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147A - 차량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147A
KR20040106147A KR1020030037378A KR20030037378A KR20040106147A KR 20040106147 A KR20040106147 A KR 20040106147A KR 1020030037378 A KR1020030037378 A KR 1020030037378A KR 20030037378 A KR20030037378 A KR 20030037378A KR 20040106147 A KR20040106147 A KR 20040106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hest
vehicle
seat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민석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6147A/ko
Publication of KR2004010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1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포고무 완충부재를 사용하여 차량 충돌시 안전벨트에 의해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안전벨트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탑승자의 흉부 상해치를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벨트 { Safety belt for a vehicle }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충돌시 안전벨트에 의해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안전벨트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탑승자의 흉부 상해치를 낮출 수 있는 차량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에는 탑승자를 사고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벨트가 사용되고 있다.
안전벨트는 차량 충돌시 탑승객의 전방거동을 구속하면서 에어백에 탑승객이 올바른 위치에서 접촉하게 하는 안전장치로서, 승용차의 조수석과 운전석의 안전벨트는 일반적으로 흉부와 복부를 구속하는 3점식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 안전벨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3점식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상체를 감싸는 띠 형상의 벨트(Belt, 1)와, 상기 벨트(1)를 감아 보관하거나 탄력적으로 회동되어 벨트(1)가 인출 또는 충격에너지 전달시 인출이 차단되는 구조를 내부에 갖춘 리트랙터(Retractor, 6)와, 상기 벨트(1)를 안내하는 슬립가이드(Slip Guide, 4)와, 시트의 일측에 설치된 버클(Buckle, 3)과, 상기 버클(3)에 착탈되고 벨트(1)가 탑승자의 신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벨트(1)에 설치된 텅(Tongue, 2)과, 상기 벨트(1)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앵커(anchor, 5)로 구성된다.
상기 벨트(1)는 벨트(1)구속위치에 따라 어깨에서 가슴부분을 구속 지지하는 흉부지지벨트부(shoulder belt, 11)와 복부를 구속 지지하는 복부지지벨트부(lap belt, 12)로 구성된다.
이러한 벨트(1)는 일단이 차체에 고정된 리트랙터(6)에 회동 인출 가능하게감겨져 수납 고정되고, 타단은 차체에 체결 고정된 앵커(5)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벨트(1)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로 폭은 약 50mm이고 두께는 약 1.2mm의 띠 모양으로 짜여져 있고, 강한 인장강도를 갖기에 차량 충돌시 충분한 강도로 탑승객을 구속한다.
그러나, 차량 정면충돌시 탑승객이 가진 관성에너지가 상기 흉부지지벨트부(11)의 접촉면에 집중되므로, 국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즉 탑승자의 견골이나 늑골부분에 충격이 집중되어 골절과 같은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벨트(1) 표면의 마찰력이 작기 때문에 벨트(1) 슬립이 발생하여 탑승객을 적절히 구속하지 못하고, 벨트(1)의 표면에 탑승객의 목 또는 얼굴 등이 순간적으로 마찰되어 화상이나 찰과상과 같은 부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충돌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벨트의 슬립 현상을 방지하는 차량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안전벨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부가 형성된 흉부지지벨트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고무완충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 2 : 텅,
3 : 버클, 4 : 슬립가이드,
5 : 앵커, 6 : 리트랙터,
11 : 흉부지지벨트부, 12 : 복부지지벨트부,
21 : 확대부, 22 : 완충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흉부를 지지하는 흉부지지벨트부와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벨트부로 이루어진 벨트; 시트의 일측에 설치된 버클; 상기 버클에 착탈되도록 상기 벨트에 설치된 텅;상기 벨트를 안내하는 슬립가이드; 상기 벨트의 일단을 권취하는 리트랙터; 상기 벨트의 타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앵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다.
이때, 상기 흉부지지벨트부에는 상기 복부지지벨트부보다 폭이 넓은 확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대부의 이면 즉, 벨트와 탑승자 사이에는 차량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완충부재는 발포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부(21)가 형성된 흉부지지벨트부(11)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고무완충부재(22)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상체를 감싸는 벨트(1), 시트의 일측에 설치된 버클(3), 상기 버클(3)에 착탈되도록 상기 벨트(1)에 설치된 텅(2), 상기 벨트(1)를 안내하는 슬립가이드(4), 상기 벨트(1)의 일단을 권취하는 리트랙터(6), 상기 벨트(1)의 타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앵커(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벨트(1)는 탑승자의 흉부를 지지하는 흉부지지벨트부(11)와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벨트부(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트랙터(6)는 상기 벨트(1)를 감아 보관하거나 탄력적으로 회동되어 벨트(1)가 인출 또는 충격에너지 전달시 인출이 차단되도록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흉부지지벨트부(11)에는 상기 복부지지벨트부(12)보다 폭이 넓은 확대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확대부(21)는 상기 흉부지지벨트부(11) 전체를 확대할 수 도 있고, 일정한 부분만을 확대할 수 도 있다.
상기 확대부(21)를 형성함으로서, 차량 충돌시 탑승객의 흉부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확대부(21)의 크기와 위치는 탑승자의 체격, 보호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정하면 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대부(21)에는 충돌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22)를 부착시키는데, 상기 완충부재(22)는 상기 확대부(21)와 동일한 형상을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22)로는 충격량을 많이 완화시킬 수 있는 발포우레판이나 스펀지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발포고무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고무라 함은 라텍스(latex)를 발포시켜서 다공성을 가지게 한 천연고무를 말하는데, 보통 거품고무(form rubber)라고도 한다.
즉, 일반적으로 천연고무 라텍스에 황 분산액·가황촉진(加黃促進) 분산액 등을 섞고, 응고제인 헥사플루오르규산나트륨을 소량 섞어 기포기(起泡機) 속에서 고속으로 교반(攪伴)하여 발포시킨다.
상기 완충부재(22)로 발포고무를 사용함으로서 엠보싱과 같은 기포에 의해 충격력을 더욱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발포고무의 높은 마찰력에 의해 차량 충돌시 탑승자와 벨트(1)사이에 발생하는 슬립을 방지하여 탑승자를 고정시켜줌으로서, 에어백 전개시 올바른 위치에서 탑승객과 에어백과의 접촉을 유지시켜 탑승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완충부재(22)를 상기 확대부(21)에 부착시키는 위치는 상기 확대부(21)의 이면 즉, 확대부(21)와 탑승자 사이에 배치토록 하는데, 상기 확대부(21)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는 재봉, 벨크로(velcro) 등을 사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확대부(21)가 형성된 흉부지지벨트부(11)를 상기 슬립가이드(4)를 통하여 상기 리트랙터(6)에 의해 감기 위해서는 상기 슬립가이드(4)의 폭은 상기 확대부(21)의 폭보다 약간 크게 하여야 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6)와 상기 앵커(5)의 위치를 도 3에 도시한 것과 다르게 설치하여, 즉 상기 리트랙터(6)와 앵커(5)의 위치를 바뀌어 상기 리트랙터(6)에 의해 상기 복부지지벨트부(12)를 권취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리트랙터(6)의 위치를 바뀌게 되면, 종래 안전벨트와는 다르게 상기 복부지지벨트부(12)가 상기 리트랙터(6)에 의해 권취되기 때문에 상기확대부(21)가 상기 슬립가이드(4)를 통과하는데 장애가 발생하거나, 상기 슬립가이드(4)를 확장시킬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벨트(1)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앵커(5)없이 상기 벨트(1)의 양단에 2개의 리트랙터(6)를 설치하여 권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차량용 안전벨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흉부지지벨트부에 폭이 넓은 확대부를 형성함으로서, 차량 충돌시 흉부지지벨트부에 의해 집중적으로 탑승객의 흉부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분산시킴으로서 탑승객의 흉부 상해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확대부의 안쪽에 충격흡수성이 뛰어난 발포고무완충부재를 부착함으로서, 차량 충돌시 충격력을 최대한 감소시켜 탑승객의 흉부 상해치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발포고무완충부재의 높은 마찰력은 차량 충돌시 탑승자와 벨트사이에 발생하는 슬립을 방지하여 탑승객의 자세를 고정시켜줌으로, 에어백 전개시 올바른 위치에서 탑승객과 에어백과의 접촉을 유지시켜 탑승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리트랙터가 상기 복부지지벨트부를 권취하도록 설치함으로서, 확대부 권취시 슬립가이드와의 장애 없이 상기 확대부가 형성된 벨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탑승자의 흉부를 지지하는 흉부지지벨트부와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지지벨트부로 이루어진 벨트;
    시트의 일측에 설치된 버클;
    상기 버클에 착탈되도록 상기 벨트에 설치된 텅;
    상기 벨트를 안내하는 슬립가이드;
    상기 벨트의 일단을 권취하는 리트랙터;
    상기 벨트의 타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앵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흉부지지벨트부에는 상기 복부지지벨트부보다 폭이 넓은 확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터는 상기 복부지지벨트부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부의 이면에 완충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발포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KR1020030037378A 2003-06-11 2003-06-11 차량용 안전벨트 KR20040106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378A KR20040106147A (ko) 2003-06-11 2003-06-11 차량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378A KR20040106147A (ko) 2003-06-11 2003-06-11 차량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147A true KR20040106147A (ko) 2004-12-17

Family

ID=3738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378A KR20040106147A (ko) 2003-06-11 2003-06-11 차량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61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12A1 (ko) * 2012-04-24 2013-10-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전벨트
JP2017178239A (ja) *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KR20180124530A (ko) * 2017-05-12 2018-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212A1 (ko) * 2012-04-24 2013-10-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전벨트
JP2017178239A (ja) * 2016-03-31 2017-10-05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KR20180124530A (ko) * 2017-05-12 2018-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벨트가이드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7882B1 (en) Slip-retarding upper torso restraint harness and system
US3827716A (en) Safety vest
EP2139728B1 (en) Adaptive head and neck restraint system for a person in a vehicle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US11708042B2 (en) Seatbelt system with inflatable cushions
KR20040106147A (ko) 차량용 안전벨트
GB2408241A (en) A seatbelt arrangement with an air bag
EP2847034B1 (en) Harness guard safety system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WO2002022406A1 (en) Safety belt system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67520B1 (ko) 4점식 시트 벨트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GB2407537A (en) Seat belt arrangement
JP2017074849A (ja) シートベルト用緩衝装置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100438025B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100362113B1 (ko) 시트벨트용 미니앵커의 취부구조
KR200243991Y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750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KR20010004850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JP4206927B2 (ja) シートベルトデバイス
KR930009205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KR0180659B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