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000A -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000A
KR19990027000A KR1019970049332A KR19970049332A KR19990027000A KR 19990027000 A KR19990027000 A KR 19990027000A KR 1019970049332 A KR1019970049332 A KR 1019970049332A KR 19970049332 A KR19970049332 A KR 19970049332A KR 19990027000 A KR19990027000 A KR 19990027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seat belt
guide
upper plate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9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000A/ko
Publication of KR1999002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000A/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중앙으로 삽지홈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된 상부판과 하부판의 후단은 고정 브라켓에 리벳팅 고정하고, 상기 상부판으로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작동구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판의 양측 입벽의 안내공으로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걸림구를 조립하며, 그 걸림구의 승하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삽지홈부에 저지구를 조립하며, 상기 상부판의 표면으로 설치되어 판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게 된 고정구로 이루어진 괘지버클과; 상기 삽지홈부에 끼워져 걸림구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도록 걸림공이 형성된 삽지부를 선단으로 돌출시킨 텅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선단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에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삽지부의 선단 하부에는 안내돌기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할 때 인체에 상처를 입힌다든지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시트벨트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으로 삽지홈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된 상부판과 하부판의 후단은 고정 브라켓에 리벳팅 고정하고, 상기 상부판으로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작동구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판의 양측 입벽의 안내공으로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걸림구를 조립하며, 그 걸림구의 승하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삽지홈부에 저지구를 조립하며, 상기 상부판의 표면으로 설치되어 판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게 된 고정구로 이루어진 괘지버클과; 상기 삽지홈부에 끼워져 걸림구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도록 걸림공이 형성된 삽지부를 선단으로 돌출시킨 텅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선단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에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삽지부의 선단 하부에는 안내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된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 장착되어 있는 시트벨트는 충돌사고 등의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차내 전방의 핸들, 대시 패널 및 윈드 실드 등의 고형물에 부딪히게 되거나 윈드 실드밖으로 튀어나가게 됨으로써, 받게 되는 2차적인 충돌에 의하여 사망 또는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이러한 시트벨트는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급정차시나 운전자 및 승객이 차내에서 몸을 움직일 때에는 자유 자재로 신축 가능하고, 비정상적인 급격한 감속 및 충돌 사고 등에 의한 급감속시에는 시트벨트의 신장이 정지되어 운전자 등의 신체가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 자동차 시트의 주변에는 휠뭉치, 안내고리, 텅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시트벨트는 휠뭉치를 기점으로 하여 안내고리로 통과시키면서 그 끝단의 고정부는 차내부의 바닥으로 고정 설치하되, 그 안내고리를 통과한 시트벨트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텅에 착탈되는 잠금버클이 설치되어 있었다.
이때,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으로 삽지홈부(12a)가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된 상부판(12)과 하부판(13)의 후단은 고정 브라켓(11)에 리벳팅 고정하고, 상기 상부판(12)의 양측단으로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작동구(14)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판(13)의 양측 입벽(13a)의 안내공(13b)으로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걸림구(15)를 조립하며, 그 걸림구(15)의 승하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삽지홈부(12a)에 저지구(16)를 조립하며, 상기 상부판(12)의 표면으로 설치되어 판스프링(17)의 일단을 고정하게 된 고정구(18)로 이루어진 괘지버클(10)과; 상기 삽지홈부(12a)에 끼워져 걸림구(15)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도록 걸림공(22a)이 형성된 삽지부(22)를 선단으로 돌출시킨 텅(20)로 구성된 것으로, 그 텅(20)은 시트벨트(S)의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있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2)와 (34)는 상기 저지구(16)와 작동구(14)를 제어할 수 있게 설치된 제1,2 스프링이다.
즉, 상기 텅(20)을 괘지버클(10)에 조립할 경우, 그 텅(20)의 삽지부(22)를 괘지버클(10)에 형성된 삽지홈부(12a)에 끼우게 되면, 그 삽지홈부(12a)에 설치된 저지구(16)가 후진됨과 동시에 고정구(18)에 일단이 연설된 판스프링(17)의 힘에 의해 걸림구(15)가 하강함에 따라 그 걸림구(15)에 텅(20)의 삽지부(22)가 걸려 빠지지 않게 되고, 반대로 상기 텅(20)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구(14)를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저지구(16)의 전진에 의해 걸림구(15)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삽지홈부(12a)에 끼워져 있던 텅(20)의 삽지부(22)가 빠지게 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렇게 텅(20)의 삽지부(22)를 괘지버클(10)의 삽지홈부(12a)에 끼워 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 텅(20)의 앞면이나 뒷면의 구분없이 끼우게 되기 때문에 그 텅(20)이 결합된 시트벨트(S)가 꼬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꼬인 시트벨트(S)가 인체에 접촉되어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텅을 괘지버클에 끼워 조립할 경우 텅의 앞면이나 뒷면이 서로 반복적으로 결합되어 꼬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함에 따라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할 때 인체에 상처를 입힌다든지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시트벨트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된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으로 삽지홈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된 상부판과 하부판의 후단은 고정 브라켓에 리벳팅 고정하고, 상기 상부판으로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작동구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판의 양측 입벽의 안내공으로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걸림구를 조립하며, 그 걸림구의 승하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삽지홈부에 저지구를 조립하며, 상기 상부판의 표면으로 설치되어 판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게 된 고정구로 이루어진 괘지버클과; 상기 삽지홈부에 끼워져 걸림구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도록 걸림공이 형성된 삽지부를 선단으로 돌출시킨 텅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선단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에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삽지부의 선단 하부에는 안내돌기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시트벨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텅과 잠금버클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시트 벨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텅과 괘지버클만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텅과 괘지버클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괘지버클 111 : 고정 브라켓
112 : 상부판 113 : 하부판
114 : 작동구 115 : 걸림구
116 : 저지구 117 : 판스프링
118 : 고정구 120 : 텅
122 : 삽지부 132,134 : 제1,2 스프링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시트 벨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텅과 잠금버클만을 보인 요부확대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텅과 잠금버클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120)의 삽지홈부(112a)에서 괘지버클(110)이 끼워지고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괘지버클(110)은 중앙으로 삽지홈부(112a)가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된 상부판(112)과 하부판(113)의 후단은 고정 브라켓(111)에 리벳팅 고정하고, 상기 상부판(112)으로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작동구(114)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판(113)의 양측 입벽(113a)의 가이드공(113b)으로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걸림구(115)를 조립하며, 그 걸림구(115)의 승하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삽지홈부(112a)에 저지구(116)를 조립하며, 상기 상부판(112)의 표면으로 설치되어 판스프링(117)의 일단을 고정하게 된 고정구(118)로 이루어진다.
상기 텅(120)은 괘지버클(110)의 삽지홈부(112a)에 끼워져 걸림구(115)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도록 걸림공(122a)이 형성된 삽지부(122)를 선단으로 돌출시킨 텅(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판(113)의 선단에는 가이드홈(113c)을 콕킹 형성한다.
그 가이드홈(113c)에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삽지부(122)의 선단 하부에는 안내돌기(122b)를 돌출 형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S)는 시트벨트이고, (132)(134)는 제1,2 스프링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각 시트에 운전자 및 다른 탑승자가 착석한 이후 미연의 사고에 대비하여 시트벨트(S)를 착용하게 되는 데, 이러한 시트벨트(S)에 연설된 텅(120)을 괘지버클(110)에 끼워 고정할 경우, 상기 텅(120)의 삽지부(122) 이면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122b)가 상기 텅(120)의 하부판(113)에 콕킹 형성된 가이드홈(113c)을 따라 끼워지고 빠질 수 있게 함으로써, 텅(120)을 괘지버클(110)에 끼울 때 텅(120)의 앞면과 뒷면이 혼동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시트벨트(S)가 꼬이지 않게 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착용감을 떨어뜨린다든지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괘지버클(110) 및 텅(120)을 이루는 각 부품의 결합 상태를 살펴보자면, 상기 상부판(112)과 하부판(113)을 서로 결합하여 중앙으로 삽지홈부(112a)가 형성되게 한다. 이어 상부판(112)의 표면에는 고정구(118)를 결합하게 되는 데, 그 고정구(118)에는 일단이 하향으로 탄지력을 갖는 판스프링(117)의 타단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117)의 하부로 접촉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걸림구(115)를 하부판(113)의 양 측판으로 관통된 가이드공(113b)으로 끼운다. 상기 저지구(116)는 상기 하부판(113)과 상부판(11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115)의 하단을 필요에 따라 받혀줄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저지구(116)의 후단에는 제1 스프링(132)이 끼워져 있다. 상기 작동구(114)는 상부판(112)의 선단 양측단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한 후 그 작동구(114)의 후단과 고정구(118) 사이에는 제2 압축 스프링(134)을 끼워 조립한다.
이렇게 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이후 시트벨트(S)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그 시트벨트(S)에 결합된 텅(120)의 삽지부(122)를 상기 괘지버클(110)에 형성된 삽지홈부(112a)로 끼우게 되면, 상기 삽지부(122)의 선단은 저지구(116)를 후방으로 밀어 제1 스프링(132)을 압축된 상태로 있게 한다.줌과 동시에, 상기 판스프링(117)은 걸림구(115)를 하방으로 밀어 텅(120)의 삽지부(122) 표면으로 형성된 걸림공(122a)에 끼워지게 한다. 그리하여 텅(120)은 빠지지 않고 괘지버클(110)의 삽지홈부(112a)에서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구(114)는 후방으로 약간 밀린 상태로 있다가 그 후단의 제2 스프링(134)에 의해 전진하여 원래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텅(120)을 괘지버클(110)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작동구(114)를 우선적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하방을 향하고 있던 판스프링(117)의 일단이 상승하게 되고, 그 판스프링(117)이 밀고 있던 걸림구(115)에서 이격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와 같이 압압되어 있던 제1 스프링(132)의 복귀력에 의해 저지구(116)가 전진하여 걸림구(115)의 하단을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텅(120)을 삽지홈부(112a)에서 탈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에 따르면, 차실바닥으로 고정 브라켓이 고정된 텅의 삽지부의 선단 이면으로는 안내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시트벨트의 소정 위치에 끼워진 괘지버클의 하부판의 상면에는 상기 안내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도록 가이드홈을 콕킹 형성함으로써, 텅을 괘지버클에 끼워 결합할 경우 텅의 삽지부에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가 상기 괘지버클의 하부판에 콕킹 형성된 가이드홈으로 끼워져 안내되어야만 텅과 괘지버클이 서로 결합 고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텅의 앞면이나 뒷면이 서로 반복적으로 결합되어 꼬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함에 따라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할 때 인체에 상처를 입힌다든지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시트벨트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된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중앙으로 삽지홈부(112a)가 형성되도록 서로 결합된 상부판(112)과 하부판(113)의 후단은 고정 브라켓(111)에 리벳팅 고정하고, 상기 상부판(112)으로 끼워져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작동구(114)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판(113)의 양측 입벽(113a)의 가이드공(113b)으로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걸림구(115)를 조립하며, 그 걸림구(115)의 승하강을 제어하도록 상기 삽지홈부(112a)에 저지구(116)를 조립하며, 상기 상부판(112)의 표면으로 설치되어 판스프링(117)의 일단을 고정하게 된 고정구(118)로 이루어진 괘지버클(110)과; 상기 삽지홈부(112a)에 끼워져 걸림구(115)에 걸리거나 빠질 수 있도록 걸림공(122a)이 형성된 삽지부(122)를 선단으로 돌출시킨 텅(120)로 이루어진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13)의 선단에는 가이드홈(113c)을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113c)에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삽지부(122)의 하부에는 안내돌기(122b)를 돌출 형성하여 된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KR1019970049332A 1997-09-27 1997-09-27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KR19990027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332A KR19990027000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332A KR19990027000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000A true KR19990027000A (ko) 1999-04-15

Family

ID=6604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332A KR19990027000A (ko) 1997-09-27 1997-09-27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0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797B1 (ko) * 1999-08-17 2001-09-24 이승복 시트 벨트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797B1 (ko) * 1999-08-17 2001-09-24 이승복 시트 벨트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3040A1 (en) Non-inertial release safety restraint belt buckle systems
JPH04113959A (ja) ショルダーアジャスタ
US6701587B1 (en) Buckle device
US4928366A (en) Simplified and improved safety-belt buckle
JPS6343933Y2 (ko)
KR0175938B1 (ko) 숄더어저스터
KR100850045B1 (ko) 비관성 해제형 안전구속벨트 버클
US8020894B2 (en) Seat belt system
US6902194B2 (en) Detachable interlocking seat belt anchorage apparatus and method
US6205628B1 (en) Buckle
KR19990027000A (ko) 자동차 시트벨트용 텅 조립구조
US6427297B1 (en) Buckle with smooth tongue insertion mechanism
GB207381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buckle
JPH0231967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2145007A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リトラクタ
EP0385232A1 (en) Comfort feature
JPH0740446Y2 (ja) フロントシート用ベルトガイドの支持構造
KR200169507Y1 (ko) 차량의 앞좌석 안전벨트 유동 방지장치
JPH04113960A (ja) ショルダーアジャスタ
KR200166242Y1 (ko) 버스용 안전벨트
JPH0732280Y2 (ja) オートマチツクシートベルト装置
KR20230142052A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JPS6117876Y2 (ko)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235489B1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