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775B1 -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775B1
KR100613775B1 KR1020040064875A KR20040064875A KR100613775B1 KR 100613775 B1 KR100613775 B1 KR 100613775B1 KR 1020040064875 A KR1020040064875 A KR 1020040064875A KR 20040064875 A KR20040064875 A KR 20040064875A KR 100613775 B1 KR100613775 B1 KR 10061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tongue
buckle
hous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443A (ko
Inventor
박창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7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53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44B11/2557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with strap length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44B11/2561Tongu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69Safety measures
    • A44B11/2573Locking means preventing an unauthorised opening, e.g. by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버클에 결합되는 텅 자체에 스토퍼 기능을 부여해 탑승자에 의해 웨빙에 대한 고정 위치가 자유롭게 조정되어 차체부위나 시트등에 부딪힘이 없으면서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출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함은 물론 파손시 텅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B필라(B)부위에 지지점을 갖으면서 인출시 리트랙터(웨빙이 권취되고 탑승자의 급격한 신체 이동시 웨빙의 인출을 저지함)로부터 인출되는 웨빙(W)을 버클(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탑승객의 상체를 구속하는 텅어셈블리가
버클(20)에 끼워져 결합되는 텅(1)이 구비되면서 상기 웨빙(W)이 관통하는 웨빙슬랏(2a)을 형성한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측면으로 조작하도록 구비되어 웨빙(W)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거나 가압하여 하우징(2)의 웨빙(W) 고정 위치를 조절하는 어저스터(3) 및 텅(1)이 버클(20)에 끼워져 결합될 때 배터리의 전원이 통전되어 어저스터(3)를 전기적으로 강제 구속시켜 웨빙(W)이 하우징(2)의 웨빙슬랏(2a)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고정유지수단(9)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Built in stopper typed tongue assembly of seat belt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의 구성도
도 2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의 버클 결합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텅 2 : 하우징
2a : 웨빙슬랏 3 : 어저스터
4 : 버튼 4a : 가압단
4a',4b,10a : 슬라이딩면 5,8,11 : 탄성부재
6 : 인터파스너 6a : 슬라이더
6b : 고정단 7 : 가압롤러
9 : 고정유지수단 10 : 통전단자
12 : 와이어 13 : 솔레노이드
20 : 버클 21 : 인서트홀
22 : 접점단자
B : B 필라 C : 돌출길이
L : 해제간격 W : 웨빙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벨트의 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빙상에서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텅의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벨트는 차량 주행중 탑승객의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고정하는 것으로, 충돌사고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차량내 각 좌석으로 설치되어 충돌시등의 충격력 때문에 발생하는 2차적인 상해를 줄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트 벨트는 통상적으로, 탑승객의 신체에 접촉하면서 구속시켜주는 이중의 선으로 긴 스트립(Strip) 형상의 웨빙(Webbing)으로 이루어지면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텅(tongue)을 포함하는 벨트파트와, 벨트파트를 당겨 텅을 체결하는 버클파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시트 벨트는 지지하는 점의 수에 따라 2점식 이나 3점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통상 허리부위와 어깨부위를 지지하는 3점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좌석에 착석한 탑승객이 벨트파트를 이루는 띠 형상 웨빙의 일단을 잡아 당겨 이를 감은 리트렉터로부터 인출해 탑승객의 신체를 대각선과 횡 방향으로 감 싼 후, 상기 웨빙에 구비된 텅을 차체에 고정된 버클파트로 삽입해 착용하게 되면, 차량 충돌시 충격에 따른 관성력에 의한 탑승객의 움직임을 구속하여 2차적인 부상을 방지하도록 작용되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시트벨트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착용자가 텅을 웨빙(띠, Webbing)의 일정위치에 정지토록 하는 텅 스토퍼(Tongue Stopper)가 구비되어짐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편의성을 위해 장착된 텅 스토퍼가 오히려 불편을 초래하는 현상이 있는데 즉, 상기 텅 스토퍼가 웨빙의 일정위치에 바느질을 한 바느질 타입이거나 또는 띠의 일정 위치에 단추를 단 보턴 타입으로 극히 단순한 형상으로 되고 이는, 통상적으로 텅의 웨빙 고정위치가 비 필라트림(B PLR TRIM)부위이므로 서로 마찰되어 소리가 난다든지 시트에 간섭되어 리턴시 방해를 하는 등의 불편이 있게 된다.
또한, 탑승자의 앉은키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텅의 고정 위치가 항상 일정해 불편이 있음은 물론 텅의 파손이나 손실등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시트벨트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버클에 결합되는 텅 자체에 스토퍼 기능을 부여해 탑승자에 의해 웨빙에 대한 고정 위치가 자유롭게 조정되어 차체부위나 시트등에 부딪힘이 없으면서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출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함은 물론 파손시 텅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클에 끼워져 결합되는 텅이 구비되면서 리트랙터로부터 인출되는 웨빙이 관통하는 웨빙슬랏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눌러 주도록 돌출된 한 쌍의 버튼사이로 위치되어 눌려지는 버튼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웨빙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는 인터파스너로 이루어진 어저스터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터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한 쌍의 버튼이 분리된 상태에서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버튼에 의해 가압될 때 인터파스너의 끝단에서 웨빙을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웨빙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인터파스너에는 상기 버튼의 가압단에 형성된 슬라이딩면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한 삼각형상의 슬라이더가 하우징에 탄성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텅이 버클에 끼워져 결합될 때 통전되는 전원을 통한 전자력을 매개로
상기 어저스터를 강제 구속시키는 고정유지수단이
한 쌍의 버튼을 양쪽에서 누를 때 상기 버튼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면에 의해 가압되어 버클쪽으로 이동하도록 끝단에 경사진 슬라이딩면을 형성한 통전단자와, 상기 통전단자가 텅이 끼워지는 버클의 접점단자에 접촉될 때 배터리 전원이 통전되어 인터파스터의 슬라이더부위를 전자력으로 잡아당겨 구속하도록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솔레노이드 및 상기 버튼의 조작 해제시 통전단자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B필라(B)부위에 지지점을 갖으면서 인출시 리트랙터(웨빙이 권취되고 탑승자의 급격한 신체 이동시 웨빙의 인출을 저지함)로부터 인출되어 탑승객의 상체를 구속하는 웨빙(W)에서 고정위치를 임의로 조절하는 텅어셈블리가
버클(20)에 끼워져 결합되는 텅(1)이 구비되면서 상기 웨빙(W)이 관통하는 웨빙슬랏(2a)을 형성한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측면으로 조작하도록 구비되어 웨빙(W)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거나 가압하여 하우징(2)의 웨빙(W) 고정 위치를 조절하는 어저스터(3) 및
텅(1)이 버클(20)에 끼워져 결합될 때 배터리의 전원이 통전되어 어저스터(3)를 전기적으로 강제 구속시켜 웨빙(W)이 하우징(2)의 웨빙슬랏(2a)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고정유지수단(9)으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어저스터(3)는 웨빙(W)이 삽입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하우징(2)의 양쪽 측면에서 끼워져 탄성부재(5)를 매개로 서로 분리된 양단이 연결되어 가압시 하우징(2)내부로 수용되고 가압 해제시 탄성부재(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밖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버튼(4)과,
상기 버튼(4)사이에 위치되어 버튼(4)의 누름시 웨빙(W)으로부터 멀어져 웨빙(W)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도록 하우징(2)의 웨빙슬랏(2a)에 위치되는 인터파스너(6),
상기 인터파스너(6)의 일단에 구비되어 웨빙(W)의 가압시 넓은 가압 면적으로 웨빙(W)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가압롤러(7) 및
상기 버튼(4)의 조작 후 해제시 인터파스너(6)를 웨빙(W)가압 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탄성복원력을 발생하도록 인터파스너(6)와 하우징(2)내부간에 양단이 고정된 탄성부재(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버튼(4)과 인터파스너(6)는 서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버튼(4)의 조작력을 90°절환시켜 인터파스너(6)를 웨빙(W)쪽으로 이동하거나 웨빙(W)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조작방향전달수단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조작방향전달수단은 하우징(2)내부에서 탄성부재(5)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 양 끝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버튼(4)에 일체로 형성된 가압단(4a)에 경사진 슬라이딩면(4a')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인터파스너(6)에는 상기 버튼(4)의 가압단(4a)에 형성된 슬라이딩면(4a')에 일치되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한 삼각형상의 슬라이더(6a)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7)는 인터파스너(6)에 자유 회전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2)의 웨빙슬랏(2a)에 수용된 웨빙(W)폭 전체를 가압하도록 인터파스너(6)의 고정단(6b)을 중심으로 양쪽에 구비되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유지수단(9)은 웨빙슬랏(2a)의 양 쪽부위에서 하우징(2)밖으로 노출된 버튼(4)을 누를 경우 텅(1)이 끼워진 버클(20)의 접점단자(22)로 깊이 삽입 접촉되면서 배터리 전원을 통전시키는 통전단자(10)와, 상기 통전단자(10)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공급받아 전자력을 발생시켜 인터파스터(6)의 슬라이더(6a)를 잡아 당겨 구속하도록 와이어(12)를 매개로 연결된 솔레노이드(13), 상기 버튼(4)의 조작 해제시 통전단자(1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11) 및 상기 버튼(4)의 누름시 통전단자(10)를 하우징(2)밖으로 돌출 시켜 주도록 버튼(4)과 통전단자(10)의 위치 상에 형성된 조작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작력전달수단은 통전단자(10)쪽으로 향하는 버튼(4)부위에 경사진 슬라이딩면(4b)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면(4b)에 대향되는 위치인 통전단자(10)의 끝단에도 서로 일치하는 형상의 경사진 슬라이딩면(10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5,8,10)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이루면서 모두 미 조작시 연결된 물체를 밀어내는 탄성력을 갖게 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B필라(B)부위에 지지점을 갖으면서 리트랙터로부터 인출되는 웨빙(W)이 탑승객의 상체를 구속하도록 시트부위에 구비된 버클(20)에 결합되는 텅어셈블리가, 상기 웨빙(W)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자유롭게 고정 및 해제되어 미 사용시 B필라(B)부위나 시트 또는 실내 패널부위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텅어셈블리는 미 사용시 웨빙(W)상에 고정시키는 경우 도 2(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저스터(3)를 이루는 버튼(4)이 하우징(2)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버튼(4)에 의해 힘을 받지 않는 인터파스너(6)도 가압롤러(7)가 웨빙슬랏(2a)에 삽입된 웨빙(W)을 가압하는 상태로 되며, 또한 텅(1)이 버클(20)에 결합되지 않아 고정유지수단(9)도 전자력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텅어셈블리가 웨빙(W)의 임의의 위치 상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웨빙(W)상에서 텅어셈블리의 고정위치는 B필라(B)부위나 시트 또는 실내 패널부위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위치임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버튼(4)과 인터파스너(6)에 구비된 탄성부재(5,8)는 초기 상태가 밀어내는 탄성력을 갖도록 장착되므로, 상기 버튼(4)이 탄성부재(5)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상기 인터파스너(6)는 탄성부재(8)에 의해 웨빙(W)쪽으로 밀리게 된다.
한편, 텅어셈블리의 웨빙(W)상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도 2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양 측면으로 돌출된 어저스터(3)의 버튼(4) 양쪽을 동시에 눌러주게 되면, 상기 버튼(4)이 하우징(2)내부로 삽입되면서 탄성부재(5)를 압축시킴과 더불어 인터파스너(6)를 밀어 웨빙(W)으로부터 가압롤러(7)를 분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2)의 웨빙슬랏(2a)에 삽입된 웨빙(W)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텅어셈블리를 웨빙(W)상에서 자유롭게 이동시켜 주게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버튼(4)의 가압단(4a)이 인터파스너(6)의 슬라이더(6a)를 양쪽에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단(4a)에 의해 슬라이더(6a)로 가해지는 가압력이 슬라이더(6a)를 웨빙(W)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웨빙슬랏(2a)내에서 밀려나도록 이동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버튼(4)과 인터파스너(6)간에 형성된 조작방향전달수단이 버튼(4)의 조작력을 90°절환시켜 인터파스너(6)를 이동시켜 주게 되고, 이와 같은 작동에 따라 상기 인터파스너(6)의 고정단(6b)을 중심으로 양쪽에 구비되어진 가압롤러(7)가 웨빙슬랏(2a)내에서 이동되어 결국, 상기 웨빙슬랏(2a)에 삽입된 웨빙(W)과 서로 떨어 진 간격인 해제간격(L)을 형성해 웨빙(W)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한다.
이때, 상기 버튼(4)이 조작되더라도 고정유지수단(9)은 작동되지 않게 되지만, 상기 버튼(4)의 이동 경로상에 배열되어 버튼(4)의 이동에 따라 조작력전달수단이 작동되는데 즉, 상기 고정유지수단(9)을 이루면서 배터리의 전원을 통전시켜주는 통전단자(10)는 버튼(4)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딩면(4b)을 통해 밀려 스프링인 탄성부재(11)를 압축하면서 이동되어 소정의 돌출길이(C)로 하우징(2)밖으로 돌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전단자(10)의 돌출길이(C)는 버클(20)에 텅(1)이 끼워질 때 배터리의 전원을 솔레노이드(13)로 삽입된 상태에서 통전시켜주기 위해 충분한 길이임은 물론이다.
또한, 텅어셈블리를 버클(20)과 결합해 시트벨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에 서술된 바와 같이 어저스터(3)를 조작해 웨빙(W)의 구속 해제 상태를 유지하면서 텅어셈블리의 텅(1)을 버클(20)에 형성된 인서트홀(21)로 끼워 배터리의 전원을 통해 고정유지수단(9)을 작동시키면, 상기 고정유지수단(9)에서 발생되는 전자력에 의해 어저스터(3)의 인터파스너(6)가 밀착·고정되면서 버튼(4)의 해제 시에도 웨빙(W)을 구속시켜주지 않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텅어셈블리의 텅(1)을 버클(20)에 형성된 인서트홀(21)로 끼움에 따라 고정유지수단(9)의 통전단자(10)가 버클(20)의 접점단자(22)에 끼워지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접점단자(22)에 끼워진 통전단자(10)는 와이어(12)를 통해 배터리의 전원을 하우징(2)에 내장된 솔레노이드(13)쪽으로 통전시켜 주게 된다.
이어, 상기 솔레노이드(13)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자화되어 인터파스너(6)의 슬라이더(6a)를 잡아 당겨 구속하게 되고, 이와 같은 상기 솔레노이드(13)에 의한 인터파스너(6)의 구속은 어저스터(3)가 조작 해제되더라도 웨빙(W)과 가압롤러(7) 사이에 서로 떨어 진 간격인 해제간격(L)을 유지하게 되므로 웨빙(W)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텅어셈블리를 버클(20)로부터 분리(이와 같은 분리는 버클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텅(1)의 구속을 해제하는 통상적인 구조임)하게 되면, 상기 통전단자(10)가 버클(20)의 접점단자(22)에서 분리되어 솔레노이드(13)로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면서 고정유지수단(9)을 해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솔레노이드(13)에 의해 구속되었던 인터파스너(6)가 탄성부재(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이동되어진다.
즉, 상기 인터파스너(6)가 웨빙(W)쪽으로 이동되어 가압롤러(7)가 웨빙(W)을 가압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빙(W)의 이동을 구속시켜 주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의 상체를 구속하는 웨빙에 구비된 텅어셈블리가 웨빙상에서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앉은키 차이에 따른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텅어셈블리의 웨빙상 고정·해제가 웨빙과 연계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작용해 텅의 파손이나 손실등이 발생했을 경우 텅어셈블리만 교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텅어셈블리의 웨빙상 고정위치를 조절하게 되므로 텅에 의한 차체부위와의 접촉이나 시트와의 간섭에 의한 방해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7)

  1. 버클(20)에 끼워져 결합되는 텅(1)이 구비되면서 리트랙터로부터 인출되는 웨빙(W)이 관통하는 웨빙슬랏(2a)을 형성한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측면으로 눌러 주도록 돌출된 한 쌍의 버튼(4)사이로 위치되어 눌려지는 버튼(4)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웨빙(W)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는 인터파스너(6)로 이루어진 어저스터(3)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터(3)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는 탄성부재(5)를 매개로 상기 한 쌍의 버튼(4)이 분리된 상태에서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버튼(4)에 의해 가압될 때 인터파스너(6)의 끝단에서 웨빙(W)을 가압하는 가압롤러(7)가 웨빙(W)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기 인터파스너(6)에는 상기 버튼(4)의 가압단(4a)에 형성된 슬라이딩면(4a')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한 삼각형상의 슬라이더(6a)가 하우징(2)에 탄성부재(8)에 고정되며,
    상기 텅(1)이 버클(20)에 끼워져 결합될 때 통전되는 전원을 통한 전자력을 매개로 상기 어저스터(3)를 강제 구속시키는 고정유지수단(9)이
    한 쌍의 버튼(4)을 양쪽에서 누를 때 상기 버튼(4)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면(4b)에 의해 가압되어 버클(20)쪽으로 이동하도록 끝단에 경사진 슬라이딩면(10a)을 형성한 통전단자(10)와, 상기 통전단자(10)가 텅(1)이 끼워지는 버클(20)의 접점단자(22)에 접촉될 때 배터리 전원이 통전되어 인터파스터(6)의 슬라이더(6a)부위를 전자력으로 잡아 당겨 구속하도록 와이어(12)를 매개로 연결된 솔레노이드(13) 및 상기 버튼(4)의 조작 해제시 통전단자(1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7)는 인터파스너(6)에 자유 회전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2)의 웨빙슬랏(2a)에 수용된 웨빙(W)폭 전체를 가압하도록 인터파스너(6)의 고정단(6b)을 중심으로 양쪽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5,8,10)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이루면서 미 조작시 연결된 물체를 밀어내는 탄성력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KR1020040064875A 2004-08-17 2004-08-17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KR100613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75A KR100613775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875A KR100613775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43A KR20060016443A (ko) 2006-02-22
KR100613775B1 true KR100613775B1 (ko) 2006-08-17

Family

ID=3712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875A KR100613775B1 (ko) 2004-08-17 2004-08-17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378A (ko) *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 접점 유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409Y1 (ko) * 2016-07-05 2016-09-27 김용기 혁대 길이 자동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01A (ko) * 1996-12-23 1998-09-25 유기범 상이한 클럭률을 갖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 정합장치
KR20030048707A (ko) * 2001-12-12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01A (ko) * 1996-12-23 1998-09-25 유기범 상이한 클럭률을 갖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디바이스간 정합장치
KR20030048707A (ko) * 2001-12-12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벨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378A (ko) *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 접점 유지장치
KR102647191B1 (ko) 2016-12-13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안전벨트 접점 유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443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4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eat belt components
US20100301594A1 (en) Guide Assembly for a Safety Belt
KR101235112B1 (ko) 벨트 락킹텅 및 이를 구비한 시트벨트
KR100613775B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스토퍼 내장형 텅 어셈블리
EP3212027B1 (en) Seatbelt buckling device and system
KR100736463B1 (ko) 시트벨트 위치 조절장치
WO2004045924A1 (en) A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EP2653353B1 (en) Buckle and seatbelt device with same
JP3006167B2 (ja) ベルト一体式シート
CN216467676U (zh) 安全带组件及儿童汽车安全座椅
JP2001000211A (ja) バックル装置
KR200278125Y1 (ko) 자동 자동차 안전벨트 조임 방지 장치
JPH0327452Y2 (ko)
KR10051624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JPS5811638Y2 (ja) シ−トベルト装置
KR100353911B1 (ko) 자동차용 버클의 높이조절장치
KR20030048707A (ko) 차량용 시트벨트
KR200148255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KR015757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JPS6139645Y2 (ko)
KR100568669B1 (ko) 3점식 시트벨트의 구속력 향상장치
KR0136907Y1 (ko) 장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KR200322237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자동 해제장치
KR200377563Y1 (ko) 안전벨트
KR200166242Y1 (ko) 버스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