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912A - 차일드 시트 - Google Patents

차일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912A
KR20080103912A KR1020080047853A KR20080047853A KR20080103912A KR 20080103912 A KR20080103912 A KR 20080103912A KR 1020080047853 A KR1020080047853 A KR 1020080047853A KR 20080047853 A KR20080047853 A KR 20080047853A KR 20080103912 A KR20080103912 A KR 20080103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guide
belt
child sea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아끼 다까미즈
히로히사 스즈끼
사또시 기리하라
세이지 다께무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39169A external-priority patent/JP52639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38678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49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392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290617A/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3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8Adaptations for seat belts characterised by guiding means for children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시트부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으면서 좌석 설치 시의 안정성이 높은 차일드 시트를 제공한다.
차일드 시트(1)는 차량에 설치된 좌석(50)의 시트면(50a) 상에 시트부(3)가 위치하고 또한 등받이(50b)에 백(back)부(4)가 접촉된 상태에서 좌석(50)에 설치 가능하고, 또한 시트부(3)에 설치된 각도 조정 부재(11)를 구비한다. 각도 조정 부재(11)는 시트부(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시트면(50a)에 접촉되는 접촉면(11a)을 갖고, 또한 시트부(3)로의 설치 위치를 전후 방향에 관하여 변경할 수 있다.
시트부, 등받이, 각도 조정 부재, 접촉면, 좌석

Description

차일드 시트 {CHILD SEAT}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설치하여 연소자를 착석시킬 수 있는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유아 또는 연소자를 차량의 좌석에 대하여 적합하게 착석시키기 위한 차일드 시트로서, 차일드 시트를 좌석 상에 재치하여 차량의 안전 벨트에 의해 착석자를 차일드 시트 상에 구속하는 타입이 널리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이 타입의 차일드 시트는, 그 시트부를 좌석의 시트면 상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백(back)부를 좌석의 등받이에 접촉시키는 자세로 차량의 좌석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설치되는 좌석은 차종에 따라 설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평면에 대한 시트면의 기울기는 차종에 따라 다르다. 그로 인해, 차일드 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설치하면, 좌석의 시트면의 기울기에 의존하여 차일드 시트의 시트부의 기울기가 변해 버린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면의 기울기의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시트부의 전단부의 하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한 각도 조정용의 다리부를 설치하여, 그 다리부를 출몰시킴으로써 시트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차일드 시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
또한, 차일드 시트의 일종으로서, 유아를 차량의 3점식 안전 벨트에 적합한 위치에 착석시키기 위한 차일드 시트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차일드 시트에는 부스터라고 불리는 시트부만으로 구성되는 타입과, 시트부와 백부를 구비한 타입이 존재한다. 후자의 타입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차량의 어깨 벨트를 유아의 어깨 근방의 적정한 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벨트 가이드가 백부의 측방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어깨 벨트의 적정한 안내 위치는 유아의 체격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백부의 동일한 측부에 복수의 벨트 가이드를 높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함으로써, 적절한 높이의 벨트 가이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차일드 시트, 혹은 벨트 가이드를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크 기구를 더 부가한 차일드 시트가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2 참조).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평11-291799호 공보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20614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다리부를 이용할 경우에는, 좌석의 시트면과 다리부의 접촉 면적이 작기 때문에 다리부의 부담이 증대한다. 그로 인해, 안정적으로 차일드 시트를 좌석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리부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 결과, 다리부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굵게 하거나, 다리부의 재질로서 강성이 높은 것을 선택하거나 하는 대책에 의해, 중량 증가나 비용 증가를 초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부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으면서 좌석 설치 시의 안정성이 높은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일드 시트의 설치 대상이 되는 차량의 좌석에는 승원의 요부나 둔부를 좌석에 피트시키거나 하는 목적으로 등받이의 하부를 부풀게 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좌석에 상술한 자세로 차일드 시트를 설치할 경우, 차일드 시트의 배면측의 시트부와 백부의 경계 부근이 좌석의 등받이의 부풀어짐에 간섭받아, 차일드 시트의 백부 배면의 밀착성을 악화시킨다. 이로 인해, 차일드 시트의 좌석 설치 시의 안정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석의 등받이의 부풀어짐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좌석 설치 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일드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복수의 벨트 가이드를 설치한 경우에는, 유아의 체격의 변화에 맞게 사용자가 어깨 벨트를 벨트 가이드간에 다시 매는 수고가 발생한다. 벨트 가이드를 이동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그러한 수고가 발생하지 않으나, 종래의 로크 기구는 부품 개수가 많아,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벨트 가이드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면서 부품 개수도 삭감되는 것이 가능한 차일드 시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트부(3)와 백부(4)를 구비하고, 차량에 설치된 좌석(50)의 시트면(50a) 상에 상기 시트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 좌석의 등받이(50b)에 상기 백부가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좌석에 설치 가능한 차일드 시트(1)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석의 상기 시트면에 접촉되는 접촉면(11a)을 갖고, 또한 상기 시트부로의 설치 위치를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하여 변경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각도 조정 부재(11)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시트부의 전후 방향에 관하여 각도 조정 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시트부의 지지점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시트부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각도 조정 부재는 시트부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면을 갖고 있으므로 차량의 좌석의 시트면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그로 인해, 각도 조정 부재에 무리한 부담이 가지 않고, 차일드 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각도 조정 부재는, 상기 시트부의 후방을 향하여 상하 방향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각도 조정 부재가 쐐기처럼 기능하므로,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에 대한 시트부의 기울기의 변화를 높이가 균일한 경우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한 상기 시트부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에 관한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이동 규제 기구(12)와,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이 상기 이동 규제 기구에 의해 규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13)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도 조정 부재가 시트부에 설치되었을 때에, 시트부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한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이 이동 규제 기구에 의해 규제되고, 또한 그 규제 상태가 로크 기구로 유지되므로, 좌석 설치 시의 차일드 시트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동 규제 기구 및 로크 기구로서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규제 기구는,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상기 접촉면의 반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4)와,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한 상기 시트부의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복수의 이동 규제부(15A, 15B)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는, 돌출부를 끼우는 이동 규제부를 변화시킴으로써, 각도 조정 부재를 다른 위치로 이동을 규제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돌출부와 이동 규제부가 끼워 맞추어지는 간소한 구조로 이동 규제가 실현되기 때문에, 돌출부와 각도 조정 부재를 일체 성형하는 것이나, 이동 규제부와 시트부를 일체 성형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부품 개수의 삭감에 공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규제 기구는,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 규제부 중 인접하는 2개의 이동 규제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한 쪽의 이동 규제부로부터 벗어난 상기 돌출부를 다른 쪽의 이동 규제부까지 안내할 수 있는 안내부(15C)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각도 조정 부재의 설치 위치를 바꿀 때에, 하나의 이동 규제부로부터 이웃한 이동 규제부로의 돌출부의 이동이 원활해지므로, 각도 조정 부재의 설치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비원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이동 규제부 각각은 상기 돌출부의 횡단면에 대응한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동 규제부에 돌출부를 끼움으로써, 단일의 돌출부이어도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방향의 각도 조정 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긴 관통 구멍(16a)이 형성된 로크판부(16)와,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상기 접촉면의 반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긴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이 상기 이동 규제 기구에 의해 규제되었을 때에 상기 긴 관통 구멍의 테두리부를 타고 넘어 상기 로크판부와 맞물리는 돌기(18)가 형성된 로크 삽입부(17)를 구비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크 삽입부를 로크판부에 형성된 긴 관통 구멍에 삽입하기만 해도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 규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 개수를 용이하게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규제 기구에 의한 상기 규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시트부 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허용 한도를 초과한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빠짐 방지 수단(19)을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각도 조정 부재가 시트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허용 한도를 초과하여 이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각도 조정 부재의 설치 위치를 바꿀 때에 각도 조정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시트부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는 각도 조정 부재가 시트부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면을 갖고, 차량의 좌석의 시트면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각도 조정 부재에 무리한 부담이 가지 않고, 차일드 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부(3)와 상기 시트부의 일단부에 접속된 백부(4)를 갖는 시트 본체(2)를 구비하고, 차량에 설치된 좌석(50)의 시트면(50a) 상에 상기 시트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상기 백부가 접촉되는 상태에서 상기 좌석에 설치 가능한 차일드 시트(1)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에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백부의 경계에 위치하고, 상기 시트부의 하면(30)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L1)과 상기 백부의 배면(40)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L2)의 교점(X1)의 위치보다도 오목한 오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백부의 배면에 이어서 상기 시트부의 전방으로 기울면서 연장되는 제1 면(21)과, 상기 제1 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L3)과 상기 시트부의 하면과의 교점(X2)의 위치보다도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종점(P)을 향하여 상기 제1 면에 이어서 연장되는 제2 면(22)을 갖고 있음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시트 본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석의 등받이에 설치된 부풀어짐을 피하여 또는 그 부풀어짐을 따라 백부의 배면을 등받이에 대하여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게다가, 오목부는 제1 면에 이어진 제2 면을 갖고, 그 제2 면의 종점이 제1 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과 시트부의 하면의 교점(X2)의 위치보다도 시트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면을 그대로 시트부의 하면까지 연장시키는 형태와 비교하여, 시트부의 하면의 면적 감소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부의 하면과 좌석의 시트면과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좌석에 설치한 차일드 시트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제1 면과 제2 면은 그 경계에서 꺾여 구부러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되나,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가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매끄럽게 접속되므로 이들 경계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시트 본체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시트 본체의 무게 중심(G)보다도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상기 종점이 위치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좌석에의 설치 작업이나 보관을 위해 차일드 시트를 마루 등의 수평면에 둔 경우에도 종점을 중심으로 차일드 시트가 후방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으므로 설치 작업이나 보관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의 제1 실시 형태에서, 상기 시트부에는, 그 후단부(31)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한 쪽측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한 퇴피부(23)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차일드 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설치한 경우, 시트부의 후단부의 위치는 차량 안전 벨트의 버클과 겹치는 경우가 많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퇴피부가 시트부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오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퇴피부는, 상기 시트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시트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과 상기 백부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테두리부(23a)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안전 벨트의 버클은 좌석의 시트면과 등받이의 경계 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시트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과 백부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테두리부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버클의 회전에 수반하는 간섭 범위의 확대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본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석의 등받이에 설치된 부풀어짐을 피하여 또는 그 부풀어짐을 따라 백부의 배면을 등받이에 대하여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가 제1 면과 제2 면을 갖고 있으므로, 제1 면을 그대로 시트부의 하면까지 연장시키는 형태와 비교하여, 시트부의 하면의 면적 감소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부의 하면과 좌석의 시트면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좌석에 설치한 차일드 시트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부(104) 및 백부(105)를 갖는 시트 본체(102)와, 상기 시트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차량의 안전 벨트의 어깨 벨트(150)가 통과되는 벨트 가이드(120)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101)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에는 상기 벨트 가이드를 대략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0)이 설치되고, 상기 벨트 가이드에는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압박되는 레일 누 름부(12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벨트 가이드의 상기 레일 누름부 각각의 대향면의 어느 한 쪽에는 복수의 볼록부(116)와 오목부(117)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한 상기 벨트 가이드의 안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대향면의 다른 쪽에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돌기(125)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벨트 가이드의 레일 누름부와 가이드 레일의 대향면 사이에 형성된 어느 한 쪽의 오목부에 돌기를 끼워 맞춤으로써, 벨트 가이드의 안내 방향에 관하여 볼록부와 돌기가 맞물려 벨트 가이드의 위치가 고정된다. 레일 누름부를 탄성 변형시켜 오목부와 돌기의 끼워 맞추기를 해제하고, 벨트 가이드를 이동시켜 다른 오목부에 돌기를 끼워 맞춤으로써, 벨트 가이드를 상이한 높이 위치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차일드 시트의 한 쪽측부에 복수의 벨트 가이드를 배열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다. 오목부 및 볼록부와 돌기가 벨트 가이드 및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고, 또한 오목부와 돌기의 끼워 맞추기 및 그 해제를 벨트 가이드의 일부인 레일 누름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실현하고 있으므로,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부품 개수를 최소한으로 삭감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시트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리부(111)와, 상기 다리부로부터 상기 측면을 따라 상기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부(112)가 설치되 고, 상기 벨트 가이드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표면(112a)과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121)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 누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배면(112b)측으로 감돌도록 연장되어 상기 배면과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상기 배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 또는 상기 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베이스부와 한 쌍의 레일 누름부 사이에 가이드부가 끼워지도록 하여 벨트 가이드가 가이드 레일에 장착된다. 벨트 가이드의 높이를 변화시킬 때는, 베이스부와 레일 누름부 사이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레일 누름부가 탄성 변형되어 돌기가 볼록부를 타고 넘는다. 레일 누름부가 베이스부의 측부로부터 가이드부의 배면측으로 감돌도록 연장되어 있으므로, 베이스부의 양 측부를 축으로 하여 레일 누름부를 충분히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돌기가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와, 돌기가 볼록부를 타고 넘는 상태 사이에서의 레일 누름부의 탄성 변형량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 벨트 가이드의 높이 조정에 대한 저항을 높여, 벨트 가이드의 높이의 예상못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상기 배면 각각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가 상기 안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운 방향(도15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볼록부와 돌기가 벨트 가이드의 안내 방향뿐만 아니라, 그 안내 방향에 대한 좌우 방향에도 맞물려 벨트 가이드의 좌우 방향의 덜걱거림이 억제된다.
또한, 볼록부 및 오목부가 기울어진 형태에서는, 상기 시트 본체가 수지 사 출 성형품이며,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기울기 방향이 상기 시트 본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한계선(PL)과 직교하는 방향(도15의 화살표 C 방향)과 일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시트 본체를 사출 성형용의 금형으로부터 꺼낼 때에,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빼기 방향과 일치하도록 된다. 그로 인해, 형빼기 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가이드 레일을 성형하기 위하여 필요한 슬라이드식 중자 등의 금형 부품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에 다리부가 설치된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그 다리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표면측에 개구되는 오목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는 당해 오목부 내에 유아의 손가락이 들어갈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리브(114)가 설치되어도 된다. 다리부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의 두께의 균일화를 도모하여, 성형 왜곡의 감소, 혹은 가이드 레일의 성형에 필요한 수지량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오목부의 내부에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다리부에 충분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리브를 오목부 내에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도록 설치함으로써, 오목부와 벨트 가이드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우려를 배제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에 다리부가 설치되는 상기의 형태의 차일드 시트에서는, 상기 시트 본체에 씌워지는 봉제품의 커버(130)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당해 커버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펀치 구멍(130a)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 구멍의 주위에는 테이프 재료(132)가 씌워지고, 상기 테이프 재료에 의한 테두리 트리밍부가 상기 벨트 가이드의 상기 레일 누름부를 넘어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측면 사이의 간극(133)까지 삽입되어도 된다. 테이프 재료에 의한 테두리 트리밍부를 레일 누름부보다도 안의 간극까지 삽입함으로써, 펀치 구멍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커버를 끌어 당겨도, 그 테이프 재료에 의한 테두리 부착 부분이 레일 누름부에 걸려 용이하게는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벨트 가이드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때에도, 테이프 재료에 의한 테두리 부착 부분이 레일 누름부보다도 안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레일의 다리부의 주위에서의 커버가 말리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벨트 가이드에는, 상기 어깨 벨트를 통과하기 위한 벨트 관통 구멍(124)을 발생시키는 벨트 구속부(123)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 구동부에는 상기 벨트 관통 구멍에 대하여 상기 어깨 벨트를 빼고 꽂기 위한 슬릿(127)이 상기 벨트 구속부를 한 쌍의 훅부(128, 129)로 분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릿이 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슬릿을 활 형상으로 만곡시킨 경우, 어깨 벨트가 벨트 관통 구멍의 어느 한 쪽측으로 기울어 어깨 벨트의 엣지가 슬릿 부근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그 엣지와 슬릿이 똑바로 나란히 맞추어지는 일없이, 한 쌍의 훅부의 어느 한 쪽이 어깨 벨트에 반드시 걸린다. 이에 의해, 슬릿을 직선적으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어깨 벨트의 슬릿으로부터의 탈출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일드 시트에 의하면,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볼록부 및 오목부와 돌기를 가이드 레일 및 벨트 가이드의 각각에 형성하는 동시에, 레일 누름부를 탄성 변형시켜 돌기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변화시킴으로써 벨트 가이드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했으므로, 차일드 시트의 한 쪽측에 복수의 벨트 가이드를 배열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고,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도 없다. 이에 의해, 차량의 어깨 벨트의 안내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품의 점수를 최소한으로 삭감하여, 차일드 시트의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쓰기로 부기했지만, 그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부의 기울기를 바꿀 수 있으면서 좌석 설치 시의 안정성이 높은 차일드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차일드 시트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차일드 시트의 자세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차일드 시트(1)는, 시트부(3)와 그 시트부(3)의 후단에 접속되는 백부(4)를 갖는 시트 본체(2)를 구비한다. 시트 본체(2)는 쿠션재가 내면의 적소에 배치된 천으로 된 시트 커버로 덮이지만, 도면에는 시트 커버가 벗겨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2의 상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는, 차량으로서의 자동차의 좌석(50)의 시트면(50a) 상에 시트부(3)가 위치하고 또한 좌 석(50)의 등받이(50b)에 백부(4)가 접촉되는 상태로 좌석(50)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시트부(3)와 백부(4)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시트부(3)는 유아 또는 연소자가 착석자로서 앉는 부위로서, 그 좌우 방향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이드 서포트(3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부(4)는,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백 레스트(5)와, 그 백 레스트(5)의 상부로 이어진 헤드 레스트(6)를 구비하고 있다. 백 레스트(5) 및 헤드 레스트(6)에는 착석자의 몸체부 또는 머리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 서포트(5a, 6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1)는 시트부(3)의 기울기를 변경하기 위해 각도 조정 장치(10)를 구비하고 있다. 각도 조정 장치(10)는, 시트부(3)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또한 좌석(50)의 시트면(50a)에 접촉되는 접촉면(11a)을 갖는 각도 조정 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 그 접촉면(11a)은 시트부(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시트부(3)의 좌우 방향에 관해서는 접촉부(11a)가 시트부(3)의 좌우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도6 등을 참조). 각도 조정 부재(11)는, 시트부(3)의 후방을 향하여 상하 방향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플라스틱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정 부재(11)는 그 설치 위치를 시트부(3)의 전후 방향에 관하여 변경할 수 있다. 도시하는 각도 조정 장치(10)는, 각도 조정 부재(11)의 설치 위치를 2단계로 변경함으로써, 각도 조정 부재(11)가 전방에 위치했을 때의 입위(立位) 상태(도2 참조)와, 각도 조정 부재(11)가 후방에 위치하여 시트부(3)의 전방이 입위 상태보다도 상방으로 기운 침위(寢位) 상태(도3 참조) 사이에서 시트부(3)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4 내지 도10을 참조하면서 각도 조정 장치(10)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4는 시트부(3)로부터 제거된 각도 조정 부재(11)의 상세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5는 도1의 V-V선을 따라 자른 확대 단면도, 도6은 도1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확대 단면도, 도7은 시트부(3)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정 장치(10)는, 각도 조정 부재(11)의 이동의 규제나 그 규제의 유지를 위해, 시트부(3)의 전후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서 각도 조정 부재(11)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이동 규제 기구(12)와, 이동 규제 기구(12)에 의한 각도 조정 부재(11)의 이동 규제를 유지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로크 기구(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우에 설치된 이동 규제 기구(12) 및 로크 기구(13)는 서로 동일 구성이므로, 이하 특별히 좌우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규제 기구(12)는, 각도 조정 부재(11)에 일체로 설치되고 접촉면(11a)의 반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서의 기둥 형상부(14)와, 시트부(3)의 전후 방향에 관한 상이한 위치에 대하여 시트부(3)와 일체로 설치되어 기둥 형상부(14)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이동 규제부로서의 2개의 이동 규제실(15A, 15B)과, 2개의 이동 규제실(15A, 15B)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들을 서로 접속하고, 또한 기둥 형상부(14)를 미끄러지게 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안내 가능한 안내부로서의 안내 로(15C)를 구비하고 있다.
기둥 형상부(14)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이동 규제실(15A, 15B)도 기둥 형상부(14)의 횡단면에 대응한 사각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기둥 형상부(14)가 각 이동 규제실(15A, 15B)에 끼워짐으로써, 시트부(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한 각도 조정 부재(11)의 이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각도 조정 부재(11)의 회전도 제한된다. 기둥 형상부(14)와 각 이동 규제실(15A, 15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한 허용 한도를 초과한 기둥 형상부(14)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각 이동 규제실(15A, 15B)에 대한 기둥 형상부(14)의 출납이 원활하게 실현되도록 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기둥 형상부(14)가 전방의 이동 규제실(15A)에 끼워져 그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에는, 각도 조정 부재(11)의 설치 위치가 시트부(3)의 전방에 치우쳐 차일드 시트(1)의 자세를 도2에 도시하는 입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기둥 형상부(14)가 후방의 이동 규제실(15B)에 끼워져 그 이동이 규제되었을 때에는 각도 조정 부재(11)의 설치 위치가 시트부(3)의 후방에 치우쳐 차일드 시트(1)의 자세를 도3에 도시하는 침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4,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13)는, 이동 규제 기구(12)에 의한 각도 조정 부재(11)의 이동 규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시트부(3)의 하면에 설치된 로크판부(16)와, 각도 조정 부재(11)에 일체로 설치되고 접촉면(11a)의 반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로크 삽입부(17)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판 부(16)에는 시트부(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로크판부(16)를 관통하는 긴 관통 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긴 관통 구멍(16a)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각도 조정 부재(11)의 전후 방향의 이동량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로크 삽입부(17)는 로크판부(16)의 긴 관통 구멍(16a)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또한 중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삽입부(17)는 각도 조정 부재(11)의 기둥 형상부(14)가 각 이동 규제실(15A, 15B)에 끼워질 때에 긴 관통 구멍(16a)의 테두리부를 타고 넘어 로크판부(16)와 맞물리는 돌기(18)를 갖고 있다. 돌기(18)는 로크 삽입부(17)의 양 측면에 대하여 하나씩 일체로 설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크 삽입부(17)에는 돌기(18)가 긴 관통 구멍(16a)의 테두리부를 타고 넘을 때의 탄성 변형을 쉽게 하기 위해, 돌기(18)의 상방의 일부를 남기고 로크 삽입부(17)의 외벽을 관통하고 또한 돌기(18)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관통 홈(17a)이 형성되어 있다(도4 참조).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18)는 긴 관통 구멍(16a)의 테두리부를 상하 양 방향으로부터 타고 넘기가 가능하게 되도록 그 횡단면이 정점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향하여 내리막 구배를 갖는 산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삽입부(17)의 선단에는 긴 관통 구멍(16a)의 옆폭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빠짐 방지 수단으로서의 와셔(19)가 긴 관통 구멍(16a)에 로크 삽입부(17)를 삽입한 상태로 볼트 등의 체결 부재(19a)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둥 형상부(14)가 각 이동 규제실(15A, 15B)로부터 인발되어 각도 조정 부재(11)가 시트부(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는 와셔(19)가 로크판부(16)의 상면에 맞닿는다.
그로 인해, 시트부(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허용 한도를 초과한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이 저지되어 각도 조정 부재(11)의 탈락이 방지된다.
도8 및 도9는 전방의 이동 규제실(15A)에 기둥 형상부(14)가 끼워져 있던 이동 규제 상태가 해제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10은 후방의 이동 규제실(15B)에 기둥 형상부(14)가 끼워져 각도 조정 부재(11)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도 조정 장치(10)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각도 조정 부재(11)에 설치된 손잡이(11b)(도6 참조)에 손을 대어 시트부(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내리면, 도6 및 도7과 같이 로크판부(16)에 맞물려 있던 로크 삽입부(17)의 돌기(18)가 탄성 변형되어 긴 관통 구멍(16a)의 테두리부를 타고 넘음으로써, 도8 및 도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의 이동 규제실(15A)로부터 기둥 형상부(14)가 인발되어 각도 조정 부재(11)에 대한 이동 규제가 해제된다. 그 해제에 의해, 기둥 형상부(14)는 이동 규제실(15A)에 이어진 안내로(15C)로 유도된다. 안내로(15C)는 후방의 이동 규제실(15B)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각도 조정 부재(11)를 안내로(15C)를 따라 후방으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후방의 이동 규제실(15B)까지 유도된다. 그 상태에서 각도 조정 부재(11)를 시트부(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밀어 올림으로써, 기둥 형상부(14)가 후방의 이동 규제실(15B)에 끼워짐과 동시에, 로크 삽입부(17)의 돌기(18)가 탄성 변형되어 긴 관통 구멍(16a)의 테두리부를 타고 넘어 로크판부(16)에 맞물린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각도 조정 부재(11)는 전방의 설치 위치로부터 후방의 설치 위치로 변경된다. 후방의 설치 위치에서는 각도 조정 부재(11)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관한 각도 조정 부재(11)의 이동이 이동 규제 기구(12)로 규제되고, 또한 그 규제 상태가 로크 기구(13)로 유지되게 된다.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각도 조정 부재(11)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조작으로 실현된다.
이상의 각도 조정 장치(10)에 의하면, 시트부(3)의 전후 방향에 관하여 각도 조정 부재(11)의 설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시트부(3)의 기울기를 2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각도 조정 부재(11)의 접촉면(11a)은 시트부(3)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좌석(50)의 시트면(50a)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각도 조정 부재(11)에 무리한 부담이 가지 않고, 차일드 시트(1)를 좌석(50)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조정 부재(11)는, 시트부(3)의 후방을 향하여 상하 방향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쐐기처럼 기능한다. 그 때문에 각도 조정 부재(11)의 이동에 대한 시트부(3)의 기울기의 변화를, 그 높이가 균일할 경우보다도 크게 할 수 있다. 각도 조정 부재(11)는 각 설치 위치에서, 시트부(3)의 전후 및 좌우 방향의 이동이 이동 규제 기구(12)로 규제되고, 또한 그 규제 상태가 로크 기구(13)로 유지되므로, 좌석(50)에 설치했을 때의 차일드 시트(1)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동 규제 기구(12)는 2개의 이동 규제실(15A, 15B)을 연결하는 안내로(15C)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각도 조정 부재(11)의 설치 위치를 바꿀 때에 기둥 형상부(14)가 2개의 이동 규제실(15A, 15B) 사이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각도 조정 부재(11)의 설치 위치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서 차일드 시트(1)의 배면측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은 도1에 도시한 차일드 시트(1)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측면도이며, 도12는 도11의 화살표 XII의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차일드 시트의 설치 대상이 되는 차량의 좌석은 승원의 요부나 둔부를 좌석에 피트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등받이의 하부를 부풀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좌석에 차일드 시트를 설치할 경우, 그 등받이의 부풀어짐이 차일드 시트의 백부 배면의 밀착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된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를 이러한 좌석에도 적확하게 대응시키기 위해,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2)에는 시트부(3)와 백부(4)의 경계에 위치하는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부(20)는, 시트부(3)의 하면(30)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L1)과 백부(4)의 배면(40)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L2)의 교점(X1)의 위치보다도 오목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20)는 백부(4)의 배면(40)에 이어서 시트부(3)의 전방으로 기울면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경사면(21)과, 그 경사면(21)에 이어진 좌우 한 쌍의 직립면(22)을 갖고 있다. 경사면(21)과 배면(40)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그들의 경계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면(22)은 경사면(21)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L3)과 상술한 직선(L1)의 교점(X2)의 위치보다도 시트부(3)의 후방에 위치하는 종점(P)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시한 형태에서는, 직립면(22)은 시트부(3)의 하면(30)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고 있다. 또한, 오목 부(20)는 경사면(21)과 직립면(22)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이들의 면(21, 22)과의 경계가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오목부(20)에 의하면, 상술한 좌석의 등받이의 부풀어짐을 피하여 또는 그 부풀어짐을 따라 백부(4)의 배면(40)을 좌석의 등받이에 대하여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게다가, 오목부(20)는 경사면(21)에 이어진 직립면(22)을 갖고 있으므로, 경사면(21)을 그대로 시트부(3)의 하면(30)까지 연장시키는 형태와 비교하여, 시트부(3)의 하면(30)의 면적 감소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부(3)의 하면(30)과 좌석의 시트면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좌석에 설치한 차일드 시트(1)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면(22)의 종점(P)은 시트 본체(2)의 무게 중심(G)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좌석에의 설치 작업이나 보관을 위해 차일드 시트(1)를 마루 등의 수평면에 둔 경우에도, 종점(P)을 중심으로 차일드 시트(1)가 후방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으므로 설치 작업이나 보관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2)에는 시트부(3)의 후단부(31)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퇴피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퇴피부(23)는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고, 그 테두리부(23a)는 도11의 교점(X1)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일드 시트(1)를 차량의 좌석에 설치한 경우, 시트부(3)의 후단부(31)의 위치는 차량 안전 벨트의 버클과 겹치는 경우가 많다. 퇴피부(23)는 시트부(3)의 좌우 방향의 내측에 오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버 클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안전 벨트의 버클은 좌석의 시트면과 등받이와의 경계 부근, 즉 교점(X1)의 부근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나, 퇴피부(23)의 테두리부(23a)가 교점(X)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버클의 회전에 수반하는 간섭 범위의 확대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그 측면도이다. 본 형태의 차일드 시트(101)는, 시트 본체(102)에 장착되는 전용의 구속 벨트를 사용하여 유아를 구속하는 제1 사용 방법과, 차량에 설치된 안전 벨트를 유아의 전방으로 빼내어 감아, 그 안전 벨트로 유아를 구속하는 제2 사용 방법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용의 구속 벨트는 도시를 생략했다. 제1 사용 방법의 경우, 차일드 시트(101)는 차량의 안전 벨트, ISO FIX 규격에 준거한 고정 기구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좌석(50)(도14)에 고정된다. 또한, 시트 본체(102)는 봉제품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로 덮이나, 도13 및 도14는 그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시트 본체(102)는 시트부(104), 백부(105), 한 쌍의 아암 레스트부(106), 및 한 쌍의 사이드 가드부(107)가 일체로 형성된 셀 구조를 갖는 수지 사출 성형품이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104)는 차량의 좌석(50)의 시트면(50a)에 재치되고, 백부(105)는 좌석(50)의 등접촉면(50b)에 맞대진다. 아암 레스트부(106)는 시트부(104)의 양측에 배치되고, 사이드 가드부(107)는 백부(105)의 양측에 배 치되어 있다. 시트부(104)의 오목부(104a) 및 백부(105)의 벨트 관통 구멍(105a)은, 상술한 전용의 구속 벨트를 장착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시트 본체(102)에는 상술한 제1 사용 방법의 선택 시에 차량의 안전 벨트를 백부(105)의 배면측에 통과하기 위한 펀치 구멍(105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 레스트부(106)에는, 상술한 제2 사용 방법의 선택 시에, 차량의 안전 벨트의 허리 벨트를 시트부(104)의 상면측으로 빼내어 감기 위한 벨트 홈(106a)이 형성되어 있다. 도13에서는, 제2 사용 방법의 선택 시에 차량의 어깨 벨트(150) 및 허리 벨트(151)를 빼내어 감은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백부(105)의 양측에는 개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110)이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한 쪽(도13에서는 양방)의 가이드 레일(110)에는 벨트 가이드(120)가 장착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120)는 상술한 제2 사용 방법의 선택 시에, 차량의 안전 벨트의 어깨 벨트를 유아의 어깨 부근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10)은 그 벨트 가이드(120)를 개략 높이 방향으로 안내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10)은 사이드 가드부(107)와 일체로 성형되어 시트 본체(102)의 일부를 구성한다. 한편, 벨트 가이드(120)는 시트 본체(102)와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구성된 수지 사출 성형품으로서,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벨트 가이드(120)는 어깨 벨트(150)의 방향을 따라 어느 한 쪽의 가이드 레일(110)에만 존재하면 된다. 따라서, 어깨 벨트(150)의 방향에 따라 벨트 가이드(120)가 좌우의 가이드 레일(110)의 사이로 다시 설치되어도 된다. 도14에서는 벨트 가이드(120)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15는 가이드 레일(110)과 벨트 가이드(120)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6은 도15의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단, 벨트 가이드(120)는 일부 파단되어 도시한다)이고, 도17은 가이드 레일(110)의 주위에 커버(130)가 장착된 상태를 도16에 대응시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15는 도14와는 반대측의 가이드 레일(110)과 벨트 가이드(120)의 조합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8은 가이드 레일(110)을 시트 본체(102)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벨트 가이드(120)의 사시도이다.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10)은, 시트 본체(102)의 사이드 가드부(107)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리부(111)와, 그 다리부(111)의 선단으로부터 사이드 가드부(107)의 측면을 따라 좌우 방향(즉,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플랜지 형상의 가이드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부(111)는 가이드 레일(110)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다리부(111)에는 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3)는, 가이드 레일(110)의 두께의 균일화에 의한 성형 왜곡의 감소, 혹은 가이드 레일(110)에 필요한 수지량의 삭감을 목적으로 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가이드부(112)의 표면(112a)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다리부(111)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오목부(113)의 내부에는 주 리브(114)와, 그 주 리브(114)와 다리부(111)의 벽부(111a)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부 리브(115)가 설치되어 있다. 주 리브(114)는,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 바꿔 말하면 가이드 레일(110)에 의한 벨트 가이드(120)의 안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세로 리브(114a)와, 그들의 세로 리브(114a)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연락 리브(114b)를 갖고 있다. 주 리브(114)는, 가이드부(112)의 표면(112a)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전체적으로 오목부(113)의 내주와 상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15 참조).
도1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오목부(113)의 깊이 방향에 관해서, 주 리브(114)의 높이는 가이드부(112)의 표면(112a)보다도 다소 낮게 설정되고, 부 리브(115)의 높이는 주 리브(114)보다도 더 낮게 설정되어 있다. 주 리브(114)와 오목부(113)의 내주면과의 간극, 및 세로 리브(114a) 끼리의 간극은 유아의 손가락의 굵기보다도 충분히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오목부(113)의 내부에는 유아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간극이 오목부(113) 내에 생기지 않도록 주 리브(114)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가 손가락(F)을 오목부(113)에 대도 그 손가락(F)이 오목부(113) 안에 들어가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벨트 가이드(120)를 이동시켰을 때에, 가이드 레일(110)의 오목부(113)와 벨트 가이드(120) 사이에 손가락(F)이 끼일 우려가 배제된다. 부 리브(115)의 높이가 주 리브(114)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 리브(115)와 벨트 가이드(120) 사이에 손가락(F)이 끼일 우려도 없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10)의 가이드부(112)의 배면, 즉 사이드 가드부(107)와 대향하는 면(112b)에는 복수의 볼록부(116)와 오목부(117)가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도15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116) 및 오목부(117) 각각은, 다리부(111) 부터 가이드부(112)의 외주까지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16)와 오목부(117)는 어느 한 쪽의 형성에 의해 다른 쪽도 형성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볼록부(116)를 대표로 그들의 특징을 설명한다.
각 볼록부(116)가 연장되는 방향은,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과 직교 하는 방향(이하, 폭 방향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에 대해 소정 각도(θ)만큼 비스듬히 기우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좌우의 가이드부(112) 사이에 있어서, 볼록부(116)의 경사 방향 및 경사 각도는 서로 동일하다. 볼록부(116)의 기울기는, 시트 본체(102)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한계선(PL)의 방향과 관련지어져 있다. 도1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102)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한계선(PL)은 시트 본체(102)가 수평면에 설치되었다고 가정했을 때의 연직 방향에 대하여, 위로 향할수록 시트 본체(102)의 후방으로 기울도록 기울여 설정된다. 그 이유는, 성형 후의 시트 본체(102)를 금형으로부터 빼낼 때에 장해가 되는 역구배 부분을 줄이거나, 혹은 슬라이드식의 중자 등의 개수를 삭감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한계선(PL)을 기울이는 것은, 시트부와 백부를 일체화시킨 셀 구조의 시트 본체의 사출 성형에서는 통상적으로 볼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리고,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볼록부(116)가 연장되는 방향은, 한계선(PL)과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C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화살표 A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B 방향)에 대한 볼록부(116)의 경사각(θ)은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한계선(PL)의 경사각(θ)과 동일하다. 이렇게 볼록부(116)의 기울기를 설정하면, 볼록부(116) 및 오 목부(117)의 방향과, 화살표 C로 나타낸 형빼기 방향이 일치한다. 따라서, 시트 본체(102)를 금형으로부터 꺼낼 때에, 볼록부(116) 및 오목부(117)에 관한 형빼기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가이드 레일(110)을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슬라이드식의 중자 등의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16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120)는, 가이드부(112)의 표면(112a)과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121)와, 베이스부(121)의 양 측부로부터 가이드부(112)의 배면(112b)으로 감돌도록 연장되어 그 배면(112b)과 대향하는 레일 누름부(122)와, 베이스부(121)로부터 브릿지 형상으로 돌출되어, 베이스부(121) 사이에 벨트 관통 구멍(124)을 발생시키는 벨트 구속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121)와 레일 누름부(122)의 간극은 벨트 가이드(120)의 상하단에도 개구되어, 이들 간극에 가이드부(112)가 삽입됨으로써, 벨트 가이드(120)가 가이드 레일(110)에 형성된다. 베이스부(121)와 레일 누름부(122) 사이의 간극의 크기는 레일 누름부(122)의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으로 가이드부(112)를 적절하게 밀어 넣을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레일 누름부(122)의 탄성 변형은, 베이스부(121)의 양 측부를 축으로 하여 레일 누름부(122)가 베이스부(121)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하는 변형이다. 벨트 가이드(120)를 가이드 레일(110)에 장착하면, 레일 누름부(122)가 베이스부(121)에 대하여 이격되는 방향으로 다소 탄성 변형되어, 그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으로 레일 누름부(122)를 가이드부(112)가 누른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부(112)가 베이스부(121)와 레일 누름부(122) 사이에 끼워진다.
좌우의 레일 누름부(122)의 가이드부(112)와 대향하는 면에는 돌기(125)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125)는, 가이드 레일(110)의 오목부(117)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완없이 끼워넣을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120)를 가이드 레일(110)에 장착하여 각 돌기(125)를 각 가이드부(112)의 오목부(117)에 끼워 맞춤으로써, 돌기(125)와 볼록부(116)가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에 맞물려 벨트 가이드(120)가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벨트 가이드(120)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벨트 가이드(120), 바람직하게는 벨트 구속부(123)에 손을 대어 벨트 가이드(120)를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으로 누르면 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121)와 레일 누름부(122)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레일 누름부(122)가 탄성 변형된다. 그 결과, 돌기(125)가 볼록부(116)를 타고 넘어 다른 오목부(117)로 이동하여, 벨트 가이드(120)의 위치가 변화된다.
도21은 가이드 레일(110)의 오목부(117)와 벨트 가이드(120)의 돌기(125)가 맞물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볼록부(116) 및 오목부(117)가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화살표 A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 있기 때문에, 돌기(125)는 가이드 레일(110)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가이드 레일(110)의 폭 방향(화살표 B 방향)에 관해서도 볼록부(116)와 맞물린다. 이에 의해, 가이드 레일(110)의 폭 방향으로의 벨트 가이드(120)의 덜컥거림이 규제된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102)의 커버(130)에는, 가이드 레일(110)을 커버(130)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펀치 구멍(130a)이 형성되어 있다. 펀치 구멍(130a)의 전체 둘레에는, 커버 옷감(131)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 재료로서의 니트 테이프(132)가 둘로 접힌 상태에서 씌워져 스티치 라인(L1) 상에서 꿰매져 있다. 즉, 펀치 구멍(130a)의 주위에는, 니트 테이프(132)에 의한 테두리 트리밍부가 설치되어 있다. 펀치 구멍(130a)은, 가이드 레일(110)의 다리부(111)와 접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도15의 파선 참조). 시트 본체(102)에 커버(130)를 장착했을 때에, 니트 테이프(132)는 벨트 가이드(120)의 레일 누름부(122)와 사이드 가드부(107)의 간극을 통해, 레일 누름부(122)보다도 더 안까지, 즉 가이드 레일(110)의 가이드부(112)와 사이드 가드부(107) 사이에 생기는 넓은 간극(133)(도16 및 도17 참조)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트 테이프(132)가 벨트 가이드(120)와 사이드 가드부(107) 사이에 끼워진다. 니트 테이프(132)가 설치된 펀치 구멍(130a)의 주위는, 커버 옷감(131)만으로 구성된 부분보다도 커버(130)의 두께가 증가한다. 이로 인해, 커버(130)를 외측(도17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잡아 당겨도, 커버(130)는 간극(133)으로부터는 용이하게 빠지지 않는다. 또한, 벨트 가이드(120)를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시킬 때에도, 니트 테이프(132)가 간극(133) 안에서 유지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레일(110)의 주위에서의 커버(130)의 말림을 방지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6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1)의 이면측에는 스토퍼(126)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126)는, 가이드 레일(110)의 주 리브(114)와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이드 레일(110)의 오목부(113)에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 가이드(120)를 가이드 레일(110)의 상단부 부근까지 이동시켰을 때, 스토퍼(126)가 오목부(113)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벨트 가이드(120)의 인상이 저지된다. 또한, 벨트 가이드(120)의 하단부에도 마찬가지의 스토퍼가 설치되어도 된다.
도15, 도19 및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구속부(123)에는, 벨트 관통 구멍(124)의 내부에 어깨 벨트를 통과하기 위한 슬릿(127)이 형성되어 있다. 그 슬릿(127)에 의해 벨트 구속부(123)는 상부 훅(128)과 하부 훅(129)으로 분단되어 있다. 도24에 자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127)은 벨트 가이드(120)의 표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방으로 볼록한 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 만곡 형상은 벨트 가이드(120)의 길이 방향 중심선(X)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다. 이와 같이, 슬릿(127)을 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벨트 관통 구멍(124)(도19 참조)에 통과된 어깨 벨트(150)가 벨트 관통 구멍(124)의 하부로 기울어 그 엣지(150a)가 슬릿(127)의 부근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그 엣지(150a)에 대하여 슬릿(127)이 일치하는 일없이, 어깨 벨트(150)가 상부 훅(128) 또는 하부 훅(129)에 반드시 걸린다. 이에 의해, 슬릿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어깨 벨트(150)의 슬릿(127)으로부터의 탈출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의 차일드 시트(101)에 의하면, 벨트 가이드(1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볼록부(116) 및 오목부(117)와, 돌기(125)를 가이드 레일(110) 및 벨트 가이드(120) 각각에 일체로 형성하고, 수지 성형품인 벨트 가이드(120)의 레일 누름부(122)를 탄성 변형시켜 돌기(125)가 끼워지는 오목부(117)를 변화시킴으로써 벨트 가이드(120)의 높이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101)의 한 쪽측에 복수의 벨트 가이드를 배열하여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벨트 가이드(12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부품 개수를 최소한으로 삭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벨트 가이드(120)의 베이스부(121)의 양 측부에 레일 누름부(122)가 이어져 형성되고, 게다가 그들의 레일 누름부(122)는 가이드부(112)의 배면(112b)측으로 감돌도록 연장되어 배면(112b)과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21)의 양 측부를 축으로 하여 레일 누름부(122)를 비교적 크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117)와 돌기(125)를 충분한 깊이로 끼워 맞추어, 돌기(125)가 오목부(117)에 끼워 맞추는 상태와, 돌기(125)가 볼록부(116)를 타고 넘는 상태 사이에서의 레일 누름부(122)의 탄성 변형량을 비교적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벨트 가이드(120)의 높이 조정에 대한 저항, 즉 돌기(125)가 볼록부(116)를 타고 넘을 때의 저항을 높여, 벨트 가이드(120)의 높이의 예상못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각도 조정 장치(10)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도시한 각도 조정 부재(11), 이동 규제 기구(12) 및 로크 기구(13)를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각도 조정 부재(11)는 그 설치 위치를 2단계로 변경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3 이상의 다단계로 변경할 수 있게, 상술한 이동 규제 기구의 이동 규제실의 수를 3 이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한, 각도 조정 부재의 설치 위치를 단계적으로 바꾸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그 설치 위치를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는 형태에서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규제 기구나 로크 기구를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이들을 하나씩 혹은 복수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돌출부로서는, 기둥 형상부(14)와 같이 사각기둥 등의 각기둥이어도 되고, 각이 없는 원기둥이나 타원기둥이어도 상관없다. 원래, 각기둥이나 타원기둥과 같이 비원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형태로 돌출부를 실시한 경우에는, 그 돌출부의 형상에 맞춘 이동 규제실에 돌출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단일의 돌출부이어도 돌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방향의 각도 조정 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에 관한 제1 면에 상당하는 경사면(21)과 본 발명에 관한 제2 면에 상당하는 직립면(22)이 매끄럽게 연결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제1 면과 제2 면을 그 경계에서 꺾여 구부러지는 상태에서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오목부를 실현해도 된다. 또한, 직립면(22)이 시트부(3)의 하면(30)에 대하여 대략 수직한 것은 필수가 아니고, 시트부의 하면(30)에 대하여 90° 이상 경사진 면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제2 면을 실현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벨트 가이드(120)의 레일 누름부(122)에, 벨트 가이드(120)의 안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볼록부 및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돌기를 가이드 레일(110)의 가이드부(112)에 형성하여도 된다. 일렬의 볼록부 및 오목부에 대하여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볼록부 및 오목부, 및 돌기의 형상은 도시한 형태에 한하지 않고, 벨트 가이드의 안내 방향에 대하여 볼록부와 돌기를 맞물리게 하여 벨트 가이드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면, 그들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의 형상도, 벨트 가이드를 그 높이가 변화되도록 안내 가능한 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차일드 시트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차일드 시트의 자세를 변경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4는 시트부로부터 이격된 각도 조정 부재의 상세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5는 도1의 V-V선을 따라 자른 확대 단면도.
도6은 도1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확대 단면도.
도7은 시트부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8은 도1의 V-V선을 따라 자른 확대 단면도로서, 전방의 이동 규제실에 기둥 형상부가 끼워져 있던 이동 규제 상태가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도1의 Ⅵ-Ⅵ선을 따라 자른 확대 단면도로서, 전방의 이동 규제실에 기둥 형상부가 끼워져 있던 이동 규제 상태가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후방의 이동 규제실에 기둥 형상부가 끼워져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1에 도시한 차일드 시트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측면도.
도12는 도11의 화살표 XII가 방향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일드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차일드 시트의 측면도.
도15는 가이드 레일과 벨트 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도15의 IV-IV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17은 가이드 레일의 주위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가이드 레일을 시트 본체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벨트 가이드의 사시도.
도20은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주 리브에 의한 손가락을 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1은 가이드 레일의 볼록부와 벨트 가이드의 돌기를 맞물리게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22는 가이드 레일 주위에 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23은 벨트 가이드의 스토퍼에 의해 그 이동이 규제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
도24는 벨트 가이드에 어깨 벨트가 통과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일드 시트
3 : 시트부
4 : 백부
11 : 각도 조정 부재
50 : 좌석
50a : 시트면
50b : 등받이

Claims (20)

  1. 시트부와 백부를 구비하고, 차량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면 상에 상기 시트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상기 백부가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좌석에 설치 가능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좌석의 상기 시트면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갖고, 또한 상기 시트부로의 설치 위치를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하여 변경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시트부에 설치된 각도 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정 부재는, 상기 시트부의 후방을 향하여 상하 방향의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한 상기 시트부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전후 방향 및 상기 좌우 방향에 관한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이동 규제 기구와,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이 상기 이동 규제 기구에 의해 규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 기구는,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상기 접촉 면의 반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전후 방향에 관한 상기 시트부의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복수의 이동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 기구는,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복수의 이동 규제부 중 인접하는 2개의 이동 규제부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고, 한 쪽의 이동 규제부로부터 벗어난 상기 돌출부를 다른 쪽의 이동 규제부까지 안내할 수 있는 안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비원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이동 규제부 각각은 상기 돌출부의 횡단면에 대응한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내부 공간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긴 관통 구멍이 형성된 로크판부와,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상기 접촉면의 반대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긴 관통 구멍에 삽입되고, 또한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이동이 상기 이동 규제 기구에 의해 규제되었을 때에 상기 긴 관통 구멍의 테두리부를 타고 넘어 상기 로크판부와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된 로크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 기구에 의한 상기 규제가 해제된 경우에 상기 시트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상기 각도 조정 부재의 허용 한도를 초과한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빠짐 방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9.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일단부에 접속된 백부를 갖는 시트 본체를 구비하고, 차량에 설치된 좌석의 시트면 상에 상기 시트부가 위치하고 또한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상기 백부가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좌석에 설치 가능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에는,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백부의 경계에 위치하고, 상기 시트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과 상기 백부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의 교점의 위치보다도 오목하게 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백부의 배면에 이어서 상기 시트부의 전방으로 기울면서 연장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과 상기 시트부의 하면의 교점의 위치보다도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종점을 향하여 상기 제1 면에 이어서 연장되는 제2 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이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의 경계가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의 무게 중심보다도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상기 종점이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는 그 후단부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한 쪽측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된 퇴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퇴피부는, 상기 시트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시트부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과 상기 백부의 배면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테두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4. 시트부 및 백부를 갖는 시트 본체와, 상기 시트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고, 차량의 안전 벨트의 어깨 벨트가 통과되는 벨트 가이드를 구비한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에는, 상기 벨트 가이드를 대략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벨트 가이드에는, 탄성 변형에 대한 복원력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압 박되는 레일 누름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벨트 가이드의 상기 레일 누름부 각각의 대향면의 어느 한 쪽에는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한 상기 벨트 가이드의 안내 방향을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대향면의 다른 어느 한 쪽에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시트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로부터 상기 측면을 따라 상기 안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 가이드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표면과 대향 배치되는 베이스부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 누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 측부 각각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배면측으로 감돌도록 연장되어 상기 배면과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상기 배면 각각에, 상기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 또는 상기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상기 배면의 각각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가 상기 안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가 수지 사출 성형품이며,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기울기 방향이 상기 시트 본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한계선과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표면측에 개구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내부에는, 당해 오목부내에 유아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에 씌워지는 봉제품의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당해 커버의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펀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펀치 구멍의 주위에는 테이프 재료가 씌워지고, 상기 테이프 재료에 의한 테두리 트리밍부가 상기 벨트 가이드의 상기 레일 누름부를 넘어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측면 사이의 간극까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20.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가이드에는, 상기 어깨 벨트를 통과하기 위한 벨트 관통 구멍을 발생시키는 벨트 구속부가 설치되고, 상기 벨트 구속부에는, 상기 벨트 관통 구멍에 대하여 상기 어깨 벨트를 빼고 꽂기 위한 슬릿이 상기 벨트 구속부를 한 쌍의 훅부로 분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릿이 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
KR1020080047853A 2007-05-25 2008-05-23 차일드 시트 KR200801039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39169 2007-05-25
JP2007139169A JP5263917B2 (ja) 2007-05-25 2007-05-25 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07-00139243 2007-05-25
JP2007138678A JP5144958B2 (ja) 2007-05-25 2007-05-25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7139243A JP2008290617A (ja) 2007-05-25 2007-05-25 チャイルドシート
JPJP-P-2007-00138678 2007-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912A true KR20080103912A (ko) 2008-11-28

Family

ID=4028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853A KR20080103912A (ko) 2007-05-25 2008-05-23 차일드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103912A (ko)
TW (1) TW2009163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8353B2 (en) 2019-08-09 2023-04-04 Wonderland Switzerland A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ecuring an infant car seat to a vehicle seat with a tight fit and without using a detachable vehicle installation base or a vehicle seat belt, and ride-hailing methods relating to same
EP4010223A4 (en) * 2019-08-09 2023-09-06 Wonderland Switzerland A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TTACHING AN INFANT SAFETY SEAT TO A VEHICLE SEAT WITH AN INTENSE FIT AND WITHOUT USING A REMOVABLE VEHICLE INSTALLATION BASE OR A VEHICLE SEAT BELT AND CAR METHODS RELATING THERETO
CN115107600A (zh) 2021-03-23 2022-09-27 宝钜(中国)儿童用品有限公司 侧翼调整机构及可调整式乘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16350A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5425B2 (ja) 車両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装置の調整構造
EP2540563A1 (en) Child seat
JP6368010B2 (ja) 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用ウェビング調節装置
JPS63235137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ト
JP4488598B2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
US9758126B2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and shoulder pad
KR20130089125A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US9694783B2 (en) Child safety seat
US3498672A (en) Vehicle headrest construction
KR20080103912A (ko) 차일드 시트
JP5187889B2 (ja) 車両用シート
JP3201637U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2003984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JP5305430B2 (ja) 車両用シート
JPH10181524A (ja) シートベルト付きシート
KR1021180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웨빙가이드
CN101311028B (zh) 儿童座椅
JP514495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S6040370Y2 (ja) シ−トベルトアンカ−装置
KR200414197Y1 (ko) 차량용 센터필러트림 구조
JP5099492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618087B1 (ko) 시트벨트 장치
JPH1016707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及びシートベルトの高さ調節機構
JP200113878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6974396B2 (ja) スルーアン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