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907Y1 -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 Google Patents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907Y1
KR0136907Y1 KR2019960052125U KR19960052125U KR0136907Y1 KR 0136907 Y1 KR0136907 Y1 KR 0136907Y1 KR 2019960052125 U KR2019960052125 U KR 2019960052125U KR 19960052125 U KR19960052125 U KR 19960052125U KR 0136907 Y1 KR0136907 Y1 KR 0136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vehicle
magnet
hook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055U (ko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2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90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9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9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를 장시간 동안 착용함으르써 발생되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 시킴으로써 가중되는 피로를 방지하는데에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차량내에 설치되는 리트렉터에 벨트가 후크를 결합하면서 감겨져 설치되고, 또한 상기 후크를 삽, 탈하도록 된 버클을 대향된 위치에 설치하되 실내에 설치된 시트에 각각 위치하는데,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면서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받침부와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에 자석에 착, 탈되면서 벨트를 가압하는 버튼을 설치한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를 제공 하는데에 있다.

Description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본 고안은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사용되는 시트벨트의 장력을 감쇠시킬 수 있는 구조를 실현 시킴으로써, 장시간 동안 벨트를 착용시 발생하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게 하여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는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시트벨트는 차체를 구성하는 센터필라와 리어필라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이 급정차 하거나 충돌이 일어났을 때 탑승자가 급격히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센터필라에 설치된 시트벨트의 경우에, 센터필라 하단에 벨트를 탄력적으로 감고 있는 리트렉터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 리트렉터에 감겨져 있는 벨트는 센터필라상에 설치된 앵커에 걸려지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에 고정역할을 하는 후크가 결합되고, 이 후크를 삽, 탈하면서 고정하는 버클이 시트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후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벨트를 착용하여야 하는데, 이때 먼저 후크를 당겨 탑승자의 가슴을 지나게 하고, 동시에 상기 후크를 버클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벨트는 탑승자의 가슴에 밀착하면서 고정되는데,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신체 움직임은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이때 착용된 벨트는 리트렉터로부터 제공되는 복귀력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벨트는 탑승자의 신체 부분을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벨트를 장시간 동안 착용하게 되면, 탑승자의 신체 부분이 압박감을 받게되어 운전자의 경우 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벨트를 장시간 동안 착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 시킴으로써 가중되는 피로를 방지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내에 설치되는 리트렉터에 벨트가 후크를 결합하면서 감겨져 설치되고, 또한 상기 후크를 삽, 탈하도록 된 버클을 대향된 위치에 설치하되 실내에 설치된 시트에 각각 위치하는데, 상기 벨트를 사이에 두면서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받침부와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에 자석에 착, 탈되면서 벨트를 가압하는 버튼을 설치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2 는 도 1 의 A - 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센터필라 4:시트 6:리트렉터
8:벨트 10:후크 12:버클
13:앵커 14:가이드 16:받침부
18:자석 20:지지부 22:버튼
24:스프링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구성하는 차체에 센터필라(2)를 구성하는데, 이 센터필라(2) 일측에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4)가 위치하면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필라(2) 하부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리트렉터(6)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이 리트렉터(6)에 탑승자의 신체가 앞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벨트(8)가 감겨져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벨트(8)에 고정역할을 하는 후크(10)가 결합되고, 이 후크(10)를 삽, 탈 하도록 된 버클(12)이 상기 시트(4) 일측에 위치하며 설치되며, 또한 상기 인출되는 벨트(8)의 방향을 전환하면서 지지하는 앵커(13)가 센터필라(2) 상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센터필라(2)에 벨트(8)의 장력을 감쇠시키는 구조를 도 2 에서 살펴보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센터필라(2)에 벨트(8)를 내포하면서 안내하는 가이드(14)가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14)는 상기 센터필라(2)에 고정되는 받침부(16)를 형성하고, 이 받침부(16) 중앙에 자력을 제공하는 자석(18)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자석(18)은 벨트(8)가 지나는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6)상에 지지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이 지지부(20)에 벨트(8)의 일면을 가압하는 버튼(22)이 전, 후로 작용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버튼(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4)이 결합을 이루되 지지부(20) 외측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14)가 설치될 때 받침부(16)와 지지부(20) 사이를 벨트(8)가 지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자가 시트(4)에 착석하면 후크(10)를 붙잡고 벨트(8)를 리트렉터(6)로부터 당기되 신체 조건에 따라 당기는 정도를 달리하면서 인출하고, 동시에 상기 후크(10)를 버클(12)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벨트(8)는 가이드(14)의 받침부(16)와 지지부(20) 사이를 지나고, 동시에 앵커(13)를 지나면서 방향이 전환되며 인출된다.
인출된 상기 벨트(8)는 리트렉터(6)로부터 제공되는 복귀력에 의하여 당겨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탑승자의 신체 전면에 벨트(8)가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신체 부분을 벨트(8)에 의하여 압박감을 받게 되는데, 이때 심한 압박감을 받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벨트(8)를 적절하게 당기고, 동시에 가이드(14)에 설치된 버튼(22)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버튼(22)은 스프링(24)을 가압하며 전진하는 동시에 벨트(8)를 받침부(16)상에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버튼(22) 선단부는 자석(18)으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하여 전진한 상태에서 고정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벨트(8)는 버튼(22)의 가압력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벨트(8)가 버튼(22)에 의하여 고정되면, 리트렉터(6)로부터 전달되는 복귀력이 탑승자의 신체부분에 미치지 못하게 되는 관계로 압박되는 정도는 감소하게 된다.
한편 탑승자가 버클(12)로부터 후크(10)를 분리하게 되면, 리트렉터(6)로부터 전달되는 복귀력이 영향이 미치지 않는 관계로 분리된 상태에서 그대로 머믈러 있게 된다.
이때 버튼(22)을 당겨 선단부가 자석(18)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면 벨트(8)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는데, 따라서 리트렉터(6)의 복귀력에 의하여 벨트(8)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고안은 벨트를 장시간 동안 착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압박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 시킴으로써 가중되는 탑승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내에 설치되는 리트렉터(6)에 벨트(8)가 후크(10)를 결합하면서 감겨져 설치되고, 또한 상기 후크(10)를 삽, 탈하도록 된 버클(12)을 대향된 위치에 설치하되 실내에 설치된 시트(4)에 각각 위치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벨트(8)를 사이에 두면서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14)가 받침부(16)와 지지부(20)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16)에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18)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지지부(20)에 자석(18)에 착, 탈되면서 벨트(8)를 가압하는 버튼(22)을 설치한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KR2019960052125U 1996-12-20 1996-12-20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KR0136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125U KR0136907Y1 (ko) 1996-12-20 1996-12-20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125U KR0136907Y1 (ko) 1996-12-20 1996-12-20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055U KR19980039055U (ko) 1998-09-15
KR0136907Y1 true KR0136907Y1 (ko) 1999-04-01

Family

ID=1948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125U KR0136907Y1 (ko) 1996-12-20 1996-12-20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9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055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11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i-slip webbing adjustment
KR0136907Y1 (ko)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WO2004045924A1 (en) A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KR0129421B1 (ko) 압박감을 해소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텅
JP2001010444A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タングプレート
KR200145063Y1 (ko) 시트 벨트 앵커 플레이트
KR100187861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KR20014825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200293772Y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조절장치
KR100613775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KR200156233Y1 (ko) 시트 벨트의 연결구
KR200145071Y1 (ko) 시트 벨트 앵커 플레이트
KR013209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고정장치
KR100206434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
KR100326372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어셈블리
KR200145621Y1 (ko) 차량의 시트벨트 구속장치
KR015783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텐션 조절장치
KR0135491Y1 (ko) 자동차용 시이트 벨트 장력조절장치
KR960012099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940007464Y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26085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KR012510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고정용 클립
KR100187401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충격감쇄구조
JPH09164910A (ja) シートベルトスト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