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451Y1 -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451Y1
KR200147451Y1 KR2019970020700U KR19970020700U KR200147451Y1 KR 200147451 Y1 KR200147451 Y1 KR 200147451Y1 KR 2019970020700 U KR2019970020700 U KR 2019970020700U KR 19970020700 U KR19970020700 U KR 19970020700U KR 200147451 Y1 KR200147451 Y1 KR 200147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nchor
seat belt
wheel house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182U (ko
Inventor
송국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4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1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1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4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시트벨트를 지지하는 3점중 1점의 앵커를 도어가 접면되는 좁은 면적의 사이드바디 인너판넬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앵커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판넬도 좁은 면적의 것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인해 앵커가 설치되는 부위의 강성이 약하여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였으며, 외부에서 앵커 설치부위가 그대로 보임에 따라 실내의 미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플랜지(210)가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에 접합되는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에 볼트삽입공(220)을 형성한 후 그 이면으로 괘지너트(310)가 용접되고 하부에 요홈부(320)가 형성된 보강판넬(300)을 하단부가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까지 접면되게 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앵커(400)를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에 설치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면적이 넓은 리어휠 하우스판넬에 앵커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보강판넬을 사용할 수 있어 앵커를 지지하는 패널의 강성을 최대한 높힐 수 있음에 따라 시트벨트 사용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으며, 도어를 열었을 때 상기 앵커의 설치부위가 시트 저면에 가려서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도어를 열었을 때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뒷좌석에 설치되는 리어 시트벨트의 앵커를 휠하우스의 넓은 면에 설치하여 앵커의 설치상태가 보강되게 하고, 앵커가 시트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벨트(Seat Belt)는 자동차를 운행하는 도중 다른 자동차와의 추돌이나 충돌 또는 기타 장해물로 인한 불의의 사고시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부터 탑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각 시트마다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보통 2점식과 3점식, 4점식이 있으며, 이것은 벨트를 지지하는 지지점의 수를 말한다.
즉, 상기 2점식 시트벨트는 허리 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랩 벨트(lap belt)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랩(lap)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상기 3점식 시트벨트는 일반 승용차에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시트벨트로서 허리 좌우에 2점과 어깨 위쪽 1점에 고정시켜 3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3점식 시트벨트는 허리를 구속하는 랩 벨트와 상체를 구속하는 숄더 벨트로 되어 있으며, 두가닥이 한 줄에 연결되어 있는 형식을 연속 3점식 시트벨트, 따로 따로 분리되어 있는 타입을 분리 3점식 시트벨트라고 부르고, 분리식은 랩 벨트만 장착할 수 있는데, 이때 랩 벨트가 배에 걸리지 않고 골반에 고정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안전성에서 볼때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재 출고되고 있는 자동차에는 통상적으로 3점식의 시트벨트가 많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인데, 승용차의 뒷자석 가운데나 고속버스 등의 경우에는 많은 지지점의 확보가 힘들어서 2점식의 시트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트벨트는 주행중에는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고속주행시는 물론 시속 30 ∼ 40 km/h 의 충돌에서도 시트벨트의 착용 유무에 따라 승객이 입는 부상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3점식 시트벨트의 착용은 리트렉터(retractor)내에 수회로 권회된 시트벨트가 앵커(anchor)에 걸려진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후, 상기 텅 플레이트(tongue plate)의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서 잡아 당긴후, 허리쪽으로 고정설치된 버클에 텅 플레이트를 삽착하게 되면 숄더벨트를 탑승자의 어깨로부터 대각선 방향의 허리쪽까지의 부위, 즉 가슴부위를 압압지지해 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랩 벨트는 상기 앵커로부터 탑승자의 골반을 눌러주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트벨트를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설치할 때 종래에는 시트벨트를 지지하는 3점중 1점의 앵커를 도어가 접면되는 사이드바디 인너판넬에 설치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리어휠 하우스판넬(20)의 플랜지(21)가 접면되는 부위인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의 저면에 괘지너트(31)가 용접된 보강판넬(30)을 접합하여 벨트지지용 앵커(40)를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에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앵커(40)가 설치면적이 좁은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에 설치될 경우 그 인너판넬(10)에 설치되는 보강판넬(30) 역시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의 것이 설치될 수 밖에 없어 앵커(40)를 지탱하여 주는 보강력이 약하였으며, 이로인해 추돌이나 충돌 등의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앵커(40)가 설치된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 부위가 심하게 변형되는 등 강성이 약하여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에 시트벨트 지지용 앵커(40)를 설치할 경우에는 리어 도어를 열었을 때 시트벨트의 일단이 지지되는 상기 앵커(40)의 체결부위가 외부에서 그대로 보이게 됨에 따라 자동차의 미감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어 시트벨트 지지용 앵커의 설치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설치상태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벨트 지지용 앵커를 리어시트의 저면에 위치되는 면적이 넓은 리어휠 하우스판넬면에 설치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앵커가 설치되는 리어휠 하우스의 면적이 넓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강판넬의 면적을 넓게 형성하여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앵커가 설치되는 부위의 판넬 강성을 매우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며, 도어를 열었을 때 상기 앵커가 시트 저면에 가려서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내부의 미감이 향상됨에 따라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앵커가 사이드바디 인너판넬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 선 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을 리어휠 하우스판넬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B-B 선 확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보강판넬만을 발취하여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너판넬 200 : 리어휠 하우스판넬
210 : 플랜지 300 : 보강판넬
310 : 괘지너트 320 : 요홈부
400 : 앵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리어시트의 벨트지지용 앵커를 설치함에 있어서, 플랜지(210)가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에 접합되는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에 볼트삽입공(220)을 형성한 후 그 이면으로 괘지너트(310)가 용접되고 하부에 요홈부(320)가 형성된 보강판넬(300)을 접면시켜 용접하되 상기 괘지너트(310)의 구멍은 볼트삽입공(220)과 일치되게 하고, 상기 요홈부(320)는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과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의 플랜지(210)가 접면되는 부위에 위치되게 하여 보강판넬(300)의 하단부가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에 까지 걸쳐져 용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벨트지지용 앵커(400)가 넓은 면적의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그 보강판넬(300)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가 있어서 앵커(400)가 설치되는 부위의 판넬 강성을 매우 양호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며, 이로인해 벨트를 사용하고 있는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리어휠 하우스판넬(200) 이면에 용접 설치되는 보강판넬(300)의 하단부가 길게 연장되어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에 까지 접면된 상태에서 일체로 용접되는 것이므로 벨트지지용 앵커(400)의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갑자기 시트벨트에 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앵커 체결용 괘지너트(310)의 설치상태를 유지시켜주는 패널의 강성이 상당히 강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보강판넬(300)을 설치할 때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과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의 플랜지(210)가 접면되는 모서리 부위에는 보강판넬(300)의 포밍된 요홈부(320)가 위치되므로 보강판넬(300) 용접시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의 모서리 부위에 간섭받지 않고 보강판넬(300)을 손쉽게 용접하여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에 설치되는 앵커(400)는 도어를 열었을 때 시트 저면에 가려서 외부에서 앵커(400)의 설치부위가 전혀 보이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면적이 넓은 리어휠 하우스판넬에 앵커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보강판넬을 사용할 수 있어 앵커를 지지하는 패널의 강성을 최대한 높혀 시트벨트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수가 있으며, 도어를 열었을때 상기 앵커의 설치부위가 시트 저면에 가려서 외부에서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도어를 열었을 때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리어시트용 시트벨트를 설치함에 있어서, 플랜지(210)가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에 접합되는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에 볼트삽입공(220)을 형성한 후 그 이면으로 괘지너트(310)가 용접되고 하부에 요홈부(320)가 형성된 보강판넬(300)을 하단부가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까지 접면되게 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앵커(400)를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320)를 사이드바디 인너판넬(100)과 리어휠 하우스판넬(200)의 플랜지(210)가 접면되는 부위에 놓이게 한 상태에서 용접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2019970020700U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200147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700U KR200147451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700U KR200147451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82U KR19990007182U (ko) 1999-02-25
KR200147451Y1 true KR200147451Y1 (ko) 1999-06-15

Family

ID=1950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700U KR200147451Y1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45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182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KR100337830B1 (ko) 트렁크룸의 수화물침입 방지구조
KR200147451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JP4534110B2 (ja) リヤシートのシートベルト装置の取付構造
KR100205758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10062378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취부구조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200156488Y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로워 앵커 플레이트 지지구조
KR10043538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트랙 좌굴 방지 구조
KR19990005845U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앵커 보강구조
KR0134562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0123274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앵커취부구조
KR970006226Y1 (ko) 차량용 좌석벨트의 장착구조
JPH0343892Y2 (ko)
JPH0431879Y2 (ko)
KR0175244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 장치
KR200148738Y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취부구조
KR0123273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설치구조
KR200147923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0134238Y1 (ko) 자동차 시트벨트 소음방지용 센터 필라
KR0181435B1 (ko) 자동차 시트 벨트의 앵커 플레이트용 레인포스먼트결합구조
JPH0416763Y2 (ko)
KR0130817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 벨트의 고정용 너트
KR10022806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KR100380403B1 (ko) 승합차의 안전벨트앵커보강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