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509B1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2509B1 KR101972509B1 KR1020170129711A KR20170129711A KR101972509B1 KR 101972509 B1 KR101972509 B1 KR 101972509B1 KR 1020170129711 A KR1020170129711 A KR 1020170129711A KR 20170129711 A KR20170129711 A KR 20170129711A KR 101972509 B1 KR101972509 B1 KR 1019725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headrest
- fixing member
- seat
-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며, 부품수가 극히 적고, 장치가 경량화되고,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장치를 기존의 스테이로드에도 적용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의 위치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베개의 역할을 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줌으로써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헤드레스트 중에는 헤드레스트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폴딩시키거나 틸팅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123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4406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161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2796호 등에 제시된 것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123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는 헤드레스트를 틸팅시키는 장치가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제3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링크와,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제3링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4링크 또는 상기 제2링크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커버가 제4링크에 설치되어 제1,2,3,4링크를 구비해야 한다. 이로 인해 부품수가 극히 많아져서 조립이 어렵게 되고 장치의 중량도 커지게 되고 제조단가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82796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는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는 장치가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축 결합하는 래칫부재와 상기 래칫부재가 일측판의 내면에 접촉하게 양측판의 하부에 형성한 축공을 상기 수평부에 결합하는 회동부재와 상기 래칫부재의 내면과 회동부재의 타측판의 내면사이에 개재되게 수평부에 결합하며 내단은 래칫부재에 걸어주고 외단은 회동부재에 걸어주어 탄성이 회동부재를 눕혀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래칫부재의 직 상부에 위치하게 양측판의 상측부에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축에 축 결합하며 래칫부재와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때에는 회동부재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토록 제동하고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회동부재가 리턴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눕혀지게 하는 제동부재와 상기 고정축에 결합되며 일단은 제동부재에 걸어주고 타단은 회동부재에 걸어주어 제동부재와 래칫부재의 걸림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제동스프링 및 상기 제동부재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주는 해제부재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회동부재에 스테이로드의 수평부가 삽입되는 축공을 형성하여, 헤드레스트는 스테이로드의 수평부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헤드레스트와 스테이로드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와 수직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조립 후에 수평부와 수직부를 연결해 주어야 한다. 이로 인해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조립공정이 극히 복잡해지고, 기존의 스테이로드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스테이로드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커지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전방 하부 모서리 부분의 쿠션을 얇게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헤드레스트는 회동부재에 커버를 연결하여 회동부재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며, 부품수가 극히 적고, 장치가 경량화되고,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장치를 기존의 스테이로드에도 적용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와,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는 스테이로드이며, 상기 제2부재는 헤드레스트 커버일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부재의 회동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거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고정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에서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회동될 때 상기 고정돌기가 접하는 부분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바닥판과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바닥판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는 스테이로드이며, 상기 제2부재는 헤드레스트 커버이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바닥판과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바닥판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를 복귀시키는 제2고정부재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와이어를 복귀시키는 와이어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장력과 상기 제2고정부재 스프링의 장력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장력은 상기 제2고정부재 스프링의 장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버튼과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연동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동돌기가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로 구비되는 제1구동부재와, 버튼부재로 구비되는 제2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와,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며, 부품수가 극히 적고, 장치가 경량화되고,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장치를 기존의 스테이로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는 스테이로드이며, 상기 제2부재는 헤드레스트 커버이고, 상기 헤드레스트 커버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장치의 부품수가 더욱 감소될 수 있고, 기존의 스테이로드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부재의 회동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거나 후방에 배치되어, 전방이나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부품수가 증가하는 것이 방지되고 구조도 단순해진다. 또한, 하중이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에 분산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고정부재에 형성되어, 헤드레스트가 조절될 때 제2고정부재를 지속적으로 들어주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에서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회동될 때 상기 고정돌기가 접하는 부분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대해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는 바닥판과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바닥판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장치의 부피가 감소되고 장치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기 제2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를 복귀시키는 제2고정부재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와이어를 복귀시키는 와이어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장력과 상기 제2고정부재 스프링의 장력은 달라서, 상기 제2고정부재의 작동거리와 상기 와이어의 작동거리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장력은 상기 제2고정부재 스프링의 장력보다 커서, 상기 와이어가 잡아당겨지면 바로 상기 제2고정부재도 이동되어 장치의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버튼과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연동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동돌기가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부재를 통해서도 상기 제2고정부재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로 구비되는 제1구동부재와, 버튼부재로 구비되는 제2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제2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제1,2고정부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직립상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제2고정부재의 이동과정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폴딩상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정면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제2고정부재의 이동과정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정면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제2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제1,2고정부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직립상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제2고정부재의 이동과정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단면도(폴딩상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를 분리하여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정면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의 제2고정부재의 이동과정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정면도(제1헤드레스트 커버 생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제1실시예
>
제1실시에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시트(미도시) 또는 헤드레스트(미도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와,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300)와,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300)와 상기 제2고정부재(400)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302)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30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차량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하고, 차량의 상하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한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머리에 근접한 쪽을 전방이라고 하고, 반대쪽을 후방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는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시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는 스테이로드(100)로 구비되며, 상기 제2부재는 헤드레스트 커버(200)로 구비된다.
스테이로드(10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로드(110)와, 제1로드(110)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제2로드(120)를 포함한다.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는 속이 빈 파이프로 형성된다.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로드(120)가 제1로드(110)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1로드(110)의 상단에는 경사부(111)가 형성된다. 일측 경사부(111)에는 유입공(101)이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스테이로드(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헤드레스트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쿠션(미도시)을 둘러싸서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사출 등을 통해 제조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전면과 후면과 상면과 하면과 양쪽 측면을 포함하여,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 및 이하 서술되는 제1,2고정부재(300, 400)의 상하부 및 전후방을 덮는다. 즉,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장치의 상하부 및 전후방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적어도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로 분할된다.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는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즉,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에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전면이 형성되고,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후면이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상하면과 측면은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거나 두쪽에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는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내부에는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테이로드 결합부가 형성된다. 즉,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스테이로드(100)에 회동가능하게 직결(直結)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스테이로드(100)가 직결되어, 제2로드(120)의 중심으로부터 장치의 전방 하부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종래보다 짧아지게 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제2로드(120)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나의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부를 통해 제2로드(120)를 상기 관통공에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제1로드(110)와 제2로드(1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제2로드(120)를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하나의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즉, 하나의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는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와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는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는 제2로드(1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는 제2로드(120)의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는 상기 분리부가 2개 형성되며, 상기 분리부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나의 상기 관통공은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상기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의 일부는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의 나머지 일부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211)와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221)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가 결합함에 따라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는 제1,2체결부(215, 225)가 형성되어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는 결합된다. 제1,2체결부(215, 225)에는 볼트가 체결된다. 나아가,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가조립을 위해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의 가장자리에는 체결후크(219)가 형성되고,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가장자리에는 체결후크(219)가 삽입되는 체결공(229)이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내부에는 양측의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 사이에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213, 223)이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213, 223)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분할되어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213, 223)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2고정부재(400)가 배치되어, 제2고정부재(400)가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213, 223)은 제2고정부재(400)가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하면 및 전후면 하단에는 제1로드(110)가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양측의 상기 절개부 사이에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 및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213, 223)이 배치되도록 상기 절개부는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를 통해 폴딩시 헤드레스트 커버(200)가 제1로드(1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절개부는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에 형성된 제1절개부(216)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형성된 제2절개부(226)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제1헤드레스트 커버(210)의 후방 및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의 전방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고정부재(300)의 후방 및 전방이 삽입되는 제1고정부재 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 삽입부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다. 즉,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 사이에 제1고정부재(300)의 후방 및 전방이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제1고정부재 삽입부로 인해, 헤드레스트 커버(200)가 스테이로드(100)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될 때, 헤드레스트 커버(20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는 댐퍼(230)가 설치된다. 댐퍼(230)는 상기 스테이로드 결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댐퍼(230)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경사부(111)에 접촉된다. 이러한 댐퍼(230)로 인해 충격이 상기 헤드레스트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러한 댐퍼(230)로 인해 유격 및 노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00)는 스테이로드(100)와 별도로 구비되어, 스테이로드(100)의 제2로드(120)의 상부 중앙에 고정 설치된다. 제1고정부재(30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용접 등을 통해 제2로드(1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00)는 제2로드(120)의 중앙에 고정되는 바닥판(310)과, 바닥판(310)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된 측판(3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닥판(310)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제1고정부재(300)는 제2로드(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1고정부재(300)의 하단에는 제2로드(120)가 안착되는 제2로드 안착부(322)가 형성된다. 제2로드 안착부(322)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로드 안착부(322)는 바닥판(310) 및 측판(321) 하부에 형성된다. 즉, 제2로드 안착부(322)는 상부 및 하부도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고정부재(300)의 하단은 제2로드(120)의 상단보다 낮고 제2로드(120)의 하단보다는 높게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제2로드 안착부(322)로 인해 제1고정부재(300)와 제2로드(120)의 접촉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00)의 우측에는 메인 스프링(600)이 배치된다. 메인 스프링(600)은 헤드레스트 커버(200)를 원위치(폴딩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 스프링(600)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부(603)와, 코일부(603)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끝단(601)과, 코일부(603)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끝단(602)을 포함한다. 코일부(503)는 제2로드(120)에 끼워진다.
일측 측판(321)의 후방에는 제2메인 스프링 걸림부(30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메인 스프링 걸림부(301)에는 제2끝단(602)이 걸린다. 제1끝단(601)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형성된 제1메인 스프링 걸림부에 걸린다.
또한, 측판(321)의 후방에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폴딩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헤드레스트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내벽과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스토퍼는 스테이로드(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고정부재(300)와 이하 서술되는 제2고정부재(400)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302)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고정홈(302)에 삽입되는 고정돌기(40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홈(302)은 제1고정부재(300)에 형성되고, 고정돌기(401)는 제2고정부재(400)에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고정홈은 제2고정부재에 형성되고, 고정돌기는 제1고정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고정부재(300)의 양쪽 측판(321)의 상부에는 고정홈(302)이 각각 형성된다. 고정홈(302)은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전방과 후방이 막히도록 형성된다. 고정홈(302)은 전후 폭보다 상하 길이가 더 길도록 형성된다.
고정홈(302)은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회동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고정홈(302)은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회동중심과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고정부재(300)에서 헤드레스트 커버(200)가 스테이로드(100)에 대해 회동될 때 고정돌기(401)가 접하는 부분인 접촉면(303)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촉면(303)은 양쪽 측판(321)의 상단에 형성된다. 접촉면(303)은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접촉면(303)은 후단이 가장 높고 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접촉면(303)의 후단의 높이는 고정홈(302)의 하단의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돌기(401)가 접촉면(303)에 접촉될 때 이하 서술되는 제1,2지지부(402, 403)는 바닥판(310)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고정부재(400)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고정부재(400)는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213, 223)에 삽입된다. 제2고정부재(40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400)의 후방 양측 하부에는 고정돌기(401)가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돌기(40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고정돌기(401)의 하단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반원형상이 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고정돌기(401)는 제2고정부재(4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별도의 핀을 제2고정부재(400)에 조립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401)를 제2고정부재(400)에 조립해서 형성할 경우 고정돌기(401)는 제2고정부재(400)와 다른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돌기(401)를 제2고정부재(400)보다 내구성이 큰 소재로 형성하여 장치를 경량화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고정부재(400)의 하부는 제1고정부재(300)의 양측의 측판(321) 사이에 삽입된다.
제2고정부재(400)의 하단에는 제1고정부재(300)의 바닥판(310)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회동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거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제2고정부재(400)의 전방 하단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402)와, 제2고정부재(400)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403)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402)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회동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제2지지부(403)는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회동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2지지부(402, 403)는 바닥판(310)의 상면에 맞닿고 수평하게 배치되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제1,2지지부(402, 403)는 제2로드(12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된다.
제1지지부(402)와 제2지지부(403) 사이에는 홈(404)이 형성된다. 홈(404)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400)에는 제1스프링 안착홈(407)과 제2스프링 안착홈(408)이 형성된다. 제1,2스프링 안착홈(407, 408)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스프링 안착홈(407)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제2스프링 안착홈(408)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스프링 안착홈(407)은 제2스프링 안착홈(408)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스프링 안착홈(407)은 제2스프링 안착홈(408)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1스프링 안착홈(407)의 상부는 측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400)의 전방 상부에는 인출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인출공은 제1스프링 안착홈(407)에 연통된다. 상기 인출공은 측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제2고정부재(400)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제2고정부재(400)를 복귀시키는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이 더 구비된다.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제2스프링 안착홈(408)에 삽입된다.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의 하단은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은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 의해 지지된다.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는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의 상부에 끼워지는 돌기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223)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710)로 구비된다. 와이어(710)의 일단은 제2고정부재(400)에 연결되며, 타단은 스테이로드(100)를 통해 상기 시트 쪽에 연결된다. 제2헤드레스트 커버(220)에는 와이어(710)를 가이드해주는 와이어 가이드부(228a, 228b)가 형성된다. 와이어 가이드부(228a, 228b)는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223)의 상부 및 측부에 배치된다. 와이어(710)는 제2고정부재(400)의 상기 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후에 와이어 가이드부(228a, 228b)에 의해 가이드 되고, 유입공(101)에 유입되어 일측 제1로드(110)의 하단으로 인출된다.
또한, 제2고정부재(400)에는 와이어(710)를 복귀시키는 와이어 스프링(720)이 구비된다. 와이어 스프링(72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제1스프링 안착홈(407)에 삽입된다. 와이어 스프링(720)의 상단은 제2고정부재(400)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은 와이어(71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의해 지지된다.
와이어 스프링(720)은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은 헤드레스트 커버(200)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와이어 스프링(720)의 장력과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의 장력은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스프링(720)의 장력은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의 장력보다 크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립상태의 헤드레스트를 사용자가 폴딩시키기 위해 와이어(710)를 잡아당기면,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이 먼저 수축하면서 제2고정부재(400)는 도 8의 (b)와 같이 상부로 이동된다. 제2고정부재(400)가 일정 거리 이동된 후에 헤드레스트 커버(200)에 걸려서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되면, 도 8의 (c)와 같이 와이어 스프링(720)이 수축되면서 와이어(710)만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2고정부재(400)가 상부로 이동하여 고정돌기(401)가 고정홈(302)으로부터 빠져나오고, 제1지지부(402)와 제2지지부(403)가 제1고정부재(300)의 바닥판(310)으로부터 이격되면,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제2로드(120)에 대해 회전가능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헤드레스트 커버(200) 및 제2고정부재(400)는 메인 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제2로드(120)를 중심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고정돌기(401)가 고정홈(302)으로부터 이탈된 후에 와이어(710)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더라도 메인 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레스트 커버(200)는 회전되므로 고정돌기(401)가 고정홈(302)에 다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헤드레스트 커버(200)가 회전될 때, 고정돌기(401)는 원호형상의 접촉면(303)에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지지부(402)와 제2지지부(403)는 제1고정부재(300)의 바닥판(31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커버(20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헤드레스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폴딩된다.
폴딩된 헤드레스트를 직립시킬 때 상기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밀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돌기(401)는 접촉면(303)에 접촉되면서 이동되다가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홈(302)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401)가 고정홈(302)에 삽입되면 상기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밀더라도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에 전방 또는 후방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지지부(402)와 제2지지부(403)가 제1고정부재(300)의 바닥판(310)에 의해 지지되어 헤드레스트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는 장치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시트(미도시) 또는 헤드레스트(미도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와,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1300)와,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1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1300)와 상기 제2고정부재(1400)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1400)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534)을 포함하는 버튼부재(53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는 스테이로드(100)로 구비되며, 상기 제2부재는 헤드레스트 커버(1200)로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는 제2고정부재(1400)를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버튼부재(530)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는 버튼부재(530)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용이하게 폴딩시킬 수 있다.
제1,2헤드레스트 커버(1210, 1220)의 우측 측면에는 버튼부재(530)가 설치되는 버튼부재 설치부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재 설치부에는 버튼부재 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재(530)는 상기 버튼부재 설치부에 설치되는 베젤(531)과, 베젤(5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버튼(534)과, 버튼(534)을 복귀시키는 버튼 스프링을 포함한다.
버튼(534)은 헤드레스트 커버(12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베젤(531)에 설치된다.
버튼(534)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누름부(534a)와, 누름부(534a)에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름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로드는 두 개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누름 로드는 제1누름 로드(534d)와 제2누름 로드(534f)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누름 로드(534d)는 버튼(534)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누름 로드(534f)는 제1누름 로드(534d)와 분리되도록 구비된다.
제2누름 로드(534f)에는 제1누름 로드(534d)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537)와, 제2고정부재(1400)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536)가 형성된다. 제1접촉부(537)와 제2접촉부(536)는 동축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누름 로드(534f)가 헤드레스트 커버(1200) 내부에서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헤드레스트 커버(1200)에는 제2누름 로드 안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촉부(536)는 제1접촉부(537)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제2접촉부(536)는 판 형성상으로 형성된다. 제2접촉부(536)는 제2고정부재(140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버튼(534)과 제2고정부재(1400) 중 하나에는 연동돌기(1420)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연동돌기(1420)가 접촉되는 경사면(535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동돌기(1420)가 제2고정부재(1400)의 전면 및 후면에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연동돌기(14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연동돌기(1420)가 삽입되는 연동공(535)은 제2접촉부(536)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연동공(535)은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연동공(535)을 형성하는 경사면(535a)은 연동돌기(14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우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535a)으로 인해 버튼(534)의 좌우이동이 제2고정부재(1400)의 상하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직립상태의 헤드레스트를 사용자가 폴딩시킬 경우에는 버튼부재(530)의 버튼(534)을 누르면, 버튼(534)의 제1누름 로드(534d)는 제2누름 로드(534f)를 누른다.
제2누름 로드(534f)가 눌리면, 제2누름 로드(534f)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연동돌기(1420)는 경사면(535a)을 타고 상부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2고정부재(1400)가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고정이 해제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는 메인 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폴딩위치로 회전되게 된다.
버튼(534)을 누르지 않으면, 제2고정부재(1400)는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의 탄성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누름 로드(534f)도 우측으로 이동된다. 제1누름 로드(534d)와 제2누름 로드(534f)를 연결하여 제1누름 로드(534d)가 버튼 스프링에 의해 복귀될 때 제2누름 로드(534f)도 같이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
제3실시예
>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는 장치이다.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조절장치는 시트(미도시) 또는 헤드레스트(미도시)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와,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2300)와,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2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2300)와 상기 제2고정부재(2400)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2400)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710)로 구비되는 제1구동부재와, 버튼부재(530)로 구비되는 제2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부재는 스테이로드(100)로 구비되며, 상기 제2부재는 헤드레스트 커버(2200)로 구비된다.
헤드레스트 커버(2200)는 제1,2헤드레스트 커버(2210, 222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710)와 버튼부재(530)를 구비한다.
와이어(710)는 제2고정부재(2400)의 상부로 인출되어 제2헤드레스트 커버(2220)에 의해 가이드되고, 스테이로드(100)의 상부로 삽입되어 하부로 인출되어 시트에 연결된다. 제2고정부재(2400) 내부에는 와이어(710)를 복귀시키는 와이어 스프링이 배치된다.
와이어(710)는 헤드레스트 커버(2200)의 좌측에 배치되고, 버튼부재(530)는 헤드레스트 커버(2200)의 우측에 배치된다.
버튼부재(530)는 베젤(531)과, 베젤(531)에 끼워지는 버튼과, 버튼을 복귀시키는 버튼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름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로드는 제1누름 로드(534d)와 제2누름 로드(534f)를 포함한다.
제2누름 로드(534f)에는 연동공(535)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고정부재(240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연동공(535)에 삽입되는 연동돌기(24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동돌기(2420)와 연동공(535)을 형성하는 경사면에 의해 상기 버튼이 눌리면 제2고정부재(2400)는 상부로 이동된다.
버튼부재(530)에 의해 제2고정부재(2400)가 이동되는 거리와, 와이어(710)에 의해 제2고정부재(2400)가 이동되는 거리는 동일 또는 유사하여, 버튼부재(530) 또는 와이어(710)에 의해 제2고정부재(2400)가 이동될 때 다른 부재에 의해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고정부재(2400)를 복귀시키는 제2고정부재 스프링(800)이 제2고정부재(2400)와 헤드레스트 커버(2200) 사이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스테이로드 101: 유입공
110: 제1로드 111: 경사부
120: 제2로드 200: 헤드레스트 커버
210: 제1헤드레스트 커버 211: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
215: 제1체결부 216: 제1절개부
219: 체결후크 220: 제2헤드레스트 커버
221: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 213, 223: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
225: 제2체결부 226: 제2절개부
229: 체결공 300: 제1고정부재
301: 제2메인 스프링 걸림부 302: 고정홈
303: 접촉면 310: 바닥판
321: 측판 322: 제2로드 안착부
400: 제2고정부재 401: 고정돌기
402: 제1지지부 403: 제2지지부
404: 홈 407: 제1스프링 안착홈
408: 제2스프링 안착홈 530: 버튼부재
531: 베젤 534: 버튼
534a: 누름부 534d: 제1누름 로드
534f: 제2누름 로드 535: 연동공
535a: 경사면 536: 제2접촉부
537: 제1접촉부 600: 메인 스프링
601: 제1끝단 602: 제2끝단
603: 코일부 710: 와이어
720: 와이어 스프링 800: 제2고정부재 스프링
100: 스테이로드 101: 유입공
110: 제1로드 111: 경사부
120: 제2로드 200: 헤드레스트 커버
210: 제1헤드레스트 커버 211: 제1스테이로드 결합부
215: 제1체결부 216: 제1절개부
219: 체결후크 220: 제2헤드레스트 커버
221: 제2스테이로드 결합부 213, 223: 제2고정부재 유동공간
225: 제2체결부 226: 제2절개부
229: 체결공 300: 제1고정부재
301: 제2메인 스프링 걸림부 302: 고정홈
303: 접촉면 310: 바닥판
321: 측판 322: 제2로드 안착부
400: 제2고정부재 401: 고정돌기
402: 제1지지부 403: 제2지지부
404: 홈 407: 제1스프링 안착홈
408: 제2스프링 안착홈 530: 버튼부재
531: 베젤 534: 버튼
534a: 누름부 534d: 제1누름 로드
534f: 제2누름 로드 535: 연동공
535a: 경사면 536: 제2접촉부
537: 제1접촉부 600: 메인 스프링
601: 제1끝단 602: 제2끝단
603: 코일부 710: 와이어
720: 와이어 스프링 800: 제2고정부재 스프링
Claims (13)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부재의 회동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되거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삭제
-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고정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서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회동될 때 상기 고정돌기가 접하는 부분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고정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는 바닥판과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바닥판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는 스테이로드이며,
상기 제2부재는 헤드레스트 커버이고,
상기 제1고정부재는 바닥판과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바닥판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를 복귀시키는 제2고정부재 스프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상기 와이어를 복귀시키는 와이어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장력과 상기 제2고정부재 스프링의 장력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장력은 상기 제2고정부재 스프링의 장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버튼과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연동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연동돌기가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되는 제1고정부재;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로 구비되는 제1구동부재와, 버튼부재로 구비되는 제2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9711A KR101972509B1 (ko) | 2017-10-11 | 2017-10-11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PCT/KR2018/006813 WO2019074186A1 (en) | 2017-10-11 | 2018-06-18 | HEADREST CONTRO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9711A KR101972509B1 (ko) | 2017-10-11 | 2017-10-11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0579A KR20190040579A (ko) | 2019-04-19 |
KR101972509B1 true KR101972509B1 (ko) | 2019-04-26 |
Family
ID=6610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9711A KR101972509B1 (ko) | 2017-10-11 | 2017-10-11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2509B1 (ko) |
WO (1) | WO201907418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39475B (zh) * | 2019-05-10 | 2021-05-25 | 江苏大学 | 一种机动车双气囊安全装置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0535B1 (ko) | 2007-02-07 | 2008-01-02 | (주)현대공업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KR100991236B1 (ko) | 2008-04-02 | 2010-11-01 | 다이모스(주) |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
KR101428664B1 (ko) | 2013-12-10 | 2014-08-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352Y1 (ko) * | 2006-07-04 | 2006-09-13 | 서정돈 | 헤드레스트 |
KR100982796B1 (ko) | 2008-01-30 | 2010-09-16 | 정해일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KR101071614B1 (ko) * | 2009-09-08 | 2011-10-10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044067B1 (ko) | 2009-09-16 | 2011-06-23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071615B1 (ko) | 2009-09-16 | 2011-10-10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101171234B1 (ko) | 2010-07-26 | 2012-08-06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KR20120032201A (ko) * | 2010-09-28 | 2012-04-05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2017
- 2017-10-11 KR KR1020170129711A patent/KR1019725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18 WO PCT/KR2018/006813 patent/WO201907418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0535B1 (ko) | 2007-02-07 | 2008-01-02 | (주)현대공업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
KR100991236B1 (ko) | 2008-04-02 | 2010-11-01 | 다이모스(주) | 자동차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
KR101428664B1 (ko) | 2013-12-10 | 2014-08-08 | 주식회사 우보테크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74186A1 (en) | 2019-04-18 |
KR20190040579A (ko) | 2019-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65802A (en) | Low profile seat suspension | |
US7506936B2 (en) | Moveable headres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 |
US8226165B2 (en) | Vehicle seat | |
US10449881B2 (en) | Head rest | |
US20100164270A1 (en) | Vehicle seat | |
KR101991252B1 (ko) |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 |
EP2902256A1 (en) | Head rest | |
KR20110016566A (ko) |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 |
EP2902254A1 (en) | Head rest | |
KR101972509B1 (ko)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
KR101936819B1 (ko)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
KR101870344B1 (ko)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KR101971148B1 (ko) |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 |
KR101815449B1 (ko) |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 |
KR101943476B1 (ko) | 유아용 차량 시트 | |
CN212827989U (zh) | 儿童座椅和儿童座椅用固定单元 | |
JP4730247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20180040951A (ko)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KR20120032201A (ko)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
CN212979976U (zh) | 儿童座椅 | |
JP6776875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2023103127A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22109152A (ja) | ヘッドレストの高さ調整機構 | |
JP2014201139A (ja) |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 |
JP2017154600A (ja) |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