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9251A - 능동형 헤드 억제부 - Google Patents

능동형 헤드 억제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9251A
KR20080059251A KR1020087009784A KR20087009784A KR20080059251A KR 20080059251 A KR20080059251 A KR 20080059251A KR 1020087009784 A KR1020087009784 A KR 1020087009784A KR 20087009784 A KR20087009784 A KR 20087009784A KR 20080059251 A KR20080059251 A KR 20080059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head restraint
seat
seat bac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즈비그니우 에이. 팔루쉬
Original Assignee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filed Critical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59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자동차 내의 좌석 착석자를 지지하기 위한 좌석 조립체는 좌석 쿠션 및 좌석 등받이를 포함한다. 좌석 등받이는 상부 교차 부재를 갖는 좌석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한다. 헤드 억제 조립체는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피봇식 및 활주식으로 결합된다. 헤드 억제 조립체는 작동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헤드 억제부를 포함하며, 전개 위치는 좌석 등받이에 대해 전방 및 상방이다. 좌석 착석자에 의한 작용 조립체의 후방 로딩에 대응하여 헤드 억제 조립체가 작동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로 이동하도록 작용 조립체는 상부 교차 부재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헤드 억제 조립체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좌석 조립체, 좌석 쿠션, 좌석 등받이, 상부 교차 부재, 헤드 억제 조립체, 헤드 억제부, 작용 조립체

Description

능동형 헤드 억제부 {ACTIVE HEAD RESTRAIN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충격에 대응하여 좌석 착석자의 헤드와 맞물리도록 좌석 조립체에 대해 상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는 능동형(active) 헤드 억제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는 좌석 착석자를 지지하기 위한 대체로 수평인 좌석 쿠션과 대체로 직립인 좌석 등받이를 포함한다. 좌석 등받이는 복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들 사이에서 좌석 쿠션에 대한 좌석 등받이의 선택적인 각도 조정을 제공하기 위한 리클라이너 기구를 통해 좌석 쿠션에 일반적으로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헤드 억제부는 자동차 충격 동안에, 특히 후방 충격 충돌 동안에 좌석 착석자의 헤드의 움직임을 억제하도록 좌석 등받이 위로 수직으로 연장한다.
좌석 등받이에 대한 좌석 착석자의 충격에 대응하여 좌석 착석자의 헤드와 맞물리도록 좌석 등받이에 대해 상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는 여러 가지의 헤드 억제부가 개발되었다. 이들 이동식 헤드 억제부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좌석 등받이에 대한 좌석 착석자의 충격에 대응하여 헤드 억제부를 좌석 착석자의 헤드에 자동적 및 연속적으로 위치시키는 작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동차 내의 좌석 착석자를 지지하기 위한 좌석 조립체는 좌석 쿠션 및 좌석 등받이를 포함한다. 좌석 등받이는 상부 교차 부재를 갖는 좌석 등받이 프레임을 포함한다. 헤드 억제 조립체는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피봇식 및 활주식으로 결합된다. 헤드 억제 조립체는 작동 위치와 좌석 등받이에 대해 전방 및 상방인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헤드 억제부를 포함한다. 작용 조립체는 좌석 착석자에 의한 작용 조립체의 후방 로딩에 대응하여 헤드 억제 조립체가 작동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부 교차 부재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헤드 억제 조립체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 도면들과 연관하여 고려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잘 이해되므로 쉽게 인식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식 헤드 억제부를 포함하는 좌석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2는 작동 위치에서의 헤드 억제부를 포함하는 좌석 등받이와 초기 위치에서의 작용 조립체의 부분적인 전방 사시도이다.
도3은 작동 위치에서의 헤드 억제부를 포함하는 좌석 등받이와 초기 위치에서의 작용 조립체의 부분적인 후방 사시도이다.
도4는 전개 위치에서의 헤드 억제부와 작동 위치에서의 작용 조립체의 부분적인 전방 사시도이다.
도5는 전개 위치에서의 헤드 억제부와 작동 위치에서의 작용 조립체의 부분적인 후방 사시도이다.
도6은 미리 성형된 제어 바아를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포함하는 좌석 등받이의 부분적인 전방 사시도이다.
도7은 미리 성형된 제어 바아를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포함하는 좌석 등받이의 부분적인 후방 사시도이다.
도8은 헤드 억제부를 작동 위치로 편의시키기 위한 한 쌍의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포함하는 좌석 등받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9는 개방 슬롯을 형성하는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한 작용 링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좌석 등받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도시되어 있다. 좌석 조립체(10)는 차량 내의 바닥 위로 좌석 착석자를 지지하기 위한 대체로 수평인 좌석 쿠션(12)을 포함한다. 또한, 좌석 조립체(10)는 복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들 사이에서 좌석 등받이(14)의 선택적인 각도 조정을 제공하기 위해 리클라이너 기구에 의해 좌석 쿠션(1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대체로 직립인 좌석 등받이(14)를 포함한다. 좌석 조립체(10)는 헤드 억제부(16)를 더 포함한다. 헤드 억제부(16)는 한 쌍의 이격되고 평행한 아마추어(armature, 18)를 통해 좌석 등받이(14)에 조정가능하게 부착된다. 아마추어(18)는 좌석 등받이(14)에 대한 헤드 억제부(16)의 수직 조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좌석 등받이(14) 내에서, 대체로 도면 부호 20으로 지칭된,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헤드 억제부(16)는 도1 및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등받이(14)와 대체로 평행한 작동 위치와,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등받이(14)에 대해 전방 및 상방인 전개 위치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이동가능하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좌석 등받이 프레임(20)은 한 쌍의 이격된 측면 부재(22, 24)들과 측면 부재(22, 24)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부 교차 부재(26)를 포함한다. 측면 부재(22, 24)들은 대체로 평행하고 그들 사이에 수직 평면을 형성한다. 상부 교차 부재(26)는 전방 측면(28) 및 후방 측면(30)을 형성한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제1 안내 브래킷(32) 및 제2 안내 브래킷(34)은 각각 측면 부재(22, 24)들에 확고히 고정된다. 각각의 제1 안내 브래킷(32) 및 제2 안내 브래킷(34)은 대체로 도면부호 38로 도시된 헤드 억제 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안내 슬롯(36)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내 슬롯(36)은 대체로 선형이고 제1 단부(40)와 제2 단부(42) 사이에서 연장한다.
헤드 억제 조립체(38)는 측면 부재(22, 24)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단부(46) 및 제2 단부(48)를 갖는 수평인 제어 바아(44)를 포함한다. 아암 링크(50)는 제어 바아(44)에 수직으로 연장하면서 제1 단부(46) 및 제2 단부(48) 각각에 배치된다. 아암 링크(50) 각각은 제어 바아(44)의 제1 단부(46) 또는 제2 단부(48) 중 하나에 확고히 고정된 선단부(52)와 대향 말단부(54)를 구비한다. 긴 원통형 본체를 갖는 안내 핀(56)은 아암 링크(50) 각각의 말단부(54)로부터 측방향으로 연 장한다. 안내 핀(56)은, 각각의 안내 핀(56)이 각각의 안내 슬롯(36) 내에서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단부(40)로부터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단부(42)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 슬롯(36) 내에서 피봇식 및 활주식으로 결합된다. 안내 핀(56) 각각은 제어 바아(44)의 횡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단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플랜지(58)를 포함한다.
헤드 억제 조립체(38)는 하부 단부(64, 66)와 상부 단부(68, 70) 사이에서 수평인 제어 바아(44)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이격된 수직인 포스트(60, 62)를 또한 포함한다. 포스트(60, 62)의 하부 단부(64, 66)는 포스트(60, 62)와 제어 바아(44) 사이에 연장하는 연결 튜브(72, 74)에 의해 제어 바아(44)에 확고히 고정된다. 포스트(60, 62)의 상부 단부(68, 70)는 상부 교차 부재(26)의 전방 측면(28)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한 쌍의 이격된 안내 튜브(76, 78)는 피봇부(84)에 의해 한 쌍의 안내 튜브 브래킷(80, 82)에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안내 튜브 브래킷(80, 82)은 상부 교차 부재(26)의 후방 측면(30)에 확고히 고정된다. 안내 튜브(76, 78) 각각은 축방향 보어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포스트(60, 62)들 중 하나를 수용한다. 포스트(60, 62)는 안내 튜브(76, 78)의 축방향 보어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안내 튜브(76, 78)와 안내 튜브 브래킷(80, 82) 사이에서의 피봇부(84)는 포스트(60, 62) 및 이에 따른 헤드 억제 조립체(38)가 좌석 등받이 프레임(20)에 대하여 피봇하도록 허용한다.
축방향 보어를 갖는 헤드 억제 슬리브(86)는 포스트(60, 62)의 상부 단 부(68, 70) 내로 삽입되며 이를 통해 헤드 억제 아마추어(18)를 수용한다. 헤드 억제 슬리브(86)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아마추어(18)는 좌석 착석자가 소정 위치로 헤드 억제부(16)를 수직으로 조정하도록 허용하면서 헤드 억제 슬리브(86)에 대해 활주할 수 있다.
대체로 도면부호 88로 도시된 작용 조립체는 측면 부재(22, 24)들 사이에서 동일한 거리로 배치된 충격 플레이트(90)를 포함한다. 충격 플레이트(9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억제부(16)가 작동 위치에 있는 측면 부재(22, 24)들에 의해 형성된 수직 평면과 대체로 동일 평면상인 초기 위치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억제부(16)가 전개 위치에 있는 측면 부재(22, 24)들에 의해 형성된 수직 평면의 대체로 후방인 작동 위치 사이에서 피봇한다. 충격 플레이트(90)는 한 쌍의 편의 스프링(biasing spring, 92)에 의해 초기 위치로 편의된다. 특히, 부착 탭(94)은 각각의 측면 부재(22, 24)에 확고히 고정되고, 각각의 편의 스프링(92)은 부착 탭(94)들 중 하나와 충격 플레이트(90) 사이에서 연장한다.
작용 조립체(88)는 상부 교차 부재(26)의 전방 측면(28)에 상부 피봇부(100)에 의해 피봇식으로 결합된 선단부(98)와 충격 플레이트(90)에 확고히 고정된 대향 말단부(102) 사이에서 연장하는 작용 링크(96)를 또한 포함한다. 작용 링크(96)는 충격 플레이트(90)에 대한 후방 충격에 대응하여 상부 피봇부(100)에 대해 피봇한다.
선단부(98)와 말단부(102) 사이에서 작용 링크(96)에 확고히 고정된 대체로 L형상인 제어 바아 안내부(104)는 작용 링크(96) 내에 슬롯(106)을 형성한다. 도 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바아 안내부(104)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지만, 제어 바아 안내부(104)는 본 발명의 범위를 변경하지 않고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슬롯(106)은 제1 단부(108)와 제2 단부(110) 사이에서 연장한다. 제어 바아(44)는 슬롯(106)을 통해 연장하며, 결과적으로 작용 조립체(88)가 헤드 억제 조립체(38)에 작동식으로 결합된다. 제어 바아(44)는 슬롯(106) 내에서 피봇식 및 활주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작동시, 후방 충돌 사건 동안과 같이 차량이 충격을 받을 때, 헤드 억제부(16)가 작동 위치에서 시작하여, 좌석 착석자의 등이 좌석 등받이(14) 내의 충격 플레이트(90)에 대하여 가압하거나 충격 플레이트를 후방으로 로딩한다. 충격 플레이트(90)의 후방 로딩은 헤드 억제부(16)가 전개 위치로 좌석 등받이(14)에 대해 상방으로 및 전방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편타성 손상(whiplash)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좌석 착석자의 헤드와 헤드 억제부(16)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한다. 특히,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충격 플레이트(90)의 후방 로딩은 작용 링크(96)를 상부 피봇부(100)에 대하여 후방으로 피봇하게 한다. 작용 링크(96)가 후방으로 피봇할 때, 제어 바아 안내부(104)는 제어 바아(44)가 슬롯(106) 내에서 제1 단부(108)로부터 제2 단부(110)로 활주하고 피봇하면서 상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한다. 동시에 안내 핀(56)은 제1 단부(40)로부터 제2 단부(42)로 안내 슬롯(36)을 따라 활주하고 피봇한다. 제어 바아(44)가 상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때, 포스트(60, 62)의 하부 단부(64, 66)도 상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여 안내 튜브(76, 78)가 피봇부(84)에 대하여 전방으로 피봇하게 한다. 안내 튜브(76, 78)의 전방 피봇은 포스트(60, 62)의 상부 단부(68, 70)가 전방으로 피봇하게 함으로써, 아마추어(18) 및 이에 따른 헤드 억제부(16)를 상방 및 전방으로 구동시켜서 좌석 착석자의 헤드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헤드 억제 조립체(38)는 미리 성형된 제어 바아(112)를 포함한다. 제어 바아(112)는 2개의 아치형 세그먼트(114)를 포함한다. 아치형 세그먼트(114)는 포스트(60, 62)의 하부 단부(64, 66)가 제어 바아(44)에 직접 확고히 고정되게 하여 연결 튜브(72, 74)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116)은 안내 튜브(76, 78)와 제어 바아(44) 사이에서 각각의 포스트(60, 62)의 하부 단부(64, 66) 둘레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116)은 충격 플레이트(90)를 초기 위치로 편의하고 헤드 억제부(16)를 작동 위치로 편의하도록 돕는다.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작용 링크(96)에 확고히 고정된 개별의 제어 바아 안내부(104)는 선단부(98)와 말단부(102) 사이에서 작용 링크(96)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18)에 의해 대체된다. 플랜지(118)는 제1 개방 단부(122)와 제2 폐쇄 단부(124) 사이에서 연장하는 개방 슬롯(12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기술되었고, 사용된 기술용어는 제한되기보다는 단어의 특징을 기술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위의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기술된 바와 달리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9)

  1. 좌석 착석자를 지지하기 위하여 좌석 쿠션 및 좌석 등받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이며,
    상부 교차 부재를 갖는 좌석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피봇식 및 활주식으로 결합되고, 작동 위치와 좌석 등받이에 대해 전방 및 상방인 전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헤드 억제부를 포함하는 헤드 억제 조립체와,
    좌석 착석자에 의한 작용 조립체의 후방 로딩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 억제 조립체가 작동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 교차 부재에 피봇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헤드 억제 조립체에 작동식으로 결합된 작용 조립체를 포함하는 좌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억제 조립체를 활주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축방향 보어를 갖는 한 쌍의 안내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내 튜브 각각은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대한 상기 헤드 억제 조립체의 피봇식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교차 부재에 피봇식으로 결합되는 좌석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억제 조립체는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피봇식 및 활주식으로 결합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수평인 제어 바 아와, 상기 헤드 억제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바아에 확고히 고정된 하부 단부들과 상부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이격된 수직인 포스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이격된 수직인 포스트들은 상기 한 쌍의 안내 튜브들의 상기 축방향 보어들을 통해 연장하는 좌석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조립체는 상기 상부 교차 부재에 피봇식으로 결합된 선단부와 충격 플레이트가 확고히 고정되어 있는 말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작용 링크를 포함하는 좌석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플레이트는 초기의 전방 위치와 상기 후방 로딩에 대응하여 작동된 후방 위치 사이에서 피봇하는 좌석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 링크는 상기 선단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에서 내부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바아는 상기 작용 조립체 및 상기 헤드 억제 조립체를 작동식으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슬롯을 통해 연장하는 좌석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플레이트를 상기 초기 위치로 편의하기 위해 상기 충격 플레이트와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 사이에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편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좌석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억제부의 선택적인 수직 조정을 제공하도록 상기 헤드 억제부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아마추어를 활주식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이격된 수직인 포스트들의 상기 상부 단부 각각 내로 삽입된 축방향 보어를 구비한 헤드 억제부를 포함하는 좌석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억제 조립체는 상기 충격 플레이트를 상기 초기 위치로 편의하고 상기 헤드 억제부를 상기 작동 위치로 편의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안내 튜브들과 수평인 상기 제어 바아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이격된 수직인 포스트 각각의 둘레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좌석 조립체.
KR1020087009784A 2005-10-25 2006-10-24 능동형 헤드 억제부 KR20080059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2988705P 2005-10-25 2005-10-25
US60/729,887 2005-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251A true KR20080059251A (ko) 2008-06-26

Family

ID=3796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784A KR20080059251A (ko) 2005-10-25 2006-10-24 능동형 헤드 억제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80217971A1 (ko)
EP (1) EP1940646A4 (ko)
KR (1) KR20080059251A (ko)
CN (1) CN101296819A (ko)
CA (1) CA2620574A1 (ko)
WO (1) WO2007048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9799B2 (ja) * 2009-11-12 2014-06-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システム
US8820832B2 (en) * 2011-11-22 2014-09-02 Nissan North America, Inc. Active head restraint with wiring pass-through
FR2989644B1 (fr) * 2012-04-24 2015-07-03 Cera Systeme de securite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N103129429A (zh) * 2013-03-19 2013-06-05 江苏大学 机动车安全座椅
CN103192749B (zh) * 2013-04-21 2015-07-15 山东科技大学 一种汽车座椅主动头枕装置
CN103273861B (zh) * 2013-05-29 2016-04-06 江苏大学 机动车正面碰撞安全座椅
CN103273862B (zh) * 2013-05-29 2016-01-27 江苏大学 机动车追尾碰撞安全座椅
CN104149667B (zh) * 2014-08-08 2017-02-15 吉林大学 汽车车顶坍塌变形主动防护头枕装置及其控制方法
US10399474B2 (en) * 2016-03-02 2019-09-03 Adient Luxembourg Holding S.a.r.l. Multi-adjustable head restraint
JP6575408B2 (ja) * 2016-03-23 2019-09-18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支持構造
CN105691260B (zh) * 2016-03-31 2019-05-31 辽宁尚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功能性座椅头枕
DE102016215048B4 (de) * 2016-08-12 2023-10-12 Lear Corp. Sitzanordnung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itzanordnung
GB2566060B (en) * 2017-09-01 2020-04-01 Jaguar Land Rover Ltd Head restraint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ethod
CN108944594A (zh) * 2018-08-02 2018-12-07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座椅骨架
JP7078011B2 (ja) * 2019-05-08 2022-05-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7255381B2 (ja) * 2019-06-14 2023-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吊り型シート
JP7131512B2 (ja) * 2019-09-04 2022-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04287U1 (de) * 1995-03-13 1995-05-11 Bonke Christoph Dr Individuell anpaßbare Kopfstütze für Sitze mit Rückenlehne
AU716487B2 (en) * 1995-09-14 2000-02-24 Autoliv Development Ab A seat for use in a vehicle
GB2311212B (en) * 1996-03-19 1999-11-17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hicle seat
GB2316442B (en) * 1996-08-16 2000-02-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eat back support mechanism
GB2347345B (en) * 1996-09-06 2000-10-1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seat
SE510735C2 (sv) * 1996-09-06 1999-06-21 Saab Automobile Fordonsstol försedd med ett nackstöd
GB2316864B (en) * 1996-09-06 2000-10-0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seat
US5738407A (en) * 1997-01-14 1998-04-14 Lear Corporation Head restraint airbag assembly
US5884968A (en) * 1997-01-23 1999-03-23 Lear Corporation Seat assembly with pneumatically adjustable contour and energy absorption
US5826937A (en) * 1997-01-23 1998-10-27 Lear Corporation Pneumatic energy absorbing seat assembly
AU6428998A (en) * 1997-03-11 1998-09-29 Kent Nilsson Device for avoiding whiplash injuries
US6435592B2 (en) * 1997-03-11 2002-08-20 Autoliv Development Ab Device for avoiding whiplash injuries
GB2329112B (en) * 1997-09-10 2002-01-02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hicle seat
GB2359017B (en) * 1997-09-10 2002-02-20 Autoliv Dev A vehicle seat
SE510961C2 (sv) * 1997-11-20 1999-07-12 Volvo Ab Anordning vid ryggstöd till ett fordonssäte
DE19756700C1 (de) * 1997-12-19 1998-12-17 Daimler Benz Ag Einstellbarer Fahrzeugsitz
US5938279A (en) * 1998-05-01 1999-08-17 Lear Corporation Dynamic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DE29808831U1 (de) * 1998-05-15 1998-08-27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Sitz- und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EP1159153B1 (en) * 1998-12-14 2005-08-31 Lear Corporation Vehicle pivotal headrest
GB2347620B (en) * 1999-03-10 2002-12-24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hicle seat
AU5607600A (en) * 1999-06-10 2001-01-02 Magna Seating Systems Inc. Continuous self-adjusting head restraint system
DE19927403C2 (de) * 1999-06-16 2003-02-13 Daimler Chrysler Ag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US6213548B1 (en) * 1999-08-12 2001-04-10 Trw Inc. Head restraint apparatus
DE29916167U1 (de) * 1999-09-14 2001-01-25 Johnson Controls Gmbh Aktive Kopfstütze mit Gassackmodul
JP2001253282A (ja) * 2000-03-14 2001-09-18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DE10012973B4 (de) * 2000-03-16 2004-02-26 Daimlerchrysler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6568754B1 (en) * 2000-10-30 2003-05-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pandable, redeployable automotive headrest
US6607242B2 (en) * 2000-12-13 2003-08-19 Lear Corporation Head restraint assembly
US6565150B2 (en) * 2001-02-19 2003-05-20 Lear Corporation Active headrest for a vehicle seat
US6719368B1 (en) * 2001-02-28 2004-04-13 Magna Seating Systems Inc.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a cradle seat back
US6655733B2 (en) * 2001-06-29 2003-12-02 Lear Corporation Variable movement headrest arrangement
US6789845B2 (en) * 2002-09-30 2004-09-14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having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US7097242B2 (en) * 2003-02-06 2006-08-29 Lear Corporation Anti-backdriving active head restraint
KR20040104993A (ko) * 2003-06-03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헤드레스트
JP4118256B2 (ja) * 2004-06-22 2008-07-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065258B2 (ja) * 2004-07-02 2008-03-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US6955397B1 (en) * 2004-09-27 2005-10-18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0646A4 (en) 2009-07-01
WO2007048234A1 (en) 2007-05-03
CA2620574A1 (en) 2007-05-03
EP1940646A1 (en) 2008-07-09
CN101296819A (zh) 2008-10-29
US20080217971A1 (en) 200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9251A (ko) 능동형 헤드 억제부
US6655733B2 (en) Variable movement headrest arrangement
US6631949B2 (en) Variable movement headrest arrangement
US6631955B2 (en) Variable movement headrest arrangement
US6789846B2 (en) Vehicle seat having a movable head restraint
US6749256B1 (en) Vehicle seat having a movable head restraint
US7118174B2 (en) Activating headrest
US7237838B2 (en) Active headrest with decoupled lumbar frame
US8439441B2 (en) Adjustable lumbar assembly for vehicle seats
WO2007010616A1 (ja) 車両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用連結機構
WO2000076803A1 (en) Continuous self-adjusting head restraint system
US8727437B2 (en) Actuator for crash activated head restraint
US8276983B2 (en) Manual retracting head restraint
JPH10138814A (ja) 乗物用ヘッドレスト装置
EP1636065B1 (en) A vehicle seat
CZ159497A3 (en) Seat, particularly for use in a motor vehicle
JP439230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9525907A (ja) 作動装置およびシート、特に自動車シート
KR20150063697A (ko) 차량시트의 후방추돌 충격완화 장치
JP3740933B2 (ja) 車両用シート
JP4629387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387629B1 (ko) 자동차용 안전 시트 구조
US20200207246A1 (en) Head restraint with active deployment
EP2492139A1 (en) Trigger mechanism for an active headrest system and seat back
KR100785625B1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