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493B1 -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493B1
KR101867493B1 KR1020170006214A KR20170006214A KR101867493B1 KR 101867493 B1 KR101867493 B1 KR 101867493B1 KR 1020170006214 A KR1020170006214 A KR 1020170006214A KR 20170006214 A KR20170006214 A KR 20170006214A KR 101867493 B1 KR101867493 B1 KR 101867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tainer
rail
sock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정
Original Assignee
(주)서연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연인테크 filed Critical (주)서연인테크
Priority to KR1020170006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는 머리받침대를 장착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백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백 어셈블리는, 세레이션이 체결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되어 세레이션을 가압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받침대와 백 어셈블리의 고정은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소켓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머리받침대의 상/하 이동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받침대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정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간단한 결합구조로 되어있어, 머리받침대의 장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headrest position controller}
본 발명은 머리받침대의 위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볼플런저를 이용하여 머리받침대의 위치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 상단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머리받침대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어 안락감을 주며 편안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머리받침대는 편안함과 안전함을 더하기 위해 쿠션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머리받침대는 머리에 맞추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국등록특허 10-084928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머리받침대는 구성의 한계로 인해 위치 조절 폭이 커 다양한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춰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다.
또한, 자동차 시트 상단에 장착됨으로써, 머리받침대를 승강시킬 시 자동차 시트와 머리받침대 간의 틈이 생겨 자동차 충돌시 파편이 틈으로 들어오거나, 사람의 팔이 끼일 수 있는 불안요소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폭이 일정하게 형성된 세레이션에 가압되는 볼플런저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볼플런저와 결합된 머리받침대 구조체의 위치가 일정하게 제어되며, 머리받침대를 시트 앞쪽에 배치하여 승하강시에도 틈이 발생되지 않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는, 머리받침대를 장착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백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백 어셈블리는, 세레이션이 체결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되어 세레이션을 가압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받침대와 백 어셈블리의 고정은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소켓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머리받침대의 상/하 이동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상기 프레임 전면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프레임의 결합부와 대향되는 중공형태의 원형 소켓판; 상기 프레임 후면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 일부를 감싸도록 원형 소켓판과 연결되는 소켓 고정부; 상기 원형 소켓판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소켓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리테이너와 고정되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에 고정된 타단에서 이격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소켓돌기와 상기 제1 경사부가 마주하여 상기 머리받침대와 백 어셈블리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리테이너와 고정된 타단에, 소켓에 유연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타단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를 잇는 소정의 굴곡 또는 직선 형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 고정부 및 소켓돌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레일판 및 레일판과 연결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판과 레일의 연결은 상기 레일판의 상면에서 양측 상부로 경사지는 레일 경사부 및 상기 레일의 하부와 레일판의 측면을 잇도록 형성되는 레일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가이드부 측면으로 형성되는 리테이너 프레임; 상기 리테이너 프레임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일부를 감싸는 받침부 및 상기 리테이너 프레임을 연결하며, 볼플런저가 체결되는 플런저 결합부를 장착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판은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하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공과 체결되며 레일사이로 형성되는 세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레이션은 굴곡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받침대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간격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결합구조로 되어있어, 머리받침대의 장착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에 머리받침대와 시트가 결합된 자동차 시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결합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백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이동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백 어셈블리의 B-B'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에 머리받침대와 시트가 결합된 자동차 시트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결합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백 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의 이동구성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백 어셈블리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는 머리받침대(10)의 프레임(100)을 결합하며 레일(320)을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400)가 볼플런저(600)를 통해 세레이션(500)을 가압하여 위치가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머리받침대(10)와 백 어셈블리(200)의 고정은 리테이너(400)에 결합된 고정핀(210)과 머리받침대(10)를 장착하는 프레임(100)에 결합된 소켓(1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백 어셈블리는 프레임 후방으로 구성되는 레일부, 세레이션, 리테이너, 볼플런저의 조립체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소켓(110)은 원형 소켓판(111), 소켓 고정부(112), 소켓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원형 소켓판(111)은 소켓(110)과 프레임(100)의 결합 시, 소켓(110)이 프레임(100) 전면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프레임(100)의 결합부(115)와 대향되게 프레임(100)의 결합부(115)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소켓판(111)은 중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소켓(110)을 결합하기 위한 리테이너(400)의 고정핀(210)이 통과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소켓 고정부(112)는 원형 소켓판(111)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소켓 고정부(112)는 원형 소켓판(111)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프레임(110)의 결합부(115) 일부를 감싸도록 원형 소켓판(111)으로부터 전면으로 이격된 거리에'ㄱ'형상의 고정부(112-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프레임(100)의 결합부(115)를 사이에 두도록 원형 소켓판(111)과 소켓 고정부(112)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소켓(110)은 후면으로 이탈되지 않고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소켓돌기(113)는 원형 소켓판(111)과 이어지며, 소켓 고정부(112)와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형 소켓판(111)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이는, 프레임(100)의 결합 시 고정핀(210)이 삽입되도록 소켓돌기(113)가 소켓 고정부(112)와의 공간으로 이동하며, 고정핀(210)이 삽입된 후에는 복귀되어 고정핀(210)의 경사면과 마주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소켓(110)은 복원력을 가지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 고정부(112)와 소켓돌기(113)는 유연성이 향상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고정핀(210)은 중공부(211), 제1 경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중공부(211)는 리테이너(400)와 고정핀(210)을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22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으로써, 볼트(220)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부(212)는 소켓의 소켓돌기(113)와 마주하는 면으로서, 리테이너(400)에 고정된 타단에서 이격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100)이 백 어셈블리(200)에 결합 및 고정되는 원리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리테이너(400)의 고정핀(210)에 대응되게 소켓(110)을 맞추고, 일정의 힘을 주어 가압하면 고정핀(210)의 삽입에 의해 소켓돌기(113)가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고정핀(210)이 삽입되면, 소켓돌기(113)가 복귀되어 제1 경사부(212)와 소켓돌기(113)의 경사진 끝단이 마주하게 되며, 소정의 힘을 주지 않는 한 마찰로 인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핀(210)은 제2 경사부(213), 연결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부(213)는 고정핀(210)의 삽입 시 소켓(110)에 유연하게 삽입되도록 리테이너(400)와 고정된 타단에 형성되며,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4)는 제2 경사부(213)와 제1 경사부(212)를 잇도록 소정의 굴곡 또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머리받침대(10)의 상/하 이동은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40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부(300)는 레일판(310) 및 레일(3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판(310)은 레일부(300)의 기초를 형성하는 판으로써, 기본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직사각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이는 한정되지 아니하며 레일부(300)가 결합되는 시트 프레임(6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레일판(310)의 양측에는 레일(32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320) 또한 기본적으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등의 리테이너(400)를 이동할 수 있는 형태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레일판(310)과 레일(320)의 연결은 레일 경사부(330) 및 레일 연결부(3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레일 경사부(330)는 레일판(310)의 상면에서 양측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320)의 기본적 형태인 직사각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레일 경사부(330)는 레일판(310)의 상면에서 레일(320)의 측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 연결부(340)는 레일(320)의 하부와 레일판(310)의 측면을 잇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연결부(340)는 굴곡진 형태로 레일(320) 레일판(310)을 이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테이퍼 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각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시트 프레임(60)의 형태나 시트 프레임(60)과 레일부(30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의 형태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레일판(310)은 하나 이상의 체결공(315)을 형성하여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세레이션(500)과 체결될 수 있다. 세레이션(500)은 볼플런저(60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굴곡지는 오목부(510)와 볼록부(520)가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세레이션(500)은 레일 경사부(330)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을 고정하여 프레임(100)에 장착된 머리받침대(10)를 상/하 이동시키는 리테이너(400)는, 레일(3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320)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가이드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400)는 리테이너 프레임(420), 받침부(430), 프레임 연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리테이너 프레임(420)은 가이드부(410) 외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430)는 리테이너 프레임(420)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연결부(440)는 양측의 리테이너 프레임(4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부(300) 상부와 측면을 리테이너 프레임(420), 프레임 연결부(440)가 둘러싸며, 레일부(300) 하부의 일부는 받침부(430)가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테이너 프레임(420), 받침부(430), 프레임 연결부(440)로 둘러싸인 공간부가 생길 수 있는데, 이 공간부가 상술한 가이드부(410)이다. 즉, 리테이너 프레임(420), 받침부(430), 프레임 연결부(440)로 둘러싸인 리테이너(400)의 내측은 레일(320)의 형태에 따라 대응되도록 다양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연결부(440)는 볼플런저(600)가 체결되는 플런저 결합부(610)를 레일부(300) 방향으로 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일부(300)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400)가 세레이션(500)의 오목부(510)와 볼록부(520)를 가압하는 볼플런저(600)를 통해 일정간격으로 이동하며, 고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머리받침대 50 : 시트
60 : 시트 프레임 100 : 프레임
110 : 소켓 111 : 원형 소켓판
112 : 소켓 고정부 113 : 소켓돌기
115 : 결합부 200 : 백 어셈블리
210 : 고정핀 211 : 중공부
212 : 제1 경사부 213 : 제2 경사부
214 : 연결부 220 : 볼트
300 : 레일부 310 : 레일판
315 : 체결공 320 : 레일
330 : 레일 경사부 340 : 레일 연결부
400 : 리테이너 410 : 가이드부
420 : 리테이너 프레임 430 : 받침부
440 : 프레임 연결부 500 : 세레이션
510 : 오목부 520 : 볼록부
600 : 볼플런저 610 : 플런저 결합부

Claims (9)

  1. 머리받침대를 장착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백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백 어셈블리는,
    세레이션이 체결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되어 세레이션을 가압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받침대와 백 어셈블리의 고정은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소켓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머리받침대의 상/하 이동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에 의해 동작되되,
    상기 소켓은,
    상기 프레임 전면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프레임의 결합부와 대향되는 중공형태의 원형 소켓판;
    상기 프레임 후면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 일부를 감싸도록 원형 소켓판과 연결되는 소켓 고정부;
    상기 원형 소켓판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소켓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리테이너와 고정되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에 고정된 타단에서 이격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여,
    상기 소켓돌기와 상기 제1 경사부가 마주하여 상기 머리받침대와 백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2. 삭제
  3. 머리받침대를 장착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백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백 어셈블리는,
    세레이션이 체결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되어 세레이션을 가압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받침대와 백 어셈블리의 고정은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소켓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머리받침대의 상/하 이동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에 의해 동작되되,
    상기 고정핀은,
    상기 리테이너와 고정되도록 볼트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에 고정된 타단에서 이격되며,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리테이너와 고정된 타단에, 소켓에 유연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타단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상기 제1 경사부를 잇는 소정의 굴곡 또는 직선 형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4. 머리받침대를 장착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백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백 어셈블리는,
    세레이션이 체결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
    상기 리테이너에 결합되어 세레이션을 가압하는 볼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받침대와 백 어셈블리의 고정은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소켓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머리받침대의 상/하 이동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테이너에 의해 동작되되,
    상기 소켓은,
    상기 프레임 전면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프레임의 결합부와 대향되는 중공형태의 원형 소켓판;
    상기 프레임 후면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 일부를 감싸도록 원형 소켓판과 연결되는 소켓 고정부;
    상기 원형 소켓판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소켓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 고정부 및 소켓돌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레일판 및 레일판과 연결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과 레일의 연결은,
    상기 레일판의 상면에서 양측 상부로 경사지는 레일 경사부 및
    상기 레일의 하부와 레일판의 측면을 잇도록 형성되는 레일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가이드부 측면으로 형성되는 리테이너 프레임;
    상기 리테이너 프레임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레일의 일부를 감싸는 받침부 및
    상기 리테이너 프레임을 연결하며, 볼플런저가 체결되는 플런저 결합부를 장착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부를 포함하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판은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하며,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체결공과 체결되며 레일사이로 형성되는 세레이션을 포함하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레이션은,
    굴곡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KR1020170006214A 2017-01-13 2017-01-13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KR101867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214A KR101867493B1 (ko) 2017-01-13 2017-01-13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214A KR101867493B1 (ko) 2017-01-13 2017-01-13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493B1 true KR101867493B1 (ko) 2018-06-14

Family

ID=6262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214A KR101867493B1 (ko) 2017-01-13 2017-01-13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4661B2 (en) 2021-05-05 2024-01-09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317A (ko) * 2009-09-10 2011-03-16 (주)제일씨텍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JP2013169945A (ja) * 2012-02-22 2013-09-02 Toyota Boshoku Corp 乗物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CN204994996U (zh) * 2015-04-17 2016-01-27 广力达企业有限公司 具有上下调整功能的椅具头枕
CN205523792U (zh) * 2016-01-20 2016-08-31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头枕滑轨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317A (ko) * 2009-09-10 2011-03-16 (주)제일씨텍 각도 조절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JP2013169945A (ja) * 2012-02-22 2013-09-02 Toyota Boshoku Corp 乗物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CN204994996U (zh) * 2015-04-17 2016-01-27 广力达企业有限公司 具有上下调整功能的椅具头枕
CN205523792U (zh) * 2016-01-20 2016-08-31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头枕滑轨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64661B2 (en) 2021-05-05 2024-01-09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7419B2 (ja) 引出し用の引出ガイド
US4756503A (en) Slide device for an automotive seat
CN105593058A (zh) 座椅结构
KR101534414B1 (ko) 의자 팔걸이 조정 장치
KR101393789B1 (ko) 헤드레스트 폴가이드
KR101867493B1 (ko) 머리받침대 위치 제어 장치
CN104442683B (zh) 一种安全带带扣调节装置
KR101560986B1 (ko) 차량용 시트
CN102975635A (zh) 汽车座椅滑轨
KR101301070B1 (ko) 자동차 시트 헤드레스트의 무단 높이 조절 장치
KR101580778B1 (ko) 차량 시트용 스프링 매트 상의 케이블 고정 요소, 스프링 매트 및 차량 시트
KR20150026809A (ko)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의 노치홈 성형장치
CN107428511A (zh) 电梯扶手支撑装置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CN203142434U (zh) 汽车座椅滑动装置
KR101547275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1468704B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1235147B1 (ko) 의자 머리받침장치
KR200464095Y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록킹구조
KR101541160B1 (ko) 의자용 등받이
AU2020206600A1 (en) Seating furniture chassis
CN111231795B (zh) 一种舒适型的汽车座椅配件
JP2011230574A (ja) 車両用シート
KR20100094837A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102187838B1 (ko) 헤드레스트용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