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064Y1 -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064Y1
KR200145064Y1 KR2019950021495U KR19950021495U KR200145064Y1 KR 200145064 Y1 KR200145064 Y1 KR 200145064Y1 KR 2019950021495 U KR2019950021495 U KR 2019950021495U KR 19950021495 U KR19950021495 U KR 19950021495U KR 200145064 Y1 KR200145064 Y1 KR 200145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late
belt
slots
seat bel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175U (ko
Inventor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21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064Y1/ko
Publication of KR970009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1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064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3점식 안전띠에 사용되는 앵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시의 벨트하중을 분산하는 앵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정면충돌시 벨트하중을 슈더벨트부에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가슴상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앵커 플레이트 본체(301)에 웨빙(101)이 지나갈 수 있는 폭과 간격을 갖는 슬롯(302a ~ e)을 복수로 형성하여 슬롯과 슬롯 간의 스틱(303a ~ d)이 차량정면충돌시에 발생되는 벨트하중에 따라 단계적으로 파단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제1도는 일반적인 3점식 안전띠 모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앵커 플레이트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 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가슴-X 가속도 곡선도로서,
제4도(a)는 앵커 플레이트만 썼을 때이고,
제4도(b)는 랩벨트에 퓨즈를 같이 썼을 때이다.
제5도는 종래의 앵커 플레이트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벨트하중 곡선도로서,
제6도(a)는 평 랩벨트를 썼을 때이고,
제6도(b)는 랩벨트에 퓨즈를 썼을 때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본체 302a~e : 슬롯
303a~d : 스틱(stick)
본 고안은 자동차의 3점식 안전띠에 사용되는 앵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시의 벨트하중을 분산하는 앵커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3점식 안전띠라고 하는 것은, 제1도와 같이 웨빙(1)이 플리거나 감기는 리트렉터(2)에서 승객의 어깨위로 보내기 위해 필러면에서 볼트로 고정되어 웨빙(1)을 지지하는 앵커 플레이트(혹은 D링)(3)를 P1점으로 하고, 버플(4)에 체결되는 텅(5)이 지지하고 있는 P2점, 그리고 플로워에 고정되는 P3점 등 상기 P1P2P33 개의 포인트를 지지점으로 하면서 승객에 착용되는 안전띠를 말하는 것이다.
안전띠는 근본적으로 차량정면충돌시에 승객의 상체가 관성에 의하여 앞으로 쏠리면서 가하는 벨트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벨트하중을 분산시키거나 부분적으로 완화시키는 수단의 강구가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랩벨트부(6)에 웨빙(1)을 접어서 재봉한 퓨즈(7)를 만들어 충돌시 퓨즈(7)가 터지면서 벨트하중이 완화되도록 하고 있다.
즉 퓨즈(7)를 쓰지 않았을 때에는 제6도(a)와 같이 나타나지만 퓨즈(7)를 쓰게 되면 제6도(b)와 같이 나타나 승객상해치가 다소 개선되는 면모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객상해, 즉 가슴상해를 감소시킨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로서, 특히 엔진 롬이 협소한 소형차량의 경우 개선책을 만들어 내기가 쉽지 않다.
통상 퓨즈(7)를 쓰지 않았을 때 30km/h 정면충돌시험(FMVSS 법규속도) 후 측정되는 슈더벨트부(8)의 벨트하중이 700~800kgf 이다. 또한 에어백 전개시 발생되는 압력으로 가슴상해가 가중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앵커 플레이트(3a)는 제5도와 같이 차량실내의 필러에 볼트로 체결시킬 수 있는 볼트구멍(31)과 웨빙(1a)이 끼워져 지나갈 수 있는 슬롯(32)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한 바 있는 퓨즈(7)는 사실 랩벨트부(6)보다 슈더벨트부(8)에 형성하여야 그 벨트하중의 직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지만 슈더벨트부(8)는 상기한 앵커 플레이트(3a)를 지나가기 때문에 퓨즈(7)를 쓰면 앵커 플레이트(3a)의 슬롯(32)에 걸리는 문제가 있어 결국 사용치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정면충돌시 벨트하중을 슈더벨트부에서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가슴상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앵커 플레이트 본체에 웨빙이 지나갈 수 있는 폭과 간격을 갖는 슬롯을 복수로 형성하여 슬릇과 슬롯 간의 스틱이 차량정면충돌시에 발생되는 벨트하중에 따라 단계적으로 파단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본체(301) 상부중앙에는 차량 실내의 필러에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구멍(302)이 형성되고, 본체(301) 중강으로부터 하부까지에는 복수의 슬롯(302a ~ e)이 웨빙(101)이 유동하며 지나갈 수 있는 폭과 간격만큼 형성되어 있다.
슬롯(302a ~ e)은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데 웨빙(101)은 맨 위의 슬롯(302a)에 끼워져 있고, 각각의 슬롯과 슬롯 사이에는 스틱(303a ~ 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틱(303a ~ d)은 벨트하중이 걸렸을 때 위에서부터 단계적으로 파단되어야 하는데 그 강도는 맨위의 슬롯(302a)과 2번째 슬롯(302b)간의 스틱(303a)에 500~600kgf 의 하중이 작용할 때 그 첫 번째 스틱(303a)으로부터 2번째 (303b), 3번째(303c), 마지막 스틱(303d)까지 단계적으로 파단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제4도에서는 더미(차량충돌시험용 마네킹)내의 액셀레로미터(accelerometer)에서 측정되는 가슴-X 가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고안의 앵커 플레이트를 적용하였을 때에는 제4도(a)와 같이 곡선이 완만해지고 중간중간에 벨트하중이 분산되고 완화되는 결과로 나타나고 빗금친 부분과 같이 최대하중작용영역이 축소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제4도(b)에는 3점식 안전띠의 랩벨트에 전기한 바와 같이 퓨즈를 사용함과 동시에 본 고안이 적용된 경우의 가속도곡선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효과는 상기 제4도(a)의 효과에 제6도(b)의 효과가 합쳐진 상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벨트하중의 분산이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되고 이로 인해 가슴상해가 대폭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앵커 플레이트 본체에 웨빙이 지나갈 수 있는 폭과 간격을 갖는 슬롯을 복수로 형성하여 슬롯과 슬롯 간의 스틱이 차량정면충돌시에 발생되는 벨트하중에 따라 단계적으로 파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KR2019950021495U 1995-08-21 1995-08-21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KR200145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495U KR200145064Y1 (ko) 1995-08-21 1995-08-21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495U KR200145064Y1 (ko) 1995-08-21 1995-08-21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75U KR970009175U (ko) 1997-03-27
KR200145064Y1 true KR200145064Y1 (ko) 1999-06-15

Family

ID=60896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495U KR200145064Y1 (ko) 1995-08-21 1995-08-21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0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75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3575B1 (en) Shoulder- and neck holder
US5758900A (en) Protection system for a driver of a competition vehicle
KR20000015545A (ko)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US6523856B2 (en) Restraint belt
JPH1059122A (ja) 動力車用安全ベルトシステム
KR200145064Y1 (ko) 안전띠 앵커 플레이트
US7309103B2 (en) Vehicle passenger seat with tear-away upholstery cover
GB2408241A (en) A seatbelt arrangement with an air bag
KR0167520B1 (ko) 4점식 시트 벨트
KR10022806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200023098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200309905Y1 (ko) 에어백 전개판단 제어로직
KR0153632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텅 플레이트
KR200142788Y1 (ko) 차량의 4점 지지식 시트벨트구조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0175244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 장치
KR200140889Y1 (ko) 프리텐셔너로 보강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9990033038A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어린이 체형 조절용 지지장치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KR200187162Y1 (ko) 차량용 안전벨트(A seat belt of a car)
JPS6353149A (ja) シヨルダスル−アンカ構造
KR0180659B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 보호 장치
KR200141760Y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