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758B1 -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758B1
KR100205758B1 KR1019970040989A KR19970040989A KR100205758B1 KR 100205758 B1 KR100205758 B1 KR 100205758B1 KR 1019970040989 A KR1019970040989 A KR 1019970040989A KR 19970040989 A KR19970040989 A KR 19970040989A KR 100205758 B1 KR100205758 B1 KR 10020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nchor
belt
reinforcing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907A (ko
Inventor
송국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7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은 양측 플랜지 부위만이 인너판넬과 아웃판넬 사이에 끼워져 일체로 용접되어 있을 뿐 중앙은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 결국 앵커가 체결된 제1보강판넬과 인너판넬의 중앙부위가 앞으로 쉽게 당겨져 변형됨에 따라 벨트의 지지력이 상실되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앵커(50)체결용 괘지너트(32)가 이면에 용접되어 있는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양측 플랜지(31)(41)를 서로 포갠상태에서 인너판넬(10)과 아웃판넬(20))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중앙부를 서로 면접시킨 다음 이를 앵커(50)가 설치되는 인너판넬(10)의 중앙부에 면접시킨 상태에서 일체로 용접 설치하여 리어 시트벨트 지지용 앵커에 순간적으로 벨트의 강한 장력이 작용할 때 그 장력에 의해 인너판넬이 당겨져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설치되는 벨트의 앵커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앵커가 설치되는 인너판넬과 아웃판넬 사이의 내면에 괘지력이 양호한 보강판넬을 설치하여 시트벨트용 앵커가 보다 강한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리어시트용 앵커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벨트(Seat Belt)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 다른 자동차와의 추돌이나 충돌 또는 기타 장해물로 인한 불의의 사고시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부터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 시트마다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보통 2점식과 3점식, 4점식이 있으며, 이것은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점의 수를 말한다.
즉, 상기 2점식 시트벨트는 허리 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랩 벨트(lap belt)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랩(lap)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상기 3점식 시트벨트는 일반 승용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시트벨트로서 허리 좌우에 2점과 어깨 위쪽 1점에 고정시켜 3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3점식 시트벨트는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로 되어 있으며, 두가닥이 한 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을 연속 3점식 시트벨트, 따로 따로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분리 3점식 시트벨트라고 부르고, 분리식은 랩 벨트만 장착할 수 있는데, 이때 랩 벨트가 배에 걸리지 않고 골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전성에서 볼때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재 출고되고 있는 자동차에는 통상적으로 3점식의 시트벨트가 많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인데, 승용차의 뒷자석 가운데나 고속버스 등의 경우에는 많은 지지점의 확보가 힘들어서 2점식의 시트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벨트는 주행중에는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고속주행시는 물론 시속 30 ∼ 40 km/h 의 충돌에서도 시트벨트의 착용 유무에 따라 승객이 입는 부상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은 리트렉터(retractor)내에 수회로 권회된 시트벨트가 앵커(anchor)에 걸려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후, 상기 텅 플레이트(tongue plate)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잡아 당긴후, 허리쪽으로 고정설치된 버클에 텅 플레이트를 삽착하게 되면 숄더벨트를 탑승자의 어깨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허리쪽까지의 부위, 즉 가슴부위를 압압지지해 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랩 벨트는 상기 앵커로부터 탑승자의 골반을 눌러주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를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설치할 때 종래에는 앵커체결용 괘지너트가 이면에 용접되어 있는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을 인너판넬과 아웃판넬 사이에 설치할 때 양측 보강판넬의 중앙부위는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서로 포개진 양측 플랜지 부위만이 인너판넬과 아웃판넬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하여 설치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제1,제2보강판넬의 양측 플랜지 부위만을 지그재그로 포갠 상태에서 인너판넬과 아웃판넬 사이에 용접 설치할 경우에는 급제동이나 또는 추돌, 충돌 등의 차량사고로 인해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의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순간적으로 벨트가 당겨졌을 때 그 벨트에 가해지는 강한 장력을 제1보강판넬이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주지를 못하게 된다.
즉, 탑승자가 착용하고 있는 벨트에 강한 인장력이 발생하면서 순간적으로 당겨지면 그 장력은 벨트의 안내간을 고정시켜 주고 있는 앵커를 통해 결국 앵커 체결용 괘지너트가 설치된 제1보강판넬에 그 장력이 그대로 전달된다.
그런데, 이때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은 양측 플랜지부위만이 인너판넬과 아웃판넬 사이에 끼워져 일체로 용접되어 있을 뿐 중앙은 서로 떨어져 있으므로 결국 앵커가 체결된 제1보강판넬과 인너판넬의 중앙부위가 앞으로 쉽게 당겨져 변형되면서 벨트의 지지력을 잃게 됨에 따라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지를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시트벨트 지지용 앵커의 설치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의 양측 플랜지를 인너판넬과 아웃판넬 사이에 넣어 용접하는 외에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의 중앙부를 서로 면접시킨 다음 앵커가 설치되는 인너판넬의 중앙부에 면접시킨 상태에서 일체로 용접하여 설치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의 양측 플랜지가 인너판넬과 아웃판넬의 사이에 끼워져 용접된 외에도 양측 보강판넬의 중앙부가 서로 면접된 상태에서 인너판넬 이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므로 탑승자가 착용하고 있는 벨트가 순간적으로 당겨져 강한 장력이 벨트의 안내간을 고정시켜 주고 있는 앵커를 거쳐 인너판넬에 작용할 때 인너판넬과 제1보강판넬이 벨트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견디어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원의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을 분해하여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요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너판넬 20 : 아웃판넬
30 : 제1보강판넬 31,41: 플랜지
32 : 괘지너트 40 : 제2보강판넬
50 : 앵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원의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을 분해하여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제1보강판넬과 제2보강판넬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요부 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앵커(50)체결용 괘지너트(32)가 이면에 용접되어 있는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양측 플랜지(31)(41)를 서로 포갠상태에서 인너판넬(10)과 아웃판넬(20))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중앙부를 서로 면접시킨 다음 이를 앵커(50)가 설치되는 인너판넬(10)의 중앙부에 면접시킨 상태에서 일체로 용접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급제동이나 또는 추돌, 충돌 등의 차량사고로 인해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의 상체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순간적으로 벨트가 당겨졌을 때, 즉 강한 장력이 벨트의 안내간을 고정시켜 주고 있는 앵커(50)를 거쳐 인너판넬(10)에 작용할 때 그 장력이 앵커(50)를 고정시켜 주고 있는 제1보강판넬(30)의 괘지너트(32)부위인 중앙부에 제일 많이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때 본 발명은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중앙부가 서로 면접된 상태에서 인너판넬(10) 이면에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탑승자가 착용하고 있는 벨트가 순간적으로 당겨져서 강한 장력이 벨트의 안내간을 고정시켜 주고 있는 앵커(50)를 거쳐 인너판넬(10)에 작용할 때 인너판넬(10)의 이면에 함께 접면되어 용접된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중앙부가 인너판넬(10)의 중앙 앵커(50)에 미치는 장력에 대한 응력을 최대한 유지시켜 주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양측 플랜지(31)(41)가 인너판넬(10)과 아웃판넬(20)의 사이에 끼워져 인너판넬(10)에 작용되는 장력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외에 인너판넬(10)의 앵커(50)가 설치되는 중앙부가 그 이면에 접면되어 일체로 용접된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중앙부에 의해 벨트의 장력을 효과적으로 견디게 되므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리어 시트벨트 지지용 앵커에 순간적으로 벨트의 강한 장력이 작용할 때 그 장력에 의해 인너판넬이 당겨져 변형되는 것을 인너판넬 중앙부 이면에 일체로 용접된 제1,제2보강판넬에 의해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앵커(50)체결용 괘지너트(32)가 이면에 용접되어 있는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양측 플랜지(31)(41)를 서로 포갠상태에서 인너판넬(10)과 아웃판넬(20)) 사이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넬(30)과 제2보강판넬(40)의 중앙부를 서로 면접시킨 다음 이를 앵커(50)가 설치되는 인너판넬(10)의 중앙부에 면접시킨 상태에서 일체로 용접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1019970040989A 1997-08-26 1997-08-26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10020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989A KR100205758B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989A KR100205758B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07A KR19990017907A (ko) 1999-03-15
KR100205758B1 true KR100205758B1 (ko) 1999-07-01

Family

ID=1951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989A KR100205758B1 (ko) 1997-08-26 1997-08-26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879B1 (ko) * 2014-05-29 2015-04-0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브라켓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907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802B1 (ko) 충돌하는자동차내의탑승자를안전하게억제하는방법및상기방법을수행하기위해구성된시트
US20020089163A1 (en) Three-point/four-point seat belt with symmettric belt configuration
US6179329B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harness
US7055901B2 (en) School bus passenger seat with integrated restraints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KR100205758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19990005845U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200147451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JPH042112Y2 (ko)
JPH0213247Y2 (ko)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10062378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취부구조
KR20014342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착용구조
JPH0343892Y2 (ko)
KR200143427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100288304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하중조절장치
KR0130817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벨트의 고정용 너트
KR0153632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텅 플레이트
KR10022806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0181435B1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앵커 플레이트용 레인포스먼트결합구조
KR200143429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GB2275597A (en) Adaptor arrangement for lap-belt
JPH0528135Y2 (ko)
KR200151611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7923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