 상대적인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d)는 도 8에 대응하는 발톱(140) 및 이동 지지유닛(170)의 상대적인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e)는 도 9에 대응하는 발톱(140) 및 이동 지지유닛(170)의 상대적인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f)는 도 9에서 이동 지지유닛(170)이 전방으로 더 이동할 경우에 이동 지지유닛(170)의 해제단턱(174)이 발톱(140)의 해제돌기(142)를 가압함으로써 발톱(140)이 상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발톱(140)이 상향으로 회동하면 발톱(140)의 걸림부(141)는 슬라이더(130)의 치형(131e)으로부터 해제되고, 이렇게 발톱(140) 및 슬라이더(130)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100)를 다시 후방으로 밀어 내면 발톱(140)의 해제돌기(142)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지지유닛(170)의 인입단턱(173)에 걸려져 원위치로 복귀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헤드레스트 본체(100),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110)에 설치된 안내 프레임(220),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0)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 프레임(220)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230), 상기 슬라이더(230)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발톱(240, pawl), 상기 안내 프레임(220) 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230)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280), 및 상기 슬라이더(2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250), 이동 지지유닛(270) 등을 포함한다.
본 제3실시예의 안내 프레임(220), 슬라이더(230), 발톱(240), 구동유닛(280), 복귀 스프링(250), 이동 지지유닛(270), 그외 구성요소들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제2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제3실시예의 안내 프레임(220)은 소정각도로 경사진 격벽(229)을 구비하고, 이 경사진 격벽(229)에 의해 안내공간(225) 및 수용공간(227)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 경사진 안내공간(225)을 통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230) 및 이동 지지유닛(270)은 상기 안내공간(225)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며, 나머지 발톱(240), 구동유닛(280), 복귀 스프링(250) 등과 같은 나머지 구성요소들도 안내공간(225)의 경사도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제3실시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외력이 가해지면 그에 대응하여 안내 프레임(220)을 통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230)가 경사 지게 이동함으로써 수평이동간격(H)으로 수평이동할 뿐만 아니라 수직이동간격(V)으로 수직이동하고, 이렇게 경사지게 이동하는 슬라이더(230)의 치형(231a, 231b, 231c, 231d, 231e)에 발톱(240)의 걸림부(241)가 단계적으로 걸린다.
이에 따라, 본 제3실시예는 슬라이더(230)가 경사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헤드레스트(100) 및 내부커버(102)도 경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제4실시예는 헤드레스트(100), 시트백(500)에서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1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안내 프레임(120),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0)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 프레임(120)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130), 상기 슬라이더(130)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발톱(140), 및 상기 슬라이더(130)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400)을 포함한다.
구동유닛(400)은 상기 안내 프레임(120)의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450), 실린더(450)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460), 시트백(500) 내에 설치된 에어챔버(410), 에어챔버(410)으로부터 실린더(450)로 연통된 에어공급관(440)을 포함한다.
에어챔버(410)는 그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주름부를 가지고, 그 내부에 에어가 충전되어 있다. 에어챔버(410)의 일측에는 체결부(420)가 구비되고, 이 체결부(420)는 시트백(500) 내에 설치된 장착블럭(430)에 체결된다. 장착블 럭(430)은 에어공급공(431) 및 에어유입공(432)을 가지고, 이 에어공급공(431)에 에어공급관(440)이 소통하며, 에어유입공(432)에는 체크밸브(433)가 구비되고, 이 체크밸브(433)는 에어챔버(41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어의 흐름만을 허용한다.
에어공급관(440)은 헤드레스트 스테이(110)의 수직부(112) 내부를 관통하여 그 단부가 실린더(45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 에어공급관(440)의 헤드레스트 스테이(110)로 인입되는 부분에는 그 조립의 용이성을 구현하기 위한 커넥터(441)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피스톤(460)은 피스톤로드(465)를 가지고, 슬라이더(130)의 하부에는 작동돌기(135)가 돌출되어 있으며, 피스톤(460)이 에어공급관(410)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이와 더불어 피스톤로드(465)도 전방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130)의 작동돌기(135)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130)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본 제4실시예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의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운전자나 탑승자는 제1동작으로 전방으로 튕겨나가게 되고, 차량의 회전이 멈추게 됨으로써 전방으로 튕겨져 나간 몸체가 제2동작으로 후방으로 다시 이동하면서 몸체가 뒤로 젖혀지게 되며 등 부위가 먼저 시트등받이(500)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제2동작에 의해 시트등받이(500)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 충격력에 의해 에어챔버(410)는 수축되고, 이에 의해 에어챔버(410) 내의 에어가 에어공급관(440)을 통해 실린더(450)로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되는 에어는 피스톤(460)을 전방으로 밀어내며, 이에 의해 피스톤로드(465)는 슬라이더(130)의 작동돌기(135)를 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슬라이더(130)를 이동시키고, 이렇게 이동하는 슬라이더(130)의 치형(131a, 131b, 131c, 131d, 131e)에 발톱(140)의 걸림부(141)가 선택적으로 걸린다.
그외 나머지 구성 및 작동관계는 선행하는 제2실시예와 동일 내지는 유사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헤드레스트(100), 시트백(500)에서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1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안내 프레임(220),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0)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 프레임(220)을 통해 경사지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230), 상기 슬라이더(230)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발톱(240), 및 상기 슬라이더(230)를 이동시키는 구동유닛(400)을 포함한다.
본 제5실시예의 안내 프레임(220)은 선행하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내공간(225)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경사진 안내공간(225)을 통해 슬라이더(230) 및 이동 지지유닛(270)이 경사지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외 안내 프레임(220), 슬라이더(230), 발톱(240)의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고, 구동유닛(400)의 구성 및 작동은 선행하는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방향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발톱이 슬라이더의 제1치형에 걸린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발톱이 슬라이더의 제2치형에 걸린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발톱이 슬라이더의 제3치형에 걸린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발톱이 슬라이더의 제4치형에 걸린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9은 도 5 내지 도 8의 각 상태에서 슬라이더가 이동하여 발톱이 슬라이더의 제5치형에 걸린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발톱이 이동 지지유닛의 인입단턱 및 해제단턱 사이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작동 상 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화살표 C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6는 도 15의 화살표 D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헤드레스트 110 : 헤드레스트 스테이
120 : 안내 프레임 130 : 슬라이더
140 : 발톱 150 : 복귀 스프링
180 : 구동유닛

Claims (15)

  1. 헤드레스트;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안내공간을 가진 안내 프레임;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 다수의 치형을 가진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치형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진 발톱;
    상기 슬라이더 및 안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을 지지하고, 복수의 구름요소가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이동 지지유닛; 및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톱은 그 타측에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해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지지유닛은 그 상부에 인입단턱 및 해제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발톱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해제돌기가 상기 이동 지지유닛의 인입단턱 및 해제단턱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 트 이동장치.
  3. 헤드레스트;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안내공간을 가진 안내 프레임;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 다수의 치형을 가진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치형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진 발톱;
    상기 안내 프레임 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토션 스프링, 상기 토션 스프링을 고정 및 해제하는 제1 및 제2 클램핑부재, 및 토션 스프링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그 일측의 양단부에 원통형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 부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부는 안내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측단부에는 안내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내단부는 제1 및 제2 클램핑부재에 의해 고정 및 해제되며, 상기 안내단부는 상기 제한부재에 의해 그 작동거리가 제한되며, 상기 안내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에 구비된 작동돌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한부재는 그 일측벽면에 토션 스프링의 안내단부가 끼워져 안내되는 제한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한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각각은 상호 치합하는 치형을 가지며, 상기 제1클림핑부재는 절곡부가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절곡부의 하단에는 웨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2클램핑부재는 토션 스프링의 안내단부가 걸림결합되는 걸림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 사이에는 이동 지지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 지지유닛에는 복수의 구름요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톱은 그 타측에 해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지지유닛은 그 상부에 인입단턱 및 해제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발톱의 해제돌기는 상기 이동 지지유닛의 인입단턱 및 해제단턱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 및 슬라이더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 및 슬라이더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10. 헤드레스트;
    시트백으로부터 연장된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안내공간을 가진 안내 프레임;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을 통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부에 다수의 치형을 가지고, 작동돌기를 가진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고정 및 해제하는 걸림부를 가진 발톱;
    상기 안내 프레임 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슬라이더를 구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안내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작동돌기를 가압하는 피스톤로드를 가진 피스톤;
    시트백 내에 설치된 에어챔버; 및
    상기 에어챔버로부터 실린더로 연통된 에어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챔버는 그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주름부를 가지고, 그 내부에 에어가 충전되며, 상기 에어챔버의 일측에는 체결부가 구비되고, 이 체결부는 상기 시트백 내에 설치된 장착블럭에 체결되며, 상기 장착블럭은 에어공급공 및 에어유입공을 가지고, 상기 에어공급공에는 상기 에어공급관이 소통하며, 상기 에어유입공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 사이에는 이동 지지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 지지유닛에는 복수의 구름요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톱은 그 타측에 해제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지지유닛은 그 상부에 인입단턱 및 해제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발톱의 해제돌기는 상기 이동 지지유닛의 인입단턱 및 해제단턱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 및 슬라이더는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프레임의 안내공간 및 슬라이더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070127828A 2007-03-14 2007-12-10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080084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4971 2007-03-14
KR1020070024971 2007-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553A true KR20080084553A (ko) 2008-09-19

Family

ID=3975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828A KR20080084553A (ko) 2007-03-14 2007-12-10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84553A (ko)
WO (1) WO2008111721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4984A1 (ko) * 2012-09-03 2014-03-06 Jun Wonchul 보조부력장치에 의한 무전복선에서, 주선체의 연결점 위치를 높이는 레일장치
KR101413966B1 (ko) * 2012-12-12 2014-07-02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
KR101952816B1 (ko) * 2019-02-01 2019-02-27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의 전후방 위치 조절장치
KR20190035292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20200029775A (ko) * 2018-09-11 2020-03-19 이득우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KR102187838B1 (ko) * 2019-08-16 2020-12-08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4982B3 (de) * 2010-08-20 2012-02-02 Robin Ullrich Horizontal verstellbare Kopfstütze
CN102173288B (zh) * 2011-03-09 2012-11-07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直进式移动头枕装置
CN113509326A (zh) * 2021-05-07 2021-10-19 王超 一种用于连接电车头和轮椅的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74Y1 (ko) * 2005-10-26 2006-01-2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수평이동장치
KR200417425Y1 (ko) * 2006-03-09 2006-05-26 다이모스(주)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직선이동 장치
KR200423596Y1 (ko) * 2006-06-01 2006-08-08 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목 부상 방지 타입 헤드레스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4984A1 (ko) * 2012-09-03 2014-03-06 Jun Wonchul 보조부력장치에 의한 무전복선에서, 주선체의 연결점 위치를 높이는 레일장치
KR101413966B1 (ko) * 2012-12-12 2014-07-02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레일 형 헤드레스트
KR20190035292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WO2019066195A1 (en) * 2017-09-26 2019-04-04 Woobo Tech Co., Ltd. HEADREST ADJUSTMENT DEVICE
US11433793B2 (en) 2017-09-26 2022-09-06 Woobo Tech Co., Ltd.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KR20200029775A (ko) * 2018-09-11 2020-03-19 이득우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KR101952816B1 (ko) * 2019-02-01 2019-02-27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의 전후방 위치 조절장치
US10994641B2 (en) 2019-02-01 2021-05-04 Hyundai Ind. Co., Ltd. Positioning device for vehicular seat
DE102020101245B4 (de) 2019-02-01 2023-07-20 Hyundai Ind. Co., Ltd. Positioniervorrichtung für eine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KR102187838B1 (ko) * 2019-08-16 2020-12-08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1721A1 (en)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4553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4290701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837910B1 (ko)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높이 유지 장치
US7699393B2 (en) Load limiting (energy management) child restraint seat
US5927809A (en) Easy entry seat with seat back lockout until full return
US8172319B2 (en) Active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and actuator thereof
EP2930055B1 (en) Headrest
US8936311B2 (en)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US20040245814A1 (en) Activating headrest
KR20080059251A (ko) 능동형 헤드 억제부
KR101015447B1 (ko)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EP3521112B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200423596Y1 (ko)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목 부상 방지 타입 헤드레스트
KR20100034555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01163101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20110066128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0333285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US6402218B1 (en) Seat belt pretensioner device powered by vehicle body deformation
KR20110109856A (ko) 차량의 추돌 충격 완화장치
KR0159477B1 (ko) 헤드레스트의 목 보호장치
KR100841807B1 (ko)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KR20090063429A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1039675B1 (ko) 상해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틸팅 헤드레스트
KR20090050683A (ko) 차량의 프리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