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282B1 - 헤드레스트 모듈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282B1
KR102333282B1 KR1020200074813A KR20200074813A KR102333282B1 KR 102333282 B1 KR102333282 B1 KR 102333282B1 KR 1020200074813 A KR1020200074813 A KR 1020200074813A KR 20200074813 A KR20200074813 A KR 20200074813A KR 102333282 B1 KR102333282 B1 KR 10233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ire frame
pair
locking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강목
최일항
신시경
정재훈
장현진
Original Assignee
(주) 제이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이씨엠 filed Critical (주) 제이씨엠
Priority to KR102020007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유닛;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복수의 정지홈을 구비는 잠금 랙과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일 부분을 이루며 상기 복수의 정지홈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잠금 유닛; 및 일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스테이 유닛 중 하나에 지지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스테이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복수의 정지홈 중 하나에서 이탈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잠금 랙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편향시키는 편향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모듈{HEAD REST MODU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의 일부를 이루는 헤드레스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Head rest)는 시트(Seat)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하여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서 목 부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헤드레스트가 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머리 받침대 이외에도, 그의 배면에 영상 시청용 모니터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헤드레스트는 후방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영상물 시청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헤드레스트를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은 부품수가 많아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공정도 까다로운 편이다. 또한,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슬라이드 모듈을 채용함에 의해 슬림화에도 한계가 있다. 이는 자율주행차 시대에 실내 공간을 극대화하는데 장애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필요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은 단순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기존보다 슬림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유닛;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복수의 정지홈을 구비는 잠금 랙과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일 부분을 이루며 상기 복수의 정지홈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잠금 유닛; 및 일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스테이 유닛 중 하나에 지지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스테이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복수의 정지홈 중 하나에서 이탈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잠금 랙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편향시키는 편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각각은, 그의 일 단부면에 오목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양단부 각각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상대 이동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랙은,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랙은, 상기 와이어 프레임이 이루는 평면의 중심에서 복수의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잠금 랙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향 유닛은,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유닛; 및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걸려서 복수의 정지 위치 중 하나에 정지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의하면, 스테이 유닛을 베이스 프레임과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그러한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케이스를 상대 이동하게 하면서, 잠금 유닛 및 편향 유닛으로 스테이 유닛에 대한 케이스의 상대 위치 조절을 수행하게 됨에 의해,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부품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제조 공정도 단순화할 수 있다.
나아가, 스테이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와이어 프레임은 케이스 내에 배치되면서 케이스를 일 위치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데, 그의 두께가 얇음에 의해 그와 협력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는 케이스 또한 얇아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모듈이 전체적으로 슬림화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모듈은 자율주행차에 적용됨에 따라서는, 승객의 탑승 공간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필요에 부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을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스테이 유닛(11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제1 상태에 놓인 경우를 보인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제2 상태로 전환된 경우를 보인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제3 상태로 전환된 경우를 보인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헤드레스트의 기구적 구성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쿠션이 더해진 후에, 최종적으로 외피가 씌워진다면, 그것이 헤드레스트가 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시트 백(미도시)의 상측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머리를 받치는 구성이 된다. 헤드레스트는 시트 백에 대해 높이 방향(V)으로 높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는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스테이 유닛(110)과,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스테이 유닛(110)은 시트백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대체로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높이 방향(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 유닛(110)의 나머지 부분{및 베이스 프레임(111)의 일부}은 케이스(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130)는 스테이 유닛(110)의 일 부분을 내장한 채로, 스테이 유닛(110)에 대해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30)은 쿠션으로 감싸지고 또한 외피에 의해 최종 마감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스테이 유닛(110)에 대한 케이스(130)의 상대 이동에 따른 케이스(130)의 위치 조절을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을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2의 스테이 유닛(11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제1 상태에 놓인 경우를 보인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및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 유닛(11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에 더하여, 와이어 프레임(115)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과 와이어 프레임(115)은 각기 원형 단면을 가진 막대(ro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경우, 베이스 프레임(111)의 직경(두께)에 비해, 와이어 프레임(115)의 직경(두께)은 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프레임(115)의 직경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2/3 또는 1/2 수준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서, 와이어 프레임(115)의 폭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폭보다 좁은 것이 된다. 이상과 달리, 와이어 프레임(115)이나 베이스 프레임(111)의 단면은 사각형이거나, 기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 프레임(115)은 기능적으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레임(115)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의 인접한 단부들을 연결한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11)의 단부면에는 결합홈(112)이 오목 형성되고, 와이어 프레임(115)의 양단부 각각은 그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와이어 프레임(115)의 단부와 베이스 프레임(111)의 단부면은 서로 용접되어, 베이스 프레임(111)과 와이어 프레임(115) 간의 결합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와이어 프레임(115)이 결합홈(112)에 삽입되지 않은 채로 베이스 프레임(111)에 용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 프레임(115)은 그 구조적 형상에 있어서, 제1 부분(116) 및 제2 부분(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16)과 제2 부분(118)은 대체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116)이 높이 방향(V)을 따라 상측에 배치되고 제2 부분(118)은 그의 하측에 배치되어, 그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118)은 하나의 라인이 아니라, 2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부분(118)이 좌우 방향(L 및 R)을 따라 3개 라인을 갖는 것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1 부분(116) 및 제2 부분(118)은 각각 베이스 프레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들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용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118)의 측면은 용접 부위(123)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분(116)과 제2 부분(118)은 하나의 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된 단일체일 수 있다. 물론, 이들은 복수의 와이어로 구성되고, 그들이 서로 결합되거나 각기 베이스 프레임(111)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와이어 프레임(115)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평면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이 이루는 평면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이 평면은 케이스(130)의 이동 방향(F 및 B)에 대체로 교차(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스테이 유닛(110)의 이동 방향(F 및 B)을 따르는 폭(두께)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프레임(115)은, 사용자가 케이스(130)에 뒤통수를 기대어 그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그 하중을 적절히 분산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130)가 상대 이동 중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케이스(130)는 바디부(131)와 가이드부(135)를 가질 수 있다.
바디부(131)는 대체로 박스 형상을 가져서, 베이스 프레임(1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부(131)는 일 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132)와, 몸체(132)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커버(133)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5)는 몸체(132)에서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대체로 관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35)는 와이어 프레임(115)의 제1 부분(116) 및 연결 부분(121)에 의해 감싸져서 그들에 대한 케이스(130)의 상대 이동시 와이어 프레임(115)을 가이드하게 된다. 가이드부(135)는 속이 빈 중공 구조로서, 그 공동(136)은 각종 센서 등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의 스테이 유닛(110) 및 케이스(130)에 더하여,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잠금 유닛(150)과 편향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유닛(150)은 스테이 유닛(110)에 대한 케이스(130)의 위치 조절시에, 그들을 일 위치에서 잠금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잠금 유닛(150)은 스테이 유닛(110),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레임(115)과 케이스(130)에 상호 작용하도록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잠금 유닛(150)은, 잠금 랙(151)과 걸림부(155)를 가질 수 있다.
잠금 랙(151)은 케이스(130)의 정지 위치를 설정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잠금 랙(151)은 복수의 정지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잠금 랙(151)이 복수의 정지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정지홈(151')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잠금 랙(151)은 복수의 정지홈(151')이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잠금 랙(151)은 케이스(130)에 결합되거나,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케이스(130)의 사출 시에 잠금 랙(151)의 형태도 함께 사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경우, 케이스(130)와 잠금 랙(151)을 별도 제작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수가 줄어들고, 그들을 체결하는 공정도 없앨 수 있다. 나아가, 잠금 랙(151)이 케이스(130)와 일체화되는 경우에, 잠금 랙(151)은 개념적으로 케이스(130)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취급될 수도 있다.
걸림부(155)는 스테이 유닛(110)에 형성되어 잠금 랙(151)에 걸리는 구성이다. 걸림부(155)는 정지홈(15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와이어 프레임(115)의 일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레임(115)의 제1 부분(116)과 제2 부분(118)을 연결하는 부분이 걸림부(155)가 될 수 있다. 걸림부(155)로서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115)이 활용됨에 따라, 정지홈(151'), 나아가 잠금 랙(151)까지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최소의 사이즈로 형성될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잠금 랙(151)과 걸림부(155)는 서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인데, 이들은 복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레임(115)이 이루는 평면의 중심에서 복수의 방향에 그들이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잠금 랙(151a 내지 151d)이 케이스(130)에서 동,서,남,북을 이루는 4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그에 대응하여 와이어 프레임(115)에는 네 개의 걸림부(156a 내지 156d)가 구비된다.
편향 유닛(170)은 스테이 유닛(110)과 케이스(130)에 대해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걸림부(155)가 정지홈(151')에서 이탈한 경우에 걸림부(155)를 잠금 랙(151), 구체적으로는 정지홈(151')으로 복귀시키려는 편향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편향 유닛(170)은 탄성적인 편향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일 수 있다. 편향 유닛(170)은 결합부(171)와 지지부(175)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171)는 케이스(130)의 장착부(137)에 장착되어 케이스(130)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137)는 결합부(171)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일 수 있다. 그에 대응하여, 결합부(171)는 편향 유닛(170)의 양 단부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권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75)는 결합부(171)에서 연장되고, 베이스 프레임(111)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부(175)는 대체로 'ㄷ'와 같은 형상을 가져서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이중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71)와 지지부(175)는 하나의 단일 부재로서, 와이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헤드레스트 모듈(100)에서, 스테이 유닛(110)에 대한 케이스(130)의 상대 이동을 도 4 내지 도 6(및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단계 별로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130)는 후진 방향(B)으로 최대로 이동된 위치에 놓여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걸림부(155)는 잠금 랙(151)의 정지홈(151')에 삽입되고, 케이스(130)는 스테이 유닛(110)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케이스(130)는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도 4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제2 상태로 전환된 경우를 보인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 조작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130) 좌측 방향(L)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케이스(130) 및 잠금 랙(151)이 좌측 방향(L)으로 이동함에 의해 걸림부(155)는 정지홈(151')에서 이탈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130)는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스테이 유닛(110)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준비 상태로 전환된다.
나아가, 편향 유닛(170)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면서, 탄성 복원력을 축적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이 제3 상태로 전환된 경우를 보인 부분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대 이동 허용 상태에서 전진 방향(F)으로 케이스(13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그에 의해, 케이스(130)는 도 4의 위치에서 본 도면과 같은 위치로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30)의 이동 과정에서, 가이드부(135)는 와이어 프레임(115)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케이스(130)를 좌측 방향(L)으로 당기거나 밀지 않으면, 편향 유닛(1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130)는 우측 방향(R)으로 편향 이동된다. 그에 의해, 걸림부(155)는 잠금 랙(151) 중에서 새로운 정지홈(151')에 삽입되어, 케이스(130)를 이동된 그 위치에서 고정하게 된다.
이상의 조작 방식으로, 사용자는 케이스(130)를 전진 방향(F) 또는 후진 방향(R)을 따라 이동시켜,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케이스(13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헤드레스트 모듈 110: 스테이 유닛
111: 베이스 프레임 115: 와이어 프레임
116: 제1 부분 118: 제2 부분
130: 케이스 131: 바디부
135: 가이드부 150: 잠금 유닛
151: 잠금 랙 155: 걸림 부재
170: 편향 유닛

Claims (9)

  1.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유닛;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복수의 정지홈을 구비하는 잠금 랙과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일 부분을 이루며 상기 복수의 정지홈 중 하나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잠금 유닛; 및
    일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스테이 유닛 중 하나에 지지되고 다른 부분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스테이 유닛 중 다른 하나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복수의 정지홈 중 하나에서 이탈한 경우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잠금 랙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편향시키는 편향 유닛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각각은,
    그의 일 단부면에 오목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양단부 각각은,
    상기 결합홈에 삽입 고정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상대 이동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랙은,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랙은,
    상기 와이어 프레임이 이루는 평면의 중심에서 복수의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잠금 랙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유닛은,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
  8.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유닛; 및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걸려서 복수의 정지 위치 중 하나에 정지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헤드레스트 모듈.
KR1020200074813A 2020-06-19 2020-06-19 헤드레스트 모듈 KR10233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13A KR102333282B1 (ko) 2020-06-19 2020-06-19 헤드레스트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13A KR102333282B1 (ko) 2020-06-19 2020-06-19 헤드레스트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282B1 true KR102333282B1 (ko) 2021-12-01

Family

ID=7893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813A KR102333282B1 (ko) 2020-06-19 2020-06-19 헤드레스트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282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5062Y2 (ja) * 1990-09-28 1997-05-07 株式会社タチエス ヘッドレスト
KR20010046311A (ko) * 1999-11-11 2001-06-15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US20060250017A1 (en) * 2005-04-28 2006-11-09 Grammar Automotive Gmbh Headrest for vehicle seats
JP4112301B2 (ja) * 2002-07-29 2008-07-0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ヘッドレスト用インサート及びヘッドレスト
KR100930035B1 (ko) * 2008-09-18 2009-12-07 대흥산업(주) 차량용 헤드레스트 스테이
KR20100119663A (ko) * 2009-05-01 2010-11-10 장준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JP2011084159A (ja) * 2009-10-15 2011-04-28 Honda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
JP2019006380A (ja) * 2017-06-22 2019-01-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JP6534197B1 (ja) * 2018-04-16 2019-06-26 松本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ィおよびヘッドレスト
JP2020059380A (ja) * 2018-10-10 2020-04-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イ及びこのヘッドレストステイを備えるヘッドレスト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5062Y2 (ja) * 1990-09-28 1997-05-07 株式会社タチエス ヘッドレスト
KR20010046311A (ko) * 1999-11-11 2001-06-15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JP4112301B2 (ja) * 2002-07-29 2008-07-0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ヘッドレスト用インサート及びヘッドレスト
US20060250017A1 (en) * 2005-04-28 2006-11-09 Grammar Automotive Gmbh Headrest for vehicle seats
KR100930035B1 (ko) * 2008-09-18 2009-12-07 대흥산업(주) 차량용 헤드레스트 스테이
KR20100119663A (ko) * 2009-05-01 2010-11-10 장준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JP2011084159A (ja) * 2009-10-15 2011-04-28 Honda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
JP2019006380A (ja) * 2017-06-22 2019-01-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JP6534197B1 (ja) * 2018-04-16 2019-06-26 松本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ィおよびヘッドレスト
JP2020059380A (ja) * 2018-10-10 2020-04-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ステイ及びこのヘッドレストステイを備えるヘッドレス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892B1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US8226165B2 (en) Vehicle seat
US10449881B2 (en) Head rest
CN108394323B (zh) 具有可枢转上部座椅靠背支承件的座椅靠背结构
US9457700B2 (en) Head rest
US8172319B2 (en) Active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and actuator thereof
CN104608666B (zh) 用于交通工具座椅的可调节头枕组件
US10314401B2 (e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US865738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rest assembly
US9446695B2 (en) Head rest
EP2902254A1 (en) Head rest
CN113752925A (zh) 能缩回的汽车座椅
KR102333282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174617B1 (ko)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US6332648B1 (en) Motion rotating seat particularly for a railway vehicle
KR102154755B1 (ko) 헤드레스트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 유닛
US10821869B2 (en) Headrest assembly
CN104512308A (zh) 交通工具座椅
KR102419987B1 (ko) 헤드레스트 모듈
US11142108B2 (en) Bushing arrangement for headrest assembly
KR102419989B1 (ko)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419988B1 (ko) 헤드레스트 모듈
JP5384250B2 (ja) ケーブル部材の配索構造
US11192482B2 (en) Headrest assembly including locking arrangement reducing BSR
KR102445092B1 (ko)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