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838B1 -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838B1
KR102187838B1 KR1020190100232A KR20190100232A KR102187838B1 KR 102187838 B1 KR102187838 B1 KR 102187838B1 KR 1020190100232 A KR1020190100232 A KR 1020190100232A KR 20190100232 A KR20190100232 A KR 20190100232A KR 102187838 B1 KR102187838 B1 KR 10218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racket
locking pin
fixing bracket
sli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강목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9010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7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걸림핀; 쿠션 유닛에 결합되는 이동결합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조작됨에 따라 상기 걸림핀을 순차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고, 이동 조작되는 상기 이동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SLIDE MODULE FOR HEAD REST AND HEAD RES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에 사용되는 헤드레스트와 그의 이동을 위한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좌석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하여 머리 보호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뒷통수를 떠받치면서 목 부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헤드레스트가 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머리 보호대 이외에도, 그의 배면에 영상 시청용 모니터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헤드레스트는 후방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영상물 시청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헤드레스트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은 부품수가 많아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공정도 까다로운 편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은 단순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부품수 및 제조 공정의 개선에도, 기구적 특성 및 작동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은, 스테이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걸림핀; 쿠션 유닛에 결합되는 이동결합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조작됨에 따라 상기 걸림핀을 순차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고, 이동 조작되는 상기 이동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서 돌출되는 벽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이 상기 바닥판에 대해 이격된 채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판은, 상기 바닥판의 양단부에서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동 브라켓은, 상기 바닥판 및 상기 한 쌍의 벽판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판은, 설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핀은, 상기 설치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브라켓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요철부를 감싸는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핀은, 상기 닫힌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관통 삽입되고, 안착홈을 구비하는 로드;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고정 브라켓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핀은, 제1 걸림핀; 및 상기 제1 걸림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걸림핀에 대응하는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걸림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요철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요철부와 상기 제2 요철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요철부와 상기 제2 요철부 각각에서, 요철을 형성하는 돌기의 코너의 챔퍼는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유닛은,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브라켓은, 단속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이동 브라켓이 이동 중 정지함에 따라, 상기 단속홈에 삽입되는 단속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서 돌출되는 벽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는 후크부; 및 상기 바닥판을 따라 연장된 후에 상기 이동 브라켓을 향해 연장되게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절곡부가 걸리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판 스프링의 위치 이탈을 제한하는 제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쿠션 유닛; 시트 백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는 스테이프레임; 상기 스테이프레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걸림핀;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조작됨에 따라 상기 걸림핀을 순차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 유닛에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고, 이동 조작되는 상기 이동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스테이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이 상기 스테이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이동 브라켓에 대해 중력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에 의하면, 고정 브라켓이 스테이프레임에 결합되고 그 고정 브라켓에 걸림핀이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 브라켓은 탄성 유닛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 브라켓에 대해 상대 이동되고 또한 걸림핀에 걸리면서 고정 브라켓에 대해 단계적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슬라이드 모듈은, 고정 브라켓 및 이동 브라켓 등의 수 개의 부품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어서, 제품수가 적고 그 제조 공정도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브라켓이 이동되면서 탄성 유닛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기구적 특성이 우수하고, 작동 신뢰도 또한 높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에 대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 모듈(2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드 모듈(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슬라이드 모듈(200)에 대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슬라이드 모듈(2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300)에 대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모듈(400)에서 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100)에 대한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100)는, 쿠션 유닛(110)과, 스테이프레임(130), 그리고 슬라이드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 유닛(110)은 자동차의 시트 백(미도시)의 상측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뒤통수를 받치는 구성이다. 쿠션 유닛(110)은 구체적으로, 외피(111)와, 관통홀(115), 그리고 마운트(119)를 가질 수 있다. 외피(111)는 대체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피(111)는 인조 가죽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한다. 외피(111)는 중공인 내부 공간(112)을 가진다. 내부 공간(112)에는 슬라이드 모듈(200) 등이 배치되고, 쿠션 기능을 할 수 있는 충전재가 채워질 수 있다. 관통홀(115)은 외피(1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수평 방향(H)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관통홀(115)은 내부 공간(112)을 외부와 연통시키며, 스테이프레임(130)이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공간이다. 마운트(119)는 내부 공간(112)에 배치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119)는 외피(111)에 고정 결합된다.
스테이프레임(130)은 시트 백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V)으로 높이 조절될 수 있다. 스테이프레임(130)의 상부는 내부 공간(112)에 위치하고, 그에는 슬라이드 모듈(200)이 결합된다.
슬라이드 모듈(200)은 스테이프레임(130)과 쿠션 유닛(110)을 연결하고, 스테이프레임(130)에 대해 쿠션 유닛(110)이 상대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슬라이드 모듈(200)에 의해, 쿠션 유닛(110)은 수평 방향(H)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모듈(2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드 모듈(2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모듈(200)은 구체적으로, 고정 브라켓(210), 걸림핀(230), 이동 브라켓(250), 및 탄성 유닛(27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210)은 스테이프레임(1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이동 브라켓(250)은 마운트(119)를 통해 쿠션 유닛(1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고정 브라켓(210)이 스테이프레임(130)에 결합되어 제자리를 지키는 중에, 이동 브라켓(250)은 쿠션 유닛(110, 도 1 참조)과 함께 수평 방향(H)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슬라이드 모듈(2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슬라이드 모듈(200)에 대한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210)은, 바닥판(211), 고정결합부(213), 벽판(215), 및 설치홀(217)을 가질 수 있다. 바닥판(211)은 고정 브라켓(210) 중 바닥을 이루는 부분이다. 고정결합부(213)는 바닥판(211)과 벽판(215)에 스테이프레임(130)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고정결합부(213)는 스테이프레임(130)에 대해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벽판(215)은 바닥판(211)의 가장자리에서 수직 방향(V)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벽판(215)은 서로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설치홀(217)은 벽판(215)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핀(230)은 고정 브라켓(210)에 설치되어 그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걸림핀(230)은 고정 브라켓(210)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게 구성된다. 걸림핀(230)은 대체로 바닥판(211)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걸림핀(230)은, 구체적으로 제1 걸림핀(231)과 제2 걸림핀(235)을 가질 수 있다.
제1 걸림핀(231)은 벽판(215)의 설치홀(217)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제1 걸림핀(231)은 고정 브라켓(210)을 관통하는 로드(232)와, 그에 설치되는 이탈방지링(234)을 가질 수 있다. 로드(232)의 단부에는 안착홈(233)이 형성되고, 이탈방지링(234)은 안착홈(233)에 안착 설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로드(232)가 설치홀(217)에 끼워져서 고정 브라켓(210)을 관통한 상태에서, 안착홈(233)에 이탈방지링(234)이 끼워지게 된다. 이는 로드(232)가 설치홀(217)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면서도, 설치홀(217)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제1 걸림핀(231)과 달리, 제2 걸림핀(235)은 고정 브라켓(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핀(235)은 제1 걸림핀(23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2 걸림핀(235)는 고정 브라켓(210)에 대한 제작 시에 그와 한 번에 제작될 수 있다.
이동 브라켓(250)은 고정 브라켓(210)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구성이다. 이동 브라켓(250)은 먼저 마운트(119, 도 1 참조)에 결합되는 이동결합부(251)를 가질 수 있다. 이동결합부(251)는 고정 브라켓(210)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마운트(119)와 대면한 채로 결합하게 된다. 이동결합부(251)의 구체적 형상은 마운트(119, 도 1 참조)의 형상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이동 브라켓(250)의 나머지 부분은 고정 브라켓(210)의 바닥판(211)과 벽판(215)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부분은 베이스부(253)와 주변부(257)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53)의 바닥에는 단속홈(254)이 형성될 수 있다. 단속홈(254)은 수평 방향(H)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253)에는 또한 걸림핀(230), 구체적으로 제1 걸림핀(231)이 순차적으로 수용되는 제1 요철부(255)가 형성된다. 제1 걸림핀(231)의 요홈은 단속홈(254)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주변부(257)는 베이스부(253)에 연결되어, 제1 요철부(255)를 감싸는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베이스부(253)와 주변부(257)는 대체로 사각 고리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닫힌 공간에는 걸림핀(230), 구체적으로 제1 걸림핀(231)이 배치될 수 있다.
주변부(257)에는 제2 요철부(259)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요철부(259)는 제2 걸림핀(235)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제1 요철부(25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요철부(259)는 상기 닫힌 공간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요철부(259)는 제1 요철부(255)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요철부(255)와 제2 요철부(259)에서, 요철을 형성하는 돌기의 코너의 챔퍼는 각기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유닛(270)은 고정 브라켓(210)에 대해 이동 브라켓(25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탄성 유닛(270)은, 구체적으로 고정 브라켓(210)의 바닥판(211)에 설치되어 이동 브라켓(250)이 바닥판(211)에 대해 이격된 채로 이동되게 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 유닛(270)은, 예를 들어 대략 'C'자 형상으로 절곡된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후크부(271), 절곡부(273), 그리고 단속돌부(275)를 가질 수 있다. 후크부(271)는 상기 판 스프링의 일 단부 측에 형성되어, 바닥판(211)의 단부에 걸리는 구성이다. 절곡부(273)는 상기 판 스프링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판 스프링의 연장 방향이 변경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절곡부(273)는 고정 브라켓(210)에 설치되는 제한핀(279)에 의해 제자리를 지키도록 유지될 수 있다. 단속돌부(275)는 상기 판 스프링의 자유단 측에 형성되어, 이동 브라켓(250)의 단속홈(254)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단속돌부(275)가 단속홈(254)에 삽입되는 지점에서, 걸림핀(230)은 요철부(255,259)의 요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이상의 슬라이드 모듈(200)에서 고정 브라켓(210)에 대해 이동 브라켓(250)이 상대 이동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슬라이드 모듈(2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이동 브라켓(250)에서 이동결합부(251)는 생략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제1 걸림핀(231)은 제1 요철부(255)의 일 요홈에 삽입된 상태이고, 제2 걸림핀(235) 역시 제2 요철부(259)의 일 요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5a). 상기 판 스프링의 자유단은 바닥판(211)으로부터 최대로 멀어지면서 이동 브라켓(250)과 걸림핀(230)이 밀착되게 한다. 상기 판 스프링의 단속돌부(275)는 이동 브라켓(250)의 단속홈(254) 중 하나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헤드레스트(100, 도 1 참조)에 외력이 가해져도, 헤드레스트(100)는 수평 방향(H)으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헤드레스트(100)를 수평 방향(H)으로 위치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쿠션 유닛(110, 도 1 참조)을 수직 방향(V)을 따라 내리눌러야 한다(도 5b). 이 경우, 제1 걸림핀(231) 및 제2 걸림핀(235)은 각기 제1 요철부(255) 또는 제2 요철부(259)의 요홈에서 상대적으로 상승된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제1 걸림핀(231)/제2 걸림핀(235)과 제1 요철부(255)/제2 요철부(259) 간의 구속 관계는 해제된 상태이다. 나아가, 상기 판 스프링의 자유단은 수직 방향(V)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휘어진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단속돌부(275)는 단속홈(254)에서 이탈되어 단속홈(254)과 멀어진 상태가 된다.
이제, 사용자가 쿠션 유닛(110)을 수직 방향(V)을 따라 누른 상태에서 수평 방향(H)으로 이동시키면, 이동 브라켓(250)은 고정 브라켓(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5c). 이동 브라켓(250)은 상기 판 스프링을 더욱 가압하여, 단속돌부(275)는 단속홈(254)에서 보다 멀어지게 된다.
사용자가 쿠션 유닛(110)에 대해 누르는 힘을 조금 제거하면, 제1 걸림핀(231) 및 제2 걸림핀(235)은 제1 요철부(255) 또는 제2 요철부(259)에서 다른 요홈에 대응하는 상태가 된다(도 5d). 그 경우, 상기 판 스프링의 자유단은 앞서 보다는 베이스부(253)에 가까운 상태로 복원된다.
사용자가 쿠션 유닛(110)에 대해 누르는 힘을 보다 제거하면, 제1 걸림핀(231) 및 제2 걸림핀(235)은 제1 요철부(255) 또는 제2 요철부(259)에서 다른 요홈에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도 5e). 이 상태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자유단은 더욱 베이스부(253)에 가까워지고, 단속돌부(275)는 새로운 단속홈(254)으로 진입하게 된다.
사용자가 쿠션 유닛(110)에 대해 누르는 힘을 완전히 제거하면, 제1 걸림핀(231) 및 제2 걸림핀(235)은 제1 요철부(255) 또는 제2 요철부(259)에서 다른 요홈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도 5f). 이 상태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단속돌부(275)는 새로운 단속홈(254)에 안착된다. 단속돌부(275)가 단속홈(254)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판 스프링의 변형에 의해 '딸깍' 소리가 나게 되므로, 사용자는 쿠션 유닛(110)이 위치 조절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을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과정에서, 제1 요철부(255) 및 제2 요철부(259)가 존재하고, 그들이 각기 제1 걸림핀(231)과 제2 걸림핀(235)에 걸리게 됨에 의해, 이동 브라켓(250)은 고정 브라켓(210)에 대해 수평 방향(H)을 따라 이동할 뿐 선회되지는 않게 된다. 또한, 제1 요철부(255) 뿐만 아니라 제2 요철부(259)도 걸림핀(231,235)에 걸리게 됨에 의해, 쿠션 유닛(110)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이동 브라켓(250)이 보다 견고하게 버틸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제1 걸림핀(231)은 이동 브라켓(250)을 바닥판(211)과 벽판(215)이 한정하는 공간 내에 삽입하기 위해 고정 브라켓(210)에 착탈되어야 하지만, 제2 걸림핀(235)은 고정 브라켓(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제2 걸림핀(235)을 따로 만들어서 고정 브라켓(210)에 결합하는 경우보다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결합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다른 형태의 헤드레스트(300)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300)에 대한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300)는 앞선 실시예의 헤드레스트(100)와 대체로 동일하다. 그에 따라, 헤드레스트(300)는, 쿠션 유닛(310), 스테이프레임(330), 및 슬라이드 모듈(400)을 갖는다. 쿠션 유닛(310) 등은 앞선 실시예의 쿠션 유닛(110) 등과 대체로 동일하다.
다만, 헤드레스트(300)에 있어서, 슬라이드 모듈(400)은 앞선 실시예의 슬라이드 모듈(200)과 반대로, 수직 방향(V)을 따라 180° 뒤집어진 채로 스테이프레임(330)에 설치된다. 그에 의해, 고정 브라켓(410)은 스테이프레임(330)의 저면에 결합되고, 고정 브라켓(410) 뿐만 아니라 이동 브라켓(450)도 스테이프레임(33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쿠션 유닛(310)의 마운트(319)는 이러한 슬라이드 모듈(400)의 배치에 대응하여, 앞선 실시예에 다른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배치에 따른 헤드레스트(300)의 작용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슬라이드 모듈(400)에서 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탄성 유닛(470)은 고정 브라켓(410)에 지지된 채로 이동 브라켓(450)을 향해 탄성력을 발휘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력은 도면 기준으로 좌상측에서 우하측으로 발휘되는 것이다. 이를 분해하면, 상기 탄성력은 수평 방향(H)으로 작용하는 힘(Sh)과 수직 방향(V)으로 작용하는 힘(Sv)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후자의 힘(Sv)은 중력(GF)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탄성 유닛(470)이 이동 브라켓(450)에 대해 작용하는 탄성력은 앞선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커지게 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서 외력(EF)이 가해진다고 할 때, 그에 대응하여 걸림핀(430)과 이동 브라켓(450)이 탄성 유닛(470)의 후원하에 결합된 강도는 앞선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커질 수 있다.
나아가, 슬라이드 모듈(400)이 뒤집어져서 배치됨에 따라서, 외피(311)와 결합된 이동 브라켓(450)의 슬라이딩 스트로크(S)도 앞선 실시예의 경우보다 커질 수 있다. 이는 외피(311)가 구조적으로 하부가 폭이 넓고 상부가 폭이 좁은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300: 헤드레스트 110,310: 쿠션 유닛
130,330: 스테이프레임 200,400: 슬라이드 모듈
210,410: 고정 브라켓 230,430: 걸림핀
250,450: 이동 브라켓 270,470: 탄성 유닛

Claims (16)

  1. 스테이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결합부를 구비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되는 걸림핀;
    쿠션 유닛에 결합되는 이동결합부와,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조작됨에 따라 상기 걸림핀을 순차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고, 이동 조작되는 상기 이동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서 돌출되는 벽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이 상기 바닥판에 대해 이격된 채로 이동되게 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은,
    상기 바닥판의 양단부에서 돌출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동 브라켓은,
    상기 바닥판 및 상기 한 쌍의 벽판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은,
    설치홀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핀은,
    상기 설치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위치 고정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은,
    상기 요철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요철부를 감싸는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핀은,
    상기 닫힌 공간 내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상기 고정 브라켓에 관통 삽입되고, 안착홈을 구비하는 로드;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고정 브라켓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은,
    제1 걸림핀; 및
    상기 제1 걸림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걸림핀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1 걸림핀에 대응하는 제1 요철부; 및
    상기 제2 걸림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요철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와 상기 제2 요철부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부와 상기 제2 요철부 각각에서,
    요철을 형성하는 돌기의 코너의 챔퍼는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닛은,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은,
    단속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이동 브라켓이 이동 중 정지함에 따라, 상기 단속홈에 삽입되는 단속돌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에서 돌출되는 벽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는 후크부; 및
    상기 바닥판을 따라 연장된 후에 상기 이동 브라켓을 향해 연장되게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절곡부가 걸리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판 스프링의 위치 이탈을 제한하는 제한핀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14.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쿠션 유닛;
    시트 백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장하는 스테이프레임;
    상기 스테이프레임 중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부분에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되는 걸림핀;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조작됨에 따라 상기 걸림핀을 순차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요철부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 유닛에 결합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고, 이동 조작되는 상기 이동 브라켓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스테이프레임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이 상기 스테이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게 하는, 헤드레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닛은,
    상기 이동 브라켓에 대해 중력 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KR1020190100232A 2019-08-16 2019-08-16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KR10218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232A KR102187838B1 (ko) 2019-08-16 2019-08-16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232A KR102187838B1 (ko) 2019-08-16 2019-08-16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838B1 true KR102187838B1 (ko) 2020-12-08

Family

ID=7377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232A KR102187838B1 (ko) 2019-08-16 2019-08-16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553A (ko) * 2007-03-14 2008-09-19 최순봉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553A (ko) * 2007-03-14 2008-09-19 최순봉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0522B2 (en) Vehicle seat
US20100102607A1 (en) Vehicle seat
US8690238B2 (en)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seat
EP2030835B1 (en) Vehicle seat
JP2009023516A (ja) 車両用シート
JP2010012990A (ja) 車両用シート
KR102017614B1 (ko) 목받침 헤드레스트
KR102187838B1 (ko)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CN107336641B (zh) 车辆用座椅
KR102223457B1 (ko) 워크인 시스템의 쿠션프레임 자세 조절장치
KR102154755B1 (ko) 헤드레스트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 유닛
KR102122901B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가이드
JP6030391B2 (ja) 椅子
KR102419988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088705B1 (ko) 무단 업다운 헤드레스트
KR102419987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1867493B1 (ko)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JP6635552B2 (ja) 什器構成部材、及び什器
US11807145B2 (en) Headrest level adjustment mechanism
JP2005237519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クッション
KR102419989B1 (ko)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JP7385137B2 (ja) 乗物用シート
KR102333282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20070059771A (ko) 차량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동작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