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923B1 -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923B1
KR100468923B1 KR10-2001-0060149A KR20010060149A KR100468923B1 KR 100468923 B1 KR100468923 B1 KR 100468923B1 KR 20010060149 A KR20010060149 A KR 20010060149A KR 100468923 B1 KR100468923 B1 KR 10046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lever
seat belt
housing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8148A (ko
Inventor
김종각
Original Assignee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9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2/3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클 감지센서로써 차량 충돌시 일정량의 충격에 의해 작동되므로 작동레버와 래치트휘일과 맞물려 안전벨트가 권취된 샤프트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는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바닥의 설치공간(11), 전면벽(16)으로의 각 고정구 (14, 15)및 일렬로의 제 1 및 제 2 결합구멍(12, 13)으로 된 하우징(10); 밑면중앙의 라운딩부(21)과 관통하는 중앙구멍(22), 그리고 좌우측 체결홈(23, 24)으로 이루어져 이 하우징(10)의 설치공간(11)내에 기울어짐이 가능한 질량부재(20); 중앙의 안착구멍(31)과 안착돌출홈부(32), 테두리(33), 좌우측 돌기(34, 35)와 1 개의 결합구멍(36), 그리고 밑면으로 좌우측 체결돌기(37, 38)로 이루어지고 상기 질량부재(20)와 일체화되는 안착부재(30); 이 안착부채(30)의 안착돌출홈부(32)에 놓여지는 스탠딩볼(40); 그리고 제 1 작동레버(51)과 제 2 작동레버(52)로 이루어진 포울레버(50)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TILT LOCKING APPARATUS OF SEAT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비클 감지센서로써 차량 충돌시 일정량의 충격에 의해 작동되므로 작동레버와 래치트휘일과 맞물려 안전벨트가 권취된 샤프트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는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운전중에 승차감과 속도등의 기본적인 성능뿐만 아니라 승객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에 대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그 중에서 좌석벨트 리트랙터는 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장치로써 상당한 성능개발이 이루어져 있고, 프리텐셔너도 이 리트랙터의 성능을 1 단계 더 발전되도록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프리텐셔너는 자동차의 급격한 감속, 즉 정면 충돌등에 의한 자동차의 정지시 발생되도록 하는 파이로테크닉(PYROTECHICS)이라든지 다른 동력을 이용하는 동력발생기의 동력으로 리트랙터 리일을 역회전시켜 안전벨트의 소정길이를 회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프리텐셔너는 승객을 좌석에 구속시키는 원래의 목적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가질 수 없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동력발생장치에 대해 프리텐셔너가 분리되어 있어, 그 동력의 크기에 따라 프리텐셔너의 안전벨트의 회수길이가 일정하도록 조정하는 데에 따른 기술적인 어려움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좌석벨트 리트랙터에서 작동되는 이 비클센서에는 레버를 설치하게 되는 바, 이는 차량의 충돌시 일정량의 충격이 비클센서에 전달되면 이 비클센서가 작동되며 레버를 톱니바퀴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톱니바퀴쪽으로 이동된 레버는 톱니바퀴와 맞물려서 시트벨트가 권취된 샤프트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시트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종래 장치로서 미국특허 제 5,820,060 호는 비클센서로써 시트벨트리트랙터에서 작동하는 가속센서가 개시되어 있는 바, 시트백에 시트벨트리트랙터가 결합되어 있어 차량의 진동에서조차 노이즈로 야기되지 않는다. 릴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릴회전은 록킹메커니즘에 의해 방해되고 있다. 이 록킹메커니즘에 있어, 기어휠의 회전은 가속센서에 의해 방해되고, 트리거는 중간휠의 회전을 스톱시킴에 따라 록링(LOCK RING)상 톱니바퀴와 더불어 톱니바퀴부분이 맞물리도록 클러치휠을 통해 피벗된다.
래치트는 중간휠과 결합된 래치트휠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휠의 회전을 스톱시킨 후에도 래치트휠이 회전하기 때문에 래치트는 스톱퍼가 억누름에 의해 밖으로 향해 움직인다. 이러한 해제는 센서홀딩부분상 랙과 스톱퍼의 랙사이에서 맞물리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종래의 장치로서 미국특허 제 5,882,084 호는 시트벨트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 차량시트백상에 설치하는 시트벨트리트랙터는 시트벨트웹빙이 감겨진 스풀을 포함하고, 이 리트랙터는 미리 정해진 감속에 대해 차량감속에 답하여 벨트인출방향에서 스풀의 회전을 블로킹하여 비클감지센서로써 작용하는 관성센싱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관성센싱수단은 미리 정해진 감속에 대해 차량감속에 답하여 비활동위치로부터 활동위치까지 움직이는 제 1 관성멤버와, 비활동위치로부터 활동위치까지 제 1 관성멤버의 운동에 답하여 벨트인출방향에서 스풀의 회전을 방해하도록 작용하는 센서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센서수단은 제 1 관성멤버가 비활동위치에 있을 때 미리 정해진 량보다 더 많은 량에 의해 차량시트백의 틸팅에 답하여 벨트인출방향에서 스풀의 회전을 방해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장치들을 감안하여 비클센서로써 구성되도록 발명된 것으로, 하우징의 설치공간내에서 안착부재가 체결된 질량부재가 놓여진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스탠딩볼과 동시에 작동하는 제1작동레버 및 제2작동레버가 설치되고 차량 충돌시 일정량의 충격에 의해 작동되므로 제2작동레버가 래치트휘일과 맞물려 안전벨트가 권취된 샤프트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를 결합해놓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충돌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20 : 질량부재
30 : 안착부재 40 : 스탠딩볼
50 : 포울레버 51 : 제 1 작동레버
52 : 제 2 작동레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의 설치공간(11), 전면벽(16)으로의 각 고정구(14, 15)및 일렬로의 제 1 및 제 2 결합구멍(12, 13)으로 된 하우징(10); 밑면중앙의 라운딩부(21)과 관통하는 중앙구멍(22), 그리고 좌우측 체결홈(23, 24)으로 이루어져 이 하우징(10)의 설치공간(11)내에 기울어짐이 가능한 질량부재(20); 중앙의 안착구멍(31)과 안착돌출홈부(32), 테두리(33), 좌우측 돌기(34, 35)와 1 개의 결합구멍(36), 그리고 밑면으로 좌우측 체결돌기(37, 38)로이루어지고 상기 질량부재(20)와 일체화되는 안착부재(30); 이 안착부채(30)의 안착돌출홈부(32)에 놓여지는 스탠딩볼(40); 그리고 제 1 작동레버(51)과 제 2 작동레버(52)로 이루어진 포울레버(50)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를 도시해 놓은 분리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설치공간(11)내에서 안착부재 (30)가 체결된 질량부재(20)가 놓여진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스탠딩볼(40)과 동시에 작동하는 제 1 및 제 2 작동레버(51, 52)의 포울레버(50)가 작동됨에 따라 차량 충돌시 일정량의 충격에 의해 작동되므로 제 2 작동레버(52)와 래치트휘일과 맞물려 안전벨트가 권취된 샤프트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틸트록킹장치는 하우징(10), 질량부재(20), 안착부재(30), 스탠딩볼(40)및 포울레버(50)로 구성되어 차량 이상상태를 검출하게 되는 바, 이는 도시되지 않는 웨빙제어장치가 스풀의 샤프트상에 조립된 다음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리트랙터프레임의 장착홀에 위치되도록 된다. 이 커버는 안쪽하측으로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래치트휘일에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이 놓여지고 있고, 이 하우징(10)의 각 고정구(14, 15)는 상기 리트랙터프레임의 장착홀내 해당 삽입부재에 고정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사각형 바닥의 설치공간(11)이 형성되면서 전면벽(16)으로의 각 고정구(14, 15)가 동일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16)의 직각으로 인접하여 일렬로의 제 1 및 제 2 결합구멍(12, 13)이 배열된다. 상기 설치공간(11)은 사각테두리에서 전면벽(16)과 제 1 및 제 2 결합구멍(12, 13)이 둘러쌓여 있는 한편 내부 평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전면벽(16)의 고정구(14)는 돌출되어 타원형이 형성되어 그 위쪽로 제 2 결합구멍(13)의 한구멍이 위치되고, 다른 고정구(15)도 동일 높이로 돌출되어 위쪽으로 돌출편이 위치되며, 이 고정구(14, 15)사이로의 개구부(17)에 제 1 결합구멍(12)의 한구멍이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결합구멍(12, 13)의 다른 구멍은 전면벽(16)의 타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한구멍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이 하우징(10)의 설치공간(11)내에서 기울어짐이 가능한 질량부재(20)는 직사면체로 밑면중앙의 라운딩부(21)과 관통하는 중앙구멍(22), 그리고 좌우측 체결홈(23, 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질량부재(20)는 후술하게 될 안착부재(30)와 일체화되는 질량부재로서 평상시에 하우징(10)의 설치공간(11)에 놓여져 제 1 결합구멍(12)측으로 기울러져 있다. 안착부재(30)의 좌우측 체결돌기(37, 38)가 질량부재(20)의 좌우측 체결홈(23, 24)에 각각 끼워져서 일체화되고 있다.
이 질량부재(20)에 체결된 안착부재(30)는 중앙의 안착구멍(31)과 안착돌출홈부(32), 테두리(33), 좌우측 돌기(34, 35)와 1 개의 결합구멍(36), 그리고 밑면으로 좌우측 체결돌기(37, 38)로 이루어지고 있다. 질량부재(20)상의 안착부재 (30)를 회동부로서 좌우측 돌기(34, 35)가 상기 하우징(10)의 제 1 결합구멍(12)에 결합되므로, 차량의 이상상태로 되어 급가속될 경우나 오프로드 주행중에는 차량의 자체 반동작용으로 제 2 결합구멍(13)측으로 기울러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우징(10)의 설치공간(11)상에 질량부재(20)의 안착부재(30)가 체결된 상태에서 스탠딩볼(40)이 안착부채(30)의 안착돌출홈부(32)에 놓여지게 되는 바, 이 스탠딩볼(40)의 위면을 제 1 작동레버(51)과 제 2 작동레버(52)로 이루어진 포울레버(50)등으로 눌러서 고정시켜주므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틸트록킹장치로서 완성품으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상 질량부재(20)의 안착부재(30)에 있어 안착돌출홈부(32)에 안정되게 놓여진 스탠딩볼(40)을 순차적으로 제 1 작동레버(51)와 제 2 작동레버(52)가 눌러지고 있다.
상기 포울레버(50)의 제 1 작동레버(51)는 일측으로 평형축(53)의 회동부(54)가 형성되면서 타측으로 지지돌기부(55)와 지지홈(56)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작동레버(52)는 제 1 작동레버(51)의 지지돌기부(55)를 눌러주고 일측으로 평형축(58)의 회동부(57)가 형성되면서 타측으로 레버단부(59)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작동레버(51)의 회동부(54)가 안착부재(30)의 결합구멍(36)에 결합되고 있고, 제 2 작동레버(52)의 회동부(57)가 하우징(10)의 제 2 결합구멍(13)에 결합되고 있다. 상기 제 1 작동레버(51)의 지지돌기부(55)와 제 2 작동레버(52)의 레버단부(59)는 같은 방향으로 놓여져 있다.
따라서, 차량의 이상상태로 되어 급가속될 경우나 오프로드 주행중에는 차량의 자체 반동작용으로 하우징(10)상 질량부재(20)의 안착부재(30)가 제 2 결합구멍(13)측으로 기울러지게 되면, 안착부재(30)의 안착돌출홈부(32)상 스탠딩볼(40)도 기울러져 안착부재(30)의 결합구멍(36)에 결합된 제 1 작동레버(51)의 지지돌기부(55)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어 하우징(10)의 제 2 결합구멍(13)에 결합된 제 2 작동레버(52)의 레버단부(59)를 바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틸트록킹장치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질량부재(20), 안착부재(30), 스탠딩볼(40)및 포울레버(50)등이 일체화되어 비클 감지센서로서 차량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예컨데 차량 충돌시 일정량의 충격에 의해 작동되므로 작동레버와 래치트휘일과 맞물려 안전벨트가 권취된 샤프트를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충돌시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틸트록킹장치는 평상시 하우징(10)상의 설치공간(11)에서 안착부재(30)의 질량부재(20)가 제 1 결합구멍(12)측으로 기울러져 라운딩부(21)가 바깥쪽으로 경사지고, 이렇게 기울러진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30)의 안착돌출홈부(32)상 스탠딩볼(40)을 2 차적으로 포울레버(50)인 제 1 작동레버(51)의 지지돌기부(55)와 제 2 작동레버(52)의 레버단부(59)가 눌러주고 있다.
이때 차량의 이상상태로 되어 급가속될 경우나 오프로드 주행중에는 차량의 자체 반동작용으로 질량부재(20)의 안착부재(30)가 제 2 결합구멍(13)측으로, 즉 상기 질량부재(20)의 라운딩부(21)가 안쪽으로 기울러지게 되고, 이어 안착부재 (30)의 안착돌출홈부(32)상 스탠딩볼(40)도 동시에 기울러져서 안착부재(30)의 결합구멍(36)에 결합된 제 1 작동레버(51)의 지지돌기부(55)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어 제 1 작동레버(51)의 지지돌기부(56)와 동일 방향으로 위치되고 하우징(10)의 제 2 결합구멍(13)에 결합된 제 2 작동레버(52)의 레버단부(59)도 위쪽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은 제 2 작동레버(52)의 레버단부(59)가 도시되지 않는 래치트휘일의 톱니부와 결합되게 되는 바, 이때 웨빙인출이 일어나게 되어 스풀에 결합된 질량부재가 샤프트와 함께 회동하게 되고, 레치트휘일은 샤프트의 힘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관성을 갖게 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풀에 결합된 질량부재의 래치들이 다른 톱니부를 타고 넘으면서 리테이너링의 스프로켓과 결합되고, 이 리테이너링을 웹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이 로킹요소가 이동하여 그의 래치가 다른 스프로켓과 결합하여 스폴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동시에 발생되는 웹 당김력은 스풀을 당기게 되어 그의 플랜지들의 마운팅블록이 그의 개구상에 마찰톱니부와 결합되므로 스풀이 더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보장한다.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클센싱과정에 따른 센싱속도를 기구적으로 향상시킴은 물론 그에 응답하여 곧바로 승객을 구속하도록 하고 있다.

Claims (4)

  1. 바닥의 설치공간, 전면벽으로의 각 고정구및 일렬로의 제 1 및 제 2 결합구멍으로 된 하우징;
    밑면중앙의 라운딩부와 관통하는 중앙구멍, 그리고 좌우측 체결홈으로 이루어져 이 하우징의 설치공간내에 기울어짐이 가능한 질량부재;
    중앙의 안착구멍과 안착돌출홈부, 테두리, 좌우측 돌기와 1 개의 결합구멍, 그리고 밑면으로 좌우측 체결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질량부재와 일체화되는 안착부재;
    이 안착부채의 안착돌출홈부에 놓여지는 스탠딩볼; 그리고
    제 1 작동레버와 제 2 작동레버로 이루어진 포울레버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레버의 지지돌기부와 제 2 작동레버의 레버단부는 같은 방향으로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3. 하우징의 설치공간내에서 안착부재가 체결된 질량부재가 놓여져서 이 질량부재의 라운딩부가 필요한 방향으로 기울러지고, 이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안착부재의 안착돌출홈부상 스탠딩볼과 동시에 작동하는 제 1 및 제 2 작동레버의 포울레버가 작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차량 충돌시 일정량의 충격에 의해 작동되므로 제 2 작동레버와 래치트휘일과 맞물려 안전벨트가 권취된 샤프트를 고정시켜서 안전벨트가 더 이상 풀리지 않고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볼이 기울러질 때 안착부재의 결합구멍에 결합된 제 1 작동레버의 지지돌기부를 위쪽으로 밀어올리고, 동시에 제 1 작동레버의 지지돌기부와 동일 방향으로 위치되고 하우징의 제 2 결합구멍에 결합된 제 2 작동레버의 레버단부도 위쪽으로 밀어올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KR10-2001-0060149A 2001-09-27 2001-09-27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KR10046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49A KR100468923B1 (ko) 2001-09-27 2001-09-27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49A KR100468923B1 (ko) 2001-09-27 2001-09-27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48A KR20030028148A (ko) 2003-04-08
KR100468923B1 true KR100468923B1 (ko) 2005-02-02

Family

ID=2956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149A KR100468923B1 (ko) 2001-09-27 2001-09-27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9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218B1 (ko) * 2021-11-30 2022-09-0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WO2024076026A1 (ko) * 2022-10-05 2024-04-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4354B (zh) * 2020-06-23 2024-05-03 浙江松原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车感组件和卷收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218B1 (ko) * 2021-11-30 2022-09-0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WO2024076026A1 (ko) * 2022-10-05 2024-04-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48A (ko)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845B1 (ko) 차량용 좌석벨트 리트랙터
KR100871570B1 (ko) 시트벨트의 웨빙로킹방지장치
JPS5841977Y2 (ja) シ−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装置
US6871813B2 (en) Vehicular seatbelt retractor
JPH0585306A (ja) 自動車における緊締手段のための駆動機構
KR20190128994A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US5373612A (en) Buckle device in seat belt apparatus
KR100468923B1 (ko) 좌석벨트 리트랙터의 틸트록킹장치
US4864086A (en) Vehicle deceleration sensor
US4223915A (en) Seatbelt system
EP0543520B1 (en) Seat belt retractor having rattle suppression mechanism
US20040251364A1 (en) Pretensioner of a seatbelt retractor
US20090057467A1 (en) Cover structure of seat belt retractor
US4736902A (en) Locking safety belt retractor
US4533158A (en) Seat belt latch device
KR970000439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웨빙로크장치 및 그 조립시스템
JPH0415558Y2 (ko)
KR013490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웨빙로크장치
JP446269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230081611A (ko) 비상 텐셔닝 모듈이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11068194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EP1433675A1 (en) A pretensioner of a seatbelt retractor
GB2364518A (en) Seatbelt retractor pawl device
JPS6257540B2 (ko)
JPH08188120A (ja) 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