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772Y1 -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772Y1
KR200293772Y1 KR2020020022338U KR20020022338U KR200293772Y1 KR 200293772 Y1 KR200293772 Y1 KR 200293772Y1 KR 2020020022338 U KR2020020022338 U KR 2020020022338U KR 20020022338 U KR20020022338 U KR 20020022338U KR 200293772 Y1 KR200293772 Y1 KR 200293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fixing
vehicle seat
opening
pres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3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용
Original Assignee
오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용 filed Critical 오창용
Priority to KR20200200223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7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77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벨트의의 착용시에 운전자 및 승객의 상체와 안전벨트 사이에 적당한 여유를 주어 가슴과 복부의 압박감을 제거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내부에 설치되는 안전벨트의 일측에 구비되어 안전벨트가 권취릴측으로 당겨져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박감 및 불편함을 해소하고, 안전벨트에 의하여 상의가 구겨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불의에 의한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예방하여 운전자 및 승객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CONTROL DEVICE FOR VEHICLE SEAT BELT}
본 고안은 차량의 안전벨트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벨트의 착용시에 운전자 및 승객의 상체와 안전벨트 사이에 적당한 여유를 주어 가슴과 복부의 압박감을 해결하도록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장착되는 안전벨트는 자동차의 추, 충돌 사고시에 자동차의 주행속력으로 인한 관성때문에 운전자 및 승객이 좌석에서 급속하게 이탈되거나 핸들 및 앞유리와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내부에 탄지된 스프링에 의하여 회전축이 탄성력을 인가받고 권취릴에 의해 감겨져있다. 따라서 운전자나 승객이 착용하려 하는 경우 상기 권취릴에서 안전벨트를 인출하여 신체를 포위한 후, 착탈장치를 채우는 형태로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착용 상태를 살펴보면, 착용한 후에 인출된 안전벨트는 자동적으로 권취릴의 내부에 탄지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서 안전벨트를 감고 있는 회전축이역회전하면서 권취방향으로 당겨서 감아주게 되므로, 착용자의 가슴을 압박하는 형태를 띄게 된다.
이렇게 압박 상태를 유지하며 장시간 차량을 운행하면 안전벨트의 압박에 의해 호흡에 지장이 생기며, 몸을 둔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안전벨트를 착용한 후에는 운전자의 상의가 구겨지거나 손상되는 폐단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운전자가 안전벨트의 착용을 기피하게 되며, 이로써 차량 사고시 중대한 인명피해까지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부 운전자는 상기한 압박감을 해소시키고자 안전벨트의 중간부에 클립 등을 체결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결속력의 부족으로 작은 충격에도 쉽게 이탈되어 만족한 효과를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 및 승객이 안전벨트를 착용할때 안전벨트가 권취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압박감 및 불편함을 해소하고 불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며, 운전자 및 승객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견고하고 보다 안정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2...안전벨트,
4...훅크, 5...버클,
10...몸체부, 11...안착홈,
12...차체결합부, 13...개방구,
14...안내공간, 16...가이드롤러,
17...고정판, 18...지지홈,
30...고정부, 31...힌지공,
33...누름편, 34...고정홈,
35...고정턱, 38...비틀림스프링,
39...결합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에 있어서, 몸체부와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외측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하단에 구비되는 차체결합부와 전, 후측면의 중심 적소에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구와,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간과, 상기 안내공간에 상기 개방구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2쌍의 가이드롤러와,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적소에 형성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힌지공을 중심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판상체인 누름편과, 상기 누름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홈과, 상기 누름편과 소정각도를 이루며 힌지공의 하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턱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안착홈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비틀림스프링은 힌지공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그 일측 단부는 상기 고정판의 적소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누름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1)는 몸체부(10)와 고정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외부 최상단 적소에 안착홈(11)이 형성되며, 그 하측면에는 차체결합부(12)가 구비되며, 상기 차체결합부(12)는 나사 및 접착제 등으로구비되나 양면접착테이프 등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0)의 전, 후면부 중심 적소에는 안전벨트(2)가 인입 및 인출되기 위하여 외부로 개방되는 사각형상의 개방구(13)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는 안전벨트(2)가 안내되기 위한 안내공간(14)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공간(14) 전, 후면부 개방구(13)측에 근접하여 각각 한쌍씩 2쌍의 가이드롤러(1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6)는 안전벨트(2)의 상, 하측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안전벨트(2)가 삽입 및 안내되기 위하여 안전벨트(2)의 두께만큼 이격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개방구(13)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10) 내부로 삽입되는 안전벨트(2)는 상, 하 한쌍의 가이드롤러(16)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안내공간(14)의 하부측에는 사각형상의 고정판(17)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17)의 상측면은 상기 안전벨트(2)의 하측면에 맞닫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17)의 적소에는 고정홈(18)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8)은 후술하는 누름편(33)에 복원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탄설되는 비틀림스프링(38)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는 힌지공(31)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판상체의 누름편(33)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편(33)의 적소에는 비틀림스프링(38)의 타측 단부가 지지되기 위한 지지홈(3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스프링(38)은 힌지공(31)에 체결구(39)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상기 누름편(33)의 종단은 상기 안착홈(11)과 맞닫아 안착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누름편(33)과 소정각도를 이루며, 상기 힌지공(31)의 중심 하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연장되는 판상체형상의 고정턱(3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턱(35)은 압착력에 의한 안전벨트(2)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하단부는 라운딩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몸체부(10)와 탄성력이 인가된 비틀림스프링(38) 과 볼트 등의 체결구(39)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리벳팅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의 구조를 일부 달리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는 힌지공(31)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연장되는 사각판상체인 누름편(33)으로 구비되며, 상기 누름편(33)과 소정각도를 이루며 힌지공(31)의 하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턱(3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턱(35)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턱(35)은 안전벨트(2)에 부가되는 압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톱니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편(33)에 힘을 부가하면 힌지공(31)을 중심으로 상기 고정턱(35)의최하단부는 안전벨트(2)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1)가 안전벨트(2)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1)는 차량 내부에 접착제 및 양면접착테이프 등으로 부착된다.
상기 안전벨트(2)는 상기 몸체부(10) 전면부에 형성되는 개방구(13)에 인입되고, 안내공간(14)내의 개방구(13)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5)에 삽입 및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5)를 통과한 안전벨트(2)는 상기 안내공간(14)의 하측에 설치되는 고정판(17)의 상측면을 맞닺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개방구(13)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15)에 의해 안내되며, 후면부의 개방구(13)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자가 안전벨트(2)를 권취릴에서 적당히 인출하여 몸에 대각선 방향으로 걸친 다음 안전벨트(2)의 훅크(4)를 버클(5)에 고정한 후 압박감을 받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길이로 안전벨트(2)를 당긴 다음 상기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1) 상측부에 구비되는 누름편(33)에 힘을 부가하여 눌러준다.
상기 누름편(33)이 안착홈(11)에 안착됨과 동시에 고정턱(35)이 고정판(17)의 상측면과 맞닫아있는 안전벨트(2)의 상측부를 압착하면서 고정시킨다.
그리고, 안전벨트(2)가 권취릴의 당김력에 의해 권취방향으로 복귀하려고 하나 상기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1)의 고정턱(35)의 압착력에 의하여 제어되어 권취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안전벨트(2)는 적당한 탄력으로 상체를 받쳐주게 되어 가슴과 복부의 압박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1)를 해제할 때에는 상기 안착홈(11)에 안착되어 있는 누름편(33)에 힘을 부가하여 당긴다.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설치되어있는 비틀림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하여 누름편(33)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안전벨트(2)를 압착하고 있는 고정턱(35)의 압착력이 해제되어 안전벨트(2)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전벨트(2)에 가해지는 압착력이 해제된 후에는 권취릴의 당김력에 의하여 안전벨트(2)가 개방구(13)와 가이드롤러(15)를 통하여 권취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차량의 추, 충돌시에는 운전자의 상체가 관성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되며, 또한 안전벨트(2)도 앞쪽으로 당겨진다.
이렇게 안전벨트(2)가 당겨짐과 동시에 누름편(33)에 구비되는 비틀림스프링(38)의 복원력과 안전벨트(2)가 당겨지는 힘에 의하여 누름편(33)이 자동적으로 상측으로 당겨지어 안전벨트(2)에 부가되는 압착력이 해지된다.
그리고,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1)내의 압착력이 해지됨과 동시에 안전벨트(2)는 원래의 기능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안전벨트를 착용할시에 권취릴의 당김력에 의하여 권취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적당한 여유를 주어 가슴과 복부의 압박감 및 불편함을 해소한다.
또한, 안전벨트에 의하여 상의가 구겨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불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며, 운전자 및 승객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에 있어서,
    몸체부와 고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외측 상단에 형성되는 안착홈과, 하단에 구비되는 차체결합부와 전, 후측면의 중심 적소에 외부로 개방되는 개방구와,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간과, 상기 안내공간에 상기 개방구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2쌍의 가이드롤러와, 내부 하측에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적소에 형성되는 고정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힌지공을 중심으로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판상체인 누름편과, 상기 누름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홈과, 상기 누름편과 소정각도를 이루며 힌지공의 하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턱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안착홈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비틀림스프링은 힌지공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되며, 그 일측 단부는 상기 고정판의 적소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누름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턱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KR2020020022338U 2002-07-26 2002-07-26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KR200293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338U KR200293772Y1 (ko) 2002-07-26 2002-07-26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338U KR200293772Y1 (ko) 2002-07-26 2002-07-26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772Y1 true KR200293772Y1 (ko) 2002-11-01

Family

ID=7308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338U KR200293772Y1 (ko) 2002-07-26 2002-07-26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7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0196A (en) Retraction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belt
US7513532B1 (en) Device to adjust tension in a shoulder belt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US5476286A (en) Extension bracket for attaching a seat-belt guide
KR200293772Y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GB2395465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diagonal belt
KR015783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텐션 조절장치
KR100235489B1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KR0134562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20014825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KR930009205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KR20230055229A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착용 전 상태의 위치 조정구조
JPS5816767Y2 (ja) シ−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装置
JP3136784U (ja) シートベルトキーパー
KR0148668B1 (ko) 자동차 시트트랙의 로드 리미터
KR93000201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고정장치
KR013209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고정장치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JPS6333714Y2 (ko)
KR200243991Y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0136907Y1 (ko)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KR100438025B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012081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200393537Y1 (ko) 화물차 및 승합차의 중간좌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