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775A -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9775A KR20200029775A KR1020180108226A KR20180108226A KR20200029775A KR 20200029775 A KR20200029775 A KR 20200029775A KR 1020180108226 A KR1020180108226 A KR 1020180108226A KR 20180108226 A KR20180108226 A KR 20180108226A KR 20200029775 A KR20200029775 A KR 202000297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rest
- vehicle
- locking
- insertion hole
- spring hi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의 넓이 방향에서 상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을 조임 또는 개방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되 상기 스프링 힌지의 개방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핀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몸체부 및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부와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 힌지의 개방 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구조로 된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목 부분으로 척추와 두개골을 연결하는 경추는 작은 충격에도 크게 손상될 수 있는 취약한 부분이므로 차량 탑승자는 교통사고 등에 대비하여 경추 손상에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차량에는 교통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벨트에서부터 에어백, 센서 및 레이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탑재되는데, 헤드레스트(Headrest)는 교통사고 시 탑승자의 경추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초적인 안전장치들 가운데 하나로 차량 시트의 머리 받침에 해당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키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중앙 부위를 탑승자의 눈높이에 오도록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고 좌석과 일체로 구현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좌석과 일체이면서 등받이를 연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하이백).
최근들어 헤드레스트는 교통사고로 인한 경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교통사고 후유증을 예방하고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모든 자동차에 표준 장비화되는 추세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1647(2011.01.24)호는 자동차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차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는 자동차의 내부에 안착되어 시트를 전후로 이동 및 고정시키는 자동차용 시트 록킹장치에 있어서, 자동차내부의 저면에 안착되는 한쌍의 하부트랙과, 상기 하부트랙의 상측에서 자동차시트와 연결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상부트랙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트랙과 상기 하부트랙의 양측에 고정되는 봉형상의 장착축과 상기 장착축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측이 상부트랙에 고정되며, 잠금 및 해제되도록 내측에 한쌍의 코일 스프링이 형성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는 스프링록킹부와 상기 스프링록킹부와 연결되어 손으로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록킹부를 이동 및 고정시키는 레버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탄성력을 갖는 코일형상의 코일부와, 상기 코일스프링이 고정되도록 상기 코일부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단과, 상기 코일부와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레버연결단으로 구성되어 자동차시트의 하측에 코일스프링이 형성된 스프링록킹부를 구비함으로써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잠김 및 해제되어 자동차시트를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자동차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6384(2015.12.03)호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는 시트백에 삽입되는 스테이 로드 및 상기 시트백과 스테이 로드 사이에 삽입되며, 헤드부와 넥부로 구성되되, 넥부의 전방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탄성적으로 스테이 로드를 가압하는 탄성부가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내측에는 걸림돌기가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스테이 로드의 후방측에는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테이 로드의 내측으로 만입된 걸림홈이 형성되되, 걸림홈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 로드는 가이드에 삽입 시 탄성부에 의해 가이드측으로 가압되고, 가이드의 걸림돌기가 스테이 로드의 걸림홈에 결합되어 스테이 로드와 가이드가 락킹된 상태가 유지되되, 스테이 로드가 전방측으로 가압되면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락킹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별도의 락킹해제 버튼을 생성하지 않고도 스테이 로드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락킹해제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의 용이함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에 고정되고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헤드레스트 거치부에 형성되고 스프링 힌지에 의해 조임 또는 개방 가능한 삽입공을 포함하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록킹 수단을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스프링 힌지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록킹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충돌 시 작동되어 스프링 힌지를 통해 삽입공을 개방할 수 있는 록킹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의 넓이 방향에서 상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을 조임 또는 개방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되 상기 스프링 힌지의 개방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핀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몸체부 및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부와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 힌지의 개방 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힌지를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록킹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 레버는 차량 충돌 시 작동되어 상기 스프링 힌지를 통해 상기 삽입공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는 양 끝단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날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 날개들은 내부에 스피커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는 상기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에 고정되고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거치부에 형성되고 스프링 힌지에 의해 조임 또는 개방 가능한 삽입공을 포함하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는 록킹 수단을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스프링 힌지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록킹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는 차량 충돌 시 작동되어 스프링 힌지를 통해 삽입공을 개방할 수 있는 록킹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거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거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차량(vehicle)", "차량의(vehicular)"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는 자동차들, 일반적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들(SUV)을 포함하는 자가용들(passenger automobiles), 버스들, 트럭들, 다양한 상업 차량들, 다양한 보트들 및 배들을 포함하는 선박, 비행기 등을 포함하고,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들과 다른 대체 연료(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자원들로부터 유도된 연료들) 차량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EV)는 자신의 이동 능력들(locomotion capabilities)의 부분으로서, 충전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재충전 가능한 전기 화학적 셀 또는 다른 유형의 배터리)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동력을 포함하는 차량이다. EV는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터 사이클들, 카트들, 스쿠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두 개 이상의 전력 소스, 일례로 가솔린 기반 동력 및 전기 기반 동력을 갖는 차량이다(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100)는 헤드레스트 거치부(110), 헤드레스트 몸체부(120) 및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130)을 포함한다.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100)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에 설치되어 주행 중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하고 교통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머리 받침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100)는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에 의해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에 고정되고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에 형성된 삽입공(113) 및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에 형성된 삽입핀(121)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스프링 힌지(115)를 통해 삽입공(113)을 조임 또는 개방함으로써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이동 또는 고정시키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100)를 제공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 거치부는(110)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의 넓이 방향에서 상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13) 및 상기 삽입공을 조임 또는 개방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하여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에 고정되고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지지하는 거치 수단에 해당한다.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헤드레스트 거치부는(110)에 형성된 삽입공(113)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되 스프링 힌지(115)의 개방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핀(121)을 포함하여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차량 시트의 머리 받침에 해당한다.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130)는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와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연결하고 스프링 힌지(115)의 개방 시에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31)을 포함하여 탑승자의 구동 또는 충돌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에 해당한다.
도 2는 도 1의 헤드레스트 거치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거치부(110)는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 삽입공(113), 스프링 힌지(115) 및 록킹 레버(117)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 거치부(110)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에 고정되고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지지하는 거치 수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거치부(110)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의 넓이 방향에서 상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13) 및 삽입공(113)을 조임 또는 개방하는 스프링 힌지(115)를 포함하여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에 고정되고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은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의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및 스테인리스 특수강 등 다양한 종류의 금속재료를 단조, 압출, 압연 및 판금 등의 금속가공 방법을 통해 장방형으로 성형하여 얻어지는 금속패널로 일측 또는 양측에 체결을 위해 브라켓 형태로 접철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체결구조를 위해 절삭가공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공(113)은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의 탑승자의 관점에서 전면에 위치한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고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에 형성된 삽입핀(121)을 삽입하여 헤드레스트 몸체부(120) 슬라이드 이동 시 전후로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공(113)은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일부를 원형으로 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의 끝단에 인접하여 형성되거나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삽입공(113)은 삽입핀(12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힌지(115)는 삽입공(113)에 삽입되는 삽입핀(121)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록킹 수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힌지(115)는 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일측에 개구를 형성하는 원형 또는 원통형의 플렌지(Flange)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를 형성하는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조절 핀 또는 조절 패널을 통해 삽입공(113)을 조임 또는 개방하여 삽입공(113)에 삽입되는 삽입핀(121)을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힌지(1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봉형상의 로드(10), 로드(10)의 외주면에 안착되며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단속구(20), 단속구(20) 일측부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로드(10)가 관통된 파이프형상의 부쉬부(30), 각각의 단속구(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단속구(20)를 반경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레버부(40)를 포함하는 차량시트용 메카니컬 록에 해당하여 차량의 주행 중 방지턱 및 요철등의 충격에 의하여 차량시트가 움직이는 것을 경사면으로 기울어지는 단속구(20)를 구비함으로써, 운전 중 불안전한 요소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또한, 레버부(40)의 내부에 차단돌기를 구비하여 단속구(20)의 마모를 방지하고, 마찰로 인하여 부정확하게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록킹 레버(117)는 스프링 힌지(115)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제어 수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 레버(117)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유압을 케이블을 통해 스프링 힌지(115)로 전달하여 삽입핀(121)의 고정 또는 해제를 원거리에서 수행하는 제어 수단으로 여기에서, 케이블은 유압을 전달하기 위해 이중 또는 다중으로 형성된 튜브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록킹 레버(117)는 유압 생성을 위한 리저버 탱크(Reservoir Tank)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 레버(117)는 차량 충돌 시 작동되어 스프링 힌지(115)를 통해 삽입공(113)을 개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록킹 레버(117)는 표준화된 OBD의 계측과 제어를 위한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차체 진동신호, 엔진 진동신호 및 너클 진동신호 등에 해당하는 다양한 센싱값들을 수신하고 센싱값들의 복합 진동신호를 분석하여 차량 충돌을 판단하며 차량 충돌 시 록킹 레버(117)를 구동시키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은 3차원 스칼라 파동 방정식을 이용하여 아래 식과 같이 복합 진동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위 식은 데카르트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 system)의 3차원 스칼라 파동 방정식으로 여기에서, x는 차체 진동신호, y는 엔진 진동신호, z는 너클 진동신호, r은 복합 진동신호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은 차체 진동신호, 엔진 진동신호 및 너클 진동신호를 3차원 좌표계에서 분석하여 차체 충돌을 판단하고 차량 충돌 시 록킹 레버(117)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삽입핀(121) 및 헤드레스트 날개(123)를 포함한다.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헤드레스트 거치부는(110)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주행 중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하고 교통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경추를 보호하는 머리 받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메인 커넥터(125), 메인 커넥터(125)의 중단에 형성된 삽입핀(121), 메인 커넥터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부재들 및 일측에 형성된 복수의 수평부재들의 끝단을 연결하는 수직 패널(129)을 포함하여 헤드레스트 거치부는(110)에 의해 고정 지지되고 주행 중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하고 교통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경추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탑승자의 관점에서 전면에 위치한 메인 커넥터(125)를 메인 커넥터(125)와 나란하게 후면에 위치한 수평부재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수평 횡단면의 관점에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메인 커넥터(125)와 나란하게 후면에 위치한 수평부재의 중심선 상에 다른 수평부재를 포함하여 측면의 관점에서 메인 커넥터(125) 및 수평부재들을 삼각형 형태로 배치할 수 있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다양한 물품의 수납 및 보관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수직패널(129)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날개들(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헤드레스트 날개들(123)은 주행 중 탑승자의 머리 측면 부분을 편안하게 하고 교통사고 발생 시 탑승자의 경추를 탑승자의 경추를 측면에서 보호하는 머리 받침의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측면 머리 받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날개들(123)은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의 수직패널(129) 적어도 일부와 수직으로 연결되어 착석자의 목 부분을 보호하도록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착석자의 관점에서 상향으로 270도까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는 헤드레스트 날개들(123)을 상향으로 270도 회전시킴으로써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의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날개들(123)은 내부에 스피커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형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레스트 날개(123)는 모서리를 필렛(Fillet) 처리하여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패널들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수직 연결부재들로써 연결하여 내부에 스피커, 마이크 및 근거리 네트워크 장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및 마이크의 송수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탑승자의 머리 부분과 대향하는 패널 상에 미세한 관통공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삽입핀(121)은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의 탑승자의 관점에서 전면에 위치한 메인 커넥터(125)의 중단에 형성되고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에 형성된 삽입공(113)에 삽입되어 헤드레스트 몸체부(120) 슬라이드 이동 시 전후로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삽입핀(12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일부를 원통형으로 하는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 상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보조 삽입핀(122)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보조 삽입핀(122)들은 메인 커넥터(125) 상에 형성된 삽입핀(121)의 좌우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은 보조 삽입핀(122)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들은 보조 스프링 힌지에 의한 보조 록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관통공들은 보조 록킹 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메인 커넥터(125) 상에 형성된 보조 삽입핀(122)들을 삽입하여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의 전후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130)는 복귀 스프링(131)을 포함한다.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130)는 스프링 힌지(115)의 개방 시에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130)는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와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연결하고 스프링 힌지(115)의 개방 시에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31)을 포함하여 스프링 힌지(115)의 개방 시에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귀 스프링(131)은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선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형성된 탄성체에 해당한다. 복귀 스프링(131)은 탄성을 강화하고 내부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소둔처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소둔처리(Annealing)는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후, 천천히 냉각하는 금속가공 방법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복귀 스프링(131)은 토크(Torque) 변화량을 10% 내외로 길이 변화량을 3mm 내외로 형성하도록 소둔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복귀 스프링(131)은 내부에 스폰지(Sponge) 등을 삽입하여 피로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귀 스프링(131)은 내부에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스펜션은 복귀 스프링(131)의 선경, 유효 권취 횟수 및 중심 직경 등에 의해 결정되는 탄성력을 감소시키는 현가 수단에 해당한다. 또한, 서스펜션은 표준화된 OBD의 계측과 제어를 위한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차체 진동신호, 엔진 진동신호 및 너클 진동신호 등에 해당하는 다양한 센싱값들을 수신하고 센싱값들의 복합 진동신호를 기초로 복귀 스프링(131)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은 복합 진동신호 값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탄성력을 증가시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의 복귀 속도를 빠르게 하고, 서스펜션은 복합 진동신호 값이 일정값 미만인 경우 탄성력을 감소시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의 복귀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 발생 시에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의 복귀 속도를 빠르게 하여 탑승자를 충돌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는 헤드레스트 거치부는(110)에 형성된 삽입공(113)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되 스프링 힌지(115)의 개방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핀(121)을 포함하여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여기에서, 삽입공(113)은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의 탑승자의 관점에서 전면에 위치한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고 헤드레스트 몸체부(120)에 형성된 삽입핀(121)을 삽입하여 헤드레스트 몸체부(120) 슬라이드 이동 시 전후로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에 해당하고 스프링 힌지(115)는 삽입공(113)에 삽입되는 삽입핀(121)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록킹 수단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힌지(115)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100)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의 넓이 방향에서 상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111)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13) 및 상기 삽입공(113)을 조임 또는 개방하는 스프링 힌지(115)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부(110), 상기 삽입공(113)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되 상기 스프링 힌지(115)의 개방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핀(121)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몸체부(120) 및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부(110)와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 힌지(115)의 개방 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1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31)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130)를 포함하여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119)에 고정되고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110: 헤드레스트 거치부
111: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 113: 삽입공
115: 스프링 힌지 117: 록킹 레버
119: 헤드레스트 폴
120: 헤드레스트 몸체부
121: 삽입핀 122: 보조 삽입핀(122)
123: 헤드레스트 날개 125: 메인 커넥터
127: 수평부재 129: 수직 패널
130: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
131: 복귀 스프링
110: 헤드레스트 거치부
111: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 113: 삽입공
115: 스프링 힌지 117: 록킹 레버
119: 헤드레스트 폴
120: 헤드레스트 몸체부
121: 삽입핀 122: 보조 삽입핀(122)
123: 헤드레스트 날개 125: 메인 커넥터
127: 수평부재 129: 수직 패널
130: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
131: 복귀 스프링
Claims (6)
- 차량용 헤드레스트 폴의 넓이 방향에서 상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 패널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 및 상기 삽입공을 조임 또는 개방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거치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고정 지지되되 상기 스프링 힌지의 개방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삽입핀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몸체부; 및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부와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 힌지의 개방 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복귀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거치부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힌지를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록킹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차량 충돌 시 작동되어 상기 스프링 힌지를 통해 상기 삽입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몸체부는
양 끝단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날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날개들은
내부에 스피커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형 구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부는
상기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226A KR102116670B1 (ko) | 2018-09-11 | 2018-09-11 |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226A KR102116670B1 (ko) | 2018-09-11 | 2018-09-11 |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9775A true KR20200029775A (ko) | 2020-03-19 |
KR102116670B1 KR102116670B1 (ko) | 2020-05-29 |
Family
ID=6995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8226A KR102116670B1 (ko) | 2018-09-11 | 2018-09-11 |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667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8469U (ko) * | 1998-03-26 | 1999-10-25 | 정해일 |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 |
KR20060090041A (ko) * | 2005-02-04 | 2006-08-10 | 윤성훈 | 헤드레스트 핸즈프리장치 |
KR20080084553A (ko) * | 2007-03-14 | 2008-09-19 | 최순봉 |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011647B1 (ko) | 2010-04-06 | 2011-01-28 | (주)티에프에스 | 자동차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 |
KR101576384B1 (ko) | 2014-07-25 | 2015-12-09 | 현대다이모스(주) |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
-
2018
- 2018-09-11 KR KR1020180108226A patent/KR1021166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8469U (ko) * | 1998-03-26 | 1999-10-25 | 정해일 |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 |
KR20060090041A (ko) * | 2005-02-04 | 2006-08-10 | 윤성훈 | 헤드레스트 핸즈프리장치 |
KR20080084553A (ko) * | 2007-03-14 | 2008-09-19 | 최순봉 | 차량용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011647B1 (ko) | 2010-04-06 | 2011-01-28 | (주)티에프에스 | 자동차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 |
KR101576384B1 (ko) | 2014-07-25 | 2015-12-09 | 현대다이모스(주) |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6670B1 (ko) | 2020-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89946B (zh) | 具有能量吸收装置的儿童安全座椅 | |
US8596675B2 (en) | Dual chamber side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 |
US6857698B2 (en) | Seat side impact resistance mechanism | |
WO2012086803A1 (ja) | 乗物用シート | |
US7758126B2 (en) | Folding headrest | |
US8172320B2 (en) | Impact absorption block for vehicle seatback assembly | |
US7918501B1 (en) | Vehicle safety seat | |
CN113492736B (zh) | 一种用于车辆的放松舒适座椅 | |
US11407347B2 (en) | Multiple stage headrest | |
US20220314849A1 (en) | Energy absorbing vehicle seat | |
JP7111081B2 (ja) | 車載シート装置 | |
WO2016024379A1 (ja) | 乗り物用シート、乗り物用シート部材及び乗り物 | |
KR102116670B1 (ko) | 차량용 무단 록킹 헤드레스트 | |
US8696058B2 (en) | Adjustable armrest with adjustable cupholder | |
CN110884399A (zh) | 机动车辆座椅 | |
JP6007722B2 (ja) | 車両用シートバック構造 | |
Laakmann et al. | New interior concepts for occupant protection in highly automated vehicles | |
US10434913B1 (en) | Vehicle seat | |
Viano | Influence of seat properties on occupant dynamics in severe rear crashes | |
JP5780801B2 (ja) | 乗り物用シート | |
JP5023586B2 (ja) | 車両の後部車体構造 | |
JP4855064B2 (ja) | リア・シート | |
CN203739831U (zh) | 一种三点式安全带集成于座椅总成 | |
JP2001341565A (ja) | 自動車用座席 | |
Patil et al. | Overview of automotive sea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