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769B1 -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769B1
KR101986769B1 KR1020180019909A KR20180019909A KR101986769B1 KR 101986769 B1 KR101986769 B1 KR 101986769B1 KR 1020180019909 A KR1020180019909 A KR 1020180019909A KR 20180019909 A KR20180019909 A KR 20180019909A KR 101986769 B1 KR101986769 B1 KR 101986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astening
mounting module
module
airba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이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천 filed Critical 이재천
Priority to KR102018001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7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마운팅 모듈에 보강마모재를 체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마운팅 모듈을 고정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체결구에 대응되는 하부로 보강마모재를 각각 공급한 뒤, 보강마모재가 각 체결구로 동시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에어백 마운팅 모듈과 보강마모재의 체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 시스템은 웨브의 양 끝단에 플랜지가 구비된 보강마모재를 에어백 마운팅 모듈에 형성된 체결구로 삽입 체결하기 위한 에어백 마운팅 모듈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체결선반; 상기 체결선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이 고정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의 체결구 입구측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모듈 배치부; 복수 개의 보강마모재의 플랜지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정렬 배출되도록 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는 보강마모재를 전달받아 상기 모듈 배치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공급 가이드 레일; 상기 체결선반 상에 관통 구비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이 상기 모듈 배치부에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용 관통구; 및 상기 체결선반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로부터 상기 보강마모재를 전달받아 상기 체결구로 삽입 체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삽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Z-space assembling system for airbag mounting module}
본 발명은 에어백 마운팅 모듈에 보강마모재를 체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마운팅 모듈을 고정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체결구에 대응되는 하부로 보강마모재를 각각 공급한 뒤, 보강마모재가 각 체결구로 동시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에어백 마운팅 모듈과 보강마모재의 체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는데, 그 예로 안전벨트, 에어백, 스티어링 안전축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자동차의 전방충돌 사고시 운전자 및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해 줄 수 있는 장치로 운전석 및 조수석에 장착되는 에어백이 대표적이다.
에어백은 차량의 전방 충돌 사고발생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스티어링 휠에는 긴급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경적을 울릴 수 있도록 혼(horn) 스위치가 장착되는데, 일반적으로 에어백이 내장된 마운팅 모듈의 하부에 박막형 혼 스위치가 함께 조립되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의 상부측을 가압하면 혼 스위치가 눌리면서 경적이 울리게 된다.
즉, 에어백 마운팅 모듈은 스티어링 휠에 내장된 결합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가압력을 받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결합부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보다 상대적으로 연성인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 및 사용 경과에 따라, 상기 결합부와 에어백 마운팅 모듈의 결합이 헐거워지거나 상기 결합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에어백 마운팅 모듈 내측에 상기 결합부재보다 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Z-space(이하, '보강마모재'라 함)를 장착함에 따라, 상기 결합부보다 보강마모재가 상대적으로 먼저 파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와 에어백 마운팅 모듈의 결합력이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강마모재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에 복수 개가 결합되는데, 현재 상기 보강마모재의 결합공정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아울러 다음 공정들의 진행이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보강마모재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초보자의 경우 체결이 쉽지 않으며, 보강마모재가 정확하게 체결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것 또한 어렵기 때문에 제조된 에어백 마운팅 모듈의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KR 0116029 Y1 1996.11.19. KR 10-0827410 B1 2008.04.2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을 고정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체결구에 대응되는 하부로 보강마모재를 각각 공급한 뒤, 보강마모재가 각 체결구로 동시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에어백 마운팅 모듈과 보강마모재의 체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 시스템은 웨브의 양 끝단에 플랜지가 구비된 보강마모재를 에어백 마운팅 모듈에 형성된 체결구로 삽입 체결하기 위한 에어백 마운팅 모듈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체결선반; 상기 체결선반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이 고정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의 체결구 입구측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모듈 배치부; 복수 개의 보강마모재의 플랜지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정렬 배출되도록 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는 보강마모재를 전달받아 상기 모듈 배치부의 하부로 공급하는 공급 가이드 레일; 상기 체결선반 상에 관통 구비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이 상기 모듈 배치부에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체결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용 관통구; 및 상기 체결선반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로부터 상기 보강마모재를 전달받아 상기 체결구로 삽입 체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삽입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정렬부는, 복수 개의 보강마모재가 수용되는 수용부; 하방에서 점차 상방으로 상승되는 나선궤도를 이루도록 연장되되, 하측 끝단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의 측벽을 구성하는 배출레일; 상기 배출레일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보강마모재의 플랜지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배열되도록 정렬시키는 배열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부에 진동을 부가하는 배출 동력부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용부는, 바닥면 중심부가 상방으로 솟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 동력부에 의해 진동이 부가되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보강마모재가 상기 배출레일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듈 배치부에 고정 배치된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은, 상방에 배치된 이탈방지 고정부에 의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의 바닥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마모재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체결구와 상기 보강마모재의 정상 조립 여부를 검사하는 점검부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마모재를 정렬하고 삽입 체결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됨에 따라,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체결에 따른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강마모재의 체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마모재가 체결된 이후, 점검부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체결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바, 불량 상태인 에어백 마운팅 모듈에 대해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과 보강마모재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 시스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시스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렬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삽입 구동부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시스템의 사용 실시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과 보강마모재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정렬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삽입 구동부의 일부를 파단한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시스템의 사용 실시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에 보강마모재(20)를 체결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을 고정 배치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체결구(13)에 대응되는 하부로 보강마모재(20)를 각각 공급한 뒤, 상기 보강마모재(20)가 각 체결구(13)로 동시에 삽입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과 보강마모재(20)의 체결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체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마모재(20)에는 웨브(21)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플랜지(2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웨브(21)의 폭방향 일측에는 돌출 결합부(2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은 내부에 에어백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체결용 홀(11), 상기 바닥면의 면상에 복수개 구비되는 보조 체결용 홀(12) 및 측벽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마모재(20)가 삽입 결합되는 체결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구(13)는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측벽 내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웨브(21)의 인입을 안내하는 안내부(14) 및 상기 안내부(14)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13)가 결합되는 안착체결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마모재(20)는 상기 플랜지(22)가 상기 안착체결부(15)를 향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상기 체결구(13)로 삽입되며, 상기 안착체결부(15)에는 상기 플랜지(22)가 삽입되는 결합홀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체결선반(100), 모듈 배치부(200), 정렬부(400), 공급 가이드 레일(500), 체결용 관통구(110) 및 삽입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선반(100)은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체결선반(100)은 복수 개의 다리에 의해 플레이트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는 형태, 즉, 테이블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 배치부(200)는 상기 체결선반(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이 고정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체결구(13) 입구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고정 배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모듈 배치부(200)는 상기 체결선반(100)의 상부에서 상기 체결용 홀(11)에 대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주고정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주고정부(210)가 상기 체결용 홀(11)을 관통함에 따라,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횡방향 움직임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기 위해 상기 모듈 배치부(200)는 제 1보조고정부(220) 및 제 2보조고정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보조고정부(220)는 상기 체결선반(10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횡단면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 측벽의 내벽과 면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 1보조고정부(220)는 상기 주고정부(210)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돌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주고정부(210)가 상기 제 1보조고정부(220)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 2보조고정부(230)는 상기 제 1보조고정부(22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고정부(210)를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이 상기 모듈 배치부(200)에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제 2보조고정부(230)의 끝단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내측 바닥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상기 주고정부(210)에 의해 중심부가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제 1보조고정부(220)에 의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측벽이 고정 지지되며, 상기 제 2보조고정부(230)에 의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바닥면이 고정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횡방향 움직임이 구속되어 안정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삽입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정렬부(400)는 복수 개의 보강마모재(20)의 플랜지(22)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정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용부(410), 배출레일(420), 배열부(430) 및 배출 동력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410)는 복수 개의 보강마모재(20)가 수용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의 중심부가 상방으로 솟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상기 수용부(410)의 바닥면은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점차 하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된 보강마모재(20)가 외측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레일(420)은 하방에서 점차 상방으로 상승되는 나선궤도를 이루도록 연장되되, 하측 끝단이 상기 수용부(41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410)의 측벽을 구성한다.
부연하면, 상기 배출레일(420)은 하측 끝단이 상기 수용부(410)와 연결되어 상기 보강마모재(20)를 전달받는 제 1배출레일(421) 및 일측 끝단이 상기 제 1배출레일(421)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배출레일(421)로부터 배출되는 보강마모재(200)를 전달받는 제 2배출레일(4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배출레일(422)은 소정의 폭을 갖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폭방향 일측에서 경사진 상방으로 절곡되는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 2배출레일(422)의 유입구가 상기 제 1배출레일(421)의 배출구의 하부에 인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 1배출레일(421)에서 낙하되는 보강마모재(200)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 2배출레일(422)로 유입된 보강마모재(200)는 후술할 공급 가이드 레일(500)로 전달된다.
상기 배열부(430)는 상기 배출레일(420)의 경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레일(42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보강마모재(20)의 플랜지(22)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배열되도록 정렬한다.
부연하면, 상기 배열부(430)는 상기 제 1배출레일(421)과 제 2배출레일(422)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 1배열부(431) 및 상기 제 2배출레일(433) 상에 구비되는 제 2배열부(4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배열부(431)는 상기 제 1배출레일(421)의 끝단에서 상기 제 1배출레일(422)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제 1배열부(431)는 상기 제 2배출레일(422)의 측벽과 마주보는 면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배열부(431)와 상기 제 2배출레일(422)의 측벽 사이에 이동로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 1배열부(431)와 제 2배출레일(422)에 의해 보강마모재(20)가 정렬 낙하되면서 상기 제 2배출레일(422)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 2배열부(432)는 상기 제 2배출레일(422)의 상에 구비되는데, 상기 제 2배출레일(432)의 측벽 상부에서 상기 제 2배출레일(432)의 바닥면 내측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되, 곡률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배출레일(432)을 따라 이동되는 보강마모재(20) 중 플랜지(22)가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이동되는 보강마모재(20)는 상기 제 2배열부(432)측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웨브(21)가 상기 제 2배열부(432)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제 2배출레일(432)로부터 이탈되어 바닥으로 낙하된다.
상기 배출 동력부(440)는 상기 수용부(410)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부(410)에 진동을 부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출 동력부(4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용부(410)로 진동이 부가되면, 수용된 상기 보강마모재(20)는 상기 배출레일(42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보강마모재(20)는 상기 배출레일(420)을 따라 나선궤도를 이루며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상기 정렬부(400)는 플랜지(22)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 즉, 정상동작을 위한 상태로 이송되는 보강마모재(20)를 제외한 나머지 보강마모재(20)는 상기 배열부(430)에 의해 상기 배출레일(430)에서 이탈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보강마모재(20)가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은 상기 정렬부(400)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는 보강마모재(20)를 전달받아 상기 모듈 배치부(200)측으로 공급한다.
부연하면,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은 중심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태로 연장되는 빔(beam)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웨브(21)가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강마모재(20)의 플랜지(22)가 상기 가이드홈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은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체결구(13)와 동일한 개수가 구비되며, 각 공급 가이드 레일(500)의 배출구 끝단은 상기 체결선반(10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이 상기 모듈 배치부(200)에 고정된 상태일 때, 각 체결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정렬부(400)와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은 복수 개의 체결구(13)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하나의 정렬부(400)의 배출구에서 복수 개의 공급 가이드 레일(500)의 유입구로 보강마모재(20)를 분배 공급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시스템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관통구(110)는 상기 체결선반(100) 상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이 상기 모듈 배치부(200)에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체결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체결용 관통구(110)는 상기 체결선반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도록 관통 형성되되, 상기 체결구(13)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직선상에 배열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삽입 구동부(300)는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로부터 상기 보강마모재(20)를 전달받아 상기 체결구(13)로 삽입 체결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체결선반(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 1베이스 몸체(310), 안착삽입부(320) 및 체결안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베이스 몸체(310)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체결선반(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베이스 몸체(310)의 하부에는 상기 제 1베이스 몸체(310)가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삽입 동력부(340)가 구비 결합된다.
상기 안착삽입부(320)는 상기 제 1베이스 몸체(310)의 상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막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삽입부(320)의 끝단에는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보강마모재(20)가 안착되는 안착홀(32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착삽입부(320)는 상기 체결구(13)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용 관통구(110)와 대응되는 상기 제 1베이스 몸체(310) 상에 구비된다. 즉, 상기 안착삽입부(320), 체결용 관통구(110) 및 체결구(13)는 수직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착홀(321)은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웨브(21)와 돌출 결합부(23)의 횡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보강마모재(2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안내부(330)는 상기 안착삽입부(32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심부가 중공되어 연장되며, 일단이 상기 체결구 관통구(11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13)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안착삽입부(320)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체결안내부(330)의 중심부는 상기 안착삽입부(320)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안내부(330)의 타단측에 상기 안착삽입부(32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삽입 동력부(340)가 동작되면 상기 안착삽입부(320)가 상기 체결안내부(330)를 따라 안내되어 상방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삽입과정에서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이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삽입시,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를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고정부(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 고정부(600)는 상기 모듈 배치부(200)의 상방에서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면적을 갖되 상기 모듈 배치부(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베이스 몸체(610), 상기 제 2베이스 몸체(61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고정돌기(620) 및 상기 제 2베이스 몸체(6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탈방지 동력부(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620)의 끝단은 평평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이탈방지 동력부(6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상단 고정돌기(6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고정돌기(620)의 끝단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과 면접촉되면서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을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는 상기 고정돌기(620)는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보조 체결용 홀(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620)가 상기 보조 체결용 홀(1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이탈방지 고정부(600)에는 상기 제 2베이스 몸체(61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되, 끝단이 상기 체결선반(100)과 면접촉되는 보조 고정돌기(6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이탈방지 고정부(600)는 상기 고정돌기(620)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 고정돌기(640)가 상기 체결선반(100)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이 배치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체결선반(100)은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정상 조립 여부를 검사하는 점검부(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검부(700)는 센서부(710), 센서 동력부(7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710)는 상기 체결구(13)측을 향하여 광원을 조사하도록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체결구(13)측에 배치된다.
상술하면, 상기 센서부(710)는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며, 레이저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조사부가 상기 체결구(13)와 대향되는 상태로 배치되되, 상기 체결구(13)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센서 동력부(720)는 브라켓에 의해 상기 센서부(710)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710)를 동작시킨다.
상술하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에 상기 보강마모재(20)가 삽입된 이후, 상기 센서 동력부(720)는 상기 센서부(710)를 상기 체결구(13)측에 인접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센서부(710)가 상기 체결구(13)와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체결 상태를 검사한다.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체결 상태 검사가 완료된 이후, 상기 센서 동력부(720)를 다시 동작시켜 상기 센서부(710)가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보강마모재(20)가 체결구(13)에 정확하게 체결된 상태일 때, 센서부(710)로부터 측정되어 수신되는 정상신호를 미리 입력하여 저장하고, 이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삽입 결합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센서부(710)에 의해 측정되어 수신되는 측정신호를 전달받은 뒤, 상기 정상신호와 상기 측정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신호가 정상신호에 대응되면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신호가 정상신호와 상이하면 불량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불량 여부를 음향 또는 시각적인 신호 등으로 출력하여 작업자가 불량 여부를 바로 인식하여 시스템의 점검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강마모재(20)를 체결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배치부(200)에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체결구(13)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보강마모재(20)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에 삽입되기 위해 안착삽입부(320)에 배치된 상태로 구비된다.
부연하면, 상기 보강마모재(20)는 상기 정렬부(400)에 의해 플랜지(22)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을 따라 공급되며, 공급된 보강마모재(20)는 안착삽입부(320)에 배치되어 삽입 대기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보강마모재(20)는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 내에 삽입되기 이전 시점까지 상기 안착삽입부(320)에 배치가 완료된다.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과 보강마모재(20)의 배치가 완료된 이후, 삽입 동력부(340)를 동작시켜 상기 안착삽입부(320)의 끝단에 배치된 보강마모재(20)가 상기 체결구(13)로 삽입되도록 한다.
부연하면, 상기 삽입 구동부(300)의 동작 전에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 고정부(600)를 동작시켜 상기 모듈 배치부(200)의 상부에서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움직임을 고정하며, 고정이 완전히 이루어진 이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 동력부(340)를 동작시켜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체결이 완료된 이후, 상기 안착삽입부(320)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원위치되고, 상기 이탈방지 고정부(600) 또한 다시 상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안착삽입부(320)와 이탈방지 고정부(600)가 원위치된 이후,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710)가 상기 체결부와 인접하게 이동되어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체결 상태를 점검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점검 이후, 상기 센서부(710)는 다시 원위치된다.
이후, 점검에 의해 정상으로 판단된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며, 불량으로 판단된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은 분리 배출되거나 보강마모재(20)가 재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마모재(20)를 정렬하고 삽입 체결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됨에 따라,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체결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강마모재(20)의 체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마모재(20)가 체결된 이후, 점검부(70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체결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바, 불량 상태인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에 대해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 에어백 마운팅 모듈 11 : 체결용 홀
12 : 보조 체결용 홀 13 : 체결구
14 : 안내부 15 : 안착체결부
20 : 보강마모재 21 : 웨브
22 : 플랜지 23 : 돌출 결합부
100 : 체결선반 110 : 체결용 관통구
200 : 모듈 배치부 210 : 주고정부
220 : 제 1보조고정부 230 : 제 2보조고정부
300 : 삽입 구동부 310 : 제 1베이스 몸체
320 : 안착삽입부 321 : 안착홀
330 : 체결안내부 340 : 삽입 동력부
400 : 정렬부 410 : 수용부
420 : 배출레일 421 : 제 1배출레일
422 : 제 2배출레일 430 : 배열부
431 : 제 1배열부 432 : 제 2배열부
440 : 배출 동력부
500 : 공급 가이드 레일
600 : 이탈방지 고정부 610 : 제 2베이스 몸체
620 : 고정돌기 630 : 이탈방지 동력부
640 : 보조 고정돌기
700 : 점검부 710 : 센서부
720 : 센서 동력부

Claims (5)

  1. 웨브(21)의 양 끝단에 플랜지(22)가 구비된 보강마모재(20)를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에 형성된 체결구(13)로 삽입 체결하기 위한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체결선반(100);
    상기 체결선반(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이 고정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의 체결구(13) 입구측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모듈 배치부(200);
    복수 개의 보강마모재(20)의 플랜지(22)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정렬 배출되도록 하는 정렬부(400);
    상기 정렬부(400)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배출되는 보강마모재(20)를 전달받아 상기 모듈 배치부(200)의 하부로 공급하는 공급 가이드 레일(500);
    상기 체결선반(100) 상에 관통 구비되되,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이 상기 모듈 배치부(200)에 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체결구(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체결용 관통구(110); 및
    상기 체결선반(100)의 하부에서 상기 공급 가이드 레일(500)로부터 상기 보강마모재(20)를 전달받아 상기 체결구(13)로 삽입 체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삽입 구동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배치부(200)에 고정 배치된 상기 에어백 마운팅 모듈(10)은,
    상방에 배치된 이탈방지 고정부(600)에 의해 바닥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400)는,
    복수 개의 보강마모재(20)가 수용되는 수용부(410);
    하방에서 점차 상방으로 상승되는 나선궤도를 이루도록 연장되되, 하측 끝단이 상기 수용부(41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410)의 측벽을 구성하는 배출레일(420);
    상기 배출레일(42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보강마모재(20)의 플랜지(22)가 상방을 향하는 상태로 배열되도록 정렬시키는 배열부(430); 및
    상기 수용부(410)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수용부(410)에 진동을 부가하는 배출 동력부(4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410)는,
    바닥면 중심부가 상방으로 솟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 동력부(440)에 의해 진동이 부가되면, 상기 수용부(410)에 수용된 보강마모재(20)가 상기 배출레일(42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3)와 상기 보강마모재(20)의 정상 조립 여부를 검사하는 점검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KR1020180019909A 2018-02-20 2018-02-20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KR101986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09A KR101986769B1 (ko) 2018-02-20 2018-02-20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909A KR101986769B1 (ko) 2018-02-20 2018-02-20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769B1 true KR101986769B1 (ko) 2019-06-07

Family

ID=6684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909A KR101986769B1 (ko) 2018-02-20 2018-02-20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1260A (zh) * 2021-09-28 2021-11-23 宜致汽车安全系统(常熟)有限公司 一种头部安全气囊自动软罩盖组装机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029Y1 (ko) 1995-04-26 1998-04-21 김태구 자동차용 에어백어셈블리의 장착구조
KR100721855B1 (ko) * 2006-05-09 2007-05-28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이종 인서트너트 이송용 이중트랙을 갖는 진동피더
KR100827410B1 (ko) 2007-07-13 2008-05-06 (주)북두엔지니어링 차량용 에어백 모듈 조립장치
KR20130115756A (ko) * 2012-04-13 2013-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KR101480382B1 (ko) * 2013-08-08 2015-01-09 (주)동양금속 모터 하우징용 방진 러버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입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029Y1 (ko) 1995-04-26 1998-04-21 김태구 자동차용 에어백어셈블리의 장착구조
KR100721855B1 (ko) * 2006-05-09 2007-05-28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이종 인서트너트 이송용 이중트랙을 갖는 진동피더
KR100827410B1 (ko) 2007-07-13 2008-05-06 (주)북두엔지니어링 차량용 에어백 모듈 조립장치
KR20130115756A (ko) * 2012-04-13 2013-10-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조립체
KR101480382B1 (ko) * 2013-08-08 2015-01-09 (주)동양금속 모터 하우징용 방진 러버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입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1260A (zh) * 2021-09-28 2021-11-23 宜致汽车安全系统(常熟)有限公司 一种头部安全气囊自动软罩盖组装机器
CN113681260B (zh) * 2021-09-28 2024-05-07 宜致汽车安全系统(常熟)有限公司 一种头部安全气囊自动软罩盖组装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454B1 (en) Installation for positioning and welding body parts of different types of motor vehicles
US9522414B2 (en) Inspection system
US7036652B2 (en) Vibration-type parts feeding method and device
KR101986769B1 (ko)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조립 시스템
CN101204765A (zh) 用于组装由模压片材元件制成的结构的系统
KR101631279B1 (ko) 도어 락 자동 조립 시스템
CN110523713B (zh) 激光加工机
KR20140063656A (ko) 결합 요소를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75246B1 (ko) 카시트 고정고리 조립장치
KR101986768B1 (ko) 에어백 마운팅 모듈용 보강마모재 삽입장치
US7478470B2 (en) Device for assembling, tuning, and testing motor vehicles
KR102280506B1 (ko) 자동차 모듈용 체결수단 가조립 자동화 시스템
KR101286999B1 (ko) 자동변속기 밸브바디의 사상 검사 장치
KR20100035321A (ko)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87388A (zh) 搬运小车
KR101008444B1 (ko) 가이드앵커용 플레이트 공급장치
US10280011B2 (en) Workpiece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hanger maintenance-work necessity judging method
US6691405B1 (en) Box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plurality of different electric/electronic parts in a box
KR102314104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20100035325A (ko) 가이드앵커용 피스 공급장치
CN114346556A (zh) 汽车用金属加工制品的异构螺母焊接自动化系统
CN112477576B (zh) 一种电池箱固定装置及车辆
CN112477575B (zh) 一种电池箱固定装置及车辆
KR102516372B1 (ko) 케미컬 자동공급장치의 수커넥터 거치부
JP2005298075A (ja)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ガイドレール支持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