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295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295A
KR20030067295A KR1020020007258A KR20020007258A KR20030067295A KR 20030067295 A KR20030067295 A KR 20030067295A KR 1020020007258 A KR1020020007258 A KR 1020020007258A KR 20020007258 A KR20020007258 A KR 20020007258A KR 20030067295 A KR20030067295 A KR 2003006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rtion
upper frame
slot
shaped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진희
Original Assignee
강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희 filed Critical 강진희
Priority to KR1020020007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7295A/ko
Publication of KR2003006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2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1Tongu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자형 상측 프레임부와, 이 U자형 상측 프레임부를 측방향에서 삽입하여 지지하는 하측 프레임부로 구성된 버클에 관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재료 및 부품수가 절감되고, 또한 조립 작업이 간단해지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에 구비되는 안전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료 및 부품수가 절감되고, 또한 조립 작업이 간단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릴리스 버튼을 누르는 방식에 따라 크게 가압 버튼 방식과 슬라이딩 버튼 방식으로 나뉜다.
가압 버튼 방식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시트에 설치되고, 텅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눌러지는 릴리스 버튼을 사용하여 래치판과 텅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딩 버튼 방식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프론트 시트에 설치되고, 텅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릴리스 버튼을 사용하여 래치판과 텅의 걸어맞춤을 해제시킨다.
이러한 슬라이딩 버튼 방식의 버클들 중 종래의 버클은 도 7 내지 도 11에 예시되어 있다.
종래의 버클(100)은 하측 프레임부(104)와 이 하측 프레임부(104)와 결합되는 상측 프레임부(106)를 구비한 프레임(102)을 포함한다.
하측 프레임부(104)는 2개의 측면부(108a, 108b)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부(108a, 108b)는 연장부(113) 내에 래치판 슬롯(110)을 포함하고, 연장부(113)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래치판(180)을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측면부(108a, 108b)는 추가로 제 1 리지(ledge)(114)를 포함한다.
홈(116)은 각각의 리지(114)의 후방에 위치하고, 홈(116)은 상측 프레임부(106)의 중간 부분(160, 162)을 수용한다.
각각의 리지(122)를 형성하는 슬롯(120)은 대응하는 후방 측면단부(118) 내에 각각의 홈(116)의 후방에 위치한다.
프레임부(104)의 바닥(112)은 교차 슬롯(126)을 갖는 T자형 슬롯(124)을 포함하며, 이 교차 슬롯(124)은 래치판(180)의 래치부(182) 및 이젝터 스프링(129)용 가이드 또는 하우징에 대해 조력하는 축방향 연장부(128)를 수용한다.
이젝터 스프링(129)의 일단부는 직립 보스(130)[상측 프레임(106)의 절곡부에 의해 형성됨] 상에 수용되고, 이젝터 스프링(129)의 타단부는 이젝터(131)와 결합된다. 이젝터(131)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며 측면부(108a, 108b)의 내벽(132a, 132b)에 대해 슬라이딩함에 따라 전후로 가이드된다.
하측 프레임부(104)는 개구(136)를 갖는 단부 피스(134a)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면부(108a, 108b)의 전방은 하측 프레임부(104)가 상측 프레임부(106)에 대해 수용되고 정렬되는 슬롯(140)을 포함한다.
상측 프레임부(106)는 한 세트의 이격된 개구(152a, 152b)를 갖는 얇고 평탄한 판(150)으로 형성되고, 중앙 개구(154)는 좁은 연장 슬롯(156) 및 교차 슬롯(126b)을 구비한다.
하측 프레임부(104)상에 위치할 경우에 슬롯(156)은 축방향 연장부(128)[하측 프레임부(104)내]에 대해 동일직선상에 있고, 이젝터(131)의 결합부를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하측 프레임부(104)는 상측 프레임부(106) 내의 개구(136)와 동일한 크기의 개구(136)를 갖는 단부 피스(134a)를 포함한다. 하측 프레임부(104)와 상측 프레임부(106)가 리벳에 의해 결합될 때 이러한 개구(136)는 서로 정렬된다. 이러한 구성은 조립된 프레임부(104, 106)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부(106)의 슬롯(152a, 152b)은 측면부(108a, 108b)의 전방의 슬롯(140) 내에 수용된다. 상측 프레임부(106)는 중간부(160, 162)와 함께 하측 프레임부(104) 상의 평면에 배치되고, 중간부(160, 162)는 대향하는 슬롯 또는 각 측면부의 홈(116)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부(161)는 상측으로 절곡(도 3에 도시됨)되어 하측 프레임부(104) 상의 적소에서 협동할 경우 텅(173)이 수용되는 슬롯(170)을 형성한다. 상측 프레임부(106)의 측면부(165a, 165b)는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젝터 스프링(129)은 상측 프레임부(106)와 하측 프레임부(104) 사이에 느슨하게 삽입되어 있다.
래치판(180)은 측면부(108a, 108b)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래치판(180)은, 슬롯(126, 126b) 내에 그리고 텅(173)의 래치 수용 개구(175) 내에 수용되는 중앙 래치부(182)와, 래치판 슬롯(11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가이드되는 2개의 측면 레그(184a, 184b)와, 통상적으로 정사각형인 2개의 연장 단부(186)를 포함한다. 중앙 래치부의 팁(187)은 모따기될 수도 있다. 래치판(180)은 상측 중앙부(188)를 더 포함한다. 판스프링(190)은 상측 중앙부(188) 상에 작동하여 래치판(180)을 걸려 있는 위치에 대해 프레임부 내의 슬롯(126, 126b)으로 하측으로 편향시킨다. 도 11은 래치판(180)과 판스프링(190)만의 사시도이다.
조립중에 래치판(180)은 하측 프레임(104)의 래치판 슬롯(110) 사이에 삽입된다. 래치판(180)의 연장 단부(186)는 래치판 슬롯(1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버클(100)은 또한 릴리스 버튼(250)을 포함한다. 릴리스 버튼(250)은 하측 프레임부(104)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된다. 릴리스 버튼(250)은 상측부(254) 및 연장 측면(256)으로부터 텅(173)을 해제하도록 함몰된 단부(252)를 포함한다. 릴리스 버튼(250)의 각각의 측면(256)의 내측면 중간에는 소정 길이의 일자형 홈(257)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릴리스 버튼(250)의 일자형 홈(257)은 상측 프레임부(106)의 측면부(165a, 165b)를 슬라이딩한다. 일자형 홈(257)은 측면(256)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릴리스 버튼(250)을 상측 프레임부(106)에 조립했을 때, 측면부(165a, 165b)의 플랜지(167a, 167b)가 일자형 홈(257)의 선단에 걸려 상측 프레임부(106)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릴리스 버튼(250)은 그 측면(256)이 프레임부(106)의 측면부(165a, 165b)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또한, 릴리스 버튼(250)의 측면(256)은 측면 슬롯(258)을 포함하고, 측면 슬롯(258)의 하부에는 래치판(18)의 연장 단부(186)의 하측부(262)와 결합하는 경사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조립체(300)는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의 슬롯(122) 내에 위치한다. 스프링 조립체(300)는 각각의 프레임 측면부(108a, 108b) 내에 그리고 상측 프레임부(106)의 개구(154) 내에 수용되는 본체(302)를 포함한다. 판스프링(190)의 일단부(304)는 이러한 본체(302) 내에 끼워진다. 본체는 보스(308)를 갖는 라이저(306)를 포함한다. 나선형 편향 스프링(310)은, 그 일단이 스프링 조립체(300)의 보스(308) 상에 수용되고 그 타단이 릴리스 버튼(250) 내의보스(미도시) 상에 수용된다. 이러한 스프링(310)은 릴리스 버튼(250)을 프레임부(104)에 대해 외부로 편향시키도록 조력하고, 승객이 릴리스 버튼(250)을 누를 때 버튼(250)의 상측 이동을 방지한다.
스프링 조립체(300)는 슬롯(122)에 결합되면서 상측 프레임부를 하측 프레임부의 홈(116)내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텅(173)을 해제하기 위해서 릴리스 버튼(250)을 누르면, 측면 슬롯(258)이 래치판(180)에 걸쳐 이동하고, 경사부(260)는 연장 단부(186)를 들어올리므로, 래치판(180)은 프레임부 내의 슬롯(126, 126b) 및 텅(173) 내의 슬롯(175)에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이젝터(131)는 텅(173)을 버클(100)로부터 이탈시킨다.
릴리스 버튼(250)은, 후방 좌측으로 이동할 때, 상측 프레임부(106)의 플랜지(167a, 167b)에 걸려 빠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클은, 프레임부(102)가 동일한 크기의 하측 프레임부(104)와 상측 프레임부(106)로 구성되어 있고, 하측 프레임부(104)와 상측 프레임부(106)가 리벳에 의해 결합되므로, 프레임부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가 많이 들고 리벳 부품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리벳 작업이 번거롭고 조립 공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자형 상측 프레임부와, 이 U자형 상측 프레임부를 측방향에서 삽입하여 지지하는 하측 프레임부로 구성된 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버클의 릴리스 버튼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클의 하부 프레임부의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버클의 상부 프레임부의 상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버클의 스프링 조립체의 상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버클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종래기술의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기술의 버클의 하부 프레임의 상세 사시도,
도 9는 종래기술의 버클의 상부 프레임의 상세 사시도,
도 10은 종래기술의 버클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종래기술의 버클의 요부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버클은, 텅(173)이 삽입될 때 상기 텅(173)을 수용하도록 서로 협동하여 텅 수용 개구(170)를 형성하는 하측 프레임(104) 및 상측 프레임(106)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104)은 그 안에 교차 슬롯(126) 및 대향 프레임 측면부(108a, 108b)를 구비하고, 각각의 측면부는 텅 삽입방향에 대해 직교 배열된 래치판 슬롯을 구비하고, 릴리스 버튼(2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텅(173) 내부의 개구(175)와 상기 교차 슬롯(126)과 맞닿을 때 결합 위치와 해제 위치와 사이에서 상기 래치판 슬롯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단부(186)를 구비한 래치판(180)을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는 종단면이 U자형이며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2개의 측면부(108a, 108b)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U자형상에 대응하는 U자형 슬롯(11a, 11b)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슬롯(11a, 11b)은 그 선단(12a, 12b)에 래치판 슬롯(35a, 35b)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후단(16a, 16b)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판스프링(190)의 양단부(26a, 26b)를 고정하기 위한 판스프링 고정공(13a, 13b)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측면부(165a, 165b)는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은 그 높이가 후방 수직부 좌측단(15b)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부에 절개부(31)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108a)에 형성된 U자형 슬롯(11a)의 후단(16a)의 높이는측면부(108b)에 형성된 U자형 슬롯(11b)의 후단(16b)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와 전방 수직부(32)의 폭은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의 좌측단 부근에는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17)에는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을 좌측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구(18)가 끼워지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저판(19)에는, 선단에 교차 슬롯(21)을 일체로 구비하며 후단측으로 후방 수직부(14)까지 연장된 중앙개구(20)가 길이방향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중앙에는 상기 중앙개구(20)에서 연장된 판스프링 지지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버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버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버클(100)에서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1에서 사용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버클(1)은, 상측 프레임부(106)를 U자형으로 형성하고, 하측 프레임부(104)의 2개의 측면부(108a, 108b)에 상측 프레임부(106)의 U자형상에 대응하는 U자형 슬롯(11a, 11b)을 형성한 것이다. U자형 슬롯(11a, 11b)의 선단(12a, 12b)에는 래치판 슬롯(35a, 35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U자형 슬롯(11a, 11b)의후단(16a, 16b)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판스프링 고정공(13a, 13b)이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190)은 후단부가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이며, 이 수직 하방으로 절곡된 후단부의 양측에는 판스프링 고정공(13a, 13b)에 고정되는 고정단부(26a, 26b)가 형성되어 있다.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측면부(165a, 165b)는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는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b)에 형성된 U자형 슬롯(11b)으로부터 삽입되는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은 그 높이가 후방 수직부 좌측단(15b)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부에 절개부(31)를 형성하였으며, 측면부(108a)에 형성된 U자형 슬롯(11a)의 후단(16a)의 높이는 측면부(108b)에 형성된 U자형 슬롯(11b)의 후단(16b)의 높이보다 낮다. 따라서,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b)에 형성된 U자형 슬롯(11b)으로부터 삽입된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는 그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의 절개부(31)가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에 걸려 더 우측으로의 이동이 정지된다.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와 전방 수직부(32)의 폭은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의 폭과 동일하다.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전방 수직부(32)는 하측 프레임부(104)와 협동하여 텅(173)이 수용되는 슬롯(170)을 형성한다.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의 좌측단 부근에는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17)에는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좌측 이동을저지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만든 사출물인 이동 방지구(18)가 끼워진다.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저판(19)에는 중앙개구(20)가 길이방향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개구(20)는 그 선단에 교차 슬롯(21)을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중앙개구(20)는 그 후단측으로 후방 수직부(14)까지 연장된다. 후방 수직부(14)의 중앙에는 중앙개구(20)에서 연장된 판스프링 지지공(22)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의 각각의 선단 상부에는 버튼 스프링(23a, 23b)을 끼우기 위한 선단 돌출부(24a, 24b)가 형성되어 있고, 릴리스 버튼(250)의 단부(252)의 배면에는 하측 프레임부(104)의 선단 돌출부(24a, 24b)에 일단이 끼워진 버튼 스프링(23a, 23b)의 타단을 끼우기 위한 스프링 안착부(25a, 2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프레임(104)의 교차 슬롯(126)의 후단에는 전방으로 이젝터 스프링 지지단(8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프레임(104)의 양측벽(108a, 108b)의 각각의 선단의 중간부에는, 삽입되는 텅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면서 안내하기 위해, 양측벽(108a, 108b)에 대하여 내측 직각으로 절곡된 한쌍의 안내편(49a, 49b)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 하측 프레임(104)의 판스프링 고정공(13a, 13b)에 양단부(26a, 26b)가 고정된 판스프링(190)은 U자형 상측 프레임(106)의 후방 수직부(14)에 형성된 판스프링 지지공(22)을 통해 래치판(180)의 상측 중앙부(188) 상에 작동하여 래치판(180)을 걸려 있는 위치에 대해 상측 프레임부(106) 내의 교차 슬롯(21)과 하측프레임부(104) 내의 교차 슬롯(126)으로 하측으로 편향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측 프레임(104)에, 제1 장연부(41a)와 이 제1 장연부(41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41b) 및 제1 장연부(41a)와 제2 장연부(41b)가 연결되는 부분이 매끄럽게 연속되는 원호상의 단연부(41c, 41d)로 이루어진 장공(41)의 내주면에 전체에 걸쳐 강판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43)를 형성하였다. 장공(41)은 제1 돌출부(43)에 의해 그 내주면의 폭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가 맞닿는 제1 장연부(41a)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43)는 강판의 타측면측으로부터 일측면측으로 버링가공(burring) 또는 드로잉가공(drawing)함으로써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동시에 제1 장연부(41a)에 대하여 벨트가 반전하는 방향을 따라 모서리부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제1 돌출부(43)가 강판의 상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돌출부(43)가 강판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무방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장연부(41a)에서 벨트에 작용하는 면압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시 벨트에 순간적으로 높은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벨트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공은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한 타원형이거나, 또는 벨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장연부 만을 곡선으로 형성한 반달형이지만, 제1 및 제2 장연부를 모두 곡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공(41)의 내주면 중 벨트가 감기는 제1 장연부(41a)가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융기되게 형성되어 있고, 제1 장연부(41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41b)도 제1 장연부(41a)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연부(41a)의 중앙부가 벨트로부터의 장력과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제1 장연부(41a)가 장력의 작용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변형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벨트가 제1 장연부(41a) 상에서 모이는 일 없이, 벨트의 폭이 항상 정상의 폭으로 유지된다. 이로써 벨트의 장력이 제1 장연부(41a) 상에 항상 균일하게 분산된다.
또한, 제2 장연부(41b)도 제1 장연부(41a)와 마찬가지로 만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벨트의 편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벨트를 그 길이방향의 중앙선을 따라 절곡되도록 만곡시키면서 장공(41)에 삽입하는 경우, 벨트의 만곡된 형상에 제1 장연부(41a) 및 제2 장연부(41b)의 형상이 거의 일치된다. 따라서, 벨트가 장공(41)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돌출부를 장공의 내주면의 전체에 걸쳐 형성하였지만, 돌출부를 장공의 내주면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장공(41)의 제1 장연부(41a)에만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고, 장공(41)의 제1 장연부(41a) 및 제1 및 제2 단연부(41c, 41d)에만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곡선으로 형성된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였지만, 제1 및 제2 장연부가 모두 직선으로 형성된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2 장연부만 곡선인 장공에 돌출부를 형성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는 어떤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버클에 의하면, 재료 및 부품수가 절감되고, 또한 조립 작업이 간단해지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텅(173)이 삽입될 때 상기 텅(173)을 수용하도록 서로 협동하여 텅 수용 개구(170)를 형성하는 하측 프레임(104) 및 상측 프레임(106)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104)은 그 안에 교차 슬롯(126) 및 대향 프레임 측면부(108a, 108b)를 구비하고, 각각의 측면부는 텅 삽입방향에 대해 직교 배열된 래치판 슬롯을 구비하고, 릴리스 버튼(2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텅(173) 내부의 개구(175)와 상기 교차 슬롯(126)과 맞닿을 때 결합 위치와 해제 위치와 사이에서 상기 래치판 슬롯 내부에서 이동가능한 단부(186)를 구비한 래치판(180)을 포함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는 종단면이 U자형이며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2개의 측면부(108a, 108b)에는 상기 상측 프레임부(106)의 U자형상에 대응하는 U자형 슬롯(11a, 11b)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슬롯(11a, 11b)은 그 선단(12a, 12b)에 래치판 슬롯(35a, 35b)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후단(16a, 16b)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판스프링(190)의 양단부(26a, 26b)를 고정하기 위한 판스프링 고정공(13a, 13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측면부(165a, 165b)는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의 우측단(15a)은 그 높이가 후방 수직부 좌측단(15b)의 높이보다 낮도록 상부에 절개부(31)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108a)에 형성된 U자형 슬롯(11a)의 후단(16a)의 높이는 측면부(108b)에 형성된 U자형 슬롯(11b)의 후단(16b)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와 전방 수직부(32)의 폭은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후방 수직부(14)의 좌측단 부근에는 절결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17)에는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을 좌측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구(18)가 끼워지고,
    상기 U자형 상측 프레임부(106)의 저판(19)에는, 선단에 교차 슬롯(21)을 일체로 구비하며 후단측으로 후방 수직부(14)까지 연장된 중앙개구(20)가 길이방향 전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수직부(14)의 중앙에는 상기 중앙개구(20)에서 연장된 판스프링 지지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15)의 내주면에는 강판의 일측면으로부터 모서리부가 둥글게 돌출된 제1 돌출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장공(15)의 내주면 중 연결벨트가 감기는 제1 장연부(15a)는 그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융기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장연부(15a)에 대향하는 제2 장연부(15b)는 상기 제1 장연부(15a)를 따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부(104)의 측면부(108a, 108b)의 각각의 선단 상부에는 버튼 스프링(23a, 23b)을 끼우기 위한 선단 돌출부(24a, 24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릴리스 버튼(250)의 단부(252)의 배면에는 하측 프레임부(104)의 선단 돌출부(24a, 24b)에 일단이 끼워진 버튼 스프링(23a, 23b)의 타단을 끼우기 위한 스프링 안착부(25a, 25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20007258A 2002-02-08 2002-02-08 버클 KR20030067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258A KR20030067295A (ko) 2002-02-08 2002-02-08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258A KR20030067295A (ko) 2002-02-08 2002-02-08 버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091U Division KR200278123Y1 (ko) 2002-02-08 2002-02-08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295A true KR20030067295A (ko) 2003-08-14

Family

ID=3222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258A KR20030067295A (ko) 2002-02-08 2002-02-08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7295A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1205U (ko) * 1986-05-08 1987-11-17
JPH03297403A (ja) * 1990-04-18 1991-12-27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の側面照明バックル
JPH10127310A (ja) * 1996-10-23 1998-05-19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シートベルト用ベルトバックル
JP2000085531A (ja) * 1998-09-11 2000-03-28 Nippon Seiko Kk バックル装置
JP2001046117A (ja) * 1999-08-13 2001-02-20 Ashimori Ind Co Ltd バックル装置
KR20010017993A (ko) * 1999-08-17 2001-03-05 이승복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20010048024A (ko) * 1999-11-24 2001-06-15 이승복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20030037795A (ko) * 2001-11-05 2003-05-16 강진희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버클 조립체 및 그 프레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1205U (ko) * 1986-05-08 1987-11-17
JPH03297403A (ja) * 1990-04-18 1991-12-27 Takata Kk シートベルト装置の側面照明バックル
JPH10127310A (ja) * 1996-10-23 1998-05-19 Trw Occupant Restraint Syst Gmbh シートベルト用ベルトバックル
JP2000085531A (ja) * 1998-09-11 2000-03-28 Nippon Seiko Kk バックル装置
JP2001046117A (ja) * 1999-08-13 2001-02-20 Ashimori Ind Co Ltd バックル装置
KR20010017993A (ko) * 1999-08-17 2001-03-05 이승복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20010048024A (ko) * 1999-11-24 2001-06-15 이승복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20030037795A (ko) * 2001-11-05 2003-05-16 강진희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버클 조립체 및 그 프레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4150A (en) Part mounting structure
US4228567A (en) Buckle assembly for seat belt
US7164092B2 (en) Push switch
JPH037103A (ja) バックル
KR19980087091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CN110869242B (zh) 头枕移动装置
JPH04226605A (ja) シートベルトロックタングのバックル
US20060090313A1 (en) Buckle device
KR200278123Y1 (ko) 버클
KR100437703B1 (ko) 버클
KR200280001Y1 (ko) 버클
KR20030067295A (ko) 버클
US5377393A (en) Seat belt buckle
US7520034B2 (en) Seat belt device
JP6336907B2 (ja) ベルトアジャスター
KR20030067443A (ko) 버클
KR100303797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JP3035378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固定装置
US5177839A (en) Buckle for seat belt
KR20040021838A (ko) 버클
JP726057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バック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4097115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KR20030037795A (ko)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용 버클 조립체 및 그 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0437701B1 (ko) 버클
KR20040034131A (ko)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