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957Y1 -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957Y1
KR200267957Y1 KR2019980016291U KR19980016291U KR200267957Y1 KR 200267957 Y1 KR200267957 Y1 KR 200267957Y1 KR 2019980016291 U KR2019980016291 U KR 2019980016291U KR 19980016291 U KR19980016291 U KR 19980016291U KR 200267957 Y1 KR200267957 Y1 KR 200267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hild
seat
car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467U (ko
Inventor
태 의 홍
Original Assignee
태 의 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 의 홍 filed Critical 태 의 홍
Priority to KR2019980016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95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957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를 자동차의 시트에 앉혀 놓을 때 자동차의 급제동이나 추돌사고 등이 발생되어도 유아나 어린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시트의 설치 및 분해를 간편하게하고, 자동차에 잔류하는 정전기로부터 유아나 어린이 및 동승자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자동차의 조수석시트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용 안전시트에서 상기 안전시트의 본체를 직물지로 구성하면서 등받이 부분에 통풍망을 구비하고, 그 본체의 하측에는 T형상의 쿠션부재를 구비하며, 그 쿠션부재의 정면과 양측에는 각각 암버클을 구비하여 본체 상측에 일측이 고정된 어린이 안전밸트의 수버클과 본체의 배면에 고정된 수버클을 결합한 후, 상기 본체의 중앙부분은 암,수버클이 구비된 밴드로 조수석시트의 등받이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은 밴드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헤드리스트 축으로 고정하며, 상기 홀이 구비되는 밴드의 사이에는 정전기방지센서를 구비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에 유아나 어린이를 탑승시킬 때 유아나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어린이 안전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나 어린이를 자동차의 시트에 앉혀 놓을 때 자동차의 급제동이나 추돌사고 등이 발생되어도 유아나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동차에 잔류하는 정전기로부터 유아나 어린이 및 동승자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자동차의 보급과 사용이 일반화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유아나 어린이들이 있는 가정에서는 그 유아나 어린이들을 보호자와 함께 동승시켜 자동차를 운행할 때는 유아나 어린이를 계속 안고 있을 수 없으므로 안심하고 시트에 내려 놓을 수 있는 보조구조물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최근에는 유아나 어린이를 자동차에 태울 때는 어린이용 안전시트의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아나 어린이를 자동차의 시트에 안전하게 앉혀 놓을 수 있도록 한 안전시트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린이용 안전시트는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의 안전시트 본체에 쿠션재를 구비하고, 그 안전시트에는 어린이용 안전밸트를 구비하여 안전시트는 자동차의 시트에 구비된 안전밸트로 고정하고, 그 안전시트에 유아나 어린이를 앉힌 상태에서 안전시트에 구비된 안전밸트를 사용하여 유아나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안전시트를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합성수지재의 본체에 어린이가 부딪히면서 또 다른 부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에 잔류하는 정전기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시트는 유아나 어린이가 앉은 상태에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므로 유아나 어린이들이 장시간 앉아 있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직물지로 안전시트의 본체를 구성하고, 그 본체에 어린이용 안전밸트를 구비하여 유아나 어린이를 자동차의 시트에 앉혀 놓을 때 자동차의 급제동이나 추돌사고 등이 발생되어도 유아나 어린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시트의 설치 및 분해를 간편하게하고, 자동차에 잔류하는 정전기로부터 유아나 어린이 및 동승자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3, 6, 7 : 밴드
4, 12, 13 : 암버클 5, 15, 16 : 수버클
8, 9 : 홀 10 : 정전기방지센서
11 : 쿠션부재 14 : 어린이 안전밸트
17 : 통풍망 20 : 조수석시트
21 : 등받이 22 : 헤드리스트 축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조수석시트(2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시트의 본체(1)를 직물지로 구성하고, 그 본체(1)의 하측에는 T형상의 쿠션부재(11)를 구비하며, 그 쿠션부재(11)의 정면과 양측에는 각각 암버클(12)(13)을 구비하여 본체(1) 상측에 일측이 고정된 어린이 안전밸트(14)의 수버클(15)과 본체(1)의 배면에 고정된 수버클(16)을 결합한 후, 상기 본체(1)의 중앙부분은 암,수버클(4)(5)이 구비된 밴드(2)(3)로 조수석시트(20)의 등받이(21)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1)의 상단은 밴드(6)(7)에 형성된 다수의 홀(8)(9)을 헤드리스트 축(22)으로 고정하며, 상기 홀(8)(9)이 구비되는 밴드(6)(7)의 사이에는 정전기방지센서(1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의 등받이부분에는 통풍망(17)을 구비하여 유아나 어린이가 장시간 앉아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를 운전자의 옆좌석인 조수석시트(20)에 태우고 운전할 때 그 조수석시트(20)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직물지로 구성되는 안전시트의 본체(1)는 그 본체(1)의 상단에 구비된 밴드(6)(7)의 홀(8)(9)에 헤드리스트 축(22)을 삽입하여 그 헤드리스트 축(22)을 조수석시트(20)의 등받이 상단에 결합하고, 본체(1)의 중앙부분 배면에 구비된 밴드(2)(3)를 조수석시트(20)의 등받이(21)에 감착하여 암,수버클(4)(5)로 고정하면 어린이용 안전시트를 간편하게 조수석시트(20)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유아나 어린이를 본체(1)에 앉히고, 쿠션부재(11)의 정면과 양측에 구비된 암버클(12)(13)에 어린이 안전밸트(14)의 수버클(15)과 본체(1)의 배면에 구비된 수버클(16)을 결합하면 유아나 어린이를 안전하게 조수석에 태우고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안전시트 본체(1)는 직물지로 구성된 것이므로 유아나 어린이가 안전시트에 부딪히면서 부상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쿠션부재(11)에 구비된 암,수버클(12)(13)(15)(16) 등에 의한 부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안전시트는 본체(1) 상단의 밴드(6)(7) 사이에는 정전기방지센서(10)를 구비함으로서 조수석에 탑승한 어린이는 물론 보호자도 자동차에 잔류하는 정전기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며, 본체(1)의 등받이부분에 통풍망(17)을 구비하여 안전시트에 앉은 유아나 어린이의 등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므로 유아나 어린이를 안전시트에 태운 상태로 장시간 운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중앙부분은 암,수버클이 구비된 밴드로 조수석시트의 등받이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은 밴드에 형성된 다수의 홀을 헤드리스트 축으로 고정하는 안전시트의 본체를 직물지로 구성하면서 등받이 부분에 통풍망을 구비하고, 그 본체의 하측에는 T형상의 쿠션부재를 구비하여 그 쿠션부재의 정면과 양측의 암버클에 본체 상측에 고정된 어린이 안전밸트의 수버클과 본체의 배면에 고정된 수버클을 결합하며, 상기 홀이 구비되는 밴드의 사이에는 정전기방지센서를 구비함으로서 유아나 어린이를 자동차의 시트에 앉혀 놓을 때 자동차의 급제동이나 추돌사고 등이 발생되어도 유아나 어린이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시트의 설치 및 분해를 간편하게하고, 자동차에 잔류하는 정전기로부터 유아나 어린이 및 동승자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조수석시트(2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용 안전시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시트의 본체(1)를 직물지로 구성하고, 그 본체(1)의 하측에는 T형상의 쿠션부재(11)를 구비하며, 그 쿠션부재(11)의 정면과 양측에는 각각 암버클(12)(13)을 구비하여 본체(1) 상측에 일측이 고정된 어린이 안전밸트(14)의 수버클(15)과 본체(1)의 배면에 고정된 수버클(16)을 결합한 후, 상기 본체(1)의 중앙부분은 암,수버클(4)(5)이 구비된 밴드(2)(3)로 조수석시트(20)의 등받이(21)에 결합하고, 상기 본체(1)의 상단은 밴드(6)(7)에 형성된 다수의 홀(8)(9)을 헤드리스트 축(22)으로 고정하며, 상기 홀(8)(9)이 구비되는 밴드(6)(7)의 사이에는 정전기방지센서(10)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등받이부분에는 통풍망(17)을 구비하여 유아나 어린이가 장시간 앉아 있을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2019980016291U 1998-08-29 1998-08-29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200267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91U KR200267957Y1 (ko) 1998-08-29 1998-08-29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91U KR200267957Y1 (ko) 1998-08-29 1998-08-29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467U KR20000005467U (ko) 2000-03-25
KR200267957Y1 true KR200267957Y1 (ko) 2002-05-09

Family

ID=6951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291U KR200267957Y1 (ko) 1998-08-29 1998-08-29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9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61A1 (ko) * 2012-12-05 2014-06-12 Lee Jung Won 운송수단용 보조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8261A1 (ko) * 2012-12-05 2014-06-12 Lee Jung Won 운송수단용 보조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467U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69594A2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double shoulder belts
KR100602555B1 (ko) 유아용 안전벨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벨트시스템
US20040222686A1 (en) Vehicle seat assembly
KR200267957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20036114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EP2847034B1 (en) Harness guard safety system
KR101313821B1 (ko) 유아용 안전벨트
KR20019688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JP3209124B2 (ja) 車両用シート
KR0125265Y1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장치
KR19990033038A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KR200460844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보조 체결장치
CA2447580C (en) Anti-submarining seat-belt assembly
JP2001112570A (ja) 衝撃吸収シート
US20020047252A1 (e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AU2022209313A1 (en) Top tether dampener
KR10022806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JPS5826203Y2 (ja) 車両用幼児保護装置
KR10143830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200243991Y1 (ko) 자동차용 연소자 보호장치
KR0125519Y1 (ko) 뒷좌석의 탑승자 보호장치
KR0180659B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 보호 장치
Breitenbach et al. Baby seats, safety belts, and yo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