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489B1 -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489B1
KR100235489B1 KR1019970049298A KR19970049298A KR100235489B1 KR 100235489 B1 KR100235489 B1 KR 100235489B1 KR 1019970049298 A KR1019970049298 A KR 1019970049298A KR 19970049298 A KR19970049298 A KR 19970049298A KR 100235489 B1 KR100235489 B1 KR 100235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hole
belt
piece
safet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966A (ko
Inventor
고강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7004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54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2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0Coupling devices other than buckles, including length-adjusting fittings or anti-slip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 주변 중앙필라 내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시트벨트 리트렉터와, 그 시트벨트 리트렉터에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필라 내측 상부에 형성된 출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시트벨트와, 이 시트벨트의 타단 끝단은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출입공을 통해 인출된 시트벨트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구의 반대편에 설치된 버클에 장착되는 텅으로 이루어진 컨버터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중앙필라 내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의 양측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결합공의 주위에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 1안전편과; 상기 제 1안전편의 개구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 1안전편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배면에는 상기 출입공에서 인출된 시트벨트가 삽입되는 벨트 인입공이 형성되고, 그 벨트 인입공에 삽입된 시트벨트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벨트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 2안전편으로 구성함으로써, 차량 주행중 바람에 의해 시트벨트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안전편에 연장 안전편을 결합하여 그 연장 안내편에 의하여 길이 조절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어 자동차 충돌 사고시 발생되는 인체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

Description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본 발명은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중앙필라 상부에 제 1안내편을 설치하고, 그 제 1안내편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제 2안내편을 힌지 결합 함으로써, 차량 주행중 바람에 의해 시트벨트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제 2안전편에 연장 안전편을 결합하여 그 연장 안내편에 의하여 길이 조절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어 자동차 충돌 사고시 발생되는 인체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시트벨트는 충돌사고의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차내 전방의 핸들,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전방유리 등의 고형물에 부딪히게 되거나 전방유리 밖으로 튀어나가 받게 되는 2차적인 충돌에 의하여 사망 또는 인체에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시트벨트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자동차가 급정거 및 출발시 또는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차실내에서 몸체를 움직일때마다 시트벨트가 자유자재로 신축 가능하고, 비정상적인 급격한 감속 및 자동차의 충돌 사고등에 의한 급감속시에는 시트벨트의 신장이 정지되어 운전자 및 탑승객의 신체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시트벨트는 일반 자동차 뿐만 아니라 컨버터블 자동차에도 설치되어 진다.
여기서, 컨버터블(Convertible) 자동차는 자동차의 지붕이 철판이 아니고 프레임에 비닐, 천, 가죽 등의 소프트 탑(Soft top)이 천막식으로 된 구조로서 수동 또는 전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상태에 따라 자동차의 지붕이 닫힌 상태 또는 지붕이 열린 상태로 운행이 가능한 자동차이다.
이러한, 컨버터블 자동차에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시트(S)의 주변에는 자동차의 중앙필라(10) 내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시트벨트 리트렉터(20)와, 상기 시트벨트 리트렉터(20)에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필라(10) 내측 상부에 형성된 출입공(12)을 통해 인출되는 시트벨트(30)와, 상기 시트벨트(30)의 타단 끝단은 중앙필라(10) 내측 하부에 설치된 고정구(32)에 고정하며, 상기 출입공(12)을 통해 인출된 시트벨트(3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구(32)의 반대편에 설치된 버클(40)에 장착되는 텅(34)이 설치되어 있었다.
상기 컨버터블 자동차에 설치되는 시트벨트(30)는 차체 구조상 일반 자동차의 시트벨트(30) 위치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 발명에서 상기 시트(S)에 운전자 및 탑승객이 승차하고 난 다음, 시트벨트(30)에 고정된 텅(34)을 파지하여 버클(40)에 고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자동차 운행중 급정거 및 충돌 사고시 그 충격력에 운전자 및 탑승객의 상체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시트벨트(30)로 인해 방지할 수 있어 운전자 및 탑승객이 입는 인체 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커버터블 차량은 지붕을 닫은 상태에서 운행할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지붕을 개방 한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 할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시트벨트(30)가 바람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데, 이 진동은 바로 운전자 및 탑승객에 전달되어 불쾌함과 불안감을 주었고, 이로 인하여 운전자가 안전운행을 할 수 없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 운행중 바람으로 인하여 외부에 노출된 시트벨트에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불쾌감과 불안감을 주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중앙필라 상부에 제 1안내편을 설치하고, 그 제 1안내편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제 2안내편을 힌지 결합 하여 차량 주행중 바람에 의해 시트벨트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안전편에 연장 안전편을 결합하여 그 연장 안내편에 의하여 길이 조절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어 자동차 충돌 사고시 발생되는 인체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 시트 주변 중앙필라 내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시트벨트 리트렉터와, 그 시트벨트 리트렉터에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필라 내측 상부에 형성된 출입공을 통해 인출되는 시트벨트와, 이 시트벨트의 타단 끝단은 고정구에 고정되고, 상기 출입공을 통해 인출된 시트벨트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구의 반대편에 설치된 버클에 장착되는 텅으로 이루어진 컨버터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중앙필라 내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의 양측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그 결합공의 주위에는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 1안전편과; 상기 제 1안전편의 개구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 1안전편의 걸림홈에 걸리도록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배면에는 상기 출입공에서 인출된 시트벨트가 삽입되는 벨트 인입공이 형성되고, 그 벨트 인입공에 삽입된 시트벨트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벨트 가이드공이 형성된 제 2안전편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어 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발명에서 컨버터블 자동차에 시트벨트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컨버터블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시트 100 : 중앙필라
102 : 출입공 110 : 시트벨트 리트렉터
120 : 시트벨트 122 : 고정구
124 : 텅 130 : 버클
140 : 제 1안전편 141 : 개구부
142 : 결합공 143,154 : 걸림홈
150 : 제 2안전편 151 : 결합돌기
152 : 벨트 인입공 153 : 벨트 가이드공
160 : 연장 안내편 161 : 걸림돌기
이에 본 발명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컨버터블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시트(S) 주변 중앙필라(100) 내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시트벨트 리트렉터(110)와, 그 시트벨트 리트렉터(110)에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필라(100) 내측 상부에 형성된 출입공(102)을 통해 인출되는 시트벨트(120)와, 이 시트벨트(120)의 타단 끝단은 고정구(122)에 고정되고, 상기 출입공(102)을 통해 인출된 시트벨트(12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구(122)의 반대편에 설치된 버클(130)에 장착되는 텅(124)으로 이루어진 컨버터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중앙필라(100)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저면에는 개구부(141)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141)의 양측면에는 결합공(142)이 형성되고, 그 결합공(142)의 주위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43)이 형성되는 제 1안전편(140)과; 상기 제 1안전편(140)의 개구부(141)에 형성된 결합공(142)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편(170)으로 힌지 결합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 1안전편(140)의 걸림홈(143)에 걸리도록 결합돌기(151)가 돌출 형성되며, 배면에는 상기 출입공(102)에서 인출된 시트벨트(120)가 삽입되어 지나갈 수 있는 벨트 인입공(152)이 형성되고, 그 벨트 인입공(152)에 삽입된 시트벨트(12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벨트 가이드공(153)이 형성된 제 2안전편(15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 1안전편(140)의 상단부에는 체결공(144)이 형성되어, 중앙필라(100) 상부에 볼트(180)로 고정된다.
상기 제 2안전편(15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1안전편(140)의 결합공(142)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결합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자동차에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시트벨트(120)가 설치되는 데, 지붕을 개방한 상태에서 주행중 외부로 노출된 시트벨트(120)가 바람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불쾌함과 불안감을 주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으로부터 예방하기 위해 중앙필라(100) 상부에 제 1안전편(140)을 설치하고, 이 제 1안전편(140)의 저면에는 출입공(102)에서 인출된 시트벨트(120)가 삽입되어 지나갈 수 있는 제 2안전편(150)을 설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운행중 시트벨트(120)가 바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게 되면, 제 1안전편(140)의 개구부(141)에 제 2안전편(150)을 결합 시키는데 상기 개구부(141)의 양편에 형성된 결합공(142)과 제 2안전편(15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53)을 동일 선상에 위치시킨 다음 회동편(170)으로 힌지 결합 시킨다. 그러면, 동시에 제 2안전편(150)의 결합돌기(151)가 상기 제 1안전편(140)의 걸림홈(143)에 걸려지게 된다.
이렇게, 제 1,2안전편(140)(150)이 결합되면 제 1안전편(14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144)에 볼트(180)를 삽설시켜 중앙필라(100) 내측면에 고정 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출입공(102)을 통해 인출된 시트벨트(120) 타단을 제 2안전편(150)의 벨트 인입공(152)으로 삽입 시켜 벨트 가이드공(153)으로 돌출 시키고, 외부로 돌출된 시트벨트(120) 타단 끝을 고정구(122)에 고정 시키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S)에 운전자 및 탑승객이 착석한 다음, 시트벨트(12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텅(124)을 버클(130)에 끼워 고정하고, 버클(130)에 텅(124)을 끼운 다음에는 운전자 및 탑승객의 신체조건 및 벨트 착용각도에 맞게 제 2안전편(150)을 전·후로 이동시켜 제 2안전편(150)의 결합돌기(151)가 상기 제 1안전편(140) 개구부(141)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143)에 걸리도록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자동차를 운행하면 바람으로 인하여 시트벨트(120)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안전편(150)의 벨트 가이드공(153) 양측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걸림홈(154)을 형성하고, 그 벨트 가이드공(153)에는 외측면 상단부에 걸림돌기(161)가 돌출 형성된 연장 안내편(160)을 결합시키되 그 걸림돌기(161)가 상기 제 2안전편(150)의 걸림홈(154)에 걸려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 조립 및 작용을 설명하자면, 상기 제 2안전편(150)의 벨트 가이드공(153) 상단부에 상기 연장 안내편(160)을 위치시킨 다음, 이 연장 안내편(160)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61)가 벨트 가이드공(153) 양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54)에 걸리도록 연장 안내편(160)을 밀어 결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안전편(140)에 제 2안전편(150)을 힌지결합 시킨 다음 제 1안전편(14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144)에 볼트(180)를 삽설시켜 중앙필라(100) 내측면에 고정 시키면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출입공(102)을 통해 인출된 시트벨트(120) 타단을 제 2안전편(150)의 벨트 인입공(152)으로 삽입되어 연장 안내편(160)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시킨 후 시트벨트(120) 타단 끝을 고정구(122)에 고정 시키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시트벨트(12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텅(124)을 버클(130)에 끼운 다음, 운전자의 체형 및 착용각도에 맞게 제 2안전편(150)에 결합된 연장 안전편(160)을 슬라이딩 되게 인출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연장 안전편(160)은 상기 제 2안전편(150)의 벨트 가이드공(153) 양측면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54)에 연장 안내편(160)의 걸림돌기(161)가 걸려지게 되어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연장 안내편(16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장 안내편(160)의 하단부를 약간 밀어주면 상기 연장 안내편(160)이 제 2안전편(15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연장 안전편(160)은 상기 제 2안전편(150)의 벨트 가이드공(153) 양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54)에 연장 안내편(160)의 걸림돌기(161)가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연장 안내편(16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자동차 충돌 사고시 발생되는 인체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에 따르면, 자동차 운행중 바람으로 인하여 외부에 노출된 시트벨트(120)에 진동이 발생됨에 따라,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불쾌감과 불안감을 주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중앙필라(100) 상부에 제 1안전편(140)을 설치하고, 그 제 1안전편(140)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141)에 제 2안내편(150)을 힌지 결합 함으로써, 차량 주행중 바람에 의해 시트벨트(120)에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안전편(150)에 연장 안전편(160)을 결합하여 그 연장 안내편(160)에 의하여 길이 조절을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어 자동차 충돌 사고시 발생되는 인체 상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

Claims (2)

  1. 자동차 시트(S) 주변 중앙필라(100) 내측 하단에 고정 설치된 시트벨트 리트렉터(110)와, 그 시트벨트 리트렉터(110)에 일단이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필라(100) 내측 상부에 형성된 출입공(102)을 통해 인출되는 시트벨트(120)와, 이 시트벨트(120)의 타단 끝단은 고정구(122)에 고정되고, 상기 출입공(102)을 통해 인출된 시트벨트(12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구(122)의 반대편에 설치된 버클(130)에 장착되는 텅(124)으로 이루어진 컨버터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중앙필라(100) 내측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저면에는 개구부(141)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141)의 양측면에는 결합공(142)이 형성되고, 그 결합공(142)의 주위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43)이 형성되는 제 1안전편(140)과; 상기 제 1안전편(140)의 개구부(141)에 형성된 결합공(142)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 1안전편(140)의 걸림홈(143)에 걸리도록 결합돌기(151)가 돌출 형성되며, 배면에는 상기 출입공(102)에서 인출된 시트벨트(120)가 삽입되는 벨트 인입공(152)이 형성되고, 그 벨트 인입공(152)에 삽입된 시트벨트(120)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벨트 가이드공(153)이 형성된 제 2안전편(1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안전편(150)의 벨트 가이드공(153) 양측면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걸림홈(154)을 형성하고, 상기 벨트 가이드공(153)에는 외측면 상단부에 걸림돌기(161)가 돌출 형성된 연장 안내편(160)이 결합되어 그 걸림돌기(161)가 상기 제 2안전편(150)의 걸림홈(154)에 걸려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KR1019970049298A 1997-09-27 1997-09-27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KR100235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298A KR100235489B1 (ko) 1997-09-27 1997-09-27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298A KR100235489B1 (ko) 1997-09-27 1997-09-27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66A KR19990026966A (ko) 1999-04-15
KR100235489B1 true KR100235489B1 (ko) 1999-12-15

Family

ID=19521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298A KR100235489B1 (ko) 1997-09-27 1997-09-27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5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485B2 (en) 2018-04-11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vable seatbelt post for a vehicle having a removable ro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2485B2 (en) 2018-04-11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vable seatbelt post for a vehicle having a removable ro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66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489B1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US3895822A (en) Safety device
CA1123798A (en) Passive restraining belt for seated vehicle occupant
KR0126172Y1 (ko)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JP3126115B2 (ja) 車両用シート
KR0134562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012081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US5678859A (en) Seat belt
KR015090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209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고정장치
KR200202493Y1 (ko) 차량용 안전벨트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0160006Y1 (ko) 시트벨트 가이드용 앵커
KR100310013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리트렉터 설치구조
KR013671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012081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200293772Y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KR013445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012510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고정용 클립
JP3068899U (ja) 座席用補助安全ベルト
KR920005587Y1 (ko) 자동 안동벨트 장치용 계지구
KR016578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0134238Y1 (ko) 자동차 시트벨트 소음방지용 센터 필라
KR0140178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