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021B1 -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021B1
KR100429021B1 KR10-2001-0056053A KR20010056053A KR100429021B1 KR 100429021 B1 KR100429021 B1 KR 100429021B1 KR 20010056053 A KR20010056053 A KR 20010056053A KR 100429021 B1 KR100429021 B1 KR 100429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seat
seat cushion
bel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095A (ko
Inventor
이윤형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0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6Rear seats, e.g. be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5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pressure on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버클은 시트쿠션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차내의 미관을 위해 시트쿠션의 틈새에 집어넣을 경우 버클을 사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쿠션(600)에 구멍(610)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610)의 내부에는 상단에는 장공(210)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브라켓(200)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200)의 사이에는 하부에 랙기어(120)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버클(110)이 구비된 작동구(100)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구(100)의 고정핀(300)은 상기 장공(210)에 끼워 설치되며, 모터(40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410)는 상기 랙기어(120)와 맞물리고, 상기 모터(400)는 시트쿠션(600) 내부에 설치된 무게감지센서(500)로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승객이 뒷좌석에 앉게 되면 무게감지센서(500)에 의해 작동구(100)가 상승되면서 버클(110)이 시트쿠션(600)의 외부로 돌출되고 승객이 뒷좌석에서 벗어나게 되면 무게감지센서(500)에 의해 작동구(100)가 하강되면서 버클(110)이 시트쿠션(600)의 내부로 다시 수납되어 차내의 미관을 양호하게 하면서 시트벨트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Structure for installing a buckle for rear seat belt of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뒷좌석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버클이 뒷좌석 시트쿠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승객이 뒷좌석에 앉게 되면 시트쿠션 외부로 버클이 인출되고 승객이 하차를 하게 되면 버클이 다시 시트쿠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차내의 미관을 보기좋게 함과 동시에 시트벨트의 착용을 용이하게 보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차원을 구속하는 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의 구속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사고시에 승차원을 구속하여 핸들이나 인스트루먼트패널 등에 2차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원이 차량 외부로 방출되면서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승차원 구속장치로는 시트벨트, 에어백 등이 있다.
이러한 승차원 구속장치에 있어 시트벨트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시트벨트의 종류에는 2점식벨트, 3점식벨트, 다이어고널벨트, 풀허네스식벨트 등이 있으며, 2점식벨트는 허리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허리벨트(랩벨트)라고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어깨벨트(숄더벨트)부분이 없기 때문에 충돌시 상체 구속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승차원의 차외방출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3점식벨트는 일반 승용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벨트로서 허리좌우에 2점과 어깨위쪽 1점을 고정시켜 3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허리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어깨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3점식벨트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따로 분리되어 철구조물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 3점식벨트와, 허리벨트와 어깨벨트 두가닥이 연속된 한줄의 웨빙으로 구성되어 텅플레이트가 웨빙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립되는 연속 3점식벨트가 있는데, 착용자의 안전성을 볼때 시트벨트는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고 충돌시의 승차원 보호성능이 뛰어나며 실용성도 높아 가장 표준적인 시트벨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어고널 벨트는 상체만을 구속하는 2점식벨트로서 어깨벨트라고 하며 시트벨트의 초기에 유럽에서 사용되었던 형식을 말하는 것으로 하반신의 구속기능이 없기 때문에 일본, 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 규격으로 부터 제외되어 왔으나 하반신을 구속하는 니볼스터와 짜맞추어져 오토메틱벨트로서 다시 쓰이기 시작한다.
또한 풀허네스식벨트는 레이스나 랠리 등의 경기용 자동차에 설치되는 시트벨트로서 옆구리의 좌우와 어깨의 좌우에 4점을 지지하는 4점식과 상기 4점식에 좌우의 무릎 사이를 1점을 지지하는 5점식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트벨트는 웨빙, 감아들이기장치, ALR(Automatic Locking Retractor), ELR(Emergence Locking Retractor), 버클 및 텅플레이트, 엥커리지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웨빙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등 합성섬유를 넓이 약 50㎜, 두께 약 1.2㎜의 띠모양으로 짠 것으로서 어깨벨트용, 허리벨트용, 연속벨트용 등의 다양한용도에 따라 짜며, 열처리에 따라 강도 여신도 등 특성이 설정된다.
그리고 감이들이기장치(Retractor)는 벨트길이를 승차원 착좌자세나 체격에 따라 조절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벨트수납을 위한 장치이고, ALR은 웨빙을 연장시켜 버클에 끼워넣으면 웨빙이 연장된 길이에서 고정되는 장치로서 착용시 신체의 움직임은 제한되는 한편 단단하게 몸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주로 허리벨트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ELR은 자동차의 충돌시나 급제동시 웨빙의 인장을 방지해주는 충격감지장치이며 평상시에는 자유롭게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감지방식은 차체의 감속도를 펜듀럼등에 의해서 감지하는 타입이 주류이고, 웨빙이 급속히 당겨지는 것을 막는 방식도 있다.
그리고 엥커리지는 웨빙의 한끝을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철구조물에 지나지 않았으나 근간에는 승차원의 체격에 맞추어서 어깨벨트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절해서 착용시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어저스터블의 앵커구조가 많아지기 시작하고, 수동식과 전동식, 시트위치 연동식, 메모리장착 전동식 등 여러종류가 있다.
또한 텅플레이트와 버클은 시트벨트를 착용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장치로서 텅플레이트는 웨빙에 고정되어 있고, 버클은 시트에 설치되어 웨빙이 연결된 텅플레이트가 버클에 체결 및 분리되면서 시트벨트를 착용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에는 앞좌석과 뒷좌석에 각각 시트벨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뒷좌석의 경우 시트벨트의 버클이 시트쿠션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놓여있어 외관상보기 좋지 않으며, 뒷좌석에 승객이 앉은 경우 버클을 깔고 앉게 되므로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클을 시트쿠션의 틈새에 강제로 집어넣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여 외관상 보기좋게 하고 있으나, 버클이 시트쿠션의 틈새에 강제로 끼워져 있을 경우 뒷좌석 승객이 버클을 시트쿠션의 틈새로부터 꺼내기가 불편하며 상기와 같은 불편함으로 인하여 시트벨트의 착용을 꺼려하여 사고에 무방비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객이 차량의 뒷좌석에 앉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시트쿠션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버클이 시트쿠션 외부로 돌출되면서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를 버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버클이 필요시에만 시트쿠션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실내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시트벨트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쿠션에 소정크기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통한 시트쿠션 내부에는 하단이 차체와 고정되며 상단에는 장공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브라켓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사이에는 하부에 랙기어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버클이 구비된 작동구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구의 중앙부위에는 고정핀이 설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장공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기어는 상기 작동구의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모터는 시트쿠션 내부에 설치된 무게감지센서에 의해 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승객이 차량의 뒷좌석에 앉게 되면 무게감지센서가 작동되면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기어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작동구가 상승하게 되면서 버클이 시트쿠션 외부로 돌출되며, 승객이 뒷좌석에서 벗어나게 되면 무게감지센서에 의해 모터가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어 피니언기어의 작동에 의해 작동구가 하강하게 되면서 버클이 다시 시트쿠션 내부로 수납됨에 따라 차내의 미관을 양호하게 하면서 뒷좌석 시트벨트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뒷좌석용 시트벨트의 버클을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다른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작동구 110 : 버클
120 : 랙기어 200 : 가이드브라켓
210 : 장공 300 : 고정핀
400 : 모터 410 : 피니언기어
500 : 무게감지센서 600 : 시트쿠션
610 : 구멍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뒷좌석용 시트벨트의 버클을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버클이 시트쿠션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버클이 시트쿠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뒷좌석 시트쿠션(600)에는 소정 크기의 구멍(610)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을 통한 내부에는 각각 장공(210)이 구비되어 있는 한쌍의 가이드브라켓(200)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고정하며, 상기 가이드브라켓(200)의 사이에는 작동구(100)를 설치하되 작동구(100)의 상부에는 버클(110)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랙기어(120)가 구비되며 중앙부위는 가이드브라켓 (200)의 장공(210)에 끼워지는 고정핀(300)이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120)에는 모터(400)의 구동에 의해 회전이 가능한 피니언기어(410)가 맞물리고, 상기 모터 (400)는 시트쿠션(600) 내부에 구비된 무게감지센서(500)에 의해 회전 또는 역회전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뒷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트쿠션 (600)내부에 시트벨트의 버클(110)이 수납된 상태로 위치하다가 승객이 뒷좌석에 탑승하게 되면 승객의 탑승을 감지하여 시트쿠션(600) 외부로 버클(110)이 돌출됨에 따라 승객이 시트벨트의 착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차내의 미관을 보기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뒷좌석용 시트벨트 버클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뒷좌석의 시트쿠션(600)의 사이에는 소정크기의 관통된 구멍(610)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내부로는 차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브라켓(20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200)의 사이에는 상단에 버클(110)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랙기어(120)가 형성된 작동구(1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브라켓(200)과 작동구(100)의 고정상태를 살펴보면 한쌍의 가이드브라켓(200)에는 서로 일치되는 장공(210)이 형성되어 작동구(100)의 중앙부위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 고정핀(300)의 양단이 상기 장공(210)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작동구(100)가 상하로 이동되면 작동구(100)의 고정핀 (300)이 가이드브라켓(200)의 장공(210)범위내에서 승하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구(100)의 하단에 형성된 랙기어(120)에는 피니언기어(410)가 맞물려 있으며, 상기 피니언기어(410)는 모터(400)에 의해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모터(400)는 시트쿠션(600)의 내면에 구비된 무게감지센서(500)에 의해 회전과 역회전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자동차의 뒷좌석에 승객이 탑승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동구(100)와 함께 버클(110)이 시트쿠션(600)의 구멍(6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서 차내의 미관을 보기좋게 할 수 있는 것이며, 뒷좌석에 승객이 탑승하게 되면 무게감지센서(500)가 승객의 무게를 감지하여 모터(400)를 정해진 시간동안 회전시키게 되면서 모터(400)에 연결된 피니언기어(41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410)와 맞물려 있는 랙기어(120)가 상승을 하게 되면서 작동구(100)가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작동구(100) 상단에 구비된 버클(110)은 시트쿠션(600)의 구멍(610) 외부로 돌출되므로 승객은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를 버클(11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뒷좌석에 탑승했던 승객이 버클(110)로부터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를 분리시킨 후 하차를 하게되면 무게감지센서(500)에 무게가 감지되지 않으므로 일정시간이 흐른 후 모터(400)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410)와 랙기어(120)에 작용으로 작동구(100)와 함께 버클(110)이 시트쿠션(600)의 구멍(610) 내부로 하강하게 되면서 버클(110)이 시트쿠션(600)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되므로차내의 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뒷좌석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벨트용 버클이 승객이 없을 때에는 시트쿠션 내부에 위치하다가 승객의 탑승하게 되면 시트쿠션 내부에 있던 버클이 시트쿠션 외부로 돌출되면서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차내의 미관을 보기좋게 할 수 있으며, 시트벨트의 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쿠션에 형성되는 구멍 내부에는 모터와 연결된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도록 하단에 랙기어가 구비되고 그 상단에는 버클이 구비된 작동구가 설치되며, 상기 시트쿠션에는 무게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무게감지센서에 의해 모터가 회전 또는 역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용 버클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단은 차체와 고정되고 상단에는 장공(210)이 형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쌍의 가이드브라켓(200)을 상기 작동구(100)의 양쪽에 위치시킨 후 고정핀(300)을 상기 가이드브라켓(200)의 장공(210)에 관통시켜 작동구(100)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10-2001-0056053A 2001-09-12 2001-09-12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100429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53A KR100429021B1 (ko) 2001-09-12 2001-09-12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053A KR100429021B1 (ko) 2001-09-12 2001-09-12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095A KR20030023095A (ko) 2003-03-19
KR100429021B1 true KR100429021B1 (ko) 2004-04-29

Family

ID=2772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053A KR100429021B1 (ko) 2001-09-12 2001-09-12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0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764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리어 시트 벨트 버클
KR19980044366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리어 시트벨트 버클 격납장치
KR19990041283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KR19990041280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장치
KR20010065440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의 시트 벨트 버클 길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764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의 리어 시트 벨트 버클
KR19980044366U (ko) * 1996-12-26 1998-09-25 박병재 리어 시트벨트 버클 격납장치
KR19990041283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KR19990041280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장치
KR20010065440A (ko) * 1999-12-29 2001-07-11 이계안 자동차의 시트 벨트 버클 길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095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7520B1 (en) Child Safety Restraint
EP1918163B1 (en) Child safety restraint
EP2045147B1 (en) Seat belt system for adults and children
EP2047764A2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Seat Belt System
EP0868329B1 (en) Arrangement for safety-belt
WO2005118330A2 (en) A seat belt arrangement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GB2408241A (en) A seatbelt arrangement with an air bag
GB2414442A (en) Three point seat belt with additional fixed two point belt
JP3126115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100328775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텅
KR200393537Y1 (ko) 화물차 및 승합차의 중간좌석
JPH04303054A (ja) ベルト一体シート装置
KR10043537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조절 장치
KR940000017Y1 (ko) 차량용 안전벨트
KR0123593Y1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센터시트용 안전벨트
KR20060038126A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용 허리벨트
KR100379963B1 (ko) 다방향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 장치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200142038Y1 (ko) 시트일체형 시트벨트
KR200142788Y1 (ko) 차량의 4점 지지식 시트벨트구조
KR19980029832A (ko) 차량의 프론트시트 시트벨트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