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283A -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283A
KR19990041283A KR1019970061864A KR19970061864A KR19990041283A KR 19990041283 A KR19990041283 A KR 19990041283A KR 1019970061864 A KR1019970061864 A KR 1019970061864A KR 19970061864 A KR19970061864 A KR 19970061864A KR 19990041283 A KR19990041283 A KR 19990041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elt
vehicle
detect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9742B1 (ko
Inventor
이득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61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7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41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3Means for presenting the belt or part thereof to the wearer, e.g. foot-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탑승자의 착석과 기기의 조작 등을 감지하여 그 감지상태에 대응하여 안전밸트의 탈착이 용이한 위치로의 버클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안전밸트 착용시 소량의 힘으로도 착용이 가능하도록하도록 하는 것으로, 시트쿠션(2)의 내부 소정부에 구성되어 탑승자의 시트쿠션(2)으로의 착석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8)과, 안전밸트의 착용과 분리상태를 감지하는 밸트착용감지수단(26),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기어가 파킹위치로 되는 것을 감지하는 변속감지수단(30), 상기 감지수단(8,26,30)의 신호입력에 따라 버클(11)이 인출/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버클이동수단(10) 및, 상기 감지수단(8,26,30)의 신호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버클이동수단(10)에 버클(11)을 인출/수납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32)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안전밸트착용시 시트밸트의 버클이 상/하로 이동하여 안전밸트의 착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에는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시판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장치는 안전밸트장치와 에어백장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안전밸트의 장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안전도모용장치로서, 밸트로 흉부(胸部)를 대각선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바탕으로 고정하고 동시에, 복부(腹部)를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하여,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관성으로 인해 차량내부의 각종 부재와 충돌하여 발생될 수 있는 2차적인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안전밸트장치를 운전석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운전석의 좌측 소정부에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된 안전밸트가 있고, 그 안전밸트에 일측이 통과되면서 결합되어 있는 텅(Tongue)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텅(Tongue)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우측하단 소정위치에 버클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밸트장치는 운전자의 좌측 상단부에 있는 텅(Tongue)을 운전자가 당겨서 우측 하단의 버클의 삽입구에 삽입하면 버클 내부에서 고정핀의 작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 순간적인 힘으로는 상기 버클 내부의 고정핀이 고정해제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을 해제했을 때 다시 안전밸트가 운전자의 좌측으로 와인딩(Winding)될 수 있도록 압축스피링 등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안전밸트장치에 따르면, 상기 안전밸트를 와인딩(Winding)시키기 위해 압축스프링 등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안전밸트의 텅(Tongue)을 상기 버클의 삽입구에 삽입시킴에 있어서, 상기 버클이 운전자의 우측하단부에 이동불가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텅(Tongue)을 상기 버클의 삽입구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요구된다는 불리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안전밸트의 장착 또는 탈착이 요구될 때 상기 버클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르면, 시트쿠션의 내부 소정부에 구성되어 탑승자의 시트쿠션으로의 착석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과, 안전밸트의 착용과 분리상태를 감지하는 밸트착용감지수단,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기어가 파킹위치로 되는 것을 감지하는 변속감지수단,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입력에 따라 버클이 인출/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버클이동수단 및, 상기 감지수단의 신호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버클이동수단에 버클을 인출/수납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자의 착석과 기기의 조작 등을 감지하여 그 감지상태에 대응하여 안전밸트의 탈착이 용이한 위치로의 버클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안전밸트 착용시 소량의 힘으로도 착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차량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정*
8:압력감지수단, 10:버클이동수단,
22:피니언, 24:래크,
26:밸트착용감지수단, 27:발광다이오드,
28:포토다이오드, 30:변속감지수단,
32:제어수단.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차량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구성도로서, 참조부호 2는 시트쿠션을 나타내며, 4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을 나타내며, 6은 탑승자의 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2)의 내부 소정위치에 구성되어 탑승자의 착석을 압력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력감지수단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0은 후술하는 제어수단(32)의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버클(11)의 이동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버클이동수단이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 참조부호 12는 상기 버클(11)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기를 나타내며, 통상 펄스입력값으로 회전수가 제어되는 스텝모터류를 사용하며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정/역모터를 사용한다.
또, 14는 상기 전동기(12)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전동기(12)의 구동력을 밸트(18)로 전달하는 제 1밸트이송기어를 나타내며, 16은 상기 제 1밸트이송기어(14)와 평행으로 설치되어 상기 밸트(1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 2밸트이송기어를 나타내며, 상기 제 2밸트이송기어(16)의 원점을 통과하여 힌지축(20)이 구성되고, 그 힌지축(20)의 일단에 피니언(22)이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22)과 맞물려 상기 전동기(1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래크(24)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클(11)내부에는 상기 안전밸트의 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밸트착용감지수단(26)이 구성되어 있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트착용감지수단(26)은 발광다이오드(27)와 포토다이오드(28)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텅(Tongue)이 버클(11)에 삽입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27)에서 발생되는 적외선광이 중간 차단되어 상기 포토다이오드(28)가 수광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안전밸트의 착용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밸트착용감지수단(26)에서 발생되는 펄스의 형태가 변환될 때, 즉 1에서 0으로 또는 0에서 1로 변환될 때, 상기 버클이동수단(10)의 버클(11)의 인출/수납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참조부호 30은 변속기어를 파킹위치에 두면 상기 버클이동수단(10)이 동작될 수 있도록 차량의 변속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변속감지수단을 나타낸다.
또한, 32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여 상기 압력감지수단(8)으로부터 입력받은 압력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버클(11)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밸트착용감지수단(26)에서 밸트의 착용이 감지되면 인출되었던 버클(11)이 다시 수납될 수 있도록 하고, 탑승자가 자동변속기(도시생략)를 파킹위치로 변속하여 상기 변속감지수단(30)에 파킹신호가 검출되면 버클이동수단(10)이 작동되어 버클(11)이 인출되도록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차량시트쿠션(2)의 내부 소정부에 구성된 상기 압력감지수단(8)에서 탑승자의 착석이 압력으로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가 OR게이트를 통과하여 상기 제어수단(32)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수단(32)은 상기 버클이동수단(10)이 동작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그 버클이동수단(10)의 부재인 전동기(12)가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어 중간 구동전달수단(14,16,18)을 통해 상기 피니언(22)에 상기 전동기(12)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다시 래크(24)를 거치면서 상기 전동기(12)의 회전력이 직선상하운동으로 전환되어 버클(11)이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버클(11)의 삽입구에 안전밸트의 텅(Tongue)의 삽입상태가 상기 밸트착용감지수단(26)에서 감지되면,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수단(32)이 입력받아 상기 버클이동수단(10)을 동작시켜 버클(11)이 초기위치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 상태에서, 탑승자가 자동변속기(도시생략)의 기어위치를 파킹에 위치시키면 상기 변속감지수단(30)에서 그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가 상기 OR게이트(9)를 통과하여 상기 제어수단(32)으로 입력되고, 상기 제어수단(32)은 안전밸트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 상기 버클이동수단(10)을 구동시켜서 상기 버클(11)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버클(11)에서 상기 텅(Tongue)을 분리시키면 상기 벨트착용감지수단(26)에서 그 분리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32)에서 신호입력하면 제어수단(32)은 다시 버클이동수단(10)을 구동시켜 상기 버클(11)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에 의하면, 탑승자의 착석과 기기의 조작 등을 감지하여 그 감지상태에 대응하여 안전밸트의 탈착이 용이한 위치로의 버클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 안전밸트 착용시 소량의 힘으로도 착용이 가능하도록하여 탑승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는 이 점이 있다.

Claims (3)

  1. 시트쿠션(2)의 내부 소정부에 구성되어 탑승자의 시트쿠션(2)으로의 착석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8)과,
    안전밸트의 착용과 분리상태를 감지하는 밸트착용감지수단(26),
    차량의 자동변속기의 기어가 파킹위치로 되는 것을 감지하는 변속감지수단(30),
    상기 감지수단(8,26,30)의 신호입력에 따라 버클(11)이 인출/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버클이동수단(10) 및,
    상기 감지수단(8,26,30)의 신호입력을 판단하여 상기 버클이동수단(10)에 버클(11)을 인출/수납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32)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이동수단(10)은 상기 제어수단(32)으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배터리전원을 인가받아 버클(11)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기(12)와, 상기 전동기(12)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전달수단(14,16,18,20) 및, 상기 전동기(12)의 회전력을 직선상하운동으로 바꾸기 위한 피니언(22)과 래크(24)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착용감지수단(26)은 상기 버클(11)의 내부 일면에 적외선광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발광다이오드(27)와, 그 상대면에 적외선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토다이오드(28)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KR1019970061864A 1997-11-21 1997-11-21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KR10022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864A KR100229742B1 (ko) 1997-11-21 1997-11-21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864A KR100229742B1 (ko) 1997-11-21 1997-11-21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283A true KR19990041283A (ko) 1999-06-15
KR100229742B1 KR100229742B1 (ko) 1999-11-15

Family

ID=1952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864A KR100229742B1 (ko) 1997-11-21 1997-11-21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7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021B1 (ko) * 2001-09-12 2004-04-29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100435330B1 (ko) * 2001-08-10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 벨트용 가변버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330B1 (ko) * 2001-08-10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 벨트용 가변버클 구조
KR100429021B1 (ko) * 2001-09-12 2004-04-29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9742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822B1 (ko) 웨빙 권취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JP4142750B2 (ja) 車両の乗員拘束保護システム
CN1951737B (zh) 安全带卷收器、安全带装置、带安全带装置的车辆
CN1970353A (zh) 安全带卷收器、安全带装置、带安全带装置的车辆
CN1891538B (zh) 安全带卷收器、安全带装置和带安全带装置的车辆
CN1899894B (zh) 安全带卷收器、安全带装置以及带安全带装置的车辆
EP1749716B1 (en) Seat belt retractor system,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a seat belt apparatus
EP1759938A1 (en)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CN1891537A (zh) 安全带卷收器、安全带装置、带安全带装置的车辆
EP1749717A1 (en) Seat belt retractor, seat belt apparatus, and vehicle with a seat belt apparatus
US8893998B2 (en) Belt retractor for a seat belt system
KR100229742B1 (ko) 차량의 시트밸트 버클이동장치
CN102781735A (zh) 汽车安全带的自动锁定及解锁装置
EP1733935A1 (en) Safety belt retractor and safety belt apparatus
EP2025554A1 (en) Safety ensuring device
JP2006096188A (ja) 乗員制止装置
CN1970355A (zh) 利用安全气囊信息的防夹方法
JP3928968B2 (ja) 車両の乗員拘束保護システム
KR101211107B1 (ko) 신체 사이즈에 의해 모터의 구동력을 조절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US5058701A (en) Passive restraint system with manual lap belt interlock
KR102322384B1 (ko) 전자식 리트랙터 시스템 및 이를 통한 전자식 리트랙터 시스템 제어방법
KR20070050210A (ko) 차량용 시트벨트 록킹장치
KR100468923B1 (ko)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JP4313774B2 (ja) 車両の乗員拘束保護システム
KR20230081597A (ko) 비상 텐셔닝 모듈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