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0657A -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0657A
KR20220080657A KR1020210002055A KR20210002055A KR20220080657A KR 20220080657 A KR20220080657 A KR 20220080657A KR 1020210002055 A KR1020210002055 A KR 1020210002055A KR 20210002055 A KR20210002055 A KR 20210002055A KR 20220080657 A KR20220080657 A KR 2022008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base frame
casting
cor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229B1 (ko
Inventor
신강목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22008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22D17/24Accessories for locating and holding core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2Control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B22D25/02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by its peculiarity of shape; of works of 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에 대한 제조 방법으로서, 하부 금형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단부면으로 침투하는 방향으로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과 함께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들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응하는 캐스팅 공간을 한정하는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스팅 공간에 대해 용융 금속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캐스팅 공간에서 경화된 주물로부터 상기 스테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스팅 공간 중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에 대응하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면이 한정하는 공간에서 상기 코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이고, 상기 코어는 상기 용융 금속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진 채로 상기 캐스팅 공간 내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METHOD FOR MANUFACTURING STAY FOR HEAD REST MODULE AND STAY FOR HEAD REST MODUL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Head rest)는 시트(Seat)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 높이에 맞게 승강 및 회전 조작하여 머리 받침대로도 사용되는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차량의 후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서 목 부상을 방지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헤드레스트가 목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나 머리 받침대 이외에도, 그의 배면에 영상 시청용 모니터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이 경우, 헤드레스트는 후방 탑승자가 차량 내에서 영상물 시청을 위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시트에 연결되는 부품으로서 스테이를 가진다. 스테이는 대체로 'U'자 형상을 갖는 금속 부재로서, 그 형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절곡 공정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절곡 공정은 간단하지 않을 뿐더러, 형상의 정밀도를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에 추가적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스테이에 대한 절삭, 프레스 가공 등의 추가 작업이 요구되어, 전체적인 스테이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절곡, 절삭, 프레스 가동 등의 어렵고 많은 공정 없이 한 번의 공정으로 간단하게 스테이를 제작할 수 있게 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스테이 제작 중에 열수축으로 인한 구조적 결함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에 대한 제조 방법으로서, 하부 금형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단부면으로 침투하는 방향으로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과 함께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들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응하는 캐스팅 공간을 한정하는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스팅 공간에 대해 용융 금속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캐스팅 공간에서 경화된 주물로부터 상기 스테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스팅 공간 중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에 대응하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면이 한정하는 공간에서 상기 코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이고, 상기 코어는 상기 용융 금속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진 채로 상기 캐스팅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금형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단부면으로 침투하는 방향으로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양 단부면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코어를 두 개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코어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한 채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굽힘부를 형성하고, 상기 캐스팅 공간 중 상기 굽힘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금형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단부면으로 침투하는 방향으로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와 일체화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이루는 보강 코어, 그리고 상기 보강 코어를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고정한 후에 제거되는 제거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코어는, 중공 파이프 형태 및 속이 꽉찬 막대 형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는, 상기 용융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어는 상온인 상태로 상기 캐스팅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며, 다이-캐스팅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화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해 용융 금속이 경화되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다이-캐스팅 시에 상기 용융 금속보다 온도가 낮은 제거 코어의 삽입 및 제거에 의해, 상기 몸체의 단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굽힘부, 및 상기 제2 부분을 관통하며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중공부; 및 상기 제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부와 이격된 제2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굽힘부에서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 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몸체의 두께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해 상기 몸체와 일체화되는 보강 코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코어는, 속이 꽉찬 막대형 및 속이 빈 파이프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각각의 중심을 이은 선에 평행한 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며, 다이-캐스팅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화된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해 용융 금속이 경화되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용융 금속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고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될 부분을 축소한 보강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코어는, 상기 용융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에 의하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그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스테이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되는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캐스팅 공간 내에는 코어를 배치하여 해당 부분의 캐스팅 공간은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외면이 한정하는 공간에서 코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것이 되게 하면서, 코어는 캐스팅 공간에 주입되는 용융 금속의 온도보다 낮은 것이 되게 함으로써, 스테이를 다이-캐스팅을 통해 한 번에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하면서도, 베이스 프레임의 외부 및 내부가 균일하게 냉각되어 냉각 과정에서의 수축에 의한 함몰이나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복잡한 형상의 스테이라도, 절곡, 절삭, 프레스 등의 복잡한 가공 없이, 한 번에 제작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그의 파손이나 강도 저하 등의 구조적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일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일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다.
도 5는 전후 잠금 유닛(160)이 잠금 상태인 경우를 보인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해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순서도에 대응하는 제조 단계별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8a 내지 도 도8d에 따라 제조된 스테이(110)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 변형예에 따른 스테이(100A)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테이(100A)를 제조하는 일 단계에 대응하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9의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스테이(100B)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9의 또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스테이(100C)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의 또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스테이(100D)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조립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헤드레스트의 기구적 구성의 대부분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쿠션이 더해진 후에, 최종적으로 외피가 씌워진다면, 그것이 헤드레스트가 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시트 백(미도시)의 상측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머리를 받치는 구성이 된다. 헤드레스트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그 위치가 조절 가능한 것일 수 있다. 헤드레스트는 또한 시트 백에 대해 승강 방향(V)으로 위치가 조절되는 것일 수도 있다.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구체적으로, 스테이(110)와, 이동 바디(150)를 포함한다. 나아가, 헤드레스트 모듈(100), 구체적으로 이동 바디(150)의 위치 조절을 위한 전후 잠금 유닛(160) 및 승강 잠금 유닛(180, 이상 도 2 참조)의 일 구성인 해제 조작 부재(16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테이(110)는 시트백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1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대체로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승강 방향(V)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부는 이동 바디(1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 바디(150)는 스테이(110)의 일 부분을 내장한 채로, 스테이(110)에 대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 방향(F 및 B)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이 이루는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전후 방향(F 및 B)은 승강 방향(V)에 교차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직한 방향이다. 이동 바디(150)는 쿠션으로 감싸지고 또한 외피에 의해 최종 마감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제 조작 부재(168)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됨에 의해, 이동 바디(150)가 위치 조절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구성이다. 해제 조작 부재(168)가 누름 조작된 상태에서, 이동 바디(150)는 전후 방향(F 및 B)이나 승강 방향(V)으로 위치 이동되게 조작될 수 있다.
이상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구체적 구성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한 분해 사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일 요부만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일 요부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간략형의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모듈(100)은, 앞서 언급한 스테이(110) 및 이동 바디(150)에 더하여, 메인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전후 잠금 유닛(160), 그리고 승강 잠금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11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막대 형상을 가지는 부재로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1)의 양측 단부에는 중공부(113)가 나타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은 연결 프레임(115)에 의해 연결되는데, 연결 프레임(115)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연장 방향에 교차는 방향인 좌우 방향(L 및 R)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L 및 R)은 전후 방향(F 및 B) 및 승강 방향(V)에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연결 프레임(115)은 베이스 프레임(111)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프레임(115)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1) 보다 적은 폭(얇은 두께)을 가질 수 있다. 그 경우, 연결 프레임(115)은 연결 플레이트(115)라고 칭해질 수 있다. 연결 플레이트(115)는 또한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르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양단부 중 하나 측에 치우친 중앙부(116)를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115)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각각의 중심을 이은 기준선(TL)에 평행한 이격선(DL)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중앙부(116)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주변부(117)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주변부(117)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각각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관계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115)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단부면을 막지 않아서, 베이스 프레임(111)의 중공부(113)는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나아가, 스테이(110)가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작되는 경우에, 베이스 프레임(111)과 연결 플레이트(115)는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 부재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메인 플레이트(120)는 스테이(110),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간의 영역에 대응하는 사이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 플레이트(12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0)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제1 폭(W1)을 가진다. 제1 폭(W1)은 스테이(110),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1)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0)는 금속 소재가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제1 폭(W1)에도 불구하고 전후 잠금 유닛(160) 등을 지지하기 위한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메인 플레이트(120)는 전후 잠금 유닛(160) 등의 설치를 위한 구성이다. 메인 플레이트(12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여 대체로 직사각형 판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0)에는 개방부(121)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21)는 메인 플레이트(120)의 중앙에 형성되어 둘레가 모두 막힌 것이거나, 그와 달리 적어도 일 부분이 외부를 향해 개방된 것일 수도 있다.
결합 유닛(130)은 메인 플레이트(120)를 스테이(110),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결합 유닛(130)은 메인 플레이트(120)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이 메인 플레이트(12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에, 그들 한 쌍은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의 이러한 이격은 그들 사이에 배치되는 후술할 제1 전후 걸림 부재(161)가 그들을 관통하지 않고도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정도가 된다.
결합 유닛(130)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을 감싸는 형태의 클램핑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각각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부는 스테이(110)에 연관되어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을 가질 수 있다.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은, 구체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1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은 서로 평행한 것으로 예시되나, 서로 간에 경사지게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은 연결 영역(1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영역(133)은 곡면 형태로서 예시되어 있다. 연결 영역(133)은 곡면이 아닌, 평면이나 절곡된 형태의 면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유닛(130)은 메인 플레이트(120)와 단일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유닛(130)은 이하에서 메인 플레이트(120)와 함께 마운팅 베이스로 통칭될 수도 있다.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이(110)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스테이(110)에 대한 메인 플레이트(120)의 피칭(pitching)이 제한되어, 그들 간의 안정적인 결합 및 상대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은, 이상에 더하여, 지지 블럭(13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블럭(138)은 제1 대응 영역(131), 제2 대응 영역(132), 및 연결 영역(133)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삽입되어, 그들과 베이스 프레임(111) 간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블럭(138)은 제1 대응 영역(131) 등과는 다른 재질로서, 예를 들어 그들보다 윤활성이 우수한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블럭(138)이 구비된 경우, 제1 대응 영역(131) 및 제2 대응 영역(132) 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 블럭(138)을 개입시켜 스테이(110)에 대해 접촉할 수 있다.
결합 유닛(130)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제2 폭(W2)을 가진다. 제2 폭(W2)은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에 의해 정의되는 폭으로서, 그들의 외면 간의 폭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폭(W2)은 메인 플레이트(120)의 제1 폭(W1) 보다 큰 것이다.
결합 유닛(130)은 제1 가이드 홀(135), 나아가 제2 가이드 홀(136)을 더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 및 제2 가이드 홀(136)은 상기 클램핑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 및 제2 가이드 홀(136)은 서로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제2 가이드 홀(136)은 구비되지 않고 제1 가이드 홀(135)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유닛(130)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승강 방향(V)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135) 및/또는 제2 가이드 홀(136)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가 아니라 그들 각각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 경우, 제1 대응 영역(131)과 제2 대응 영역(132)은 본 실시예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클램핑부에는 개방 단부(137a,137b)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 단부(137a,137b)는 제1 개방 단부(137a)와 제2 개방 단부(137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개방 단부(137a)가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하나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제2 개방 단부(137b)는 상기 한 쌍의 클램핑부 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개방 단부(137a)와 제2 개방 단부(137b)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개방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개방 단부(137a)가 좌측 방향(L)을 향해 개방된 경우에, 제2 개방 단부(137b)는 우측 방향(R)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클램핑부에 베이스 프레임(111)을 삽입하려는 경우에, 상기 마운팅 베이스를 승강 방향(V)으로 세워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에 넣은 후에,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그를 회전시키면 된다. 그에 의해, 상기 클램핑부의 구조에도 불구하고 상기 마운팅 베이스를 스테이(110)에 대해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동 바디(150)는 가이드 핀(151)과, 몸체(153 및 156)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핀(151)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배열되고, 제1 가이드 홀(135){및 제2 가이드 홀(136)}, 나아가 지지 블럭(138)의 수용홈(미도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핀(151)은 베이스 프레임(111)에 접촉한 채로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가이드 핀(151)에 대응하여, 후술할 제1 몸체(153)에는 제1 지지 돌기(152a)가, 제2 몸체(156)에는 제2 지지 돌기(152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 돌기(152a)와 제2 지지 돌기(152b)는 서로를 향해 연장되고, 서로 접촉될 수 있다. 그들은 가이드 핀(151)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가이드 핀(151)을 지지하게 된다.
몸체(153 및 156)는 메인 플레이트(120), 결합 유닛(130), 전후 잠금 유닛(160) 등을 감싸는 부분이다. 몸체(153 및 156)는 구체적으로, 제1 몸체(153)와 제2 몸체(156)로 나뉘고, 그들의 결합 영역(159a 및 159b)이 서로 접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결합 영역(159a 및 159b)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부분에는 열압착, 본딩, 초음파 접합이 행해질 수 있다. 이는 제1 몸체(153)와 제2 몸체(156) 간의 견교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별도의 볼트 등을 요하지 않아서 결합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한다. 제1 몸체(153)에는 해제 조작 부재(168)가 설치되는 설치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153)에는 제1 돌기(15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할 제1 전후 걸림 부재(161)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제2 몸체(156)에는 제1 돌기(155)에 대응하는 제2 돌기(157)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몸체(156)는 전방 방향(F)으로 바라볼 때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 영역(158)이 형성된다. 오목 영역(158)은 좌우 방향(L 및 R)을 따라서 제2 몸체(156)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목 영역(158)은 승강 방향(V)을 따라서는 제2 몸체(156)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오목 영역(158)은 사용자의 머리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이에는 쿠션이 보다 두껍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오목 영역(158)은 후방 방향(B)을 따라서 바라볼 때는 볼록한 부분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전후 잠금 유닛(160)은 이동 바디(150)를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된 일 위치에 잠금(locking)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후 잠금 유닛(160)은 메인 플레이트(120)에 대해 설치되어, 앞서 설명한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전후 잠금 유닛(160)은 제1 전후 걸림 부재(161)와, 제2 전후 걸림 부재(165)와, 해제 조작 부재(168)를 가지며, 추가적으로는 탄성 지지 부재(171)를 더 가질 수 있다.
제1 전후 걸림 부재(161)는 이동 바디(150)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 바디(150)와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제1 전후 걸림 부재(161)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연장하는 부재로서, 베이스 로드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베이스 로드(161)의 외주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에 의해, 복수의 전후 위치결정홈(163)이 오목 형성되는데, 이는 제1 걸림 요소로도 칭해질 수 있다. 전후 위치결정홈(163)은 베이스 로드(16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 그루브(groove)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전후 위치결정홈(163)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르는 일부 각도 구간에만 형성되는 그루브일 수도 있다. 베이스 로드(161)는 메인 플레이트(120)의 개방부(121)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제2 전후 걸림 부재(165)는 제1 전후 걸림 부재(161)에 대응하여, 그와 함께 걸림 상태 및 해제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2 전후 걸림 부재(165)는 해제 조작 부재(168)에 연결되고, 해제 조작 부재(168)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 상태에서 상기 해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제2 전후 걸림 부재(165)는 메인 플레이트(120)의 주면과 마주하는 주면을 갖는 이동 부재일 수 있다. 이동 부재(165)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1) 보다 작은 폭(얇은 두께)을 가질 수 있다. 이동 부재(165)의 구체적 형태는, 메인 플레이트(120)이 이루는 평면(제1 평면)가 평행한 평면(제2 평면)을 갖는 이동 플레이트가 될 수도 있다. 이동 플레이트(165)는 메인 플레이트(120)에 대해 면대면 대응한 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 슬라이딩 시에, 이동 플레이트(165)는 이격 방향인 좌측 방향(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165)에는 개방부(166)가 형성되고, 그에는 베이스 로드(161)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개방부(166)를 한정하는 엣지(edge)는 복수의 전후 위치결정홈(163) 중 하나에 맞물려서 상기 걸림 상태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제2 걸림 요소(167)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엣지는 베이스 로드(161)를 마주하고 전후 위치결정홈(163)에 걸리는 것으로서, 걸림 엣지라 칭해질 수 있다. 상기 걸림 엣지는 이동 플레이트(165)에 일체화되고, 이동 플레이트(165)는 메인 플레이트(120)에 대해 평행하여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서는 최소의 공간만을 차지하게 된다. 이는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슬림화에 큰 의미를 제공한다.
해제 조작 부재(168)는 좌우 방향(L 및 R), 구체적으로 좌측 방향(L)을 따라 누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해제 조작 부재(168)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 중 하나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해제 조작 부재(168)는 이동 바디(150)의 설치부(154)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해제 조작 부재(168)는 구체적으로, 연결부(169)와 조작 노브(170)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169)는 이동 플레이트(165)와 결합되고, 또한 탄성 지지 부재(171)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 지지 부재(171)는 연결부(169)를 이격 방향인 좌측 방향(L)에 반대되는 복원 방향인 우측 방향(R)으로 탄성적으로 편향시킨다. 조작 노브(170)는 이동 바디(150)에 대해 상기 이격 방향을 따라 누름 조작되게 설치된다. 조작 노브(170)는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이동 바디(150)의 전 이동 구간 내에서 연결부(169)와 접촉되는 사이즈를 가진다.
탄성 지지 부재(171)는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11)에 대해 해제 조작 부재(168)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그를 위해, 탄성 지지 부재(171)는 해제 조작 부재(168)와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11)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지지 부재(171)는 물리적으로는 조작 노브(170)를 지지하면서, 또한 베이스 프레임(111)에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탄성 지지 부재(171)는, 예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승강 잠금 유닛(180)은 메인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을 승강 방향(V)을 따라 이동된 일 위치에 잠금하기 위한 구성이다. 승강 잠금 유닛(180)은 제1 승강 걸림 요소(181)와 그에 대응하는 제2 승강 걸림 요소(185)를 가질 수 있다. 제1 승강 걸림 요소(181)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로드에 승강 방향(V)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승강 위치결정홈일 수 있다. 제2 승강 걸림 요소(185)는 상기 이동 부재, 구체적으로 이동 플레이트(165)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일 수 있다. 제2 승강 걸림 요소(185) 역시 해제 조작 부재(168)가 누름 조작됨에 의해, 이동 플레이트(165)와 함께 좌측 방향(L)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경우, 제1 승강 걸림 요소(181)와 제2 승강 걸림 요소(185) 간의 걸림 상태는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최적화하기 위하여, 해제 조작 부재(168)를 누름 조작하여 이동 바디(15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전후 방향(F 및 B)의 위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제 조작 부재(168)에 대한 좌측 방향(L)을 따른 누름 조작에 의해 전후 잠금 유닛(160)이 걸림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면, 가이드 핀(151)은 제1 가이드 홀(135){및 제2 가이드 홀(136)}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153 및 156)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몸체(153 및 156)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멈춘 후에, 해제 조작 부재(168)에 대한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탄성 지지 부재(171)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전후 걸림 부재(165)가 우측 방향(R)으로 이동하여 전후 잠금 유닛(160)은 다시 걸림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위치에서 이동 바디(150)가 잠금되게 한다. 이러한 작동 중에, 메인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은 전후 방향(F 및 B)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승강 방향(V)의 위치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제 조작 부재(168)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승강 잠금 유닛(180)이 걸림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되면, 결합 유닛(130)이 베이스 프레임(11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클램핑하는 상태에서 메인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 그리고 이동 바디(150)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승강 방향(V)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120) 및 결합 유닛(130)이 승강 방향(V)을 따라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멈춘 후에, 해제 조작 부재(168)에 대한 누름 조작이 해제되면 제2 전후 걸림 부재(165)가 우측 방향(R)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승강 걸림 요소(185)가 제1 승강 걸림 요소(181)에 맞물려서 승강 잠금 유닛(180)은 다시 걸림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위치에서 메인 플레이트(120) 등이 잠금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전후 잠금 유닛(160) 및 승강 잠금 유닛(180) 등을 채용한 경우라도, 그들은 ΔW에 의한 장착 공간을 차지하여 설치되므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폭을 증가시키는 정도는 크지 않게 된다.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폭을 증가시키기 않도록 하는 스테이(110)와 이동 바디(150)의 관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헤드레스트 모듈(100)에 대해 라인(Ⅵ-Ⅵ)을 따라 취한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오목 영역(158)은 메인 플레이트(120)을 향해서 돌출하는 구성이기도 하나, 그 돌출된 부분은 이동 바디(150)가 전진 방향(F)으로 최대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결합 유닛(130) 및 메인 플레이트(120)가 한정하는 제1 공간(S1, 도 3 참조)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는다. 오목 영역(158)에 의해 돌출된 부분(158')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11)과 연결 플레이트(115)가 한정하는 제2 공간(S2, 도 3 참조)에도 삽입될 수 있다.
이상의 공간(S1 및 S2)은 이동 바디(150)의 전후 방향(F 및 B)을 따른 이동시에, 그가 전진 방향(F)을 따라 최대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이동 바디(150)의 폭은 절감될 수 있어어서, 최종적으로 헤드레스트 모듈(100)의 슬림화는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스테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스테이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순서도에 대응하는 제조 단계별 개념도이며, 도 9는 도 8a 내지 도 도8d에 따라 제조된 스테이(110)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스테이(110) 제조를 위한 장비(200)로서, 하부 금형(210), 코어(230), 및 상부 금형(250)이 준비된다.
하부 금형(210)이 마련되는데(S1), 그 하부 금형(210)의 상부면에는 하부 캐스팅 공간(215)이 마련된다(도 8a). 하부 캐스팅 공간(215)은 스테이(110)의 베이스 프레임(111) 및 연결 프레임(115)의 하부에 대응하는 공간이다.
이러한 하부 캐스팅 공간(215)에는 코어(230)가 배치된다(S3, 도 8b). 코어(230)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몸체(112)의 단부면을 침투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코어(230)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몸체(112)의 양 단부면 각각에 대응하도록 두 개로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코어(230)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한 채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코어(230)는 아래에서 설명된 주조액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진 채로 하부 캐스팅 공간(215)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코어(230)는 상온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코어(230)가 배치된 하부 금형(210) 상에는 상부 금형(250)이 배치된다(S5, 도 8c). 상부 금형(250)에는 하부 캐스팅 공간(215)에 대응하는 상부 캐스팅 공간(255)이 형성된다. 상부 캐스팅 공간(255)은 스테이(110)의 상부에 대응하는 공간이다. 상부 캐스팅 공간(255)은 하부 캐스팅 공간(215)과 함께 캐스팅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캐스팅 공간 내에는 앞서 설명한 바대로 코어(230)가 배치된다. 그에 의해, 캐스팅 공간 중 베이스 프레임(111)의 몸체(112)에 대응하는 공간은, 베이스 프레임(111)의 외면이 한정하는 공간에서 코어(230)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이 된다.
하부 금형(210), 코어(230), 및 상부 금형(250)이 제자리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캐스팅 공간에는 주조액이 주입된다(S7). 주조액은 용융 금속으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 용융액일 수 있다. 주조액은 천천히 식으면서 경화된다(도 8d). 이러한 경화시에, 몸체(112)의 내면에는 상온의 코어(230)가 배치됨에 의해, 몸체(112)의 외면과 내면은 거의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냉각될 수 있다. 그 결과, 몸체(112)가 두껍다고 하더라도, 경화 중에 열수축에 의해 함몰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주조액에 대한 경화 시에, 상부 금형(250)을 열고 또한 코어(230)를 제거한다(S9). 그에 의해, 경화된 주물로부터 스테이(110)를 획득하게 된다(S11, 도 8d)..
이상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스테이(110)는,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1)의 몸체(112)에 중공부(113)가 형성된 것이 된다. 중공부(113)는 캐스팅 과정에서 코어(230)가 배치되었다가 제거된 공간이다. 중공부(113)는 몸체(112)의 단부면을 관통하며 몸체(1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이다.
몸체(112)는 구체적으로, 제1 부분(112a), 제2 부분(112b), 및 굽힘부(112c)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12a)이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라면, 제2 부분(112b)은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것이다. 중공부(113)는 제1 부분(112a)에 형성되는 제1 중공부(113a)와, 제2 부분(112b)에 형성되는 제2 중공부(113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중공부(113a)와 제2 중공부(113b)는 서로 이격된다. 그들의 이격에 의해, 그들 사이에는 속이 꽉찬 굽힘부(112c)가 존재하게 된다. 굽힘부(112c)에는 중공부(113)가 형성되지 않아서, 굽힘부(112c)는 몸체(112)의 최대 두께를 이루는 부분이 된다. 이러한 굽힘부(112c)는 스테이(110)에 대한 충격시 응력이 집중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속이 꽉찬 형태가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굽힘부(112c)의 간격, 다시 말해 제1 중공부(113a)와 제2 중공부(113b) 간의 간격은 몸체(112)의 최대 두께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이는 굽힘부(112c)에서 냉각 중에 열수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연결 프레임(115)은 얇은 두께로 인하여, 코어(230)를 사용할 필요 없이 캐스팅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1)에는 승강 위치결정홈(181) 또한 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므로, 주물의 완성 후에 그를 별도로 가공할 필요도 없게 된다.
도 10은 도 9의 일 변형예에 따른 스테이(100A)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스테이(100A)를 제조하는 일 단계에 대응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테이(100A)는 앞선 스테이(100)와 대체로 유사하나, 베이스 프레임(111)의 내부에 보강 코어(114)가 일체화된 점에 차이가 있다. 보강 코어(114)는 제1 중공부(113a)에 배치되는 제1 보강 코어(114a)와 제2 중공부(113b)에 배치되는 제2 보강 코어(114b)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보강 코어(114)는 속이 빈 중공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강 코어(114)는 몸체(112)를 형성하는 용융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스테이(100A)가 외력을 받는 경우에, 보강 코어(114)와 몸체(112) 간에 경계면에서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용융 금속이 알루미늄 재질인 경우에, 보강 코어(114)도 역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보강 코어(114)는 알루미늄은 아니더라도, 알루미늄과 용융점이 비슷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코어(230)는 제거 코어(231)와 보강 코어(235)로 구비될 수 있다.
제거 코어(231)는 앞서 도 8b에서와 같이 주물에서 제거되는 코어이다. 제거 코어(231)는 보강 코어(235)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 후에, 제거된다. 이와 달리, 보강 코어(235)는 주물에서 제거되지 않고 몸체(112)에 일체화되는 것(114)이다. 보강 코어(235)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일부를 이루어, 그의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도 12는 도 9의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스테이(100B)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테이(100B)에서는 보강 코어(114aa,114bb)가 속이 꽉 찬 형태인 것이 앞선 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다.
도 13는 도 9의 또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스테이(100C)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9의 또 다른 일 변형예에 따른 스테이(100D)를 보인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1)의 중공부(113)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일 단부면에서 타 단부면까지 관통 형태를 가진다. 그에 의해, 도 9에서와 같이 속이 꽉찬 굽힘부(112c)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중공부(113)에 대응하여, 스테이(100C) 및 스테이(100D)에서 보강 코어(114' 및 114")는 베이스 프레임(111)의 전체에 걸쳐서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코어(114')는 속이 빈 중공 파이프형이고, 보강 코어(114")는) 속이 꽉찬 형태이다. 보강 코어(114' 및 114")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캐스팅될 부분을 축소하고, 해당 부분의 내부의 냉각을 돕게 된다.
상기와 같은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110, 110A, 110B, 110C, 110D: 스테이
120: 메인 플레이트 130,230: 결합 유닛
150: 이동 바디 160: 전후 잠금 유닛
180: 상승 잠금 유닛 200: 캐스팅 장비
210: 하부 금형 230: 코어
250: 상부 금형

Claims (17)

  1.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에 대한 제조 방법으로서,
    하부 금형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단부면으로 침투하는 방향으로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 금형과 함께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들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응하는 캐스팅 공간을 한정하는 상부 금형을 상기 하부 금형 상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스팅 공간에 대해 용융 금속을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캐스팅 공간에서 경화된 주물로부터 상기 스테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스팅 공간 중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에 대응하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외면이 한정하는 공간에서 상기 코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이고,
    상기 코어는 상기 용융 금속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진 채로 상기 캐스팅 공간 내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단부면으로 침투하는 방향으로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양 단부면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코어를 두 개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코어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한 채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굽힘부를 형성하고, 상기 캐스팅 공간 중 상기 굽힘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금형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의 단부면으로 침투하는 방향으로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몸체와 일체화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이루는 보강 코어, 그리고 상기 보강 코어를 상기 하부 금형에 대해 고정한 후에 제거되는 제거 코어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코어는,
    중공 파이프 형태 및 속이 꽉찬 막대 형태 중 하나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용융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온인 상태로 상기 캐스팅 공간 내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8.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며, 다이-캐스팅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화된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해 용융 금속이 경화되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다이-캐스팅 시에 상기 용융 금속보다 온도가 낮은 제거 코어의 삽입 및 제거에 의해, 상기 몸체의 단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굽힘부, 및 상기 제2 부분을 관통하며 하나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제1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중공부; 및
    상기 제2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중공부와 이격된 제2 중공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에서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 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몸체의 두께보다 작은 것인,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해 상기 몸체와 일체화되는 보강 코어를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코어는,
    속이 꽉찬 막대형 및 속이 빈 파이프형 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각각의 중심을 이은 선에 평행한 선을 따라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16.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을 연결하며, 다이-캐스팅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과 일체화된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해 용융 금속이 경화되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용융 금속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갖고 상기 몸체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상기 다이-캐스팅에 의해 형성될 부분을 축소한 보강 코어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코어는,
    상기 용융 금속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KR1020210002055A 2020-12-07 2021-01-07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KR102486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803 2020-12-07
KR20200169803 2020-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657A true KR20220080657A (ko) 2022-06-14
KR102486229B1 KR102486229B1 (ko) 2023-01-10

Family

ID=819801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055A KR102486229B1 (ko) 2020-12-07 2021-01-07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KR1020210006877A KR102445092B1 (ko) 2020-12-07 2021-01-18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877A KR102445092B1 (ko) 2020-12-07 2021-01-18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86229B1 (ko)
WO (1) WO202215452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461A (ja) * 1998-05-29 1999-12-14 Isuzu Motors Ltd インサート部材を有する鋳造品の鋳造方法
KR200238667Y1 (ko) * 2001-04-20 2001-10-11 금강파이프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보강체
JP2006159255A (ja) * 2004-12-07 2006-06-22 Toyota Motor Corp 鋳造方法及び鋳造装置
KR20130043234A (ko) * 2010-08-23 2013-04-29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회전 방지 기구를 갖는 머리 받침대
KR102122712B1 (ko) * 2019-03-05 2020-06-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KR102174617B1 (ko) * 2020-05-26 2020-11-06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550A (ko) * 1996-04-17 1997-11-07 양재신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CN102421634A (zh) * 2009-04-01 2012-04-18 约翰逊控制器有限责任公司 头枕和车辆座椅
KR101358653B1 (ko) * 2012-12-03 2014-02-05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JP6219738B2 (ja) * 2014-02-05 2017-10-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2154755B1 (ko) * 2020-03-10 2020-09-10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461A (ja) * 1998-05-29 1999-12-14 Isuzu Motors Ltd インサート部材を有する鋳造品の鋳造方法
KR200238667Y1 (ko) * 2001-04-20 2001-10-11 금강파이프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보강체
JP2006159255A (ja) * 2004-12-07 2006-06-22 Toyota Motor Corp 鋳造方法及び鋳造装置
KR20130043234A (ko) * 2010-08-23 2013-04-29 존슨 컨트롤스 게엠베하 회전 방지 기구를 갖는 머리 받침대
KR102122712B1 (ko) * 2019-03-05 2020-06-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KR102174617B1 (ko) * 2020-05-26 2020-11-06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522A1 (ko) 2022-07-21
KR20220080662A (ko) 2022-06-14
KR102486229B1 (ko) 2023-01-10
KR102445092B1 (ko)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5942B (zh) 光学元件成型装置
JP2789059B2 (ja) 射出成形機
JPWO2005084909A1 (ja) 金型支持装置、成形機及び成形方法
KR101829500B1 (ko) 언더컷 처리 기구
KR20220080657A (ko)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US4390209A (en) Plastic seat-back framework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10207441B2 (en) Molding die and die-exchanging method
JP2002079542A (ja) 中空製品の射出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JP2018203045A (ja) 車両用シートおよびシート操作部
WO2017130485A1 (ja) 樹脂成形装置用固定プラテン、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装置用固定プラテンの製造方法
JP3168378B2 (ja) カセット式射出成形金型装置
KR102419989B1 (ko)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419988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154755B1 (ko) 헤드레스트 모듈 및 그에 사용되는 스테이 유닛
JPH0890602A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並びに電磁誘導調理鍋の中間容器
KR102419986B1 (ko)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19987B1 (ko) 헤드레스트 모듈
JP3728119B2 (ja) 光学素子の成形型及び成形方法
CN101600554A (zh) 具有抗倾斜结构的模制系统压板
JP2754762B2 (ja) 複合同時成形金型
JP3550112B2 (ja) 掃除機の回転ブラシ用シャフト成型装置
JP3746678B2 (ja) ウェッジ式スライド調整機構を備えた鍛造プレス
JP4172775B2 (ja) 成形金型
KR102386724B1 (ko) 솔트 코어용 금형 및 솔트 코어
JP2740932B2 (ja) 微細孔を有する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