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617B1 -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617B1
KR102174617B1 KR1020200063193A KR20200063193A KR102174617B1 KR 102174617 B1 KR102174617 B1 KR 102174617B1 KR 1020200063193 A KR1020200063193 A KR 1020200063193A KR 20200063193 A KR20200063193 A KR 20200063193A KR 102174617 B1 KR102174617 B1 KR 10217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ase
along
dispos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강목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0006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모듈;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어 하강한 경우에 상기 승강 부재를 하강된 높이에 구속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 또는 상기 브라켓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는 중에 상기 편향 모듈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HEAD REST ASSEMBLY, AND LOCATION SETTING UNIT AND BIASING MODULE USED THEREF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의 일부를 이루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Head rest)는 시트(Seat)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탑승자의 머리 위치에 맞게 위치 조절되어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서 목 부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헤드레스트가 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머리 받침대 이외에도, 그의 배면에 영상 시청용 모니터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상의 경우들에 있어서, 헤드레스트는 시트 탑승자의 체형에 맞추어 머리를 받치기 위해서, 또는 후방 시트의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영상물 시청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런데,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많은 부품을 요구하고 있고, 그에 따라 그들이 차지는 공간도 커지고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를 이동 조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밀거나 당기기 전 또는 그러한 조작 후에 헤드레스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추가로 조작 노브를 조작하여 헤드레스트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적을 위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그에 필요한 부품수를 줄이고 그 부품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헤드레스트의 이동의 개시나 이동 후의 복귀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이 필요 없게 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모듈;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어 하강한 경우에 상기 승강 부재를 하강된 높이에 구속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 또는 상기 브라켓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는 중에 상기 편향 모듈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직부에 지지된 채로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지지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상대 이동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설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면은,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도면은,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 유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유도면의 반대 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승강 부재의 이동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장착 몸체; 및 상기 장착 몸체에 형성되는 제1 제한턱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 몸체; 상기 승강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면 및 상기 제2 유도면과 접촉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승강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도면에 의해 하강된 경우에 상기 제1 제한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 제한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향 모듈은,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해 상대적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편향 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위치설정 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는, 스테이 모듈; 상기 스테이 모듈 중 일부를 내장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스테이 모듈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어 하강한 경우에 상기 승강 부재를 하강된 높이에 구속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 또는 상기 브라켓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는 중에 상기 편향 모듈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는, 스테이 모듈; 상기 스테이 모듈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스테이 모듈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의 높이와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최대로 하강하는 높이 간에 승강 가능하게 상기 승강 부재를 수용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설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면은,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도면은,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향 모듈은,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해 상대적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편향 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위치설정 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의 잠금 모듈용 위치설정 유닛은,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의 잠금 모듈 중 걸림 유닛이 일 위치에서 걸리는 대상이 되는 위치설정 유닛으로서, 설정 몸체;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빗면;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 및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 중 상기 제1 빗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빗면의 반대 측에 상기 제2 빗면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유닛의 승강 부재와 충돌함에 따라 상기 승강 부재를 구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빗면을 향해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해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용 편향 모듈은,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에서 잠금 모듈의 잠금 작동을 위한 편향력을 제공하는 편향 모듈로서,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잠금 모듈의 브라켓을 제1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돌출되면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브라켓에 수용된 승강 부재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중 상기 브라켓과 접촉되는 면과 상기 제2 지지부 중 상기 승강 부재와 접촉되는 면은 서로 간에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기 편향 몸체가 굽혀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지지부보다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에 의하면, 스테이 모듈을 베이스 프레임과 와이어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그러한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케이스를 상대 이동하게 하면서, 잠금 모듈 및 편향 모듈로 스테이 모듈에 대한 케이스의 상대 위치 조절을 수행하게 됨에 의해,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부품수를 줄이고 헤드레스트도 슬림화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잠금 모듈의 승강 부재는 케이스가 이동 방향으로 조작됨에 의해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하강한 후에 편향 모듈에 지지된 채로 상승하여 일 위치에 고정되고, 제2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최대로 하강하여서는 역시 편향 모듈에 지지된 채로 브라켓에 구속되었다가, 기준 위치에서 해제 부재에 의해 그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가 기준 위치에서 이동 위치로 이동한 후에 다시 기준 위치로 복귀하는 중에, 승강 부재를 제1 유도면들에서 분리하기 위해 노브 조작 등의 추가적인 행위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잠금 모듈(150) 및 편향 모듈(170)만을 확대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에 대한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케이스(130)가 1차로 당겨진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케이스(130)가 2차로 당겨져 잠금된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에서 케이스(130)가 3차로 당겨져 승강 부재(165)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케이스(130)가 기준 위치로 복귀하여 승강 부재(165)가 상승 가능한 상태임을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는 헤드레스트의 기구적 구성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에 쿠션이 더해진 후에, 최종적으로 외피가 씌워진다면, 그것이 헤드레스트가 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시트 백(미도시)의 상측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머리를 받치는 구성이 된다. 헤드레스트는 시트 백에 대해 높이 방향(V)으로 높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는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그 위치가 전/후 방향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는, 스테이 모듈(110)과,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스테이 모듈(110)은 시트백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대체로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높이 방향(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 모듈(110)의 나머지 부분{및 베이스 프레임(111)의 일부}은 케이스(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130)는 스테이 모듈(110)의 일 부분을 내장한 채로, 스테이 모듈(110)에 대해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130)는 쿠션으로 감싸지고 또한 외피에 의해 최종 마감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스테이 모듈(110)에 대한 케이스(130)의 상대 이동에 따른 케이스(130)의 위치 조절을 위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잠금 모듈(150) 및 편향 모듈(170)만을 확대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및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 모듈(11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에 더하여, 와이어 프레임(115)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과 와이어 프레임(115)은 각기 원형 단면을 가진 막대(ro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경우, 베이스 프레임(111)의 직경(두께)에 비해, 와이어 프레임(115)의 직경(두께)은 보다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 프레임(115)의 직경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절반 수준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서, 와이어 프레임(115)의 폭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폭보다 좁은 것이 된다. 이상과 달리, 와이어 프레임(115)이나 베이스 프레임(111)의 단면은 사각형이거나, 기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 프레임(115)은 기능적으로, 그 자체로서 혹은 다른 부재와 함께,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레임(115)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의 인접한 단부들을 연결한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11)의 단부면에는 결합홈(112)이 오목 형성되고, 와이어 프레임(115)의 양단부 각각은 그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와이어 프레임(115)의 단부와 베이스 프레임(111)의 단부면은 서로 용접되어, 베이스 프레임(111)과 와이어 프레임(115) 간의 결합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와이어 프레임(115)이 결합홈(112)에 삽입되지 않은 채로 베이스 프레임(111)에 용접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어 프레임(115)은 그 구조적 형상에 있어서, 제1 부분(116), 및 제2 부분(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16)과 제2 부분(118)은 대체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118)은 하나의 라인이 아니라, 2개 또는 그 이상의 라인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부분(116)과 제2 부분(118)은 각기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이들이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부분(116)은 수평부(116a)와 수직부(116b)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부(116a)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부(116b)는 수평부(116a)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수직부(116b)는 후술할 브라켓(162)이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설치부(121)로 칭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6)은 2개의 조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부분(116) 및 제2 부분(118)은 각각 베이스 프레임(1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들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내측면에 대해 용접 부위(123)에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와이어 프레임(115)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평면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중 와이어 프레임(115)과 인접한 부분이 이루는 평면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그에 의해, 스테이 모듈(110)의 이동 방향(F 및 B)을 따르는 폭(두께)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프레임(115)은, 사용자가 케이스(130)에 뒤통수를 기대어 그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그 하중을 적절히 분산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130)가 상대 이동 중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스테이 모듈(110)이 베이스 프레임(111)과 와이어 프레임(115)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형태인 것을 예시하나, 스테이 모듈(110)은 베이스 프레임(111)이 전체적으로 'U'자 형태로 연장된 단일 부재일 수도 있다.
케이스(130)는 바디부(131)와 가이드부(135)를 가질 수 있다.
바디부(131)는 대체로 박스 형상을 가져서, 베이스 프레임(1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부(131)는 일 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몸체(132)와, 몸체(132)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는 커버(133)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5)는 몸체(132)에서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대체로 관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35)는 와이어 프레임(115)의 제1 부분(116) 및 제2 부분(118)에 의해 감싸져서 그들에 대한 케이스(130)의 상대 이동시 와이어 프레임(115)을 상대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가이드부(135)는 속이 빈 중공 구조로서, 그 중공 부분인 삽입홀(136)에는 커버(133)의 삽입 돌기(134)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스테이 모듈(110) 및 케이스(130)에 더하여,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는 잠금 모듈(150)과 편향 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모듈(150)은 스테이 모듈(110)에 대한 케이스(130)의 위치 조절시에, 그들을 일 위치에서 잠금하거나 그 잠금을 해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잠금 모듈(150)은 스테이 모듈(110),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레임(115)과 케이스(130)에 상호 작용하도록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잠금 모듈(150)은, 위치설정 유닛(151)과 걸림 유닛(161)을 가질 수 있다.
위치설정 유닛(151)은 스테이 모듈(110)에 대해 케이스(130)가 위치할 수 있는 상대 위치를 복수 개로 설정하고 있는 구성이다. 위치설정 유닛(151)은 설정 몸체(153), 제1 유도면(155), 제2 유도면(157), 및 해제 부재(159)를 가질 수 있다.
설정 몸체(153)는 제1 유도면(155) 등이 형성되는 기본 구조물이다. 설정 몸체(153)는 그 형상에 있어서,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설정 몸체(153)가 대체로 직사각 형태의 관체인 것을 예시한다. 설정 몸체(153)는 케이스(130), 구체적으로 바디부(131)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설정 몸체(153)가 스테이 모듈(110),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레임(115) 측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유도면(155)은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도면(155)은 설정 몸체(153)의 저부에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빗면일 수 있다. 상기 제1 빗면은 도면상 우하향 형태의 빗면으로서, 복수의 제1 빗면은 톱날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유도면(155)은 또한 설정 몸체(153)의 저부의 두 개의 변에 각기 형성되어, 한 쌍의 톱날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유도면(157)은 제1 유도면(155)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구성이다. 그에 의해, 제2 유도면(157)은 상기 제1 빗면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일 수 있다. 제2 유도면(157)은 제1 유도면(155)과 달리,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도면(157)은 제1 유도면(155)이 복수 개로 이어진 후에, 그를 뒤이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도면(157) 역시 제1 유도면(155)과 같이 , 두 개의 변에 각각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해제 부재(159)는 후술할 승강 부재(165)가 이동 위치(도 7의 상태 참조)에서 기준 위치(도 4의 상태 참조)로 복귀하는 중에 승강 부재(165)의 구속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해제 부재(159)는 설정 몸체(153)에서 제1 유도면(155)을 기준으로 제2 유도면(157)의 반대 측에서 하방으로 돌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해제 부재(159)는 이동 방향(F 및 B)을 따른 승강 부재(165)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 유닛(161)은 위치설정 유닛(151)에 계합되는 부분으로서, 스테이 모듈(110), 구체적으로 와이어 프레임(11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위치설정 유닛(151)이 스테이 모듈(110)에 결합된 경우라면, 걸림 유닛(161)은 케이스(130), 구체적으로 바디부(131)에 설치될 수 있다. 걸림 유닛(161)은, 브라켓(162)과, 승강 부재(165)를 구비할 수 있다.
브라켓(162)은 와이어 프레임(115), 구체적으로 설치부(121)에 설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브라켓(162)은 제1 부분(116) 및 제2 부분(118)에 의해 그의 측부 및 저부가 지지될 수 있다. 브라켓(162)은 수용 공간(163')을 갖는 장착 몸체(163)를 가진다. 수용 공간(163')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서, 승강 부재(165)를 높이 방향(V)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공간이다. 수용 공간(163')은 또한 승강 부재(165)의 이동 방향(F 및 B)을 따른 이동을 다소 허용하는 공간을 갖는다. 장착 몸체(163)에는 승강 부재(165)를 그가 최대로 하강된 높이에 구속하기 위한 제1 제한턱(16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한턱(164)은 장착 몸체(163) 중 승강 부재(165)의 전방에 위치한 부분의 하단면일 수 있다.
승강 부재(165)는 수용 공간(163') 내에 수용되는 승강 몸체(166)를 가질 수 있다. 승강 몸체(166)는 대체로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승강 몸체(166)의 상부에는 케이스(130)가 이동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제1 유도면(155)과 제2 유도면(157)과 접촉되어 승강 몸체(166)가 하방으로 유도되게 하는 슬라이딩부(167)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167)는 상기 제1 빗면 및 상기 제2 빗면에 맞물리는 제3 빗면일 수 있다. 승강 몸체(166)에는 또한 제1 제한턱(164)에 맞물리는 제2 제한턱(16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한턱(168)은 승강 몸체(166)의 전방이 오목부가 형성될 때, 그 오목부의 바닥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승강 몸체(166)의 저부(169)는 제2 제한턱(168)의 하측에 위치하고, 편향 모듈(170)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일 수 있다.
편향 모듈(170)은 케이스(130)에 지지된 채로 걸림 유닛(161)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편향 모듈(170)의 편향 작용에 의해, 승강 몸체(166)는 제1 유도면(155)들 중 하나나 브라켓(162)에 구속될 수 있게 된다. 편향 모듈(170)은 전체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구체적으로, 편향 몸체(171)와, 제1 지지부(173), 그리고 제2 지지부(179)를 가질 수 있다. 편향 몸체(171)는 밴드 형태로서 일 방향으로 연장될수 있다. 나아가, 편향 몸체(171)는 활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 경우, 편향 몸체(171)의 중앙부는 제1 지지부(173)가 되고, 제1 지지부(173)의 양측에는 벤딩부(17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벤딩부(175)는 편향 몸체(171)가 굽어진 부분이고, 또한 제1 지지부(173) 보다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벤딩부(175)에 더하여, 편향 몸체(171)의 양 단부(177) 역시 벤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179)는 편향 몸체(171)에서 절곡 연장되는 것으로서, 제1 지지부(173)와 다른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부분이다. 제1 지지부(173)가 브라켓(162)을 제1 방향(기준 위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편향시키는 것이라면, 제2 지지부(179)는 승강 몸체(166)를 제2 방향{위치설정 유닛(151)을 향한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지지부(173) 중 브라켓(162)과 접촉되는 면과 제2 지지부(179) 중 승강 부재(165)와 접촉되는 면은 서로 간에 둔각을 이루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에서, 스테이 모듈(110)에 대한 케이스(130)의 상대 이동을 도 4 내지 도 8(및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단계 별로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어셈블리(100)에 대한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테이 모듈(110)에 대해 케이스(130)는 기준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기준 위치에서, 승강 부재(165)는 복수의 제1 유도면(155) 중 전진 방향(F)을 따른 첫 번째 것에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그에 의해, 스테이 모듈(110)에 대해 케이스(130)은 후진 방향(B)으로 최대한 보내진 상태가 된다.
또한, 승강 부재(165)와 제1 유도면(155)의 맞물림은 편향 모듈(170)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편향 모듈(170)의 편향 몸체(171)는 최대로 신장된 상태이고, 그의 제2 지지부(179)는 최대로 수축된 상태이다.
도 5는 도 4에서 케이스(130)가 1차로 당겨진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외부 조작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케이스(130)를 전진 방향(F)으로 조금 당기게 되면, 제1 유도면(155)의 수평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승강 부재(165)의 슬라이딩부(167)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승강 부재(165)는 브라켓(162) 내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 경우, 편향 모듈(170)의 편향 몸체(171)는 1차로 수축되고, 그의 제2 지지부(179)는 1차로 신장되게 된다.
도 6은 도 5에서 케이스(130)가 2차로 당겨져 잠금된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케이스(130)를 전진 방향(F)으로 조금 더 당기게 되면, 승강 부재(165)는 제1 유도면(155)을 타고 넘어 가게 된다. 그에 따라, 승강 부재(165)의 슬라이딩부(167)는 제1 유도면(155) 중 두 번째 것과 맞물린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는, 앞서 도 4의 상태에 비해 케이스(130)가 전진 방향(F)으로 한 칸만큼 이동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승강 부재(165)가 상대적으로 후진 방향(B)으로 이동됨에 의해 편향 몸체(171)는 2차로 수축된 상태가 된다. 그에 반해, 승강 부재(165)가 최대로 상승함에 의해, 제2 지지부(179)는 도 4의 상태와 같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가 된다.
도 7는 도 6에서 케이스(130)가 3차로 당겨져 승강 부재(165)가 최대로 하강된 상태를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케이스(130)를 전진 방향(F)을 따라 최대한 당기면, 승강 부재(165)는 제1 유도면(155)을 모두 지나서 제2 유도면(157)과 작용하는 이동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 이동 위치에서, 승강 부재(165)는 제2 지지부(179)에 의해 밀리면서 최대로 하강하게 된다. 그 경우, 승강 부재(165)는 제1 유도면(155)에서는 완전히 분리된 높이에 이르게 된다. 나아가, 승강 부재(165)가 최대로 하강된 높이에서 제1 지지부(173)에 의해 기준 위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됨에 의해, 제한턱들(164 및 168)은 서로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승강 부재(165)는 최대 하강 높이에서 브라켓(162)에 구속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편향 몸체(171)는 최대로 수축된 상태가 된다. 그에 반해, 승강 부재(165)가 하방으로 최대로 회전되면서, 최대 신장된 상태가 된다.
도 8은 도 7에서 케이스(130)가 기준 위치로 복귀하여 승강 부재(165)가 상승 가능한 상태임을 잠금 모듈(150)을 중심으로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승강 부재(165)이 제1 유도면(155)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편향 몸체(171)가 탄성적으로 복원되면서 브라켓(162)은 기준 위치 측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된다. 정확히는, 브라켓(162)은 고정되어 있고, 케이스(130) 및 위치설정 유닛(151)이 변위된 것이다.
그러한 이동 시에, 기준 위치에서 승강 부재(165)는 해제 부재(159)와 접촉하게 된다. 해제 부재(159)와의 접촉에 의해 승강 부재(165)가 후진 방향(B)으로 밀리면서, 제한턱들(164 및 168)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승강 부재(165)는 다시 제1 유도면(155) 중 첫 번째 것에 맞물리기 위해 상승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제한턱들(164 및 168)과 해제 부재(159)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라면, 승강 부재(165)가 제2 지지부(179)에 의해 최대로 하강된 상태에서 편향 몸체(171)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스(130)가 기준 위치로 이동될 때, 사용자도 케이스(130)를 그 방향으로 밀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승강 부재(165)가 상승하여 제1 유도면(155)에 맞물리기 전에 승강 부재(165)는 기준 위치에 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110: 스테이 모듈
111: 베이스 프레임 115: 와이어 프레임
130: 케이스 131: 바디부
135: 가이드부 150: 잠금 모듈
151: 위치설정 유닛 161: 걸림 유닛
162: 브라켓 165: 승강 부재
170: 편향 모듈

Claims (14)

  1.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보다 좁은 폭을 갖는 와이어 프레임을 구비하는 스테이 모듈;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어 하강한 경우에 상기 승강 부재를 하강된 높이에 구속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 또는 상기 브라켓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는 중에 상기 편향 모듈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직부에 지지된 채로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직부를 구비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의 지지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감싸져서, 상기 상대 이동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설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면은,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도면은,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부재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제1 유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유도면의 반대 측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른 상기 승강 부재의 이동 경로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장착 몸체; 및
    상기 장착 몸체에 형성되는 제1 제한턱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승강 몸체;
    상기 승강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도면 및 상기 제2 유도면과 접촉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승강 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도면에 의해 하강된 경우에 상기 제1 제한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제2 제한턱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모듈은,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해 상대적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편향 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위치설정 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8. 스테이 모듈;
    상기 스테이 모듈 중 일부를 내장하고,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스테이 모듈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어 하강한 경우에 상기 승강 부재를 하강된 높이에 구속 가능하게 배치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 또는 상기 브라켓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되는 중에 상기 편향 모듈의 작용에 반하여 상기 승강 부재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해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9. 스테이 모듈;
    상기 스테이 모듈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이동 방향을 따라 기준 위치와 이동 위치 간에 상기 스테이 모듈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유도면과 상기 제1 유도면보다 낮은 높이까지 연장되는 제2 유도면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조작됨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을 따라 유도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의 높이와 상기 제2 유도면을 따라 최대로 하강하는 높이 간에 승강 가능하게 상기 승강 부재를 수용하는 브라켓을 갖고 상기 스테이 모듈 및 상기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걸림 유닛을 구비하는 잠금 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지지된 채로 상기 걸림 유닛을 설정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제1 유도면 중 하나에 구속되게 하는 편향 모듈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유닛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설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도면은,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빗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도면은,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모듈은,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브라켓을 상기 기준 위치를 향해 상대적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편향 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승강 부재를 상기 위치설정 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12.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의 잠금 모듈 중 걸림 유닛이 일 위치에서 걸리는 대상이 되는 위치설정 유닛으로서,
    설정 몸체;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에 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빗면;
    상기 제1 빗면이 복수 개로 배치된 다음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빗면 보다 큰 길이를 갖는 제2 빗면; 및
    상기 설정 몸체의 저부 중 상기 제1 빗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빗면의 반대 측에 상기 제2 빗면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 유닛의 승강 부재와 충돌함에 따라 상기 승강 부재를 구속 상태에서 상기 제1 빗면을 향해 상승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해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의 잠금 모듈용 위치설정 유닛.
  13.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에서 잠금 모듈의 잠금 작동을 위한 편향력을 제공하는 편향 모듈로서,
    판 스프링인 편향 몸체;
    상기 편향 몸체의 중앙 부분으로서, 상기 잠금 모듈의 브라켓을 제1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돌출되면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브라켓에 수용된 승강 부재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중 상기 브라켓과 접촉되는 면과 상기 제2 지지부 중 상기 승강 부재와 접촉되는 면은 서로 간에 둔각을 이루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용 편향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에서 상기 편향 몸체가 굽혀져서 형성되는 한 쌍의 벤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는,
    상기 제1 지지부보다 돌출되어 위치하는, 헤드레스트 어셈블리용 편향 모듈.
KR1020200063193A 2020-05-26 2020-05-26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KR10217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93A KR102174617B1 (ko) 2020-05-26 2020-05-26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193A KR102174617B1 (ko) 2020-05-26 2020-05-26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617B1 true KR102174617B1 (ko) 2020-11-06

Family

ID=7357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193A KR102174617B1 (ko) 2020-05-26 2020-05-26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154A1 (ko) * 2020-11-05 2022-05-12 (주)현대공업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편향 모듈
KR20220080662A (ko) * 2020-12-07 2022-06-14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4828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90060061A (ko) * 2017-11-24 2019-06-03 대원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KR20200021041A (ko) * 2018-08-16 2020-02-27 (주)디디디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4828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90060061A (ko) * 2017-11-24 2019-06-03 대원산업 주식회사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KR20200021041A (ko) * 2018-08-16 2020-02-27 (주)디디디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154A1 (ko) * 2020-11-05 2022-05-12 (주)현대공업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편향 모듈
KR20220060870A (ko) * 2020-11-05 2022-05-12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419989B1 (ko) 2020-11-05 2022-07-13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20220080662A (ko) * 2020-12-07 2022-06-14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20220080657A (ko) * 2020-12-07 2022-06-14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WO2022154522A1 (ko) * 2020-12-07 2022-07-21 (주)현대공업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445092B1 (ko) 2020-12-07 2022-09-21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486229B1 (ko) * 2020-12-07 2023-01-10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9958B2 (en) Four-way adjustable headrest
KR102174617B1 (ko)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US10314401B2 (e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38309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181790B2 (ja) ヘッドレスト作動装置
KR101418889B1 (ko) 헤드레스트
CA2473484C (en) A neck rest for the seat of an automobile
KR101968031B1 (ko) 차량 루프용 커버를 구비하는 장치
US20140327288A1 (en) Latchable headrest
JPH09276072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1991252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N110192734B (zh) 坐席装置
KR10155918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2154755B1 (ko) 헤드레스트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 유닛
US8382185B2 (en) Tilt-down vehicle seat
KR101971148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200423596Y1 (ko) 차량용 시트의 탑승자 목 부상 방지 타입 헤드레스트
JP2006082772A (ja) 車両用シート
KR102333282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043549B1 (ko)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JP5213133B2 (ja) 自動車のシートの調整可能なヘッドレストの上昇および下降の機構において使用するように適合されたブラケットシステム
KR102002710B1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어셈블리
KR101995345B1 (ko)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US20130099544A1 (en) Backrest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