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743A -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743A
KR19990021743A KR1019970045317A KR19970045317A KR19990021743A KR 19990021743 A KR19990021743 A KR 19990021743A KR 1019970045317 A KR1019970045317 A KR 1019970045317A KR 19970045317 A KR19970045317 A KR 19970045317A KR 19990021743 A KR19990021743 A KR 1999002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occupant
impact
retractor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석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743A/ko
Publication of KR1999002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743A/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사고 발생시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충격으로 인한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자를 시트에 고정시키는 자동차 시트벨트에 있어서, 탑승자가 착용하는 벨트의 리트렉터를 차체에 고정시키되 일정범주내에서 유동되게 결합시키고 벨트의 선단부을 유동되는 리트렉터의 일측단에 고정결합시켜서,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면 탑승자 상체와 하체에 결합된 벨트가 일시적으로 늘어나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화시키도록 되어 랩벨트의 하중분산으로 탕승자 복부에 가해지는 상해를 방지하게 되고 머리부와 상체의 전방이동을 줄여 머리부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충돌사고 발생시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충격으로 인한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쿠션과, 탑승자의 등과 머리를 지지하는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충돌사고 발생시 탑승자가 전방으로 튕겨나가 전면 윈도우나 대쉬보드에 부딪쳐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탑승자의 신체를 시트에 고정시키는 시트벨트가 장착되어 있다.
시트벨트는 지지하는 점의 수에 따라 보통 2점식과 3점식으로 나뉘는데, 탑승자의 허리만을 고정시키는 2점식 보다는 탑승자의 허리와 어깨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3점식이 안전성에서 우수하다. 또한, 레이스용 차량에는 6점식의 시트벨트가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 시트벨트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후에 벨트에 결합되어 있는 텅플레이트를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벨트버클에 로킹시키면 되고, 헤체시에는 벨트버클의 로크해제버튼을 누르면 시트벨트 리트랙터가 벨트를 자동적으로 되감아 수납한다.
한편, 풀려진 벨트를 되감아 수납하는 시트벨트 리트랙터에는 자동차 충돌사고 발생시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2중 잠금장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즉, 2중 잠금장치가 장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는 충돌사고로 인해 탑승자의 신체하중이 전방으로 쏠리면 벨트를 다소 풀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킴에 따라 탑승자를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시트 벨트를 메고 차량의 충돌이 일어날 경우 탑승자의 어깨부분을 구속하는 숄더 벨트는 어깨부위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해 리트랙터가 조금 풀린후에 어깨부위를 구속하기 때문에 큰 충격으로부터 신체가 보호되지만, 허리부분을 구속하는 랩벨트에서는 숄더 벨트의 리트렉터와 같은 충격 완화부위가 없음으로 인해, 탑승자가 허리부분이 아닌 복부부위에 랩벨트를 둘렀을 경우에, 사고의 충격이 가해지면 그 큰 충격은 감쇠작용이 없이 그대로 탑승자의 복부에 전달되어 탑승자의 장파열을 일으킴으로써 탑승자의 목숨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충돌사고 발생시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충격으로 인한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자를 시트에 고정시키는 자동차 시트벨트에 있어서, 탑승자가 착용하는 벨트의 리트렉터를 차체에 고정시키되 일정범주내에서 유동되게 결합시키고 벨트의 선단부을 유동되는 리트렉터의 일측단에 고정결합시켜서,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면 탑승자 상체와 하체에 결합된 벨트가 일시적으로 늘어나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화시키도록 되는 특징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 시트 벨트 착용시 탑승자의 상체에 충격이 올때의 리트렉터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 시트 벨트 착용시 탑승자의 하체에 충격이 올때의 리트렉터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
도 2는 도 1b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벨트 12 : 숄더벨트
14 : 랩벨트 16 : 텅플레이트
18 : 벨트버클 20: 리트렉터
22 : 슬라이딩부 23 : 고정구
24 : 지지구 30 : 센터 필러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 시트 벨트 착용시 탑승자의 상체에 충격이 올때의 리트렉터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 시트 벨트 착용시 탑승자의 하체에 충격이 올때의 리트렉터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b의 요부확대 단면도로, 리트렉터(20)의 상·하부에는 요부형성된 슬라이딩부(22)가 있고 슬라이딩부(22)에서 고정구(23)에 의해 센터필러(30)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시트 벨트(10)는 리트렉터(20)에서 나와 센터 필러(30)를 거쳐서 텅플레이(16)에 걸쳐지고, 그 선단은 다시 리트렉터(20) 하단에 설치된 지지구(24)에서 고정된다.
리트렉터(20)를 거친 시트 벨트(10)는 운전자 오른측의 벨트버클(18)에 고정된 텅플레이트(16)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상반부를 구속하는 숄더벨트(12)와 하반부를 구속하는 랩벨트(14)로 나뉘는데, 본 발명 은 리트렉터(20)를 나온 시트 벨트(10)의 선단이 리트렉터(20)의 지지구(24)에 고정됨으로써 숄더벨트(12)와 랩벨트(24)가 보다 유동적으로 결합되어 진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의 시트벨트는 도 1a와 같이 운전자의 상반부에 충격이 전달되면 리트렉터(20)의 내부에서는 시트 벨트(10)를 약간 놓아주면서 운전자 상체가해진 충격을 완화시키고, 다시 리트렉터(20)는 상부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충격을 보다 완화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운전자의 하반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랩벨트(14)는 늘어나면서 일측은 텅플레이트(16)를 통해 시트 벨트(10)를 당기고 타측은 리트렉터(20)의 지지구(24)를 당겨서 결국 리플렉터(20)를 당기게 된다.
이에 리플렉터(20)는 다시 하부로 슬라이딩되며 이때 충격을 보다 완화되어진다.
이렇게 시트 벨트(10)를 멘 운전자에게 충격이 가해졌을 때 랩벨트(14)는 리플렉터(20)를 슬라이딩시켜 충격을 흡수, 감쇠시켜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랩벨트의 하중분산으로 탕승자 복부에 가해지는 상해를 방지하게 되고 머리부와 상체의 전방이동을 줄여 머리부의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탑승자를 시트에 고정시키는 자동차 시트벨트에 있어서,
    탑승자가 착용하는 시트 벨트(10)의 리트렉터(20)를 차체에 고정시키되 일정범주내에서 유동되게 결합시키고 시트 벨트(10)의 선단부을 유동되는 리트렉터(20)의 일측단에 고정결합시켜서,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면 탑승자 상체와 하체에 결합된 시트 벨트(10)가 일시적으로 늘어나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1019970045317A 1997-08-30 1997-08-30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19990021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317A KR19990021743A (ko) 1997-08-30 1997-08-30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317A KR19990021743A (ko) 1997-08-30 1997-08-30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43A true KR19990021743A (ko) 1999-03-25

Family

ID=6604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317A KR19990021743A (ko) 1997-08-30 1997-08-30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7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5147B1 (en) Seat belt system for adults and children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EP1690754B1 (en) Vehicle seat belt attachment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KR19990021743A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US20040051294A1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KR19990033038A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7923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0167520B1 (ko) 4점식 시트 벨트
KR10022806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0123593Y1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센터시트용 안전벨트
KR0148668B1 (ko) 자동차 시트트랙의 로드 리미터
KR100288304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
KR200272597Y1 (ko) 자동차 안전벨트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200142788Y1 (ko) 차량의 4점 지지식 시트벨트구조
KR012081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016578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143830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AU2022209313A1 (en) Top tether dampener
KR200315550Y1 (ko) 헤드레스트 지지대에 설치되는 안전장치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20040106147A (ko) 차량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