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712B1 -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712B1
KR102122712B1 KR1020190025253A KR20190025253A KR102122712B1 KR 102122712 B1 KR102122712 B1 KR 102122712B1 KR 1020190025253 A KR1020190025253 A KR 1020190025253A KR 20190025253 A KR20190025253 A KR 20190025253A KR 102122712 B1 KR102122712 B1 KR 10212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
groov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9002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712B1/ko
Priority to PCT/KR2019/004735 priority patent/WO20201799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커버와, 상기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커버와,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상기 커버와 연결되는 락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의 구조로 인해 상기 락커버와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필요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작업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필요한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헤드레스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는 탑승자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하나의 버튼으로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3094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3094호'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버튼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테이로드와 결합되는 락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락플레이트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커버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락킹 커버와 결합되는 락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하지만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3094호'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헤드레스트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락킹 커버와, 상기 락킹 커버를 따라 이동하는 미들 커버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볼 베어링으로 인해 부품의 수가 많아져 원가가 상승하고 조립 과정이 번거로워진다.
상기 커버를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와, 버튼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커버 및 상기 후방 커버와 결합되는 언더 커버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언더 커버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길이가 늘어나고, 부품의 수가 많아져 조립 과정이 번거로워진다.
상기 락킹 커버에 형성되는 치형과 결합되고, 상기 락핀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락핀을 2개로 구성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길이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고, 부품의 수가 많아져 조립 과정이 번거로워진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309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요한 부품 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고, 차량의 길이방향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는, 커버와 상기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커버 및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와 전후방향으로 연결되는 락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락커버 둘레의 적어도 3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가압편은 양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변형바와, 상기 탄성변형바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탄성가압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커버에는 전후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치형에 결합되는 1개의 락핀이 설치되는 락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핀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락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치형은 상기 락커버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치형이 상기 중공부의 내측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출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미들커버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는 스테이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인서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전방 커버 또는 상기 후방 커버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락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플레이트에 상기 바닥커버와 맞닿는 텐션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미들커버에 형성되는 중공부에, 상기 중공부에 끼워지는 락커버의 둘레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접하고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바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들커버가 상기 락커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바에 상기 락커버의 가이드 돌기와 접하는 제1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들커버와 상기 락커버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중공부에 상기 미들커버와 상기 락커버가 전체적으로 서로 선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돌기가 형성되지 않는 방향으로 제2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미들커버와 상기 락커버 사이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중공부를 상기 미들커버와 함께 사출성형함으로써 필요한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중공부로 인해 상기 미들커버와 상기 락커버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볼 베어링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필요한 부품수가 줄어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락핀을 보다 굵게 형성하고, 락핀이 락커버의 치형을 지지하는 면적을 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락핀의 개수를 하나로 구성해도 강도는 유지하면서 락핀플레이트의 전후폭을 줄일 수 있다.
커버를 전방커버와 상기 전방커버에 결합되는 후방커버로 구성하고, 상기 전방커버 또는 상기 후방커버 중 하나에 버튼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커버의 전후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버튼이 설치되는 바닥 커버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가 줄어들고 작업 공정이 단순해진다.
락플레이트에 상기 락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커버와 접하게 텐션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범퍼 부재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락플레이트가 상기 바닥커버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전방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버튼부 부분의 측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버튼부 부분의 측면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후방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미들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미들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미들커버의 평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락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락핀플레이트의 정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락플레이트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바닥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의 정면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부싱부의 측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정면도(전방커버 제외).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정면도(전방커버 및 후방커버 제외).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 위치 조작 작동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버튼 조작에 따른 복귀스프링 작동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 조작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은 자동차의 길이방향이고, 좌우방향은 자동차의 폭방향이고, 상하방향은 자동차의 상하방향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커버(100)와, 커버(100) 내부에 배치되는 미들커버(200)와, 미들커버(200)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커버(100)와 연결되는 락커버(300)와, 락커버(300)의 둘레에 설치되는 락핀플레이트(400)와, 락핀플레이트(4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락플레이트(500)와, 락플레이트(5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부(140)와, 락플레이트(500)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커버(600)와, 미들커버(200)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테이로드(700)를 포함한다.
커버(100)는 전방커버(110)와 전방커버(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후방커버(120)로 구성된다.
전방커버(110)는 도 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전방커버(110)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테두리와 연결되고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전방커버(110) 둘레부의 좌우측 상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1가이드부(111a)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1a)는 외측이 개방되게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다. 제1가이드부(111a)는 전방커버(110) 둘레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11a)의 내측에는 후술할 후방커버(120)의 제1가이드부(121a)가 결합된다. 제1가이드부(111a)의 후방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후방커버(120)의 제1가이드부(121a)와의 결합이 보다 용이해진다.
전방커버(110) 둘레부의 상하좌우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2가이드부(111b)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1b)는 긴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1b)는 전방커버(110) 둘레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1b)의 후방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후방커버(120)의 둘레부 내측면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제2가이드부(111b)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가 서로 어긋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전방커버(110) 둘레부의 상하측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3가이드부(111c)가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111c)는 횡단면이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다. 제3가이드부(111c)는 전방커버(110) 둘레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111c)는 후술할 후방커버(120)의 제3가이드부(121c)와 결합된다. 제3가이드부(111c)의 후방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및 좌우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후방커버(120)의 제3가이드부(121c)와의 결합이 보다 용이해진다.
전방커버(110) 둘레부의 상부, 하부 및 좌측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후크(112)가 형성된다. 결합후크(112)는 전방커버(110) 둘레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전방커버(110) 둘레부의 좌우측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볼트결합부(113)가 형성된다.
볼트결합부(113)의 전방은 외측 및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볼트결합부(113)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홈에 볼트를 삽입할 수 있다.
전방커버(110) 전면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1락커버 끼움부(114)가 형성된다.
제1락커버 끼움부(114)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락커버 끼움부(114)의 상부와 하부에는 복수의 제1가이드돌출부(114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돌출부(114a)의 사이에는 제1가이드홈(114b)이 형성된다.
제1락커버 끼움부(114)의 측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락커버(300)를 보다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제1락커버 끼움부(114)에는 후방으로 개방되게 살빼기부가 형성되어, 제1락커버 끼움부(114)가 락커버(300)에 끼워질 때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전방커버(110) 전면의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1미들커버 끼움부(115)가 형성된다. 제1미들커버 끼움부(115)는 제1락커버 끼움부(114)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배치된다.
제1미들커버 끼움부(115)의 둘레에는 가이드돌기(115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미들커버 끼움부(115)가 후술할 후방커버(120)의 제2미들커버 끼움부(125)의 내측면에 끼워질 때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전방커버(110) 전면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제1바닥커버 끼움부(116)가 형성된다. 제1바닥커버 끼움부(116)는 제1락커버 끼움부(114)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1바닥커버 끼움부(116)는 전방커버(110)의 둘레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바닥커버 끼움부(116)의 둘레에는 가이드돌기(116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바닥커버 끼움부(116)와 후술할 바닥커버(600)의 가이드부(615)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전방커버(110)가 바닥커버(600)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방커버(110) 둘레부의 하부에는 스테이로드 관통홈(117)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전방커버(110) 둘레부의 우측에는 버튼 설치부(118)가 형성된다.
버튼 설치부(118)는 도 4 내지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버튼 설치부(118)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 설치부(118)는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버튼 설치부(118)에는 좌측으로 함몰되게 홈(118a)이 형성되어 버튼 설치부(118)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버튼 설치부(118)의 전방의 하부 및 후방의 상부에는 베젤부 끼움홈(118b)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베젤부 끼움홈(118b)에는 후술할 베젤부(130)의 돌출부(138)가 삽입된다.
버튼 설치부(118)의 중앙에는 버튼 관통홈(118c)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버튼 관통홈(118c)의 좌측과 우측에는 베젤부(130)의 결합후크(137)가 삽입되어, 베젤부(130)가 버튼 설치부(118)에 고정된다.
버튼 설치부(118)의 전방에는 베젤부(130)의 결합후크(137)가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 결합홈(118d)이 좌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버튼 설치부(118)에는 베젤부(130)가 결합되고, 베젤부(130)에는 버튼부(140)가 결합된다.
베젤부(130)와 버튼부(140)는 도 4 내지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베젤부(130)의 중앙부에는 우측이 개방되게 버튼부 설치홈(131)이 형성된다.
버튼부 설치홈(131)의 측면에는 가이드돌기(132)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버튼부(140)가 버튼부 설치홈(13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 마찰력을 줄여주어 조작감을 향상시킨다.
베젤부(130) 좌측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좌측이 해방되게 후크 결합홈(133)이 형성된다. 후크 결합홈(133)에는 버튼부(140)의 결합후크(141)가 결합된다.
베젤부(130) 좌측에는 버튼부 설치홈(131) 내부로 돌출되게 가이드부(134)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34)의 단면은 같은 지름의 반원호 2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34)에는 버튼부(140)의 제2돌출부(143)가 삽입되어, 버튼부(140)의 좌우방향 이동이 가이드 된다. 또한, 가이드부(134)의 우측면은 버튼부(140)의 걸림턱(145)의 좌측면과 맞닿아, 버튼부(140)가 좌측으로 이동가능한 거리를 제한한다.
베젤부(130) 좌측에는 제1버튼부 관통홈(135) 및 제2버튼부 관통홈(136)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버튼부 관통홈(135)은 가이드부(134)의 중앙에 배치된다. 제1버튼부 관통홈(135)은 가이드부(134)의 형상을 따라 양측이 돌출된 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버튼부 관통홈(136)은 제1버튼부 관통홈(135)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2버튼부 관통홈(136)은 전체적으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2버튼부 관통홈(136)은 후술할 결합후크(137)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결합후크(137)의 탄성변형량이 증가하여 결합이 보다 용이해진다.
제1버튼부 관통홈(135) 및 제2버튼부 관통홈(136)은 버튼부 설치홈(131)과 결합된다.
베젤부(130)의 전방과 후방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결합후크(141)가 형성된다. 결합후크(141)는 제1버튼부 관통홈(135)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베젤부(130) 좌측의 전방의 하부 및 후방의 상부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부(138)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베젤부(130)는 전방커버(110)의 버튼 설치부(118)에 회전되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된다.
버튼부(14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결합후크(141)가 형성된다. 결합후크(141)는 베젤부(130)의 후크 결합홈(133)에 끼워져, 버튼부(140)가 베젤부(130) 우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버튼부(140)의 중앙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제1돌출부(142) 및 제2돌출부(143)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42) 및 제2돌출부(143)는 각각 베젤부(130)의 제1버튼부 관통홈(135) 및 제2버튼부 관통홈(136)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제1돌출부(142)는 제1버튼부 관통홈(135)에 삽입되어, 버튼부(140)가 회전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제2돌출부(143)는 제2버튼부 관통홈(136)에 삽입된다. 제2돌출부(143)의 좌측면은 락플레이트(500)의 우측면과 맞닿아 락플레이트(50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제2돌출부(143)의 우측 상부에는 보강리브(144)가 형성되어, 제2돌출부(143)의 강도가 향상된다.
버튼부(140)에는 제2돌출부(143)를 기준으로 상하, 전후에 좌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145)이 형성된다.
후방커버(120)는 도 6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후방커버(120)는 후면과 상기 후면의 테두리와 연결되고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후방커버(120) 둘레부의 좌우측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1가이드부(121a)가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21a)는 외측이 개방되게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다. 제1가이드부(121a)는 후방커버(120) 둘레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121a)의 전방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쉬워지므로 전방커버(110)의 제1가이드부(111a)와의 결합이 보다 용이해진다.
후방커버(120) 둘레부의 상하좌우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2가이드부(121b)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21b)는 전방커버(110)의 제2가이드부(111b)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21b)는 전방커버(110)의 제2가이드부(111b)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가이드부(121b)는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가 서로 어긋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후방커버(120) 둘레부의 상하측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3가이드부(121c)가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121c)는 전방커버(110)의 제3가이드부(111c)가 삽입될 수 있게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후방커버(120) 둘레부의 상부, 하부 및 좌측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홈(122)이 형성된다.
결합홈(122)에는 전방커버(110)의 결합후크(112)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다.
후방커버(120) 둘레부의 좌우측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볼트결합부(123)가 형성된다.
볼트결합부(123)의 후방은 외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볼트결합부(123)에는 전방이 개방되게 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방커버(110)의 볼트결합부(113)에 삽입된 볼트가 후방커버(120)의 볼트결합부(123)에 삽입되어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커버(100)와 후방커버(120) 사이의 추가적인 구성요소 없이 전방커버(100)에 후방커버(120)가 바로 결합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전후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후방커버(120) 후면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2락커버 끼움부(124)가 형성된다.
제2락커버 끼움부(124)는 제1락커버 끼움부(11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락커버 끼움부(124)는 제1가이드돌출부(114a) 및 제1가이드홈(114b)과 전후방향으로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제2가이드돌출부(124a) 및 제2가이드홈(124b)을 포함한다.
후방커버(120) 후면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2미들커버 끼움부(125)가 형성된다. 제2미들커버 끼움부(125)는 제2락커버 끼움부(124)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배치된다.
제2미들커버 끼움부(125)의 둘레에는 가이드돌기(125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미들커버 끼움부(125)와 미들커버(200)의 가이드홈(203)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후방커버(120)가 미들커버(200)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후방커버(120) 후면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제2바닥커버 끼움부(126)가 형성된다. 제2바닥커버 끼움부(126)는 제2락커버 끼움부(124)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제2바닥커버 끼움부(126)는 후방커버(120)의 둘레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바닥커버 끼움부(126)의 둘레에는 가이드돌기(126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바닥커버 끼움부(126)가 전방커버(110)의 제1바닥커버 끼움부(116)의 내측면에 끼워질 때, 마찰력이 최소화 되어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후방커버(120) 둘레부의 하부에는 스테이로드 관통홈(127)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후방커버(120) 둘레부의 상부에는 스테이로드 지지부(128)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테이로드 지지부(128)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부(121c)의 하단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스테이로드 지지부(128)의 하면에는 가이드돌기(128a)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128a)는 후술할 스테이로드(700)의 수평부(720)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방커버(120)와 스테이로드(700)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어, 후방커버(120)가 스테이로드(700)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로드 지지부(128)는 스테이로드(700)가 스테이로드 지지부(128)보다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후방커버(120) 둘레부의 우측에는 버튼 설치홈(129)이 형성된다. 버튼 설치홈(129)은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전방커버(110)의 버튼 설치부(118)와 결합된다.
미들커버(200)는 도 7 내지 도 9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미들커버(200)는 하부본체(210)와 하부본체(210) 위에 형성되는 상부본체(220)로 구성된다.
미들커버(2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본체(22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수평부 삽입홈(201)이 형성된다.
수평부 삽입홈(20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평부 삽입홈(201)의 전후방향폭은 후술할 스테이로드(700)의 수평부(720)가 수평부 삽입홈(201) 내에서 자유롭게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수평부 삽입홈(20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부싱 삽입홈(202)이 형성된다.
부싱 삽입홈(202)은 하부본체(210)와 상부본체(220)에 걸쳐 형성된다. 부싱 삽입홈(202)은 수평부 삽입홈(201)과 연통된다. 부싱 삽입홈(202)은 후술할 부싱부(800)의 형상에 따라, 하부본체(210) 내에서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기둥 형상으로 상부본체(220) 내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본체(210)의 양측에는 부싱 삽입홈(202)과 연통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부싱 결합홈(207)이 형성된다.
하부본체(2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홈(203)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03)은 부싱 삽입홈(202)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가이드홈(203)에는 후방커버(120)의 제2미들커버 끼움부(125)가 삽입된다.
하부본체(210)의 상부에는 양측 가이드홈(203)과 연통되게 살빼기부(206)가 형성된다.
살빼기부(206)로 인해 하부본체(210)는 경량화 되고, 후방커버(120)의 제2미들커버 끼움부(125)가 보다 쉽게 가이드홈(203)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본체(210)의 상부에는 부싱 삽입홈(202) 쪽으로 돌출되게 막음돌기(219)가 형성된다. 막음돌기(219)는 부싱 삽입홈(202)과 살빼기부(206) 사이에 배치된다.
막음돌기(219)에 의해 후술할 부싱부(800)의 중간부분(820)의 상단이 가로막혀, 막음돌기(219)보다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막음돌기(219)는 후술할 스테이로드(700)의 수직부(710)가 안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방지해준다.
부싱 삽입홈(202)의 내측면엔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돌기(224)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224)는 후술할 부싱부(800)의 절개부(812)에 삽입되어, 부싱부(800) 내측에 설치되는 스테이로드(700)의 수직부(710)와 접한다. 가이드돌기(224)는 수직부(71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해주고, 수직부(710)가 외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방지해준다.
하부본체(210)의 중앙부에는 중공부(218)가 형성된다. 중공부(218)는 가이드홈(203)의 사이에 배치된다.
중공부(218)는 미들커버(200)가 성형될 때 같이 성형되므로 별도의 조립과정이 생략된다.
중공부(218)는 도 8 및 도 17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중공부(218)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204)이 형성된다. 중공(204)에는 락커버(300)가 끼워진다.
중공부(218)는 전체적으로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공부(218)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3가이드홈(218a)이 형성된다. 제3가이드홈(218a)에는 후술할 락커버(300)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4가이드돌출부(305a)가 삽입된다.
제3가이드홈(218a)은 상부에 2개, 하부에 3개 형성된다. 하부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218a) 중 가장 좌측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218a)에는 후술할 락커버(300)의 좌측에 형성되는 치형(301) 및 직선부(302)가 삽입된다.
제3가이드홈(218a)과 제3가이드홈(218a)의 사이에는 제3가이드돌출부(218b)가 형성된다. 제3가이드돌출부(218b)는 후술할 락커버(300)의 제4가이드홈(306)에 삽입된다.
중공부(218)의 제3가이드홈(218a)에는 수평탄성가압편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탄성가압편은 수평바(218c)와 수평바(218c)에 형성되는 수평바 돌기(218d)를 포함한다.
수평바(218c)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제3가이드홈(218a)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평바(218c)에는 제3가이드홈(218a)에 삽입되는 락커버(300)의 제4가이드돌출부(305a)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도록 수평바 돌기(218d)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미들커버(200)와 락커버(30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중공부(218)의 우측에는 후술할 락커버(300)의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가이드돌출부(305b)가 삽입된다.
중공부(218)의 우측에는 수직탄성가압편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탄성가압편은 수직바(218e)와 수직바(218e)에 형성되는 수직바 돌기(218f)를 포함한다.
수직바(218e)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중공부(218)의 우측 내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직바(218e)에는 락커버(300)의 우측가이드돌출부(305b)의 우측면에 접하도록 수직바 돌기(218f)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미들커버(200)와 락커버(30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된다.
중공부(218)의 제3가이드홈(218a)에는 락커버(300)의 제4가이드돌출부(305a)의 좌측면과 접하도록 제3가이드홈 가압돌기(218g)가 형성된다. 가압돌기(218g)는 수평바(218c)보다 중공부(218)의 중심 쪽에 배치된다.
수평바 돌기(218d)에 의해 락커버(300)의 상면 및 하면의 일부가 중공부(218)에 선접촉 되고, 수직바 돌기(218f)에 의해 락커버(300)의 우측면의 일부가 중공부(218)에 선접촉 되고, 가압돌기(218g)에 의해 락커버(300)의 좌측면의 일부가 중공부(218)에 선접촉 됨으로써, 상기 선접촉 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락커버(300)의 외측면은 중공부(218)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미들커버(200)가 락커버(3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때, 중공부(218)와 락커버(300)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볼베어링을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필요한 부품의 수가 감소하고, 원가가 절감된다.
중공부(218)에는 전체적으로 살빼기부가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해지고,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된다.
중공부(218)의 상부에는 중공(204)과 연통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락핀플레이트 가이드홈(205)이 형성된다.
락핀플레이트 가이드홈(205)에는 후술할 락핀플레이트(400)의 가이드돌출부(431)가 삽입되어, 가이드돌출부(431)의 좌우방향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동시에 상기 좌우방향 이동의 폭을 제한해준다.
중공부(218)의 하부에는 중공(204)과 연통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락핀플레이트 설치홈(208)이 형성된다.
락핀플레이트 설치홈(208)은 후술할 락핀플레이트(40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되어, 락핀플레이트(400)가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진다.
하부본체(210)에는 중공부(218)의 하단을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좌측바닥판(211) 및 우측바닥판(212)이 형성된다.
좌측바닥판(211) 및 우측바닥판(212)은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좌측바닥판(211)은 좌측 및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우측바닥판(212)은 전후방향으로만 돌출되게 형성된다.
좌측바닥판(211) 및 우측바닥판(212)의 전방에는 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바닥커버 결합홈(215a)이 형성된다.
제1바닥커버 결합홈(215a)은 가이드홈(203)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좌측바닥판(211)의 후방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바닥커버 결합홈(215b)이 형성된다. 우측바닥판(212)의 후방에는 후방 및 우측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바닥커버 결합홈(215c)이 형성된다.
제2바닥커버 결합홈(215b)과 제3바닥커버 결합홈(215c)은 부싱 삽입홈(202)의 뒤쪽에 배치된다.
좌측바닥판(211) 및 우측바닥판(212)의 후방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이 관통되게 바닥커버 관통홈(216)이 형성된다.
바닥커버 관통홈(216)은 가이드홈(203)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하부본체(210) 좌측 및 우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바닥커버 체결부(217)가 형성된다. 바닥커버 체결부(217)는 가이드홈(203)과 바닥커버 관통홈(216) 사이에 배치된다.
바닥커버 체결부(217)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살빼기부(206)와 연통된다.
하부본체(210)의 하면 중앙에는 2개의 복귀스프링 지지판(213)이 서로 이격되어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귀스프링 지지판(213)은 락핀플레이트 설치홈(208)보다 앞쪽에 배치된다.
복귀스프링 지지판(213)에 의해 후술할 제1,2복귀스프링(450,540)의 좌측이 가로막히게 된다.
하부본체(210)의 상면에는 2개의 수평부 지지부(214)가 서로 이격되어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수평부 지지부(214)는 락핀플레이트 가이드홈(205)과 살빼기부(206) 사이에 배치된다.
수평부 지지부(214)는 좌측에서 봤을 때 V자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할 스테이로드(700)의 수평부(720)가 수평부 지지부(214)에 닿을 때까지 미들커버(200)를 올리면 수평부(720)에 의해 탄성변형된다.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미들커버(200)를 더 올려도 미들커버(20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마지막 단계까지만 올릴 수 있다.
상부본체(220)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부(221)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2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부(221)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고, 좌측 또는 우측이 개방되게 가이드홈(222)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22)에는 후방커버(120)의 제1가이드부(121a)가 끼워진다.
가이드부(221) 상면의 전후방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보강부(223)가 형성된다.
락커버(300)는 도 10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락커버(300)는 전체적으로 다른 방향에 비해 전후방향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락커버(3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돌출되게 제4가이드돌출부(305a)가 형성된다. 락커버(300)의 외측면의 형상은 미들커버(200)의 중공(204)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락커버(300)의 좌측면에는 치형(301)과 직선부(302)가 형성된다.
치형(301)은 후술할 락핀(410)이 삽입될 수 있게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직선부(302)는 치형(301)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다.
직선부(302)에는 전방 또는 후방이 개방되게 살빼기부(303)가 형성된다.
락커버(30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공(304)이 형성된다. 관통공(304)의 형상은 전방커버(110)의 제1락커버 끼움부(114) 및 후방커버(120)의 제2락커버 끼움부(124)의 형상과 유사 동일하게 형성된다.
락커버(300)의 전방은 제1락커버 끼움부(114)에 끼워지고, 락커버(300)의 후방은 제2락커버 끼움부(124)에 끼워져, 락커버(300)에 의해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의 중앙부가 지지된다.
락커버(300)의 상측 및 하측에는 2개의 제4가이드돌출부(305a)가 형성된다. 제4가이드돌출부(305a)와 제4가이드돌출부(305a) 사이에는 제4가이드홈(306)이 형성된다. 제4가이드돌출부(305a)는 미들커버(200)의 제3가이드홈(218a)에 삽입되고, 제4가이드홈(306)에는 미들커버(200)의 제3가이드돌출부(218b)가 삽입된다.
락커버(300)의 우측에는 우측가이드돌출부(305b)가 형성된다. 우측가이드돌출부(305b)는 미들커버(200)의 중공(204)의 우측에 삽입된다.
락핀플레이트(400)는 도 11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락핀플레이트(400)는 본체부(430)와, 본체부(430)의 좌측에 형성되는 락핀설치판(420)과, 락핀설치판(420)에 끼워지는 락핀(410)을 포함한다.
본체부(430)는 전체적으로 좌우방향이 바뀐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부(430)의 상부에는 가이드돌출부(431)가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돌출부(431)는 미들커버(200)의 락핀플레이트 가이드홈(205)에 삽입된다.
본체부(430)의 하부에는 복귀스프링 끼움부(440)가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귀스프링 끼움부(440)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귀스프링 끼움부(440)의 전방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끼움돌기(441)가 형성된다. 끼움돌기(441)에는 제1복귀스프링(450)이 설치된다. 즉, 제1복귀스프링(450)의 우측은 복귀스프링 끼움부(440)에 가로막히고, 제1복귀스프링(450)의 좌측은 미들커버(200)의 복귀스프링 지지판(213)에 가로막힌다.
락핀설치판(420)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락핀설치판(42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는 락핀(410)이 설치된다.
락핀(410)은 1개의 락핀(410)으로 락커버(300)의 치형(301)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굵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2개 이상의 락핀(410)을 사용할 때보다 적은 면적으로도 락핀플레이트(400)를 구성할 수 있어, 락핀플레이트(400)의 전후방향 길이가 최소화 된다.
락핀플레이트(400)는 미들커버(200)의 락핀플레이트 설치홈(208)에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설치된다. 락핀플레이트(400)는 미들커버(200)에 끼워지는 락커버(300)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미들커버(200)는 락커버(300)와 치형(301)과 락핀(410)에 의해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서로 접하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락플레이트(500)는 도 1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락플레이트(500)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락플레이트(500)는 본체부(510)와, 본체부(510)의 우측에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름전달부(520)를 포함한다.
본체부(5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부싱부 관통공(501)이 형성된다. 부싱부 관통공(501)은 후술할 부싱부(800)의 중간부분(820)의 둘레 형상에 따라, 좌측은 사각형 형태로 우측은 반원형태로 형성된다.
부싱부 관통공(501)의 좌측에는 인서트 플레이트(530)가 인서트 성형되어, 인서트 플레이트(530)의 일부가 부싱부 관통공(501) 내측으로 노출된다.
인서트 플레이트(530)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어, 후술할 스테이로드(700)의 수직부(710)의 걸림홈(711)에 삽입되어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 위치를 고정하고 하방향 하중을 지지한다.
본체부(51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1)과 제2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2)이 형성된다. 제1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1)은 위에서 봤을 때 'ㄴ'자 형태로 우측 전방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2)은 좌우방향이 반대인 'ㄴ'자 형태로 좌측 전방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2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1,512)의 전방에는 미들커버(200)의 복귀스프링 지지판(213)이 삽입되고, 제1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1)의 좌측에는 락핀플레이트(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락핀설치판(420)이 삽입되고, 제2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2)의 우측에는 락핀플레이트(400)의 복귀스프링 끼움부(440)의 하부가 삽입된다.
제1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1)의 우측 돌출부와 제2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2)의 좌측 돌출부 사이에는 복귀스프링 끼움부(513)가 형성된다.
복귀스프링 끼움부(513)는 본체부(510)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귀스프링 끼움부(513)의 우측은 미들커버(200)의 복귀스프링 지지판(213)에 의해 가로막힌다.
복귀스프링 끼움부(513)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끼움돌기(513a)가 형성된다. 끼움돌기(513a)에는 제2복귀스프링(540)이 설치된다. 즉, 제2복귀스프링(540)의 우측은 복귀스프링 끼움부(513)에 가로막히고, 제2복귀스프링(540)의 좌측은 미들커버(200)의 복귀스프링 지지판(213)에 가로막힌다.
이로 인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500)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락플레이트(500)에 일부가 삽입되어 있는 락핀플레이트(400)도 좌측으로 이동되고, 제1,2복귀스프링(450,540)은 복귀스프링 지지판(213)에 의해 압축된다.
본체부(510) 후방의 좌측 및 우측에는 후방이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바닥커버 관통홈(514)이 형성된다. 바닥커버 관통홈(514)은 미들커버(200)의 바닥커버 관통홈(216)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바닥커버 관통홈(514)은 락플레이트(5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감안하여 바닥커버 관통홈(216)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체부(5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위쪽으로 돌출되게 제1,2돌기(515a,515b)가 형성된다. 후방에 형성되는 제2돌기(515b)는 바닥커버 관통홈(216) 사이에 형성되고, 제1돌기(515a)는 바닥커버 관통홈(216)과 양 끝단 사이에 형성된다. 전방에 형성되는 제1,2돌기(515a,515b)는 후방에 형성되는 제1,2돌기(515a,515b)와 대칭되게 형성된다.
제1,2돌기(515a,515b)로 인해 락플레이트(500)와 미들커버(200)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어, 락플레이트(500)가 좌우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체부(5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측면돌기(516)가 형성된다. 측면돌기(516)는 락플레이트(500)가 설치되는 바닥커버(600)의 내측면과 접한다. 이로 인해 락플레이트(500)와 바닥커버(600)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어, 락플레이트(500)가 좌우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본체부(510)의 좌측 및 우측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홈(517)이 형성된다. 홈(517)은 부싱부 관통공(501)과 제1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1) 사이 및 부싱부 관통공(501)과 제2락핀플레이트 삽입홈(512) 사이에 배치된다.
홈(517)의 우측 내측면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텐션리브(518)가 형성된다. 텐션리브(518)는 일측이 홈(517)의 내측면과 연결되고 좌측으로 갈수록 아랫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선부(518a)와, 일측이 직선부(518a)의 타측과 연결되고 좌측으로 갈수록 시계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곡선부(518b)를 포함한다. 곡선부(518b)의 하단은 바닥커버(600)의 상면에 접한다.
이로 인해 락플레이트(500)와 바닥커버(600)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 되어, 락플레이트(5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때 소음이 감소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범퍼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되고 제조 공정이 단순화된다.
누름전달부(520)는 좌측, 전방 및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누름전달부(520)는 우측 및 후방이 막히게 형성된다.
누름전달부(520)의 전방에는 보강부(521)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강부(52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 수록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521)로 인해 누름전달부(520)의 전방의 강도가 향상된다.
바닥커버(600)는 도 13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바닥커버(600)는 사각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바닥판(610)과 바닥판의 전단 및 후단에 연결되어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둘레벽(620)을 포함한다.
바닥판(610)과 둘레벽(620)로 인해 바닥커버(600)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고 상부가 개방되게 락플레이트 설치홈(601)이 형성된다.
바닥판(610)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부싱부 관통공(611)이 형성된다.
부싱부 관통공(611)은 후술할 부싱부(800)의 아랫부분(83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부싱부 관통공(611)의 우측 내측면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수직부 지지돌기(612)가 형성된다.
수직부 지지돌기(612)는 후술할 부싱부(800)의 아랫부분(830)의 제1절개부(831)에 삽입되어, 스테이로드(700)의 수직부(710)와 접한다.
바닥판(610)의 중앙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락핀플레이트 지지부(613)와, 락핀플레이트 지지부(613)의 우측에 배치되고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복귀스프링 삽입홈(614)이 형성된다.
락핀플레이트 지지부(613)의 상면은 락핀플레이트(400)의 락핀설치판(420)의 하면과 접한다. 락핀플레이트 지지부(613)의 좌우방향 길이는 락핀플레이트(4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감안하여 락핀설치판(42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락핀설치판(420)에 삽입된 락핀(410)의 하부가 가로막혀 락핀(410)이 아래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방지된다.
복귀스프링 삽입홈(614)의 전방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복귀스프링 삽입홈(614)의 전방에는 제1,2복귀스프링(450,540)의 하부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제1,2복귀스프링(450,540)이 아래로 쳐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복귀스프링 삽입홈(614)의 우측에는 락핀플레이트(400)의 복귀스프링 끼움부(440)의 하부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복귀스프링 끼움부(440)는 복귀스프링 삽입홈(614)의 좌우방향 폭 내에서만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바닥판(610)의 중앙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가이드부(615)가 형성된다.
가이드부(615)는 전체적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에는 전방커버(110)의 제1바닥커버 끼움부(116)가 삽입된다.
둘레벽(620) 후방의 좌측 및 우측에는 볼트결합부(621)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볼트결합부(621)는 락플레이트 설치홈(601) 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볼트결합부(621)는 미들커버(200)의 바닥커버 관통홈(216) 아래쪽에 배치된다. 즉, 볼트결합부(621)는 락플레이트(500)의 바닥커버 관통홈(514)과, 미들커버(200)의 바닥커버 관통홈(216) 차례대로 관통하고, 좌측바닥판(211) 및 우측바닥판(212)의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볼트결합부(621)는 볼트결합부(621) 상부에는 후방 및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홈과, 상기 제1홈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2홈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볼트가 삽입되어 미들커버(200)의 바닥커버 체결부(217)에 설치되고, 상기 제1홈에 의해 상기 볼트는 둘레벽(620)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않게 된다.
둘레벽(620) 전후방의 좌측 및 우측에는 결합후크(622)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둘레벽(620) 전방에 형성되는 결합후크(622)는 미들커버(200)의 제2,3바닥커버 결합홈(215b,215c)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된다. 둘레벽(620) 후방에 형성되는 결합후크(622)는 볼트결합부(621)보다 바깥쪽에 배치되고, 미들커버(200)의 제1바닥커버 결합홈(215a)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된다.
결합후크(622)는 각각 미들커버(200)의 제1,2,3바닥커버 결합홈(215a,215b,215c) 상부로 돌출되어 후크결합된다.
결합후크(622)의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통공(623)이 형성된다. 통공(623)으로 인해 결합후크(622)는 결합시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 되기 쉬워져 결합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둘레벽(620)은 바닥판(610)의 좌측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바닥커버(600)의 좌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락플레이트 간섭방지홈(624)이 형성된다. 락플레이트 간섭방지홈(624)에는 락플레이트(500)의 누름전달부(520)의 하부가 삽입된다.
스테이로드(700)는 일측이 차량의 좌석에 삽입되는 2개의 수직부(710)와 각각의 수직부(7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수평부(720)를 포함한다.
스테이로드(700)를 수직부(710)와 수평부(720)로 분리되게 구성함으로써, 수직부(710) 하부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가능하고, 수직부(710)는 스틸 재질로 구성하고, 수평부(72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스테이로드(700)를 경량화할 수 있다.
수직부(710)는 상하방향으로 파이프의 형태로 형성된다.
수직부(710) 상부의 좌측에는 걸림홈(711)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각각의 걸림홈(711)은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걸림홈(711)은 락플레이트(500)의 인서트 플레이트(5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수직부(710) 상부의 전방에는 수직부(71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끼움돌기(712)가 형성된다.
수평부(720)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봉의 좌측 및 우측이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절곡된 부분의 전방에는 후방으로 함몰되게 끼움홈(721)이 형성된다.
끼움홈(721)에는 수직부(710)의 끼움돌기(712)가 삽입된다. 이로 인해 수직부(710)와 수평부(720)가 결합될 수 있다.
수평부(720) 상부의 전방 및 후방에는 다수의 살빼기부(722)가 형성되어, 수평부(720)의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 된다.
수직부(710) 상부의 외측에 삽입되는 부싱부(8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부싱부(800)는 도 1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부싱부(800)는 미들커버(200)의 상부본체(220)에 삽입되는 윗부분(810)과, 상부본체(220)와 연결되고 미들커버(200)의 하부본체(210)에 삽입되는 중간부분(820)과, 중간부분(820)과 연결되고 바닥커버(600)에 삽입되는 아랫부분(830)을 포함한다.
부싱부(800)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스테이로드 관통공(811)을 포함한다.
윗부분(810)은 미들커버(200)의 중심쪽으로 개방된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의 반대쪽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고 상부가 개방되게 절개부(812)가 형성된다. 절개부(812)에는 미들커버(200)의 가이드돌기(224)가 삽입된다. 절개부(812)로 인해 상부본체(220)는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 될 수 있다.
윗부분(810)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지지돌출부(813)가 형성된다. 지지돌출부(813)는 수직부(710)의 외측면에 접한다. 지지돌출부(813)로 인해 부싱부(800)와 수직부(710)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된다.
윗부분(810) 하부의 전방과 후방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탄성돌기(814)가 형성된다. 탄성돌기(814)의 좌우측 및 아래쪽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되어, 탄성돌기(814)가 탄성변형할 수 있게 된다. 탄성돌기(814)는 수직부(710)의 외측면과 접하여 수직부(710)가 전방 및 후방으로 치우치지 않게 해준다.
중간부분(820)은 좌측에 형성되는 부싱부(800)를 기준으로 좌측은 반원 형태로 우측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우측에 형성되는 부싱부(800)는 좌측에 형성되는 부싱부(800)와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중간부분(820)의 전방 및 후방에는 결합돌기(82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821)는 미들커버(200)의 부싱 결합홈(207)에 삽입된다. 결합돌기(821)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부싱부(800)를 미들커버(200)의 부싱 삽입홈(202)에 아래에서 위로 끼울 때 결합돌기(821)가 부싱 결합홈(207)에 쉽게 결합되고, 결합 후 결합돌기(821)가 부싱 결합홈(207)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아랫부분(830) 하부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절개부(831)가 형성된다.
아랫부분(830) 상부의 좌측 및 우측에는 좌측 또는 우측이 개방되게 인출 제2절개부(832)가 형성된다. 제2절개부(832)는 제1절개부(831)보다 깊게 형성된다.
이러한 부싱부(800)로 인해, 미들커버(200)가 수직부(710)에 대해 보다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작동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4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140)를 누르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50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락플레이트(500)에 설치된 인서트 플레이트(530)도 좌측으로 이동하여 인서트 플레이트(530)가 수직부(710)의 걸림홈(711)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위로 이동시킨 후 버튼부(140)에서 손을 떼면 버튼부(140)에 의해 도 19b와 같이 압축되어있는 제1복귀스프링(450)이 도 19a와 같이 탄성복원되며 락플레이트(50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버튼부(140)와 인서트 플레이트(530)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 플레이트(530)가 도 18a에서 삽입되어있던 걸림홈(711)보다 상부에 위치한 걸림홈(711)에 삽입되어 헤드레스트가 위쪽으로 이동된 채 고정된다.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다음과 같다.
도 18a, 도 19a 및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4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부(140)를 누르면, 도 18b, 도 19b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플레이트(50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락플레이트(500)에 설치된 락핀플레이트(400)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락핀플레이트(400)에 설치된 락핀(410)도 좌측으로 이동하여 락핀(410)이 락커버(300)의 치형(301)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앞으로 이동시킨 후 버튼부(140)에서 손을 떼면 버튼부(140)에 의해 19b와 같이 압축되어있는 제2복귀스프링(540)이 도 19a와 같이 탄성복원되어 락플레이트(50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버튼부(140)와 락핀플레이트(400)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핀(410)이 도 20a에서 삽입되어있던 치형(301)보다 후방에 위치한 치형(301)에 삽입되어 헤드레스트가 뒤쪽으로 이동된 채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커버
110: 전방커버 111a: 제1가이드부
111b: 제2가이드부 111c: 제3가이드부
112: 결합후크 113: 볼트결합부
114: 제1락커버 끼움부 114a: 제1가이드돌출부
114b: 제1가이드홈 115: 제1미들커버 끼움부
115a: 가이드돌기 116: 제1바닥커버 끼움부
116a: 가이드돌기 117: 스테이로드 관통홈
118: 버튼 설치부 118a: 홈
118b: 베젤부 끼움홈 118c: 버튼 관통홈
118d: 후크 결합홈
120: 후방커버 121a: 제1가이드부
121b: 제2가이드부 121c: 제3가이드부
122: 결합홈 123: 볼트결합부
124: 제2락커버 끼움부 124a: 제2가이드돌출부
124b: 제2가이드홈 125: 제2미들커버 끼움부
125a: 가이드돌기 126: 제2바닥커버 끼움부
126a: 가이드돌기 127: 스테이로드 관통홈
128: 스테이로드 지지부 128a: 가이드돌기
129: 버튼 설치홈
130: 베젤부 131: 버튼부 설치홈
132: 가이드돌기 133: 후크 결합홈
134: 가이드부 135: 제1버튼부 관통홈
136: 제2버튼부 관통홈 137: 결합후크
138: 돌출부
140: 버튼부 141: 결합후크
142: 제1돌출부 143: 제2돌출부
144: 보강리브 145: 걸림턱
200: 미들커버 201: 수평부 삽입홈
202: 부싱 삽입홈 203: 가이드홈
204: 중공 205: 락핀플레이트 가이드홈
206: 살빼기부 207: 부싱 결합홈
208: 락핀플레이트 설치홈 210: 하부본체
211: 좌측바닥판 212: 우측바닥판
213: 복귀스프링 지지판 214: 수평부 지지부
215a: 제1바닥커버 결합홈 215b: 제2바닥커버 결합홈
215c: 제3바닥커버 결합홈 216: 바닥커버 관통홈
217: 바닥커버 체결부 218: 중공부
218a: 제3가이드홈 218b: 제3가이드돌출부
218c: 수평바 218d: 수평바 돌기
218e: 수직바 218f: 수직바 돌기
218g: 가압돌기 219: 막음돌기
220: 상부본체 221: 가이드부
222: 가이드홈 223: 보강부
224: 가이드돌기
300: 락커버 301: 치형
302: 직선부 303: 살빼기부
304: 관통공 305: 돌출부
305a: 제4가이드돌출부 305b: 우측가이드돌출부
306: 제4가이드홈
400: 락핀플레이트 410: 락핀
420: 락핀설치판 430: 본체부
431: 가이드돌출부 440: 복귀스프링 끼움부
441: 끼움돌기 450: 제1복귀스프링
500: 락플레이트 501: 부싱부 관통공
510: 본체부 511: 제1락핀플레이트 삽입홈
512: 제2락핀플레이트 삽입홈 513: 복귀스프링 끼움부
513a: 끼움돌기 514: 바닥커버 관통홈
515a: 제1돌기 515b: 제2돌기
516: 측면돌기 517: 홈
518: 텐션리브 518a: 직선부
518b: 곡선부 520: 누름전달부
521: 보강부 530: 인서트 플레이트
540: 제2복귀스프링
600: 바닥커버 601: 락플레이트 설치홈
610: 바닥판 611: 부싱부 관통공
612: 수직부 지지돌기 613: 락핀플레이트 지지부
614: 복귀스프링 삽입홈 615: 가이드부
620: 둘레벽 621: 볼트결합부
622: 결합후크 623: 통공
624: 락플레이트 간섭방지홈
700: 스테이로드 710: 수직부
711: 걸림홈 712: 끼움돌기
720: 수평부 721: 끼움홈
722: 살빼기부
800: 부싱부 810: 윗부분
811: 스테이로드 관통공 812: 절개부
813: 지지돌출부 814: 탄성돌기
820: 중간부분 821: 결합돌기
830: 아랫부분 831: 제1절개부
832: 제2절개부

Claims (7)

  1. 커버;
    상기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중공부가 형성되는 미들커버; 및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와 전후방향으로 연결되는 락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락커버 둘레의 적어도 3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편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가압편은 양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성변형바와, 상기 탄성변형바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탄성가압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커버에는 전후방향으로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미들커버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치형에 결합되는 1개의 락핀이 설치되는 락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핀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락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플레이트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치형은 상기 락커버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치형이 상기 중공부의 측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출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들커버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는 스테이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플레이트는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인서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전방 커버와, 상기 전방 커버에 결합되는 후방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전방 커버 또는 상기 후방 커버 중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7.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락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플레이트에 상기 바닥커버와 접하는 텐션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KR1020190025253A 2019-03-05 2019-03-05 헤드레스트 KR102122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53A KR102122712B1 (ko) 2019-03-05 2019-03-05 헤드레스트
PCT/KR2019/004735 WO2020179965A1 (en) 2019-03-05 2019-04-19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253A KR102122712B1 (ko) 2019-03-05 2019-03-05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712B1 true KR102122712B1 (ko) 2020-06-15

Family

ID=7108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253A KR102122712B1 (ko) 2019-03-05 2019-03-05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2712B1 (ko)
WO (1) WO202017996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769A (ko) * 2020-08-26 2022-03-07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20220029057A (ko) * 2020-09-01 2022-03-08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20220027533A (ko) * 2020-08-27 2022-03-08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WO2022098154A1 (ko) * 2020-11-05 2022-05-12 (주)현대공업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편향 모듈
KR20220080657A (ko) * 2020-12-07 2022-06-14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42957A1 (fr) * 2022-12-08 2024-06-14 Tesca France Appui-tête de siège de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4828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83094B1 (ko)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20170120786A1 (en) * 2014-06-03 2017-05-04 Shanghai Yanfeng Johnson Controls Seating Co., Ltd. Novel four-direction headres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8631B4 (de) * 2008-11-14 2011-03-17 Grammer Ag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KR101116704B1 (ko) * 2009-08-03 2012-02-22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1310623B1 (ko) * 2012-09-21 2013-09-24 서천(주)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수평위치조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4828A (ko) * 2012-04-10 2013-10-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83094B1 (ko)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20170120786A1 (en) * 2014-06-03 2017-05-04 Shanghai Yanfeng Johnson Controls Seating Co., Ltd. Novel four-direction headrest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769A (ko) * 2020-08-26 2022-03-07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19986B1 (ko) * 2020-08-26 2022-07-13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20220027533A (ko) * 2020-08-27 2022-03-08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19987B1 (ko) 2020-08-27 2022-07-13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20220029057A (ko) * 2020-09-01 2022-03-08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KR102419988B1 (ko) * 2020-09-01 2022-07-13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
WO2022098154A1 (ko) * 2020-11-05 2022-05-12 (주)현대공업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편향 모듈
KR20220060870A (ko) * 2020-11-05 2022-05-12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2419989B1 (ko) * 2020-11-05 2022-07-13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20220080657A (ko) * 2020-12-07 2022-06-14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KR102486229B1 (ko) * 2020-12-07 2023-01-10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헤드레스트 모듈용 스테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9965A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712B1 (ko) 헤드레스트
KR10138309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8398043B2 (en) Seat sliding device
US7066521B2 (en) Locking guide of seat locking device for vehicle
EP1591033B1 (en) Buckle
EP2767433A1 (en) Vehicle seat sliding apparatus
US7040910B2 (en) Plug type connector
KR20190060061A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KR100303797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JP6336907B2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EP2006196A1 (en) Safety release for fender
JP2002104133A (ja) シートベルト用ガイドアンカー
KR100284093B1 (ko) 좌석 활강 장치
KR102638232B1 (ko) 시트 벨트 장치용 버클 및 시트 벨트 장치
KR10235061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743626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80103912A (ko) 차일드 시트
JP2024067403A (ja) 椅子
KR200227060Y1 (ko) 자동차 시트로킹시스템의 로크
WO2023210210A1 (ja) スライド装置
KR101987877B1 (ko) 파스너 브라켓
JP6610723B1 (ja) 操作装置
KR101827420B1 (ko) 차량의 시트
JP2024086112A (ja) 車両用シートのウェビングのガイド構造
JP202401709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