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541B1 -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541B1
KR101560541B1 KR1020120038366A KR20120038366A KR101560541B1 KR 101560541 B1 KR101560541 B1 KR 101560541B1 KR 1020120038366 A KR1020120038366 A KR 1020120038366A KR 20120038366 A KR20120038366 A KR 20120038366A KR 101560541 B1 KR101560541 B1 KR 10156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orizontal block
airbag housing
airbag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756A (ko
Inventor
오제형
함연진
최훈
신수케 사토
아키라 우에키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20038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541B1/ko
Priority to JP2015505633A priority patent/JP6130490B2/ja
Priority to US14/394,196 priority patent/US9139150B2/en
Priority to CN201380019719.3A priority patent/CN104245433B/zh
Priority to PCT/KR2013/002516 priority patent/WO2013154282A1/en
Priority to EP13775840.5A priority patent/EP2836399B1/en
Publication of KR2013011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는,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복수의 제1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후크와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2 후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 중 하나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적인 이동에 의한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후크의 마모 및 접촉 소음을 방지하도록, 방지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해 에어백 하우징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는 경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를 통해 마운팅 플레이트부와 에어백 하우징의 상호 연결 부위에서 타격 소음 및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해 에어백 하우징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는 경우, 마운팅 플레이트부와 에어백 하우징의 상호 연결 부위에서 타격 소음 및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이하, '조립체'라 한다)는,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1)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10)과,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부(2)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20)이 서로 결합된 것으로서, 마운팅 플레이트부(2)에 대해 에어백 하우징(1)이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에어백 하우징(1)과 마운팅 플레이트부(2)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가 마련되며, 이러한 탄성부재(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에어백 하우징(1)은 마운팅 플레이트부(2)에 대해 상하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에어백 하우징(1)에는 복수의 제1 후크(3)가 마련되고, 마운팅 플레이트부(2)에는 복수의 제1 후크(3)와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2 후크(4)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차량 주행에 의한 상하 진동 발생시 또는 전방 물체에 경고음을 전달하기 위한 혼 기능(horn function) 수행시, 에어백 하우징(1)은 순간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부(2) 측으로 접근했다가 탄성부재(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탄성 복원된다. 덧붙여, 전술한 경우, 고정 상태인 제2 후크(4)에 대해 제1 후크(3)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면서 제2 후크(4)를 타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1 및 제2 후크(3,4)의 상호 접촉 부위에 별도의 부재가 마련되지 않으므로, 에어백 하우징(1)의 상대 이동시 제1 후크(3)가 제2 후크(4)를 타격하여 타격에 의한 타격 소음 및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제1 및 제2 후크(3,4)의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타격 소음 및 마모는 운전자의 불만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에어백 하우징(1)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전술한 타격 소음 및 마모를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해 에어백 하우징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는 경우, 마운팅 플레이트부와 에어백 하우징의 상호 연결 부위에서 타격 소음 및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운팅 플레이트부와 에어백 하우징의 연결 부위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에어백 하우징과 마운팅 플레이트부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복수의 제1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후크와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2 후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 중 하나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적인 이동에 의한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후크의 마모 및 접촉 소음을 방지하도록,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마련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수평블록에 일부분이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 이동시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후크에 열 융착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블록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일면에 접촉되는 베이스 바; 및 상기 베이스 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수평블록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제1 수평블록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봉의 단부는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돌출봉의 단부를 열 융착함으로써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상기 제1 후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 및 상기 제1 수평블록에 각각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 이동시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후크와의 결합시,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에 각각 걸림되도록 복수의 제1 걸림부를 구비하는 상부 몸체; 상기 제1 후크와의 결합시, 상기 제1 수평블록에 걸림되도록 복수의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의 후방 면에 각각 접촉한 상태로 걸리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수평블록의 후방 면에 접촉한 상태로 걸리도록 상기 하부 몸체로부터 상기 제1 걸림부를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을 마주보는 것이 가능한 상기 연결 몸체의 내면 및 반대의 외면은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과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수평블록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 이동시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중앙 하측 부위에는 절개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절개 영역에서 상기 제1 수평블록의 하부에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후크와의 결합시,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중앙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후크와의 결합시 상기 걸림턱이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절개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의 전방 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전방 면은,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의 전방 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전방 면은,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위치하거나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에 대해 상기 제1 수평블록의 후방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는 POM,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및 TPO(thermo plastic olefin)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해 에어백 하우징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이동하는 경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를 통해 마운팅 플레이트부와 에어백 하우징의 상호 연결 부위에서 타격 소음 및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제1 및 제2 후크의 마모를 방지하여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에어백 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의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의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의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이하, '조립체'라 한다)는, 에어백 하우징에 마련된 제1 후크와 스티어링 휠에 마련된 제2 후크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 진동 및 운전자에 의한 혼 기능(horn function) 수행 등에 의해 제1 및 제2 후크가 서로 마모되거나 마찰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마모 및 마찰 소음에 의해 제1 및 제2 후크의 내구성 하락 및 운전자의 불만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하고자 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관련 도면에서 F는 전방(front direction)을 의미하며, B는 후방(back(rear) direction)을 의미하며, L은 좌측방(left direction)을 의미하며, R은 우측방(right direction)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의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는,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101)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100)과,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부(111)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110)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종래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에어백 하우징(101)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해 마운팅 플레이트부(111)에 대해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에어백 하우징(101)에는 복수의 제1 후크(102)가 마련되고, 마운팅 플레이트부(111)에는 복수의 제1 후크(102)와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2 후크(112)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후크(102,112)의 설치 개수는 한정하지 않지만, 에어백 하우징(101)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일 예로 3개 이상이 마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후크(102) 및 제2 후크(112) 중 하나에는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의 용어를 사용하지만, 청구항에서는 방지 부재라 한다)가 마련된다. 이러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후크(102) 및 제2 후크(112) 사이에 위치하여 에어백 하우징(101)의 탄성적인 이동에 의한 제1 후크(102)와 제2 후크(112)의 마모 및 접촉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후크(102)는, 마운팅 플레이트부(111)에 대한 에어백 하우징(10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103)과, 한 쌍의 제1 수직블록(103)의 하부 영역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1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수평블록(104)은 한 쌍의 제1 수직블록(103)의 일면(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수평블록(104)은 제1 수직블록(103)에 대해 단차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하우징(101) 및 제1 후크(10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마운팅 플레이트부(111) 및 제2 후크(112)는 일 예로 마그네슘(Mg)이 함유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제1 수평블록(104)에 일부분이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차량 주행 진동 및 운전자에 의한 혼 기능 수행을 통해 에어백 하우징(101)의 탄성 이동시, 제1 후크(102) 및 제2 후크(112)에 각각 접촉하여 상호 마모 및 마찰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덧붙여, 이러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제1 수평블록(104)에 마련되지 않고 제2 후크(112) 측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제2 후크(112)에 별도의 스크루 마운팅 작업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가 제1 후크(102)의 제1 수평블록(104)에 마련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 에어백 하우징(101), 제1 후크(102) 및 제2 후크(112)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일 예로 제1 후크(102)는 글라스 파이버(glass fiber)가 포함된 PA 계열의 수지(resin)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고 제2 후크(112)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이러한 제1 및 제2 후크(102,112)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로 구현 가능한 POM,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TPO(thermo plastic olefin) 계열의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적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3가지 계열의 수지는 일정 이상의 소프트한 성질(softness)를 가질 뿐만 아니라 마모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므로, 종래 제1 및 제2 후크의 마찰시 발생하는 마모 및 마찰에 의한 타격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제1 수평블록(104)의 일면에 접촉되는 베이스 바(131), 및 베이스 바(13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제1 수평블록(104)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105)에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봉(132)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바(131)의 상면 일부가 제2 후크(112)와 접촉 가능한 접촉면(contact surface)으로서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삽입홀(105) 및 돌출봉(132)은 각각 2개씩 마련되지만,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제1 후크(102)에 열 융착 방법을 통해 고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홀(105)은 제1 수평블록(104)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돌출봉(132)의 단부는 삽입홀(105)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즉,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의 돌출봉(132)이 삽입홀(105)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돌출봉(132)의 하단은 제1 수평블록(104)의 저면으로부터 더 돌출된다. 이때,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돌출봉(132)의 단부를 별도의 융착기 등을 이용하여 열 융착 방법을 통해 녹이게(melting) 된다. 이때, 돌출봉(132)의 단부의 단면적은 초기 상태보다 불균일하게 확장되며, 이에 따라 돌출봉(132)이 삽입홀(10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가 제1 후크(102)에 고정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작동 관계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상하 진동 및 운전자의 혼 기능 수행 동작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항상 제2 후크(112)에 접촉하는 상태를 갖는다.
여기서, 전술한 상하 진동 및 혼 기능 수행이 이루어질 경우,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는 순간적으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후크(112)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며, 다시 제2 후크(112)에 접촉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후크(102,112)가 상호 간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가 더 마련됨으로써, 제1 및 제2 후크(102,112)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마모 및 마찰에 의한 타격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의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관련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제1 후크(202)는,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에어백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03)과,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03)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2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수평블록(204)은 제1 실시예와 달리 제1 수직블록(203)의 전방면으로부터 더욱 돌출된 형상을 갖지는 않지만,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03) 및 제1 수평블록(204)에 각각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후크(202) 및 제2 후크(212) 사이에 위치하여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적인 이동에 의한 제1 후크(202)와 제2 후크(212)의 마모 및 접촉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는, 제1 후크(202)와의 결합시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03)에 각각 걸림되도록 복수의 제1 걸림부(234)를 구비하는 상부 몸체(231), 제1 후크(202)와의 결합시 제1 수평블록(204)에 걸림되도록 복수의 제2 걸림부(235)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232), 및 상부 몸체(231) 및 하부 몸체(232)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재질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부 몸체(231), 하부 몸체(232) 및 연결 몸체(233)는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걸림부(234)는 2개로 마련되며 상부 몸체(231)의 양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걸림부(235)는 2개로 마련되며 하부 몸체(232)로부터 제1 걸림부(234)를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몸체(231)의 상면 일부가 제2 후크(212)와 접촉 가능한 접촉면(contact surface)으로서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를 제1 후크(202)에 결합할 시, 작업자는 먼저 제2 걸림부(235)를 제1 수평블록(204)의 하단부에 후크 결합한 상태에서 제1 걸림부(234)를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03)의 사이 공간으로 강제적으로 삽입하게 된다. 여기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가 일정 이상의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강제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1 걸림부(234)에는 순간적으로 일정의 형상 변형이 발생하지만, 연성의 성질로 인해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는 초기 상태로 형상 복원이 가능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전술한 과정을 통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가 제1 후크(202)에 결합된 상태에서, 2개의 제1 걸림부(234)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203)의 후방 면(rear direction surface)에 각각 접촉한 상태로 걸리게 된다. 또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가 제1 후크(202)에 결합된 상태에서, 2개의 제2 걸림부(235)는, 제1 수평블록(204)의 후방 면에 접촉한 상태로 걸리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2개의 제1 걸림부(234)와 2개의 제2 걸림부(235)가,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를 제1 후크(202)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평블록(204)의 전방 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가 제1 후크(20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수평블록(204)의 전방 면을 마주보는 것이 가능한 연결 몸체(233)의 내면(내측 방향을 향하는 면) 및 반대의 외면(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은 제1 수평블록(204)의 전방 면과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후크(212)의 수직부(213, vertical portion)와 연결 몸체(233) 사이에 일정 이상의 이격 간격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 이동에 따른 연결 몸체(233)의 승강시 연결 몸체(233)와 제2 후크(212)의 수직부(213)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전술한 간섭이 발생할 경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적인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힘들뿐만 아니라 간섭에 의한 마모 및 접촉 소음이 더욱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열 융착 방법을 통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를 제1 후크(102)에 고정하는데 반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걸림부(234,235)의 후크 기능을 통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를 제1 후크(202)에 고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열융착 공정을 생략하고, 간단한 후크 걸림 구조를 통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230)를 더욱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제2 후크(212)에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의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관련 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3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제1 후크(302)는,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에어백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303)과, 한 쌍의 제1 수직블록(303)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304)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수평블록(304)은 제1 실시예와 달리 제1 수직블록(303)의 전방면으로부터 더욱 돌출된 형상을 갖지는 않지만,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는 제1 수평블록(304)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후크(302) 및 제2 후크(312) 사이에 위치하여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적인 이동에 의한 제1 후크(302)와 제2 후크(312)의 마모 및 접촉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평블록(304)의 중앙 하측 부위에는 절개 영역(306)이 마련되고, 절개 영역(306)에서 제1 수평블록(304)의 하부에는 걸림턱(307)이 돌출되게 마련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는, 제1 후크(302)와의 결합시 제1 수평블록(304)의 중앙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 몸체(331), 및 상부 몸체(331)와 연결되며 제1 후크(302)와의 결합시 걸림턱(307)이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 돌출부(333)가 형성되는 하부 몸체(3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몸체(331)의 상면은 제2 후크(312)와 접촉 가능한 접촉면(contact surface)으로서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재질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가 제1 후크(302)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몸체(332)는 절개 영역(306) 내에 배치되며, 상부 몸체(331) 및 하부 몸체(332)는 일체로 형성된다. 덧붙이자면, 하부 몸체(332)에는 걸림턱(307)이 수용 가능한 걸림턱 수용홈(334)이 걸림 돌출부(333)를 일측벽으로 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를 제1 후크(302)에 결합할 시, 작업자는 먼저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를 제1 후크(302)의 전방에 위치한 후 제1 후크(302) 측으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 몸체(331)의 저면은 제1 수평블록(304)의 상면에 일부 접촉하게 되며, 이후 작업자는 더욱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를 밀어서 제1 후크(302)에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307)의 전방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를 푸싱할 경우 걸림 돌출부(333)는 걸림턱(307)의 경사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다가 걸림턱(307)을 넘어서 걸림턱(307)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307)은 걸림 돌출부(333)에 걸린 상태로 걸림턱 수용홈(334)에 수용된다. 부연하자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걸림턱(307)의 좌우 폭(width)이 상부 영역에서 하부 영역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도록, 걸림턱(307)의 전방면은 하향 경사진다. 만약, 걸림턱(307)의 전방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는다면, 작업자가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를 제1 후크(302)에 결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가 제1 후크(30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몸체(331)의 저면은 제1 수평블록(304)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걸림턱(307)은 걸림 돌출부(333)에 접촉한 상태로 걸리게(hooking) 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걸림턱(307) 및 걸림 돌출부(333)가,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를 제1 후크(302)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마찬가지로,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평블록(304)의 전방 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 몸체(332)의 전방 면은, 제1 수평블록(304)의 전방 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 몸체(332)의 전방 면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다만,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가 제1 후크(30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몸체(331)의 전방 면 및 하부 몸체(332)의 전방 면은, 제1 수평블록(304)의 전방 면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위치하거나 제1 수평블록(304)의 전방 면에 대해 제1 수평블록(304)의 후방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후자(後者)의 경우가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위치한다'는 의미는, 제1 수평블록(304)의 전방 면, 상부 몸체(331)의 전방 면, 및 하부 몸체(332)의 전방 면이 서로 동일 면(面)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후크(312)의 수직부(313, vertical portion)와 하부 몸체(332) 사이에 일정 이상의 이격 간격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 이동에 따른 하부 몸체(332)의 승강시 하부 몸체(332)와 제2 후크(312)의 수직부(313)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전술한 간섭이 발생할 경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적인 상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힘들뿐만 아니라 간섭에 의한 마모 및 접촉 소음이 더욱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덧붙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331)의 전방 면 및 하부 몸체(332)의 전방 면이, 제1 수평블록(304)의 전방 면에 대해 제1 수평블록(304)의 후방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경우, 에어백 하우징을 마운팅 플레이트에 설치하는 초기 단계시 제2 후크(312)는 제1 수평블록(304)에 일부 접촉한다 할지라도 하부 몸체(332)와의 접촉은 방지된다. 즉,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의 전방 면과 제2 후크(312)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 상호 접촉에 의한 마모 및 접촉 소음 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열 융착 방법을 통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를 제1 후크(102)에 고정하는데 반해, 제3 실시예에서는 걸림턱(307)과 걸림 돌출부(333)의 후크 기능을 통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를 제1 후크(302)에 고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열융착 공정을 생략하고, 간단한 후크 걸림 구조를 통해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330)를 더욱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제2 후크(312)에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3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은,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에어백 하우징의 상대적인 상하 이동시, 상대적으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230,330)를 통해 제1 후크(102,202,302)와 제2 후크(112,212,312)의 직접적인 상호 접촉을 방지하여 타격 소음 및 마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130,230,330)를 통해 제1 및 제2 후크(102,202,302,112,212,312)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에어백 하우징과 마운팅 플레이트부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에어백 모듈 101: 에어백 하우징
102,202,302: 제1 후크 103,203,303: 제1 수직블록
104,204,304: 제1 수평블록 110: 스티어링 휠
111: 마운팅 플레이트부 112,212,312: 제2 후크
130,230,330: 마모 및 소음 방지 부재
131: 베이스 바 132: 돌출봉
234: 제1 걸림부 235: 제2 걸림부
306: 절개 영역 307: 걸림턱
333: 걸림 돌출부 334: 걸림턱 수용홈

Claims (16)

  1. 에어백 쿠션이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 중앙에 마운팅 플레이트부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립체로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복수의 제1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후크와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복수의 제2 후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 중 하나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적인 이동에 의한 상기 제1 후크와 상기 제2 후크의 마모 및 접촉 소음을 방지하도록, 방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수평블록에 일부분이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 이동시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에 각각 접촉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후크에 열 융착 방법을 통해 고정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블록은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의 일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일면에 접촉되는 베이스 바; 및
    상기 베이스 바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 수평블록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봉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제1 수평블록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봉의 단부는 상기 삽입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돌출봉의 단부를 열 융착함으로써 상기 방지 부재가 상기 제1 후크에 고정 가능한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방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 및 상기 제1 수평블록에 각각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 이동시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에 각각 접촉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후크와의 결합시,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에 각각 걸림되도록 복수의 제1 걸림부를 구비하는 상부 몸체;
    상기 제1 후크와의 결합시, 상기 제1 수평블록에 걸림되도록 복수의 제2 걸림부를 구비하는 하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 및 상기 하부 몸체를 연결하는 연결 몸체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부재가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 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의 후방 면에 각각 접촉한 상태로 걸리도록 상기 상부 몸체의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방지 부재가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수평블록의 후방 면에 접촉한 상태로 걸리도록 상기 하부 몸체로부터 상기 제1 걸림부를 향하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을 마주보는 것이 가능한 상기 연결 몸체의 내면 및 반대의 외면은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과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부에 대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연장되게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블록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블록을 연결하는 제1 수평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수평블록에 후크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탄성 이동시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에 각각 접촉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중앙 하측 부위에는 절개 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절개 영역에서 상기 제1 수평블록의 하부에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후크와의 결합시,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중앙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후크와의 결합시 상기 걸림턱이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절개 영역 내에 배치 가능한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의 전방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전방 면은,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부재가 상기 제1 후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의 전방 면 및 상기 하부 몸체의 전방 면은,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위치하거나 상기 제1 수평블록의 전방 면에 대해 상기 제1 수평블록의 후방 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15. 제1항, 제6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부재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 상기 제1 후크 및 상기 제2 후크를 구성하는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 부재는 POM,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및 TPO(thermo plastic olefin)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KR1020120038366A 2012-04-13 2012-04-13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KR101560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66A KR101560541B1 (ko) 2012-04-13 2012-04-13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JP2015505633A JP6130490B2 (ja) 2012-04-13 2013-03-27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との集合体
US14/394,196 US9139150B2 (en) 2012-04-13 2013-03-27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CN201380019719.3A CN104245433B (zh) 2012-04-13 2013-03-27 安全气囊模块和方向盘的组装
PCT/KR2013/002516 WO2013154282A1 (en) 2012-04-13 2013-03-27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EP13775840.5A EP2836399B1 (en) 2012-04-13 2013-03-27 Assembly of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366A KR101560541B1 (ko) 2012-04-13 2012-04-13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756A KR20130115756A (ko) 2013-10-22
KR101560541B1 true KR101560541B1 (ko) 2015-10-19

Family

ID=4932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366A KR101560541B1 (ko) 2012-04-13 2012-04-13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39150B2 (ko)
EP (1) EP2836399B1 (ko)
JP (1) JP6130490B2 (ko)
KR (1) KR101560541B1 (ko)
CN (1) CN104245433B (ko)
WO (1) WO20131542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04754C1 (en) * 2012-05-16 2018-10-1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Nucleophilic Catalysts for Oxime Linkage
KR102146661B1 (ko) * 2013-11-29 2020-08-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모듈
DE102015005281A1 (de) 2015-04-24 2016-10-27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KR101588400B1 (ko) * 2015-08-25 2016-01-2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량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JP6624732B2 (ja) * 2016-03-29 2019-12-2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KR101781385B1 (ko) * 2016-06-22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EP3275737B1 (en) * 2016-07-27 2019-09-11 Autoliv Development AB A mounting arrangement
DE102016124530A1 (de) * 2016-12-15 2018-06-2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Kopplungsvorrichtung zur schwingfähigen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US11718257B2 (en) * 2016-12-15 2023-08-08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oupling device for mounting an airbag module to be oscillating on a vehicle steering wheel
KR101986769B1 (ko) * 2018-02-20 2019-06-07 이재천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KR101986768B1 (ko) * 2018-02-20 2019-06-07 이재천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삽입장치
US11267424B2 (en) 2018-07-11 2022-03-08 Autoliv Development Ab Damper mechanism of steering wheel and steering wheel apparatus for vehicle
JP6905548B2 (ja) * 2018-07-11 2021-07-2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ダンパ機構及び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CN116669996A (zh) * 2021-01-20 2023-08-29 奥托立夫开发公司 驾驶座用安全气囊装置
DE102022122055A1 (de) * 2022-08-31 2024-02-29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 mit einem Airbagmodul
DE102022122056B3 (de) 2022-08-31 2024-02-01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 mit einem Airbagmodul
KR20240033489A (ko) * 2022-09-05 202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과, 그 스티어링휠의 댐퍼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0883B (en) * 1992-09-28 1996-04-0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teering wheel structure
US5380037A (en) * 1993-10-25 1995-01-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including latch elements
US5636859A (en) * 1995-11-09 1997-06-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assembly
US6092832A (en) * 1998-03-04 2000-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mount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king
DE20216754U1 (de) * 2002-10-30 2003-03-2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Gassackmodul und Fahrzeuglenkrad mit einem Gassackmodul
US7976059B2 (en) * 2005-07-28 2011-07-12 Autoliv Development Ab Air bag device
GB2433234A (en) * 2005-12-08 2007-06-20 Autoliv Dev A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DE102006041734B4 (de) * 2006-09-01 2010-07-29 Takata-Petri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Airbageinheit in einer Baugruppe eines Kraftfahrzeugs, insbesondere in einem Lenkrad, durch Verrasten
KR20090050682A (ko) * 2007-11-16 2009-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장착구조
JP5353212B2 (ja) * 2008-12-02 2013-11-27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507229B2 (ja) * 2009-12-11 2014-05-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6399B1 (en) 2017-08-02
US9139150B2 (en) 2015-09-22
CN104245433A (zh) 2014-12-24
KR20130115756A (ko) 2013-10-22
EP2836399A1 (en) 2015-02-18
WO2013154282A1 (en) 2013-10-17
US20150069739A1 (en) 2015-03-12
JP2015512831A (ja) 2015-04-30
CN104245433B (zh) 2018-08-07
JP6130490B2 (ja) 2017-05-17
EP2836399A4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541B1 (ko)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US7708309B2 (en) Driver's airbag module assembly structure
JP5018012B2 (ja) バンパーの車体取付構造
CN109572608B (zh) 传感器保护器和配备有其的车辆
JP2002220020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811693B1 (ko) 자동차의 페달 스위치 고정장치
JP5576307B2 (ja) 固定用クリップ
JP2017178158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
JP6775445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1781385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 장치
JP5664901B2 (ja) シートベルトの保持構造
JPH08150885A (ja) 車両のバンパフェイシア構造
JP675992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294416B2 (ja) バンパ取付構造
JP4873469B2 (ja) フェンダーカバー
JP2020199921A (ja) ヘッドランプ衝撃吸収構造
JP2014226982A (ja) バンパフェイシャの取付構造
JP7228661B1 (ja) 圧力センサ配置構造
JP2010023798A (ja) カーペット保持構造
JP3947954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01726157B1 (ko) 자동차 내장재 체결구조
JP2010149695A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パネルの肉抜き構造
JP6407815B2 (ja) ルーフレールアセンブリ
KR102138322B1 (ko) 테더 클립
JP2008143366A (ja) 車両用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