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025B1 -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025B1
KR100438025B1 KR10-2001-0024131A KR20010024131A KR100438025B1 KR 100438025 B1 KR100438025 B1 KR 100438025B1 KR 20010024131 A KR20010024131 A KR 20010024131A KR 100438025 B1 KR100438025 B1 KR 100438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belt
protection device
present
combu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976A (ko
Inventor
윤태영
권민수
Original Assignee
권민수
윤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민수, 윤태영 filed Critical 권민수
Priority to KR10-2001-002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0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각 시트에 설치되어있는 성인용 안전띠를 연소자의 체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어린이 보조시트가 필요치 않게되며, 안전띠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연소자의 복부 충격에 의한 장파열사고를 막아주는 충격완화 쿠션에 의하여 성인용 안전띠 사용으로 인한 어린이의 상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소자 보호장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복수겹의 쿠션재로 이루어지되, 안전띠가 삽입. 통과 됨으로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쿠션재 사이에는 가이드틈새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안전띠의 체결위치 안내 및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이상의 고정단추 및 개폐식 스냅단추가 적소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ABSORB SHOCK PROTECTOR OF CAR SAFETY BELT FOR CHILDRE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운행중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매도록 되어져 있는 성인용 안전띠를 별도의 보호장구를 사용치 않고 어린이의 체위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는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각 시트에는 자동차 사고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안전띠가 구비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안전띠의 종류로는 2점식 및 3점식이 있다.
상기에서 2점식 안전띠는 고속버스 좌석과 승용차 뒷좌석 중앙에 설치되어있는 것으로 복부부분을 둘러서 충격시 신체의 전방이동을 방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2점식 안전띠는 연약한 어린이에게 강한 충격시 장파열 사망의 원인이 되어 불착용보다 못한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3점식 안전띠라고 하는 것은 승용차의 앞좌석과 뒷좌석 좌,우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리트렉터로 부터 풀려나오는 웨빙이 승객에게 착용되었을 때 그 고정점을 이루는 부분이 3군데라는 것으로서, 고정점은 앵커와 버클및 차체 고정브래킷부를 각각 지칭하는 것이다. 이는 복부만을 고정하는 2점식 안전띠에 비하여 상체의 고정이 양호하고 복부압박(장파열)을 경감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성인용 안전띠중 3점식 안전띠를 어린이가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어린이의 체위에 맞지않아 차량의 정면충돌시 전방이탈이 발생하거나 목뼈 부상이 야기되며, 착용상태가 2점식 안전띠 역할에 그쳐 심한 충격시에는 장파열이 발생되어지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는것이다.
즉, 어린이의 경우 일반 성인과 앉은키에 있어서 차이가 있어 시트상에서 안전띠에 의한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므로, 도로교통법상에 두터운 어린이용 보조시트를 자동차 시트위에 놓고 탑승시키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불편함은 물론 착좌상태가 불안정되어 안전띠 체결상태마저 불완전함으로 인하여 차량운행중 안전사고위험의 방호역할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설치되어 있는 성인용 안전띠를 어린이 체위에 맞도록 조정하여 체결함으로써 충격시 전방이탈을 막아주고 충격에 의한 안전띠 복부 압박력이 분산되어질 수 있는 완충부재를 안전장치로 사용하여 어린이의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복수겹의 쿠션재로 이루어지되, 안전띠가 삽입. 통과 됨으로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쿠션재 사이에는 가이드틈새를 이루며; 상기 안전띠의 체결위치 안내 및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고정단추 및 개폐식 스냅단추가 적소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보호장치 사시도.
도 3은 상기 보호장치의 안전띠 체결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에서의 보호장치 체결시 상태를 비교한 것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의 보호장치 사용시 상태도.
도 5b는 보호장치의 비사용시 상태도.
도 5c는 보호장치의 비사용시 또 다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안전띠 10,20 : 보호장치
11,21 : 고정단추 12a,12b,22a,22b : 스냅단추
13 : 가이드틈새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10)의 정면도 및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10)는 쿠션재를 소정의 대칭형상으로 재단하여 이를 접어주어 2겹이 되도록 구비함으로서 그 사이에 가이드틈새(13)를 이루도록 한 것으로서, 이의 개방측 중심에는 항상 결합된 상태를 이루는 고정단추(11)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고정단추(11)의 양측으로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개폐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냅단추(12a,12b:일명 똑딱단추)를 소정개소에 형성시킴으로서 완성된 하나의 제품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보호장치(10)는 좌,우 대칭된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안전띠의 장착위치에 관계없이 자동차의 좌,우측 좌석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자동차의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호장치(10)의 일측 스냅단추(12b)를 탈거하면 쿠션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격공간으로 안전띠(9)를 삽입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대측으로 통과시킨 후 안전띠(9)의 버클(15)을 시트측 고정부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개방되어져 있던 일측의 스냅단추(12b)를 다시 결합시킴에 의해 성인용인 가슴측 안전띠(9a)와 복부측 안전띠(9a)의 위치가 어린이 체위에 맞도록 조정되어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동작을 통해 결착되어진 보호장치(10)는 이용자의 복부측에 위치함으로서 더욱 안정적인 지지작용을 수행함과 더불어 안전띠(9)에 의한 가압집중을분산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도 5b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보호장치가 사용되지 않던 종래 기술에서는 가슴측 안전띠(9a)가 성인을 기준으로 하여 제작됨으로 인해 어린이의 얼굴, 목 등을 스치는 일이 빈번하여 피부를 손상시키거나 불쾌감을 주었고, 이로인해 도 5c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슴측 안전띠(9a)를 어린이 스스로 배제시킨 상태로 인해 안전을 위협시킬 수 있었으나,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보호장치(10)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슴측 안전띠(9a)가 고정단추(11)에 의해 지지되어짐으로서 어린이의 체위에 맞도록 조정되어 안전띠의 이용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클(15)의 고정을 해제하여 안전띠(9)가 자유롭도록 한 후, 일측의 스냅단추(12b)의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보호장치(10)가 안전띠(9)로 부터 분리될 수 있게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완구인형으로서 어린이의 흥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호장치(10)의 상단부에 일체로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장치(20)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상기 일 실시예의 보호장치(10)에 비해 비대칭 형상으로 이룸으로서, 가슴측 안전띠(9a)의 지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고정단추(21)와 스냅단추(22a,22b)의 역할은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함으로 그에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또한, 전면측에는 캐릭터그림(24)을 부가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상기 보호장치(20)는 고정단추(21)가 편심된 위치에 구성됨으로서 좌석의 한쪽에서만 사용이 바람직하나, 실제로는 양면이 다 쿠션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안전띠의 위치에 따라 보호장치(20)의 전,후를 돌려서 사용함으로서 어느 위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보호장치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적용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기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는, 성인용 안전띠가 별도의 보조시트 없이도 어린이의 체위에 알맞게 적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며, 차체 충격시 안전띠에 의하여 전달되는 순간적인 압박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서 성인용으로 제작되어진 기존의 안전띠로 인한 불의의 상해 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1)

  1. 좌석용 안전띠의 체결위치를 연소자에 맞도록 조절하기 위해 내부에 안전띠 인출용 가이드틈새(13)를 이루게 되는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장치는 가압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쿠션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전띠의 체결위치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단추 및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탈착식의 스냅단추가 적소에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10-2001-0024131A 2001-05-03 2001-05-03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100438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31A KR100438025B1 (ko) 2001-05-03 2001-05-03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31A KR100438025B1 (ko) 2001-05-03 2001-05-03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887U Division KR200243991Y1 (ko) 2001-05-03 2001-05-03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976A KR20020084976A (ko) 2002-11-16
KR100438025B1 true KR100438025B1 (ko) 2004-07-02

Family

ID=2770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131A KR100438025B1 (ko) 2001-05-03 2001-05-03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0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976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555B1 (ko) 유아용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시스템
KR101382542B1 (ko) 어린이용 시트벨트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KR100438025B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200243991Y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GB2408241A (en) A seatbelt arrangement with an air bag
KR102325244B1 (ko) 차량용 어린이 안전벨트 장치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KR102668214B1 (ko) 휴대용 안전벨트
KR20180109346A (ko) 차량용 안전벨트
US20020047252A1 (e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KR0123593Y1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센터시트용 안전벨트
KR19990033038A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KR0150309B1 (ko) 자동차의 유아 보호용 좌석
KR0125519Y1 (ko) 뒷좌석의 탑승자 보호장치
KR200267957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JPH04303054A (ja) ベルト一体シート装置
KR10143830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20230129680A (ko) 휴대용 안전벨트
KR200393537Y1 (ko) 화물차 및 승합차의 중간좌석
KR19990029280U (ko) 자동차 안전 벨트 구조
KR940000524Y1 (ko) 차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휴대용 안전장치
KR20200139594A (ko) 어린이를 위한 에어쿠션 안전벨트
KR012510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고정용 클립
KR20040106147A (ko) 차량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