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172Y1 -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172Y1
KR0126172Y1 KR2019960009748U KR19960009748U KR0126172Y1 KR 0126172 Y1 KR0126172 Y1 KR 0126172Y1 KR 2019960009748 U KR2019960009748 U KR 2019960009748U KR 19960009748 U KR19960009748 U KR 19960009748U KR 0126172 Y1 KR0126172 Y1 KR 0126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fixed
hole
wheel house
sli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9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7917U (ko
Inventor
김재경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09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172Y1/ko
Publication of KR970057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79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022/021Means for holding the tongue or buckle in a non-use position, e.g. for easy access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60R2022/266Rear seats, e.g. ben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리어 시이트 벨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이트 벨트를 고정기구에 고정하기 위하여, 시이트 벨트(1)의 중간에 고정설치되어 텅 플레이트(2)의 처짐을 방지하는 텅 플레이트 스토퍼(3)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차체의 휠 하우스 트림(5)에 관통홀(6)이 관통형성되고, 이 관통홀(6)에 삽입고정되는 클립(7)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슬릿(8)을 갖춘 고정구(9)가 상기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에 삽입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클립(76)의 선단부의 날개(10)가 벌어져 고정되므로 결합이 용이하고, 운행중에 상기 스토퍼(3)의 슬라이딩 플레이트(4)을 상기 고정구(9)에 삽입시키면 필러 및 휠 하우스 트림과의 부딪침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시이트 조작에 따른 시이트 벨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시이트 벨트 고정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시이트 벨트 및 고정기구가 자동차의 리어 시이트 및 휠 하우스 트림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라 크립이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의한 시이트 벨트에 형성된 구멍에 장착된 스톱퍼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고정기구에 삽입된 상태의 A-A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4도는 종래 기술에 홀른 리어 시이트에 시이트 벨트가 장착된 상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이트 벨트 2 : 텅 플레이트
3 : 스토퍼 4 : 슬라이딩 플레이트
5 : 휠 하우스 트림 6 : 관통홀
7 : 크립 8 : 슬릿
9 : 고정구 10 : 날개
11 : 절결홈
본 고안은 시이트 벨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주행중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시이트 벨트를 고정기구에 간단하게 고정할뿐만 아니라 시이트 조작에 따른 시이트 벨트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한 자동차용 리어 시이트 벨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이트에는 교통사고시에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용 시이트벨트가 구비되어, 승객과 운전자를 시이트에 붙들어 맬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통상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시이트벨트는, 차체와 시이트에 연결되는 지점의 개수에 따라 시이트의 양쪽에 고정되어 허리만 붙잡아 지지하는 2점지지식과, 차량이 한쪽 측벽과 시이트의 한쪽 모서리에 고정된 벨트의 중간부분을 시이트의 다른쪽 모서리에 고정 결합시켜 지지하도록 된 3점지지식 등이 있는 바, 통상 안전상 및 착용의 편의상 3점지지식의 시이트벨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3점지지식 벨트는, 그 지지점이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성인의 체격에만 알맞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린이가 착석하는 경우에는 시이트의 고정지지점과 어린이의 체격사이즈가 맞지를 않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안전을 위한 시이트벨트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며, 심지어 어린이의 체격과 시이트벨트의 고정지지점이 다름으로 인해 사고가 난 경우에 오히려 이 벨트로 인해 어린이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게 된다.
즉, 종래의 3점식 시이트벨트는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이트벨트(101)의 한쪽 끝이 차체에 내장된 리트렉터(도시 안됨)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쪽 끝은 하이앵커(102)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로우앵커(103)에 의해 시이트(104)의 한쪽 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시이트벨트(101)의 중간에는 텅플레이트(tongue plate, 105)가 끼워져 있는 한편, 이 텅플레이트(105)를 시이트(104)의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버클(buckle, 106)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3점식 시이트벨트는, 시이트벨트(101)의 중간에 끼워져 있는 텅플레이트(104)를 버클(106)에 끼워 착용하게 되면, 그 상단이 하이앵커(102)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로우앵커(103)와 버클(106)에 의해 고정되어지도록 되어, 벨트(101)가 인체의 어깨부위에서 허리쪽으로 경사지게 지지해 줌과 더불어 허리부분을 가로질러 지지해 주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3점 지지식 벨트는, 차량의 주행 중에 리어 시이트 탑승자가 시이트 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리어 시이트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시이트벨트(101)의 중간에 끼워져 있는 텅 플레이트(105)가, 벨트 앵커에 걸려 있거나 시이트에 늘어뜨려져 있게 되므로, 이 텅 플레이트(105)가 차량의 필러 또는 휠 하우스 트림에 부딪치게 되어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리어 시이트를 전·후 이동시키거나 리어 시이트 백의 위치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 상기 텅 플레이트(105)가 차실에 늘여뜨려지게 되거나, 앵커에 걸려있는 시이트 벨트의 중간부분 및 텅 플레이트에 의해 리어 시이트가 간섭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어 시이트에 설치된 시이트 벨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이 시이트벨트에 구비되어 있는 텅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므로써, 차체가 흔들려도 텅 플레이트가 함께 흔들리지 않게하여 이 텅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므로써, 차체가 흔들려도 텅 플레이트가 함께 흔들리지 않게하여 이 텅 플레이트가 차체에 부딪쳐 소음을 발생하지 않게 함과 더불어, 시이트를 조절하는 경우에 상기 텅 플레이트와 리어 시이트벨트가 시이트 조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 리어 시이트벨트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이트 벨트의 중간에 고정설치되어 텅 플레이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텅 플레이트 스토퍼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한편, 차체의 휠 하우스 트림에 관통홀을 형성시키고, 이 관통홀에 삽입고정되는 클립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틀 걸어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슬릿을 갖춘 고정구를 상기 휠 하우스 트림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고정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고정구가 항상 차체의 휠 하우스 트림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어 시이트 벨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이 리어 시이트 벨트의 중간부분에 고정설치되어 텅 플레이트의 처짐을 방지하는 텅 플레이트 스토퍼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고정구의 슬릿에 끼워 넣어 둠으로써, 시이트 벨트의 흔들림과 텅 플레이트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에 흔들려도 이 고정구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텅 플레이트가 흔들리지 않게 되기 때문에 충돌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이트 벨트와 텅 플레이트가 고정구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리어 시이트를 조작하는 경우에도 시이트 벨트가 처짐으로 인한 방해를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시이트 벨트 및 시이트 벨트 고정구가 장착된 자동차의 리어 시이트 및 휠 하우스 트림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라 고정용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고정구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제1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시이트 벨트(1)의 중간에 고정설치되어 텅 플레이트(2)의 처짐을 방지하는 텅 플레이트 스토퍼(3)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차체의 휠 하우스 트림(5)에 관통홀(6)이 관통형성되고, 이 관통홀(6)에 삽입고정되는 클립(7)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슬릿(8)을 갖춘 고정구(9)가 상기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에 삽입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9)가 삽입되는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에 끼워지는 상기 클립(7)의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날개(10)가 형성된 구조로 되며, 상기 선단부에 펼쳐진 날개(10)는 원통홈의 주연부를 따라 다수개의 절결홈(1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클립(7)이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에 끼워진 후 날개(10)의 간격이 원상복귀되어 벌어지면서 상기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의 내부에서 걸리게 되어 고정 된다.
또한, 상기 시이트 벨트(1)의 중간에 고정설치되어 텅 플레이트(2)의 처짐을 방지하는 텅 플레이트 스토퍼(3)의 일측면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 플레이트(4)는 휠 하우스 트림(5)에 장착된 고정구(9)에 끼워진다. 즉 상기 스토퍼(3)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플레이트(4)가 상기 클립(7)과 일체로 형성된 U자 형상의 슬릿(8)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시이트 벨트 고정구는(9), 클립(7)과 일체로 형성된 슬릿(8)을 갖춘 고정구(7)를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에 가볍게 눌러서 고정시킨 후, 이 고정구(7)에 스토퍼(3)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플레이트(4)를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3)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플레이트(4)에 의하여 상기 텅 플레이트(2)가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갈 수 없게 되고, 이 상태에서 시이트 벨트(1)의 스토퍼(3)를 손으로 잡고 상기 고정구(9)에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스토퍼(3)의 슬라이딩 플레이트(4)가 상기 고정구(9)에 삽입되어 차량 주행중 시이트 벨트(1)의 요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리어 시이트 벨트 고정구는,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슬릿을 갖춘 고정기구를 휠 하우스 트림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시키는 경우, 상기 클립의 선단부의 날개가 원상복귀되어 고정되므로 단단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시이트 벨트에 형성된 스토퍼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상기 고정구에 형성된 슬릿에 끼워지게 되어 차량운행중 발생되는 텅 플레이트의 요동 및 시이트 조작에 따른 시이트 벨트와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이다.

Claims (3)

  1. 시이트 벨트(1)의 중간에 고정설치되어 텅 플레이트(2)의 처짐을 방지하는 텅 플레이트 스토퍼(3)에 슬라이딩 플레이트(4)가 형성되는 한편, 차체의 휠 하우스 트림(5)에 관통홀(6)이 관통형성되고, 이 관통홀(6)에 삽입고정되는 클립(7)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가 삽입되어 고정시킬 수 있는 슬릿(8)을 갖춘 고정구(9)가 상기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에 삽입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리어 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는 리어 시이트 벨트의 중간부분에 고정설치되는 텅 플레이트 스토퍼(3)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4)는 상기 고정구(9)의 U자 형상의 슬릿(8)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이트 벨트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에 삽입되는 고정구(9)의 클립(7)은 선단부에 다수개의 날개(10)가 형성된 구조로 되며, 상기 선단부에 펼쳐진 날개(10)는 원통홈의 주연부를 따라 다수개의 절결홈(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클립(7)이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에 끼워진 후 날개(10)의 간격이 원상복귀 되면서 상기 휠 하우스 트림(5)에 형성된 관통홀(6)의 내부에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이트 벨트의 고정장치.
KR2019960009748U 1996-04-29 1996-04-29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KR0126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748U KR0126172Y1 (ko) 1996-04-29 1996-04-29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9748U KR0126172Y1 (ko) 1996-04-29 1996-04-29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917U KR970057917U (ko) 1997-11-10
KR0126172Y1 true KR0126172Y1 (ko) 1998-12-15

Family

ID=1945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9748U KR0126172Y1 (ko) 1996-04-29 1996-04-29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1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879A (ko)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수납 기능이 추가된 휠하우스트림
KR20210050878A (ko) 2019-10-29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수납 기능이 추가된 휠하우스트림
KR20210051229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수납 기능이 추가된 휠하우스트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7917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0906A (en) Safety belt system, particularly for motor vehicles
US5897169A (en) Seat belt webbing guide
CN110077294B (zh) 儿童安全座椅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US5979991A (en) Vehicle headrest including integrated seat belt webbing guide
US6454305B1 (en) Trim pane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0126172Y1 (ko) 자동차용 리어시이트 벨트 고정장치
US4223914A (en) Seatbelt system
GB2208468A (en) Seat belt adjuster
JPH09240413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エアバッグ構造
US4461492A (en) Seat belt assembly
US4192530A (en) Passive seat belt system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200151633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KR970006226Y1 (ko) 차량용 좌석벨트의 장착구조
JPH0125085Y2 (ko)
KR100271900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용 어저스터의 충격력 흡수구조
JPH0225722Y2 (ko)
KR0114109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장치
KR100461251B1 (ko)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KR100475966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JPS5810668Y2 (ja) 自動車用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KR200147923Y1 (ko) 안전성이 향상된 자동차 시트벨트
KR100235489B1 (ko) 컨버터블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KR20014379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