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597Y1 - 자동차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597Y1
KR200272597Y1 KR2020020000307U KR20020000307U KR200272597Y1 KR 200272597 Y1 KR200272597 Y1 KR 200272597Y1 KR 2020020000307 U KR2020020000307 U KR 2020020000307U KR 20020000307 U KR20020000307 U KR 20020000307U KR 200272597 Y1 KR200272597 Y1 KR 200272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hest
vehicle
seat bel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미
Original Assignee
유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미 filed Critical 유상미
Priority to KR2020020000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597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안전벨트가 설치된 곳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고 쉽게 착탈이 가능한 자동차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시 승차 원의 위치를 가능한 시트에 고정하여 추돌 이나 충돌 등의 충격력 때문에 발생하는 2차적인 상해를 저감시키는 차량용 안전벨트로서, 상기 보강 가슴벨트(22,23)를 고정하는 선단부는 리트랙터(26,27)에 연결 견인되며,상기 리트랙터(26,27)는 고정 케이스(28)내 장착되어 일체화된 고정 플레이트(30)에 의해 천장 벽체에 점용접(21)고정되고, 상기 보강가슴벨트(22,23)하단은 다수개의 걸쇠(25,25')가 형성되어 고리(24,24')에 착탈되는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보강 가슴벨트(22,23)는 양쪽 어깨를 동시에 감싸는 "X"형태가 되는 방식으로 착용함으로서, 교통사고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전성 확보,소비자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차량용 안전벨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안전벨트{Moter Car Safety Belt}
본 고안은 차량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용 안전벨트가 설치된 곳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고,쉽게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차량의 고속주행시 불의의 사고로 충돌하거나 급정거시에 승차원의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고정하여 관성에 의한 2차적인 상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승차원 좌석에 각각 설치 사용되고 있다.
종래 차량용 안전벨트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띠형 태의 안전벨트는 고정판(17)과 리트랙터(14) 및 서포터(15)의 결합체와 암버클(19)에 수버클(16)을 체결 하므로서 3각형 모양으로 착용토록 지지한다. 리트랙터(14)는 가슴벨트(13)의 일단에 장력을 작용하면서 풀림 속도가 일정치 이상이면 풀림을 로크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그런데 차량 고속 주행시 불의의 사고로 충돌하거나 급제동시에 승차원의 머리와 가슴부분이 관성에 의해 앞으로 튀어나가 2차적인 상해를 입히게 된다.이는 복부벨트(20)는 허리부분을 가로질러 착용되고 가슴벨트(13)에 의해 한쪽 어깨로부터 옆구리에 이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착용되는데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통상적으로 설치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운전석이나 조수석이 승차원의 다른 한쪽 어깨는 가슴벨트(13)가 미착용된 관계로 예기치 못한 관성 발생시 미착용 부위 어깨가 가슴벨트(13)로부터 빠져나와 앞으로 쏠리게 되어 머리등을 부딪혀 치명적인 2차적 상해를 입히게 된다. 상기 가슴벨트(13)로 양어깨를 가로질러 양옆구리에 착용된다면안전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따라서,본 고안은 전차량에 있어 보강 가슴벨트(22,23)를 전방시트(11)중앙부 천장 벽체에 걸쇠(25,25'), 보강 가슴벨트(22,23), 리트랙터(26,27),고정 케이스(28)를 포함하는 고정 플레이트(30)를 점용접(21)시켜 걸쇠(25,25')를 고리(24,24')에 끼워서 "X"형태로 착용하여 승차원의 위치를 가능한 시트에 고정시켜 관성발생시 2차적인 상해를 예방하는 착용,보관이 편리한 차량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가 자동차 앞좌석에 적용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도.
도 3은 본 고안의 안전벨트 일실시예를 보인 확대도 및 "A"부는 보강 가슴벨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전방 시트 12. 후방 시트
13.가슴 벨트 14. 리트 랙터
15.서포터 16. 수버클
17.고정판 18. 외벽체
19.암버클 20. 복부 벨트
21.점용접 22,23.보강 가슴벨트
24,24'.고리 25,25'. 걸쇠
26,27.리트랙터 28.고정 케이스
29.완충부재 30.고정 플레이트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차량의 주행시 승차원의 위치를 가능한 시트에 고정하여 추돌이나 충돌등의 충격력 때문에 발생하는 2차적인 상해를 저감시키는 차량용 안전벨트로서 상기 리트랙터(26,27)를 내장하는 고정케이스(28)와 일체화되는 고정 플레이트(30)는 전방시트(11)중앙부 천장 벽체에 견고히 점용접되어 보강 가슴벨트(22,23)의 일단에 장력을 작용하면서 풀림 속도가 일정치 이상이면 풀림을 로크하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강 가슴벨트(22,23)부착부와; 상기 보강 가슴벨트(22,23)내에는 완충부재(29)가 내장되어 부직포로 감싸지는 것과; 상기 보강 가슴벨트(22,23)타단은 고리(24,24')에 쉽게 탈착이 가능한 원터치 체결수단은 물론 다수개의 고리(24,24')를 포함하는 보강 가슴벨트(22,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벨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가 자동차 앞좌석에 적용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안전벨트 일실시예를 보인 확대도 및 "A"부는 보강 가슴벨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가슴벨트(22,23)를 고정하는 선단 부는 니트랙터(26,27)에 연결 견인되며, 상기 리트랙터(26,27)는 고정 케이스(28)내 장착되어 일체화된 고정 플레이트(30)에 의해 전방시트(11)중앙부 천장 벽체에 견고히 점용접(21)고정되고, 상기 보강 가슴벨트(22,23)타단은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부벨트(20)부 고리(24,24')에 착탈되는 다수개의 걸쇠(25,25')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 가슴벨트(22,23)에 내장되는 완충부재(29)는 부직포로 감싸여져 구성된다. 상기 걸쇠(25,25')는 고리(24,24')에 쉽게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도시되지 않음)대체가 가능하다.
이하.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탑승자가 운전석에 승차한 다음 수버클(16)을 잡아 당겨서 암버클(19)에 끼워 결합시키므로 복부와 한쪽 어깨로부터 옆구리에 이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착용한다. 이때, 리트랙터(14)에 의해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기면 귄취된 벨트가 풀려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게 조절되며,속도가 일정치 이상일때,풀림을 로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고정 케이스(28)내 권취된 보강 가슴벨트(24,24')를 잡아 당겨 또 다른 한쪽 어깨로부터 옆구리에 이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당겨서 걸쇠(25,25')를 복부벨트(20)에 형성된 고리(24,24')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안전벨트를 설치한 상태에서 승차 원이 안전벨트를 착용할 경우에는 도2과 같은 양쪽어깨를 동시에 감싸는 "X"형태가 되며, 상기 보강 가슴 벨트(22,23)를 고리(24,24')로부터 분리하여 놓게되면 도3과 같이 리트랙터(26,27)에 의해 보강 가슴벨트(24,24')가 권취되어 천장 벽체에 고정된 고정 케이스(28)내 감겨서 위치하게 됨에 따라 보강 가슴벨트(24,24')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정비를 하거나 승차원의 승차시 또는 운전자의 시야장애나 운전장애를 주지 않으므로 편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케이스(28)내 내장 위치한 리트렉터(26,27)는 보강 가슴벨트(24,24') 체결시 장력을 작용하면서 풀림 속도가 일정치 이상이면 풀림을 로크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보강 가슴벨트(24,24')내 완충부재(29)는 관성발생시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가슴을 보호하게 되는 안전성이 확보된다.
즉, 승차원의 양쪽어깨를 동시에 감싸는 "X"형태가 되는 안전벨트를 제공하여 예기치 못한 충돌,급제동시 승차원의 머리와 가슴부분이 앞으로 튀어나가 2차적인 상해를 예방하는 한편 착탈이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한 아주 실용적인 차량용 안전벨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보강 가슴벨트(24,24')는 양쪽어깨를 동시에 감싸는 "X"형태가 되는 방식으로 착용함으로서 예기치 못한 교통사고시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전성의 확보로 인해 소비자의 신뢰도가 향상되어 경쟁력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주행시 승차 원이 좌석 위치를 가능한 한 시트에 밀착 고정하여 예기치 못한 추돌이나 충돌 등의 충격력 때문에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해 발생되는 2차적인 상해를 미리 예방,예측,저감 시키는 차량 안전벨트로서,
    상기 차량 천장에 고정 용접되는 고정 플레이트(30)와 일체화되는 고정 케이스(28)내에는 보강가슴벨트(24,24')에 장력유지 및 로크기능용 리트랙터(26,27)가 내장되는 것과; 상기 완충부재(29)를 내장하는 보강가슴벨트(24,24')선단부는 리트랙터(26,27)에 견인되고,타단은 착탈이 쉬운 원터치 체결구를 포함하는 걸쇠(25,25')부가 부착되어 복부벨트(20)에 가공된 고리(24,24')부에 고정 설치되는"X"형태를 취하는 보강 가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벨트.
KR2020020000307U 2002-01-02 2002-01-02 자동차 안전벨트 KR200272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307U KR200272597Y1 (ko) 2002-01-02 2002-01-02 자동차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307U KR200272597Y1 (ko) 2002-01-02 2002-01-02 자동차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597Y1 true KR200272597Y1 (ko) 2002-04-18

Family

ID=7308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307U KR200272597Y1 (ko) 2002-01-02 2002-01-02 자동차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5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83B1 (ko) * 2002-06-24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개 시트열을 구비한 차량의 2열시트 센터석 시트벨트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583B1 (ko) * 2002-06-24 200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3개 시트열을 구비한 차량의 2열시트 센터석 시트벨트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0867B2 (ja) 二輪車用の安全装置
KR101398172B1 (ko) 차량용 안전벨트
US2864437A (en) Safety harness
WO2006135821A2 (en) Vehicular head and neck safety system and method
WO2004069594A2 (en) Seat belt restraint system with double shoulder belts
KR200272597Y1 (ko) 자동차 안전벨트
JPH07291092A (ja) 補助シ−トベルト
EP2847034B1 (en) Harness guard safety system
KR101313821B1 (ko) 유아용 안전벨트
KR101304650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텅플레이트
EP0941171A1 (en)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KR0171811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비상해제 장치
KR10124210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호대가 결합된 안전벨트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362113B1 (ko) 시트벨트용 미니앵커의 취부구조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88248Y1 (ko) 자동차의 보조 안전벨트
KR012081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100288304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200187162Y1 (ko) 차량용 안전벨트(A seat belt of a car)
KR0134450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GB2275597A (en) Adaptor arrangement for lap-belt
KR200147923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