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3797B1 - 시트 벨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797B1
KR100303797B1 KR1019990033769A KR19990033769A KR100303797B1 KR 100303797 B1 KR100303797 B1 KR 100303797B1 KR 1019990033769 A KR1019990033769 A KR 1019990033769A KR 19990033769 A KR19990033769 A KR 19990033769A KR 100303797 B1 KR100303797 B1 KR 100303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eat belt
frame
spring
rele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993A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승복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복, 델파이 오토모티브 시스템스 성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승복
Priority to KR101999003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797B1/ko
Priority to DE60015253T priority patent/DE60015253T2/de
Priority to EP00306524A priority patent/EP1077037B1/en
Priority to US09/634,485 priority patent/US6725509B1/en
Priority to JP2000239682A priority patent/JP3306049B2/ja
Priority to CNB001235672A priority patent/CN1163371C/zh
Publication of KR2001001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993A/ko
Priority to HK01105617A priority patent/HK1034941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7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치형상의 지지단을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프레임과, 경사면과 사이드 가이드를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록킹블럭에 의해서, 시트벨트의 잠금 및 해제시의 이상해리현상을 최소화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시트 벨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시트벨트를 연결 및 해제시키도록, 돌출단(530)이 형성된 릴리스버튼(500)과, 상기 릴리스버튼(500)을 유도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 프레임(100)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경사면이 형성된 록킹블럭(400)과, 상기 록킹블럭(400)의 종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록킹블럭용 가이더(202)들과 제3스프링(630)이 결합된 록킹부(200)와, 상기 록킹부(200)의 잠금작동을 유발시키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03)에서 제2스프링(620)으로 결합된 이젝터(60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런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상기 릴리스버튼(500)의 이면에는 제1스프링(541)을 안착시킬 수 있게, 스프링안착부(5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200)에는 두 개의 걸림턱(203)들이 상방향으로 약간 굴곡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203)을 지지하도록, 프레임(100)에는 아치형상의 지지단(130)이 형성되어 있고, 그러므로써, 외부충격에 대한 탄성변형을 최소화시켜서, 상기 록킹부(200)의 이상해리현상을 최소화 시킨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체결장치{Seat belt buckle}
본 발명은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벨트에 고정된 텅의 삽입방향으로 누름버튼을 이동하므로써, 시트벨트의 착용상태를 유지 및 해제시킬 수 있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용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에 탑승자가 충격으로 인해서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시트벨트는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다.
그러한 시트벨트는 차량의 프론트 시트나 리어시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텅을 구비한 제1벨트와, 시트 벨트 체결장치를 구비한 제2벨트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텅은 제1벨트의 단부를 연결시킬 수 있게 형성된 고리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금속판으로서,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래치(latch)를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텅을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차량에 고정된 제2벨트의 단부에 고리로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임의대로 벨트들을 연결 및 해제하는 시트벨트용 버클(buckle)을 의미한다.
그러한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인출버튼을 누르는 방식에 따라, 가압 버튼식과 슬라이딩 버튼식이 있다. 가압 버튼식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시트에 설치되고, 박판 스프링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가압되는 래치를 이용하여 텅을 고정시키므로써 벨트들을 체결한다. 이런 방식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미국특허 제4,127,922호와, 제4,064,603호 및, 제4,998,328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버튼식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프론트 시트에 설치되고, 텅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식의 누름버튼을 가압시, 록킹블럭의 슬라이딩작동과, 록킹부의 잠금작동에 의해 텅을 고정시키므로써, 벨트들을 체결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잠금작동이란, 스프링과 록킹블럭 및 이젝터가 슬라이딩 되고, 힌지축인 윙을 기준으로 록킹부의 상단이 하방향으로 움직이므로써, 록킹부의 래치가 시트벨트에 고정된 텅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해제작동이란, 힌지축인 윙을 기준으로 록킹부의 상단이 상방향으로 움직이므로써, 록킹부의 래치가 시트벨트에 고정된 텅의 고정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방식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미국특허 제5,718,020호와, 제5,271,129호 및, 제4,899,424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도 1에 보이듯이, 프레임(10)에서 제1스프링을 이용하여, 삽입 해제된 시트벨트의 텅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젝터(ejector), 이런 이젝터와 연계하여 잠금작동할 경우에 상기 텅을 고정시키는 록킹부(20 ; locking member)와, 이런 록킹부(20)에서 제2스프링(42)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록킹블럭(40) 및, 이런 록킹블럭(40)을 밀어내므로써, 록킹부(20)를 텅의 고정홈에서부터 해제시키는 릴리스버튼(50)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도 2에 보이듯이, 종래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서 프레임(10)은 이젝터(60)를 활주시킬 수 있도록, 측벽(17, 18)에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프레임(10)의 측벽(17, 18)들은 하부플레이트(16)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6)의 중앙에는 이젝터(60)의 활주를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터(60)는 주동체부와 두 개의 후방 대향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플레이트(16)의 공간 안쪽에는 제2고정단(15)이 형성되어 있다. 제2고정단(15)은 제1스프링(61)을 고정하므로써, 이젝터(60)를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릴리스버튼(50)의 연장단(51, 52)들은 프레임(10)의 측벽(17, 18)의 전방 상단(11, 12)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하고 있다. 또한, 지지바(13)는 프레임(10)의 결합구멍(14)에 횡방향으로 고정되고, 록킹블럭(40)을 정지시키는 턱과 같은 역할과, 잠금작동시 상기 록킹블럭(40)을 하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프레임(10)의 측벽(17, 18)의 상단 후방에는 힌지홈(19)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런 힌지홈(19)들에는 한 개의 노치(notch) 형상의 걸림턱이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힌지홈(19)들에는 록킹부(20)의 윙(21)이 힌지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록킹부(20)는 경사지게 하방향으로 돌출된 래치(2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록킹부(20)에는 록킹블럭(40)에체결되는 제2스프링(42)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3고정단(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록킹부(20)의 끝단에는 잠금작동을 위해서, 하방향으로 직각에 가깝게 굴곡되어 연장된 두 개의 다리(2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록킹부(20)의 다리(25)는 상기 이젝터(60)가 종방향으로 밀려 들어올 경우, 이젝터(60)의 후단면에 직접 접촉하므로써, 잠금작동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록킹부(20)에는 록킹블럭(40)의 가이더(41)를 슬라이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양 측단(23)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록킹블럭(40)은 록킹부(20)의 평면부에 경사진 캠버(camber) 표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록킹블럭(40)은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의 중합(polymerization)에 의해 생산되는 폴리옥시메틸렌타입의 아세탈 수지(polyoxymethylene-type acetal resin)로 형성되어 있다. 이런 록킹블럭(40)은 제2스프링(42)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록킹부(20)를 잠금작동시킬 경우, 상기 록킹부(20)의 래치(22)로 하여금 상기 텅의 고정홈을 고정시키게 한다.
그러한 종래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서는 삽입된 텅을 해제하기 위해서 릴리스버튼(50)을 누른다. 그럴 경우, 릴리스버튼(50)은 프레임(10)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하는 릴리스버튼(50)은 록킹블럭(40)을 록킹부(20)에서 슬라이딩식으로 작동시켜서 후방으로 밀어낸다. 이때, 록킹블럭(40)은 제2스프링(42)의 반발력에 의해서 록킹부(20)에서 슬라이딩식으로 작동한다. 또한, 록킹부(20)는 상기 록킹블럭(40)의 슬라이딩작동으로 지지바(13)의 경사면이 밀착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2스프링(42)의 반발력으로 해제작동 한다. 이때, 해제작동하는 록킹부(20)의 래치(22)는 텅의 고정홈에서 이탈한다. 그리고, 이젝터(60)는 록킹부(20)의 래치(22)가 고정홈에서 이탈된 상기 텅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프레임과 지지바로 분리되어 있어서, 상대적으로 견고하지 못한 구조를 갖고 있어서, 예상치 못한 충격 및 진동에 의해서, 록킹부의 래치가 텅의 고정홈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이젝터가 작동하여 텅을 배출시키는 것과 같은 이상해리현상을 가져온다.
또한, 종래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릴리스버튼의 구동부가 직접적으로 록킹블럭의 경사면을 작동시킴으로써, 평소 체결시 접촉점의 일치로 인한 외부의 충격 또는 중력에 의해서, 록킹블럭을 오작동시키는 이상해리현상을 가져온다.
또한, 종래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상대적으로 기밀하지 못한 프레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작비 상승에 따른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치형상의 지지단을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프레임과, 경사면과 사이드 가이드를 일체형으로 형성시킨 록킹블럭에 의해서, 시트벨트의 잠금 및 해제시의 이상해리현상을 최소화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시트 벨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조립관계 및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200 : 록킹부
400 : 록킹블럭 500 : 릴리스버튼
600 : 이젝터 700, 701 : 외장케이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벨트를 연결 및 해제시키도록, 돌출단이 형성된 릴리스버튼과, 상기 릴리스버튼을 유도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 프레임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경사면이 형성된 록킹블럭과, 상기 록킹블럭의 종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록킹블럭용 가이더들과 제3스프링이 결합된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의 잠금작동을 유발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홈에서 제2스프링으로 결합된 이젝터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버튼의 이면에는 제1스프링을 안착시킬 수 있게,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에는 상기 록킹블럭에 의한 탄성변형을 막도록, 두 개의 걸림턱들이 상방향으로 약간 굴곡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걸림턱을 지지하도록, 아치형상의 지지단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러므로써, 외부충격에 대한 탄성변형을 최소화시켜서, 상기 록킹부의 이상해리현상을 최소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안착부에 결합된 제1스프링은 상기 프레임의 지지단에 고정된 클립형상의 글로브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젝터의 양 측단에는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홈에서 삽입될 수 있는 가이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록킹블럭의 상면에는 다수의 충격감쇠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는 상기 록킹부의 결합상태를 양호하게 하도록, 안쪽으로 대향되게 접혀진 코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하부프레임에는 릴리스버튼의 가이더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전방으로 연장된 코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릴리스버튼의 이면에는 릴리스버튼을 누를 경우 결합유격에 의한 약간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을 각각 구비한 돌출지지봉들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출지지봉들에는 원할한 릴리스버튼의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4스프링들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보이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제1스프링(541)과 스프링안착부(540) 및 글로브(542)을 구비한 릴리스버튼(500)과, 이런 릴리스 버튼(500)을 시트벨트의 텅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눌러서 텅을 해제시키도록, 일체형 프레임(100)과, 탄성변형을 막도록 두 개의 걸림턱(203)들이 일체형으로 전방에 형성된 록킹부(200)와, 이런 록킹부(200)을 지지하기 위한록킹블럭(400)과, 양측단에 형성된 가이더(610)를 구비한 이젝터(600) 및, 외장케이스(700, 701)를 갖는다.
또한, 도 4에 보이듯이, 프레임(100)은 아치형상의 지지단(130)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런 아치형상의 지지단(130)의 하단은 수직하게 꺾여서 하부플레이트(16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160)의 양쪽 후방에는 철판부재를 제단하여 수직하게 세운 측벽(110, 120)들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하부플레이트(160)의 양쪽 전방 코너(101)들은 릴리스버튼(500)의 가이더(510)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측벽(110, 120)들의 상부 코너(102)들은 장착될 록킹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쪽으로 약간 들어오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110, 120)들의 하부에는 이젝터(600)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홈(10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힌지홈(104)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힌지홈(104)들은 안쪽방향으로 각각 턱(105, 106)들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턱(105, 106)들은 힌지홈(104)에 결합되는 록킹부(200)의 윙(210)의 결합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이렇게 형성된 프레임(100)은 구조적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기밀한 구조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릴리스버튼(500)의 이면에는, 버튼을 누를 경우 결합유격에 의한 미세한 비틀림 없이 릴리스버튼(500)을 지지하도록, 이탈방지턱(520)을 각각 구비한 돌출지지봉(521, 522)들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릴리스버튼(500)의 이면 중앙에는 록킹블럭(400)을 밀어냄과 동시에, 상방향으로 이동을 돕도록 경사면을구비한 돌출단(5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돌출단(530)의 상향에는 해제작동시 릴리스버튼(500)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541)을 삽입시키기 위한 스프링안착부(54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은 클립(clip)형상의 글로브(542)로 연결되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아치형상의 지지단(130)에 결합된다.
그리고, 이젝터(600)는 제2스프링(620)으로 프레임(100)에 지지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두 개의 가이더(610)는 이젝터(600)의 측단에 돌출성형되어 있고,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03)에 체결되므로써, 상하방향으로 잘 이탈되지 않고, 원활한 슬라이딩작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이젝터(600)의 상부에는 록킹부(200)가 배치되어 있다. 이런 록킹부(200)의 걸림턱(203)들은 프레임(100)의 아치형상의 지지단(130)에 걸리게 되므로써, 예상치 못한 충격이 인가될 경우에도, 록킹부(200)의 탄성변형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런 록킹부(200)에는 텅의 고정홈에 체결될 수 있게 전방향으로 경사진 반튜브 형상의 래치(201)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킹부(200)의 양 측단에는 록킹블럭(400)의 슬라이딩작동을 유도하는 록킹블럭용 가이더(202)들이 각각 약간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킹부(200)의 후방 양 측단에는 힌지 작동을 하는 제1윙(210)과, 제2윙(220)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윙(210, 220)들이 형성된 록킹부(200)의 후방에는 약간 만곡되게 하방향으로 꺾인 두 개의 다리(23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다리(230)들은 상기 텅의 삽입에 의해 후퇴하는 이젝터(600)와 접촉하므로써, 상기 제1윙(210)을 기준으로 록킹부(200)의 앞부분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런 록킹부(200)에는 제3스프링(630)으로 지지되는 록킹블럭(400)이 체결된다. 이런 록킹블럭(4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충격감쇠홈(4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킹블럭(400)의 전면은 상기 릴리스버튼(500)의 돌출단(530)과 미끄럼 대우식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경사면(411)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록킹블럭(400)의 양쪽 측면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록킹블럭가이더(401)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록킹블럭가이더(401)들은 상기 록킹블럭용 가이더(202)들에 각각 미끄럼결합하도록, 끝단이 안쪽으로 꺾여지게 형성되어 있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보이듯이, 먼저, 사용자는 시트벨트를 착용하기 위해서 시트벨트의 텅(800)을 손으로 잡고,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삽입구멍(109)에 삽입(a)시킨다. 그런 경우, 텅(800)은 삽입구멍(109)을 따라 들어가면서, 이젝터(600)를 후방으로 밀어 낸다. 이렇게 밀리는 이젝터(600)는 프레임(100)의 가이드홈을 따라 수평하게 이동하면서, 록킹부(200)의 다리(230)들을 후방으로 밀게 된다. 이때, 록킹부(200)는 제1윙(210)을 기준으로 앞부분을 약간 회동시킨다. 이렇게 회동된 록킹부(200)의 래치(201)는 삽입된 텅(800)의 고정홈(810)에 체결되므로써, 텅(800)이 빠져나가지 않게 고정한다. 또한, 프레임(100)의 지지단(130)에 의해 정지된 상기 록킹블럭(400)은 상기 록킹부(200)의 작동과 연계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록킹블럭(400)은 상기제3스프링(6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100)의 지지단(130)과 록킹부(20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럴 경우, 록킹블럭(400)은 상기 지지단(13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록킹부(20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렇게 체결되는 시트벨트의 텅(800)은 사용자가 릴리스버튼(500)을 축방향(c)으로 누를 경우에 해제(b)된다. 그러한 경우, 눌려진 릴리스버튼(500)의 돌출단(530)은 록킹블럭(400)의 중앙에 형성된 경사면(411)을 밀게 된다. 이때, 록킹블럭(400)은 밀리게 되고, 제3스프링(630)에 의해서 상기 지지단(130)에서 빠져나옴과 동시에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록킹블럭(400)은 제3스프링(630)의 반발력에 의해 록킹블럭(400)의 경사면(411)과 지지단(130)의 면접촉에 의해 록킹부(200)를 상방향으로 약간 회동시킨다. 이때, 록킹부(200)의 두 개의 걸림턱(203)들은 상기 지지단(130)에 걸리게 되어서 더 이상 록킹부(200)를 회동시키기 못하게 한다. 또한, 록킹부(200)의 래치(201)는 텅(800)의 고정홈(810)에서 빠져나온다. 그리고, 상기 래치(201)가 빠져나와서, 고정상태가 해제된 텅(800)은 제2스프링(620)의 반발력으로 지지되는 이젝터(60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릴리스버튼(500)은 제1스프링(541)에 의해서 원래의 자리로 복귀된다.
<제2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릴리스버튼을 안정되게 복귀시키도록, 두 개의 돌출지지봉에 제4스프링을 각각 결합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 내지 도 7에서 동일하거나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릴리스버튼(500)의 이면에 형성된 각각의 돌출지지봉(521, 522)에는 릴리스버튼(500)의 복원력을 주기위한 제4스프링(543, 543')들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렇게 결합된 제4스프링(543, 543')들은 프레임(100)은 아치형상의 지지단(130)에 동시에 접촉하여 지지된다. 상기 릴리스버튼(500)의 축방향의 가압시, 제4스프링(543, 543')들은 수축하고, 소정크기의 탄성력으로 이완하면서, 상기 릴리스버튼(500)을 원래의 자리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런 제4스프링(543, 543')들은 비틀림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돌출지지봉(521, 522)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릴리스버튼(500)의 축방향으로 안정된 복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릴리스버튼(500)을 사용시, 보다 높은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며, 번튼사고시 충력으로 인한 장력 전달 요소를 완하하며, 비틀림 없이 릴리스버튼(500)을 작동시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불필요 없는 부분을 없애고, 아치 형상의 지지단을 일체형으로 형성하므로써, 보다 안정된 구조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탄성변형을 최소화 시키도록, 록킹부의 전방에 두 개의 걸림턱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록킹부의 힌지 작동을 안정되게 하므로써, 이상해리현상을 최소화 시킨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의 릴리스버튼은 다수의 가이드바와,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는 지지단을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형성시킴과 같이 부품수를 줄이므로써, 제작비용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8)

  1. 시트벨트를 연결 및 해제시키도록, 돌출단(530)이 형성된 릴리스버튼(500)과, 상기 릴리스버튼(500)을 유도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 프레임(100)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경사면이 형성된 록킹블럭(400)과, 상기 록킹블럭(400)의 종방향 이동을 유도하는 록킹블럭용 가이더(202)들과 제3스프링(630)이 결합된 록킹부(200)와, 상기 록킹부(200)의 잠금작동을 유발시키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03)에서 제2스프링(620)으로 결합된 이젝터(600)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버튼(500)의 이면에는 제1스프링(541)을 안착시킬 수 있게, 스프링안착부(5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부(200)에는 상기 록킹블럭(400)에 의한 탄성변형을 막도록, 두 개의 걸림턱(203)들이 상방향으로 약간 굴곡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에는 상기 걸림턱(203)을 지지하도록, 아치형상의 지지단(1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러므로써, 외부충격에 대한 탄성변형을 최소화시켜서, 상기 록킹부(200)의 이상해리현상을 최소화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안착부(540)에 결합된 제1스프링(541)은 프레임(100)의지지단(130)에서 고정된 클립형상의 글로브(542)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600)의 양 측단에는 상기 프레임(100)의 가이드홈(103)에서 삽입될 수 있는 가이더(6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블럭(400)의 상면에는 다수의 충격감쇠홈(40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측벽(110, 120)에는 상기 록킹부(200)의 결합상태를 양호하게 하도록, 안쪽으로 대향되게 접혀진 코너(102)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프레임(160)에는 릴리스버튼(500)의 가이더(510)를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전방으로 연장된 코너(101)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버튼(500)의 이면에는 릴리스버튼(500)을 누를 경우 결합유격에 의한 약간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520)을 각각 구비한 돌출지지봉(521, 522)들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봉(521, 522)들에는 원할한 릴리스버튼(500)의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4스프링(543, 543')들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1019990033769A 1999-08-17 1999-08-17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100303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769A KR100303797B1 (ko) 1999-08-17 1999-08-17 시트 벨트 체결장치
DE60015253T DE60015253T2 (de) 1999-08-17 2000-07-31 Sicherheitsgurtschloss
EP00306524A EP1077037B1 (en) 1999-08-17 2000-07-31 Seat belt buckle
US09/634,485 US6725509B1 (en) 1999-08-17 2000-08-08 Seat belt buckle
JP2000239682A JP3306049B2 (ja) 1999-08-17 2000-08-08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
CNB001235672A CN1163371C (zh) 1999-08-17 2000-08-17 安全带扣环
HK01105617A HK1034941A1 (en) 1999-08-17 2001-08-13 Seat belt buc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769A KR100303797B1 (ko) 1999-08-17 1999-08-17 시트 벨트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93A KR20010017993A (ko) 2001-03-05
KR100303797B1 true KR100303797B1 (ko) 2001-09-24

Family

ID=1960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769A KR100303797B1 (ko) 1999-08-17 1999-08-17 시트 벨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4B1 (ko) * 2013-10-28 2014-11-12 (유)삼송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795A (ko) * 2001-11-05 2003-05-16 강진희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버클 조립체 및 그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0437701B1 (ko) * 2002-02-08 2004-06-30 강진희 버클
KR100437703B1 (ko) * 2002-02-08 2004-06-30 강진희 버클
KR20030067295A (ko) * 2002-02-08 2003-08-14 강진희 버클
KR20030067443A (ko) * 2002-02-08 2003-08-14 강진희 버클
KR20040034131A (ko) * 2002-10-21 2004-04-28 강진희 버클
CN103690336A (zh) * 2014-01-04 2014-04-02 周玉梅 一种用于站立训练床的扣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6201A (ja) * 1983-10-31 1985-05-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ツクル装置
KR850007923U (ko) * 1983-09-12 1985-10-26 다까다 가부시기가이샤 시이트 벨트용 랫치 버클(Latch Buckle)
JPH11206A (ja) * 1997-06-13 1999-01-06 Nippon Seiko Kk バックル装置
KR19990027000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7923U (ko) * 1983-09-12 1985-10-26 다까다 가부시기가이샤 시이트 벨트용 랫치 버클(Latch Buckle)
JPS6096201A (ja) * 1983-10-31 1985-05-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ツクル装置
JPH11206A (ja) * 1997-06-13 1999-01-06 Nippon Seiko Kk バックル装置
KR19990027000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4B1 (ko) * 2013-10-28 2014-11-12 (유)삼송 쇼크프루프 장치가 구비된 시트벨트의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93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797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US10857968B2 (en) Lateral shock absorber and child car safety seat therewith
US5253923A (en) Seat assembly having wedged locking mechanism
US11009069B1 (en) Slide rail mechanism
JPH0716445B2 (ja) 座席ベルトバツクル
CN110869242B (zh) 头枕移动装置
US6266855B1 (en) Seat belt buckle
KR100323844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JP6383090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及びシステム
JP5430331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ロック装置のロックユニット取付構造
GB2241019A (en) Safety belt fastener
US5377393A (en) Seat belt buckle
JP3455428B2 (ja) バックル用スイッチ及びバックル
KR10193681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US20180332930A1 (en) Buckle device
KR102638232B1 (ko) 시트 벨트 장치용 버클 및 시트 벨트 장치
US11548421B2 (en) Headrest locking device
KR100979273B1 (ko) 헤드레스트
KR20190057903A (ko) 매뉴얼 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록킹 구조
CN116424415A (zh) 婴儿车
CN114735066B (zh) 手推车
KR100271954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CN215794183U (zh) 一种车座组件
JP2505602Y2 (ja) 子供用シ―ト及び子供用シ―ト取付構造
KR100437701B1 (ko)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