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4850A - 자동차의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4850A
KR20010004850A KR1019990025595A KR19990025595A KR20010004850A KR 20010004850 A KR20010004850 A KR 20010004850A KR 1019990025595 A KR1019990025595 A KR 1019990025595A KR 19990025595 A KR19990025595 A KR 19990025595A KR 20010004850 A KR20010004850 A KR 2001000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belt
seat belt
collis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인환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2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4850A/ko
Publication of KR2001000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485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일어날 경우 탑승자의 가슴부위와 배 부위를 지지하는 웨빙이 탄성력이 없으므로서 충격력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여 그 충격력이 그대로 가슴부위와 배부위에 전해지므로 탑승자가 상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서 봉재된 상하몸체(110a)(110b)의 소정부위에 주름부(111)가 형성된 웨빙(100)과 상기 웨빙(100)의 주름부(111)속에 내장되어 양단이 상하몸체(110a)(110b)와 고정되고 다수의 절단부(210)가 형성된 철편(2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충돌로 인하여 탑승자를 잡아주는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의 가슴이나 배 부위에 규정압력 이상으로 작용하게 되면 웨빙(100)내에 설치된 철편(200)의 절단부(210)가 순간적으로 끊어지면서 상몸체(110a)와 하몸체(110b)에 형성된 주름부 (111)가 펴지게 되며, 이로인해 웨빙(100)이 약간 늘어나면서 탑승자의 가슴 및 배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많은 양을 흡수 상쇄시켜 주므로 탑승자의 가슴부위나 배부위에는 극히 적은 충격력만이 전달되어 이로인한 부상을 최소화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Seat belt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웨빙을 이루는 상몸체와 하몸체 소정부위에 주름부를 형성한후 상기 주름부 사이로 철편을 설치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여 탑승자를 잡아주는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의 가슴이나 배 부위에 규정압력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에는 철편이 순간적으로 끊어지면서 웨빙의 주름부가 펴짐에 따라 웨빙이 약간 늘어나면서 탑승자의 가슴 및 배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상쇄시켜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차원을 구속하는 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의 구속장치는 충돌사고시에 승차원을 차량과 함께 감속시켜서 스티어링, 인스트루먼트 패널등에 2 차 충돌시키는 일이나 차외방출 됨으로써 일어나는 사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승차원 구속장치로는 각종 시트벨트, 에어백이 있다.
상기의 시트벨트의 종류에는 2 점식 벨트, 3 점식 벨트, 다이어고널 벨트, 풀허네스식 벨트등이 있다.
상기 2 점식 벨트는 허리 좌우에 2 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허피벨트 또는 랩 벨트라고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어깨벨트 부분이 없기 때문에 충돌시의 상체 구속 성능은 3 점식 벨트에 비해 떨어지지만 승차원의 차외 방출 방치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3점식 벨트는 일반 승용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벨트로서 허리 좌우에 2 점과 어깨위쪽 1점에 고정시켜 3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벨트로 되어있다.
상기 3점식 벨트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따로 분리되어 철 구조물에 의해 결합하는 분리 3점식 시트벨트와, 랩벨트와 숄더벨트 두가닥이 한줄에 연속된 웨빙으로 되어 텅 플레이트가 웨빙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립할 수 있는 연속 3 점식 시트벨트 2 종류가 있다.
착용자의 안정성을 볼때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고, 충돌시의 승차원 보호성능이 뛰어나고, 실용성도 높아 가장 표준적인 시트벨트 시스템이다.
또한 다이어고널 벨트는 상체만을 구속하는 2점식 벨트로서 어깨벨트라고 하며 시트벨트의초기에 유럽에서 사용되었던 형식을 말하는 것으로 하반신의 구속기능이 없기 때문에 일본,미국등 많은 나라에서 규격으로 부터 제외되어 왔으나 하반신을 구속하는 니볼스터와 짜맞추어져 오토메틱벨트로서 다시 쓰이기 시작한다.
상기의 종류로 구분되는 시트벨트는 웨빙, 감아들이기장치, ALR, ELR, 버클 및 텅 플레이트, 엥커리지 등과 같은 여러가지 부품으로 구성된다.
즉, 웨빙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트르등 합성섬유를 넓이 약 50mm, 두께 약 1.2mm의 띠모양으로 짠 것으로서 어깨벨트용, 허리벨트용, 연속벨트용 등의 용도에 따라 짜며, 열처리에 따라 강도 연신도 등 특성이 설정된다.
그리고 감아들이기 장치(retractor)는 벨트길이를 승차원 착좌자세나 체격에 따라 조절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벨트수납을 위한 장치이고, 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는 웨빙을 끌어내어 장착하면 승차원에게 피트하는 길이까지 감아들인 위치에서 락되어 그 이상 끌어낼 수 없는 장치로서 착용시 몸의 움직임은 제한되는 한편 단단하게 몸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주로 허리벨트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ELR(Emergence Locking Retractor)은 충돌시나 급제동시 록 시키기이한 충격감지장치이며, 평상시에는 자유롭게 끌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감지방식은 차체의 감속도를 펜듀럼등에 의해서 감지하는 타입이 주류이고, 웨빙이 급속히 당겨지는 것을 막는 방식도 있다.
또, 엥커리지는 종래에 웨빙의 한끝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철 구조물에 지나지 않았으나 근간에는 승차원의 체격에 맞추어서 어깨벨트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해서 착용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어저스터블의 엥커구조가 많아지기 시작하고, 수동식과 전동식, 시트위치 연동식, 메모리장착 전동식등 여러종류가 있다.
그리고 버클 및 텅플레이트는 시트벨트를 장착 또는 해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앞,좌석용의 버클은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자립식으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벨트를 착용할 때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에 일체화 시킨 버클이 많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시트벨트를 이루는 여러가지 부품중 웨빙은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어깨벨트와 허리벨트는 각각 탑승자의 가슴과 허리부위를 지지하게 되는 것인데,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 웨빙(10)은 단순히 나일론이나 합성수지제의 재질로 된 상몸체(11a)와 하몸체(11b)만을 서로 겹쳐지도록 한후 봉재처리하여 제작된 것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보통 시트벨트는 ELR 리트렉터를 장착하여 충돌시 자동으로 웨빙(10)을 록(LOCK)하여 웨빙(10)이 연장되지 않도록 하므로,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일어나게 되면 웨빙(10)이 승객의 배부위와 가슴부위를 고정시켜 승객이 좌석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된 웨빙(10)은 전혀 탄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차량 충돌이나 급제동시 충격력이 승객의 신체에 그대로 전달되는데 상기 충격력은 승객의 체중과 속도변화량의 곱으로 상당한 크기이다.
따라서 이 힘이 승객의 배부위와 가슴부위에 그대로 전달되는 경우 이로인해 승객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시 웨빙이 탄성력을 갖도록 하므로서 충격력을 상쇄시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웨빙을 이루는 상하몸체 소정부위에 주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주름부속에는 다수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철편을 내장하므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일어나서 탑승자를 잡아주는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의 가슴이나 배 부위에 규정압력 이상으로 작용하게 되면 웨빙내에 설치된 철편의 절단부가 순간적으로 끊어지면서 상몸체와 하몸체에 형성된 주름부가 펴지게 되며, 이로인해 웨빙이 약간 늘어나면서 탑승자의 가슴 및 배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많은 양을 흡수 상쇄시켜 주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시트벨트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시트벨트에서 웨빙만을 예시한 요부 평면도
제3a,3b 는 본 발명의 웨빙을 예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3a는 평상시 웨빙을 나타낸 것이고, 3b는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웨빙이 늘어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웨빙 110a,110b : 상,하 몸체
111 : 주름부 200 : 철편
210 : 절단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웨빙을 예시한 요부 평면도이고, 도3a,3b는 본 발명의 웨빙을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3a는 평상시 웨빙을 나타낸 것이고, 3b는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웨빙이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시트벨트의 웨빙(100)을 이루는 상몸체(110a)와 하몸체(110b)의 소정부위에 주름부(1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주름부(111) 속에는 규정압력 이상의 인장력이 작용하면 끊어지도록 절단부(210)가 다수 형성된 철편(200)을 내장시키되 그 철편(200)의 양단을 웨빙(100)의 상몸체(110a) 및 하몸체(110b)와 리벳(300)으로 관통시켜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력으로 탑승자가 전방으로 쏠려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즉, 시트벨트를 착용하고 차량을 운행하다가 불의의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시트벨트를 착용한 탑승자는 시트에서 전방으로 튀어나가게 되고, 그순간 시트벨트의 웨빙(100)은 락킹되면서 앞으로 튀어나가려는 탑승자를 강한 힘으로 잡아주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작용은 종래와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본 발명의 철편(200)이 내장된 웨빙(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탑승자를 잡아주는 시트벨트의 장력이 탑승자의 가슴이나 배 부위에 규정압력 이상으로 작용하게 되면 웨빙(100)내에 설치된 철편(200)의 절단부(210)가 순간적으로 끊어지면서 상몸체(110a)와 하몸체(110b)에 형성된 주름부(111)가 펴지게 되며, 이로인해 웨빙(100)이 약간 늘어나면서 탑승자의 가슴 및 배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많은 양을 흡수 상쇄시켜 주므로 탑승자의 가슴부위나 배부위에는 극히 적은 충격력만이 전달되어 이로인한 부상을 최소화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철편(200)은 웨빙(100)의 일부분에만 설치하지 않고, 웨빙 (100)의 전체길이에 다수개의 철편(200)을 설치하게 되면 여려단계로 충격력을 분산시켜 탑승자의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더욱 최소화 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벨트를 이루는 부품중 하나인 웨빙의 상몸체와 하몸체 소정부위에 주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주름부내에 철편을 설차하여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력이 발생하면 상기 철편이 끊어지면서 주름부가 펴지도록 하여 충격력을 완하시켜 탑승자의 가슴부위와 배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시트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서 봉재된 상하몸체(110a)(110b)의 소정부위에 주름부(111)가 형성된 웨빙(100);
    상기 웨빙(100)의 주름부(111)속에 내장되어 양단이 상하몸체(110a)(110b)와 고정되고 소정압력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지면 끊어지도록 다수의 절단부(210)가 형성된 철편(20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19990025595A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010004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95A KR20010004850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5595A KR20010004850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시트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4850A true KR20010004850A (ko) 2001-01-15

Family

ID=1959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5595A KR20010004850A (ko) 1999-06-30 1999-06-30 자동차의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48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641B2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US5758900A (en) Protection system for a driver of a competition vehicle
WO1997043146A1 (en) An air-bag arrangement
US5727814A (en) Motor vehicle safety restraint blanket
KR100305928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GB2408241A (en) A seatbelt arrangement with an air bag
US11040694B1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harness
KR20010004850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GB2402653A (en) Fitting for a seat-belt
EP2847034B1 (en) Harness guard safety system
KR100328775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텅
US11535191B2 (en) Seatbelt assembly with enhanced shoulder belt positioning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80659B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 보호 장치
KR100288304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WO2003082637A1 (en) A safety device
KR20040106147A (ko) 차량용 안전벨트
KR200147923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013445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JPH1023080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940000524Y1 (ko) 차내의 승객을 보호하는 휴대용 안전장치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