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760Y1 -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760Y1
KR200141760Y1 KR2019960060320U KR19960060320U KR200141760Y1 KR 200141760 Y1 KR200141760 Y1 KR 200141760Y1 KR 2019960060320 U KR2019960060320 U KR 2019960060320U KR 19960060320 U KR19960060320 U KR 19960060320U KR 200141760 Y1 KR200141760 Y1 KR 200141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webbing
hollow tube
should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164U (ko
Inventor
김태한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60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7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471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1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고발생시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통상의 시트벨트가 갖고있는 승객의 어깨부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없다는 점을 해소하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필러에 설치되는 앵커와 버클에 탈착되는 텅플러그 사이에 위치되는 어깨부 웨빙과, 상기 텅플러그와 시트측면 하단부에 장착되는 고정쇠 사이에 위치되는 허리부 웨빙으로 이루어지는 3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웨빙에 중공관을 형성하고, 차량충돌시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점화전류를 인가하는 콘트롤러의 출력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로부터 상기 중공관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웨빙을 부풀게 함으로써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고발생시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통상의 시트벨트가 갖고있는 승객의 어깨부분의 상해를 방지할 수 없다는 점을 해소하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벨트는 불의의 사고의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관성에 의한 2차 부상을 방지하도록 시트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 벨트, 충격시 상기 벨트에 장력을 작용하며 벨트를 프리텐션 가능하도록 하는 리트랙터, 상기 벨트가 끼워지는 텅플러그 및 상기 텅플러그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버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3점식 시트벨트의 경우에는 전술한 리트랙터의 상단부에 고정대 역할을 하명서 벨트가 슬라이딩 관통되는 앵커가 설치되는데, 이와같은 앵커 및 리트랙터는 시트측방의 필러에 고착되고, 상기 버클을 상기 리트랙터가 설치된 반대쪽에 시트측면 하단부에 고착된다.
이와같은 구조의 시트벨트는 승객의 체형에 따라 밀착상태가 다소 다르기 때문에 차량충돌시 상해정도에 영향을 주게 되며, 특히 시트백을 세우거나 눕힘에 따라 운전자와의 밀착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특히, 단신이거나 여성운전자의 경우에는 시트를 앞쪽으로 접근시켜 운전하는 사례가 많으므로 이때에 시트벨트가 운전자의 어깨를 압박하게 되어 사고 발생시 충격이 어깨로 편중되어 상해를 입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시트벨트의 웨빙부분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로 구성하고 차량사고시 에어백과 유사하게 상기 웨빙부분에 자동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켜 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도 1 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벨트 11. 허리부 웨빙
12. 어깨부 웨빙 13. 앵커
14. 텅플러그 15. 고정쇠
16. 인플레이터 21. 충돌감지센서
22. 콘트롤러 24. 중공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필러에 설치되는 앵커와 버클에 탈착되는 텅플러그 사이에 위치되는 어깨부 웨빙과, 상기 텅플러그와 시트측면 하단부에 장착되는 고정쇠 사이에 위치되는 허리부 웨빙으로 이루어지는 3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웨빙에 중공관을 형성하고, 차량충돌시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점화전류를 인가하는 콘트롤러의 출력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로부터 상기 중공관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웨빙을 부풀게 함으로써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선을 취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시트벨트(10)가 시트 측방상부의 필러에 장착되는 앵커(13)와 버클에 탈착되는 텅플러그(14) 사이에 위치되는 어깨부 웨빙(12)과 상기 텅플러그(14)와 시트측면 하단부에 벨트(1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쇠(15)의 사이에 위치되는 허리부 웨빙(11)으로 이루어짐은 통상적인 3점식 시트벨트와 동일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웨빙(11,12)에 하나의 중공관(24)을 형성하고, 차량충돌시 충돌감지센서(21)의 신호에 따라 점화전류를 인가하는 콘트롤러(22)의 출력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16)로부터 상기 중공관(24)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웨빙(11,12)을 부풀게 함으로써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웨빙(11,12)에 각각의 중공관(24)을 형성하고, 상기 두 중공관(24)의 단부에 각각 인플레이터(16)를 설치하고, 상기 인플레이터(16)는 충돌감지센서(21)의 신호로 차량충돌을 감지하는 콘트롤러(22)의 점화전류 출력에 의해서 가스가 발생되도록 한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16은 리트랙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충돌시 충돌감지센서(21)의 검출신호에 따라 차량충돌을 감지한 콘트롤러(22)의 점화전류 출력을 인가받은 인플레이터(16)에서 급속히 팽창되는 가스를 발생하여 상기 웨빙(11,12)이 부풀어 오르게 함으로써 시트벨트(10)를 착용한 승객의 충격력을 완하시키게 된다.
특히, 종래의 시트벨트(10)가 승객의 어깨 부상을 방지하기가 어려웠다는 점에 반해, 본 고안의 시트벨트(10)를 착용한 승객은 가스에 의한 쿠션 효과로 어깨부위에 작용되는 충격력을 완화 받을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시트벨트의 웨빙에 중공관을 형성하고, 차량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가스가 상기 중공관에 유입되어 웨빙을 부풀게 함으로써 승객의 안전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시트벨트에 의해 많이 발생하는 승객의 어깨부위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필러에 설치되는 앵커(13)와 버클에 탈착되는 텅플러그(14) 사이에 위치되는 어깨부 웨빙(12)과, 상기 텅플러그(14)와 시트측면 하단부에 장착되는 고정쇠(15) 사이에 위치되는 허리부 웨빙(11)으로 이루어지는 3점식 시트벨트에 있어서, 상기 웨빙(11,12)에 중공관(24)을 형성하고, 차량충돌시 충돌감지센서(21)의 신호에 따라 점화전류를 인가하는 콘트롤러(22)의 출력에 의해서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16)로부터 상기 중공관(24)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웨빙(11,12)을 부풀게 함으로써 완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KR2019960060320U 1996-12-28 1996-12-28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KR200141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20U KR200141760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320U KR200141760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164U KR19980047164U (ko) 1998-09-25
KR200141760Y1 true KR200141760Y1 (ko) 1999-05-01

Family

ID=1948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320U KR200141760Y1 (ko) 1996-12-28 1996-12-28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7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164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641B2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US3865398A (en) Expandable crash-restraining means
CN111094077B (zh) 用于机动车的车辆座椅的安全气囊组件
US3733088A (en) Vehicle passenger restraint system
US5788282A (en) Safety belt adaptor for belt adjustment for vehicle occupants and method of operation
US5758900A (en) Protection system for a driver of a competition vehicle
GB2191450A (e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US11167714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US20020153715A1 (en) Vehicular passive safety device
US6499763B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US6345838B1 (en) Inflatable knee bolster cover
US6409212B1 (en) Belt system for restraining a vehicle occupant
WO2023185000A1 (zh) 安全气囊装置和组件
KR200141760Y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완충장치
JP3046783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H06156185A (ja) 乗物用乗員拘束装置
ES2179535T3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de ocupantes para un vehiculo.
KR0180659B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 보호 장치
KR200140889Y1 (ko) 프리텐셔너로 보강된 자동차용 안전벨트
KR100197138B1 (ko) 차량 에어백 시스템 제어장치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27190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용 어저스터의 충격력 흡수구조
KR200180011Y1 (ko) 자동차용 시트 밸트(Seat belt for automobile)
Lorenzi New seatbelt fiber works in conjunction with airbags
KR19990005534U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에어 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