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8066B1 - 자동차의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8066B1
KR100228066B1 KR1019970044779A KR19970044779A KR100228066B1 KR 100228066 B1 KR100228066 B1 KR 100228066B1 KR 1019970044779 A KR1019970044779 A KR 1019970044779A KR 19970044779 A KR19970044779 A KR 19970044779A KR 100228066 B1 KR100228066 B1 KR 10022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infant
belt
fastener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244A (ko
Inventor
신인호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7004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066B1/ko
Publication of KR1999002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유아가 탑승하여 시트 벨트를 착용했을 경우, 숄더 벨트가 유아의 얼굴을 지나감에 따라 자동차가 충돌하는 경우, 유아의 상체가 숄더 벨트에서 빠지게 되어 유아가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부에 체결공(3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장공(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에는 삽지편(330)이 구성된 고정구(300)를 형성하고,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부(410)의 하단에는 걸림구(411)를 형성하며,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3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420)를 설치하므로서, 성인이 탑승하였을 경우에는 시트 벨트(100)를 그대로 사용하되, 상기 고정구(300)에 형성된 체결공(310)을 이용하여 지지부(410)의 걸림구(411)에 괘지시켜 둠에 따라 고정구(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유아(200)가 탑승했을 경우에는 고정구(300)의 삽지편(330)을 상기 고정장치(420)에 삽설함에 따라 숄더 벨트(110)는 유아(200)의 가슴에 위치하게 되고, 랩 벨트(120)는 골반에 위치하게 되어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유아(200)를 부상으로 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 벨트
본 발명은 승객을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시트 벨트의 상단 지지점을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유아가 탑승할 경우, 시트 벨트가 유아의 얼굴이 아닌 가슴에 위치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유아를 부상으로 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시트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벨트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 다른 자동차와의 추돌이나 충돌 또는 기타 장애물로 인한 불의의 사고시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 시트마다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보통 2 점식과 3 점식, 4 점식이 있으며, 이것은 지지점의 수를 말한다.
즉, 상기 2 점식 시트 벨트는 허리 좌우에 2 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랩 벨트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상기 3 점식 시트 벨트는 일반 승용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벨트로서 허리 좌우에 2 점과 어깨 위쪽 1 점에 고정시켜 3 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로 되어 있으며, 두가닥이 한 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을 연속 3 점식 시트 벨트, 따로 따로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분리 3 점식 시트 벨트라고 부르고, 분리식은 랩 벨트만 장착할 수 있는데, 이때 랩 벨트가 배에 걸리지 않고 골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전성을 볼 때 3 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재 출고되고 있는 자동차에는 통상적으로 3 점식의 시트 벨트가 많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인데, 승용차의 뒷좌석 가운데나 고속버스 등의 경우에는 많은 지지점의 확보가 힘들어서 2 점식의 시트 벨트를 설치하기도 하며, 이러한 시트 벨트는 주행중에는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고속 주행시는 물론 시속 30 ∼ 40 km/h 의 충돌에서도 시트 벨트의 착용 유무에 따라 승객이 입는 부상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시트 벨트의 착용방법을 상기 3 점식 시트 벨트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3 점식 시트 벨트의 착용은 리트렉터(retractor)내에 수회로 권회된 시트 벨트가 앵커(anchor)에 걸려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후, 상기 텅 플레이트(tongue plate)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잡아당긴 후, 허리쪽으로 고정설치된 버클에 텅 플레이트를 삽착하게 되면 숄더 벨트가 탑승자의 어깨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허리쪽, 즉 가슴부위를 압압지지해 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랩 벨트는 상기 앵커로부터 탑승자의 골반을 눌러주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아가 탑승하여 시트 벨트(10)를 착용했을 경우, 숄더 벨트(11)가 유아(20)의 얼굴을 지나가게 됨에 따라 자동차가 충돌하는 경우, 유아(20)의 상체가 숄더 벨트(11)에서 빠지게 되어 유아가 치명적인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 벨트의 상단 지지점을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서 유아가 탑승했을 경우에 시트 벨트의 지지점을 조절하여 시트 벨트가 유아의 가슴과 골반을 구속해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유아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 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벨트가 삽입될 수 있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는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삽지편을 이루고 있는 고정구를 형성하고, 센터필러 가니쉬의 상부에 설치되어 벨트를 상측에서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의 하단에는 걸림구를 형성하며, 센터필러 가니쉬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를 설치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 벨트를 사용함에 있어서, 성인이 탑승하였을 경우에는 시트 벨트를 그대로 사용하되, 상기 고정구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이용하여 센터필러 가니쉬에 고정된 지지부의 하단 걸림구에 괘지시켜 둠에 따라 고정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유아가 탑승했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의 삽지편을 센터필러 가니쉬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에 삽설함에 따라 숄더 벨트는 유아의 가슴에 위치하게 되고, 랩 벨트는 골반에 위치하게 되어 유아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트 벨트 300 : 고정구
310 : 체결공 320 : 장공
330 : 삽지편 400 : 센터필러 가니쉬
410 : 지지부 411 : 걸림구
420 : 고정장치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에 체결공(3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시트 벨트(100)가 삽입될 수 있는 장공(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는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삽지편(330)을 이루고 있는 고정구(300)를 형성하고,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시트 벨트(100)를 상측에서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410)의 하단에는 걸림구(411)를 형성하며,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3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4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0)은 숄더 벨트이고, (120)은 랩 벨트이며, (200)은 유아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자동차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를 최대한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시트 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 벨트(100)의 일측에 별도의 고정구(300)를 설치하여 유아(200)가 탑승하였을 경우, 상기 고정구(300)를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장치(420)에 고정시켜 시트 벨트(100)의 상단 지지점을 하단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시트 벨트(100)가 유아(200)를 효과적으로 구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부에 체결공(31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시트 벨트(100)가 삽입될 수 있는 장공(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에서 내측으로 다시 절곡된 삽지편(330)으로 이루어진 고정구(300)를 사용하되, 성인이 탑승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300)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시트 벨트를 그대로 사용하되, 상기 고정구(300)가 시트 벨트(100)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구(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체결공(310)을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상부에 고정설치 되어 있는 지지부(410)의 하단 걸림구(411)에 괘지시켜 고정구(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아(200)가 탑승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300)의 삽지편(330)을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장치(420)에 삽설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시트 벨트(100)의 상단 지지점을 하단으로 이동시키는 결과가 되므로, 상기 고정구(300)를 고정장치(42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시트 벨트(100)를 착용하게 되면 시트 벨트(100)의 숄더 벨트(110)는 유아(200)의 얼굴부분이 아닌 어깨부분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고, 랩 벨트(120)는 유아(200)의 골반에 위치됨에 따라 시트 벨트(100)가 유아(200)를 효과적으로 구속시켜 충돌사고시, 유아(200)를 부상으로 부터 최대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 벨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 벨트의 일측에 별도의 고정구를 설치하고, 센터필러 가니쉬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구를 결속시켜 줄 수 있는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로서 시트 벨트의 상단 지지점을 하단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유아가 탑승하였을 경우에 시트 벨트가 유아의 얼굴이 아닌 가슴과 골반을 구속시켜 주므로서, 충돌사고시 유아를 부상으로 부터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상부에 체결공(3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시트 벨트가(100) 삽입될 수 있는 장공(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는 내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삽지편(330)을 이루고 있는 고정구(300)를 형성하고,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시트 벨트(100)를 상측에서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410)의 하단에는 걸림구(411)를 형성하며, 센터필러 가니쉬(4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구(3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장치(4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1019970044779A 1997-08-30 1997-08-30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022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79A KR100228066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의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779A KR100228066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의 시트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44A KR19990021244A (ko) 1999-03-25
KR100228066B1 true KR100228066B1 (ko) 1999-11-01

Family

ID=1952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779A KR100228066B1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의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0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44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076B1 (ko) 좌석벨트 고정 장치 및 시스템
US6871876B2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double shoulder belts
US6820902B2 (en)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US9480308B2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four point seat belt system
CA2324218A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harness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KR10022806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US11040694B1 (en) Portable restraining passenger safety harness
KR0167520B1 (ko) 4점식 시트 벨트
KR19990033038A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KR0153632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텅 플레이트
KR200213499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0267957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CA2447580C (en) Anti-submarining seat-belt assembly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100205758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0123593Y1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센터시트용 안전벨트
KR200145064Y1 (ko)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GB2275597A (en) Adaptor arrangement for lap-belt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1271855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고정장치
KR19990021743A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19990033025A (ko) 2점 지지방식의 자동차 시트 벨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