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321A -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321A
KR20100035321A KR1020080094633A KR20080094633A KR20100035321A KR 20100035321 A KR20100035321 A KR 20100035321A KR 1020080094633 A KR1020080094633 A KR 1020080094633A KR 20080094633 A KR20080094633 A KR 20080094633A KR 20100035321 A KR20100035321 A KR 20100035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ece
guide anchor
injec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4533B1 (ko
Inventor
배병태
Original Assignee
배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병태 filed Critical 배병태
Priority to KR102008009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5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에 피스를 압입하여 상호 결합된 조립품을 형성하는 압입장치와; 상기 압입장치로 상기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레이트공급장치와; 상기 플레이트가 공급된 상기 압입장치로 상기 피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피스공급장치와; 상기 조립품을 사출하여 사출품을 형성하는 사출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서 사출된 앵커가이드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앵커 제조의 전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체력적 부담을 줄이고 작업효율을 상승시키고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안전벨트, 가이드앵커, 가이드앵커 제조

Description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GUIDE ANCHOR PRODUCT SYSTEM AND GUIDE ANCHOR PRODUCT METHOD}
본 발명은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이드앵커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벨트장치는 차량 충돌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운전자와 승객을 보호한다. 안전벨트장치는 벨트와, 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앵커, 벨트와 가이드앵커를 차체에 지지하는 필러, 평상시에는 복원력에 의해 승객의 움직임에 따라 벨트를 움직이게 하고 충돌시에는 벨트를 순간적으로 고정시켜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리트랙터 및 프리텐셔너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앵커(guide anchor)는 차체의 필러 등에 전후방향의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동시에 통과되는 벨트를 안내해준다.
도1은 일반적인 가이드앵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앵커(GA)는 하중을 지탱하는 금속제의 플레이트(P)와, 벨트의 미끄럼 이동이 일어나는 피스(PE)와, 플레이트(P)와 피스(PE)를 함께 고정시킨 상태에서 성형한 수지체(S)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같는 가이드앵커의 종래 제조방법은 각각의 플레이트(P)와 피스(PE)를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공급한 후 이를 가조립하고, 가조립된 플레이트(P)와 피스(PE)를 프레스기로 압입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그리고, 결합이 완료된 플레이트 및 피스 조립품을 사출성형기로 이송하여 성형하고, 성형이 완료된 사출품을 개별적으로 커팅하고 냉각하여 제조를 완료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가이드앵커 제조방법은 복수의 공정이 모두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진행되므로 한 개의 가이드앵커를 제조하기 위해 최소 10명의 작업자가 필요하므로 제조단가의 상승 요인이 된다. 또한, 각 공정들이 모두 단순작업의 반복이고 무거운 하중이 인가되므로 작업자의 체력에 부담이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이드앵커의 전 제조공정을 자동화하여 필요 작업자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의해 최소의 작업자로 인해 원가를 절감하여 최대의 생산효과를 낼 수 있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에 피스를 압입하여 상호 결합된 조립품을 형성하는 압입장치와; 상기 압입장치로 상기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레이트공급장치와; 상기 플레이트가 공급된 상기 압입장치로 상기 피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피스공급장치와; 상기 조립품을 사출하여 사출품을 형성하는 사출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서 사출된 앵커가이드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복수의 조립품을 동시에 수용하는 인덱스와; 상기 압입장치에서 결합된 조립품을 상기 인덱스로 이송하는 조립품이송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인덱스에 수용된 복수의 조립품을 상기 사출장치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인덱스의 조립품을 이송하는 조립품흡착부와, 상기 사출품을 이송하는 사출품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출품의 런너를 절취하여 가이드앵커를 분리하는 커팅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부에서 분리된 가이드앵커를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앵커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를 공급하는 단계와; 피스를 공급하는 단계와; 공급된 플레이트와 피스를 가압하여 상호 조립하는 단계와; 상호 조립된 플레이트와 피스에 사출수지를 성형하여 사출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품을 커팅하여 가이드앵커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가이드앵커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공급과 피스의 공급, 플레이트와 피스의 결합, 결합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의 이송, 사출성형, 사출품의 이송, 사출품의 커팅 등 전공정이 자동화되어 생산되므로 작업자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공압을 이용한 플레이트와 피스의 결합이 자동화되므로 프레스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 생산에 의해 각 공정별로 부품들이 로봇에 의해 이송되므로 종래 무거운 부품들을 작업자에 의해 이송되던 공정이 없어지므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활 발생요소를 해소하고 직무기피 요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전 공정이 자동화되므로 종래 수작업으로 생산될 때와 비교해서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증가하고, 작업자 1인당 생산성도 5배 이상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시스템 전체 구성)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1)의 좌측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1)의 우측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1)은 플레이트(P)를 공급하는 플레이트 공급장치(100)와, 피스(PE)를 공급하는 피스공급장치(200) 와, 플레이트 공급장치(100)와 피스공급장치(200)로부터 각각 공급된 플레이트(P)와 피스(PE)를 상호 결합시키는 압입장치(300)와, 압입장치(300)에서 상호 결합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가 수용되는 인덱스유닛(400)과, 인덱스유닛(400)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를 사출유닛(600)으로 이송하고 사출유닛(600)에서 사출완료된 사출 가이드앵커(GA)를 배출유닛(700)로 이송하는 스카라로봇(500)과, 스카라로봇(500)으로부터 이송된 사출 가이드앵커(GA)를 상호 절취하여 완성된 가이드앵커(GA)를 배출하는 배출유닛(70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공급장치)
플레이트 공급장치(100)는 복수의 플레이트(P)를 순차적으로 압입장치(300)로 공급한다. 플레이트 공급장치(10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P)가 적층되는 매거진유닛(110)과, 매거진유닛(110)에 적층된 플레이트(P)를 한 개씩 압입장치(300)로 이송하는 플레이트이송유닛(160)과, 플레이트이송유닛(160)으로 최상위 플레이트(P)가 이송된 후 매거진유닛(110)의 차순위 플레이트(P)가 플레이트이송유닛(16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적층된 플레이트(P)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팅유닛(120)을 포함한다.
매거진유닛(110)은 베이스부재(111)와, 베이스부재(1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매거진구동부(115)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11)는 회전축(111a)과, 베이스부재(111)의 외주연에 형성된 종동기어열(111b)과, 베이스부재(111)의 판상에 소정 간격 마련된 복수개의 플레이트지지부(113)를 포함한다. 회전축(111a)은 베이스부재(111)의 중심에 구비되어 베이스부재(1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종동기어 열(111b)은 베이스부재(111)의 테두리영역에 형성되어 베이스부재(111)가 후술할 매거진구동기어(119)와 맞물려 베이스부재(111)가 소정 각도 회동하도록 한다.
플레이트지지부(113)는 베이스부재(111) 상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플레이트지지부(113)는 복수개의 플레이트(P)가 적층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지지부(113)는 플레이트(P)의 내부영역을 관통하여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축(113a)과, 플레이트(P)의 외부 경계영역을 지지하는 혼입방지축(113b)을 포함한다. 한 쌍의 수용축(113a)은 플레이트(P)의 피스 수용부(O, 도2 참조) 내에 관통 삽입되어 복수의 플레이트(P)가 상호 적층되도록 한다. 혼입방지축(113b)은 플레이트(P)의 곡선 경계영역에 대응되게 마련되어 경계영역을 가이드한다. 혼입방지축(113b)에 의해 플레이트(P)는 상호 위치가 정렬된 채 적층된다.
한편, 혼입방지축(113b)은 좌측 플레이트와 우측 플레이트가 상호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좌측 플레이트와 우측 플레이트는 형상에서 차이를 나타낸다. 즉, 좌측 플레이트와 우측 플레이트는 곡면 경계영역의 위치가 중심으로부터 1.5mm 정도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6의 아래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플레이트를 위한 플레이트지지부(113)에 우측 플레이트를 적재할 경우 수용축(113a)에는 수용될 수 있으나 혼입방지축(113b)과 경계영역에 편차가 발생하여 수용축(113a)과 혼입방지축(113b)을 따라 적층되지 못한다. 이 경우 작업자가 혼입된 우측 플레이트(P)를 외부로 배출한다.
매거진구동부(115)는 한 개의 플레이트지지부(113)에 적층된 플레이트(P)가 모두 압입장치(300)로 이송된 경우 베이스부재(111)를 회전시켜 다른 플레이트지지 부(113)에 적층된 플레이트(P)가 압입장치(300)로 이송되도록 한다. 매거진구동부(115)는 베이스부재(111)의 종동기어열(111b)과 치합되도록 배치된 매거진구동기어(119)와 매거진구동기어(119)를 구동시키는 매거진구동모터(117)를 포함한다. 매거진구동모터(117)는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리프팅유닛(12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구동부(115)의 플레이트지지부(113)에 적재된 최상위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이송유닛(160)이 이송하고 난 후, 차순위 플레이트가 플레이트 이송유닛(160)이 이송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적층된 플레이트를 리프팅 시킨다. 즉, 리프팅유닛(120)은 플레이트지지부(113)의 최상위에 적재된 플레이트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한다.
리프팅유닛(120)은 매거진유닛(110)의 일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121)과, 지지프레임(121) 상에 수직하게 마련된 이송축(122)과, 이송축(122) 상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수용축(113a) 상의 플레이트(P)를 리프팅하는 이동부재(124)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21)은 수용축(113a)의 높이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이송축(122)은 지지프레임(121) 상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하부영역은 리프팅구동모터(117)의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된다. 이송축(122)의 외주연에는 수나사산(122a)이 형성되며 리프팅구동모터(12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한다. 리프팅구동모터(123)는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며 한 개의 플레이트가 이송된 후 이송된 플레이트의 높이만큼 차순위 플레이트가 리프팅 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이동부재(124)는 이송축(122)의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며 이송축(122)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이동부재(124)는 이동부재본체(124a)와, 이동부재본체(124a)에 관통 형성되어 이송축(122)이 수용되는 이송축수용공(124b)과, 이동부재본체(124a)의 일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용축(113a)을 수용하는 수용축삽입부(124c)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24)는 수용축삽입부(124c)가 수용축(113a)을 수용하며 수용축(113a)에 적층된 최하위 플레이트(P)의 하부로 삽입된다. 이송축수용공(124b)의 내면에는 암나사산(124f)이 형성되어 이송축(122)의 수나사산(122a)과 나사결합된다. 이동부재(124)는 리프팅구동모터(123)가 회전할 경우 이송축(122)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송축(122)을 따라 수직 승강한다. 이 때, 수용축삽입부(124c)는 최하위 플레이트의 하단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이동부재(124)가 이송축(122)을 따라 상승하면 수용축(113a)에 적층된 전체 플레이트도 함께 수용축(113a)을 따라 상승한다. 이에 의해 최상위 플레이트의 높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축삽입부(124c)에는 플레이트감지센서(125)가 구비된다. 플레이트감지센서(125)는 수용축삽입부(124c)가 수용축(113a)에 삽입되면 최하위 플레이트과 접촉한다. 플레이트감지센서(125)는 플레이트이송유닛(160)에 의해 한 개의 플레이트지지부(113)의 수용축(113a)에 적재된 플레이트가 모두 이송되고 나면 플레이트지지부(113)의 플레이트가 소진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800)로 발송한다. 이에 제어부(800)는 매거진구동모터(117)를 구동시켜 다음 플레이트지지부(113)의 플레이트를 이송하도록 베이스부재(111)를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800)는 리프팅구동모터(123)도 구동하여 이동부재(124)가 최하위로 이동하여 다음 플레이트지지부(113)에 적층된 최하위 플레이트(P)를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이송축(122)과 이송축수용공(124b) 사이에는 부슁(126)이 삽입될 수 있다.
플레이트이송유닛(160)은 매거진유닛(110)의 플레이트(P)를 압입장치(300)로 한 개씩 이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이송유닛(160)은 수용축(113a)에 수용된 플레이트(P)를 흡착하여 제1위치로 이송하는 제1플레이트흡착로봇(130)과, 제1위치로 이송된 플레이트(P)를 인계받아 제2위치로 이송하는 플레이트직선이송로봇(140)을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흡착로봇(130)은 흡착로봇본체(133)를 매거진유닛(110)으로부터 제1위치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축(131)과, 제1가이드축(131)을 따라 이동하며 플레이트(P)를 이송하는 흡착로봇본체(133)를 포함한다. 흡착로봇본체(133)는 제1가이드축(131)을 따라 안내되며 흡착로봇본체(133)로부터 상하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흡착로봇헤드(135)가 구비된다. 흡착로봇헤드(135)에는 플레이트(P)를 이송시키기 위한 흡착력을 발생하는 공기흡착부(137)가 구비된다. 공기흡착부(137)는 플레이트(P)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착로봇본체(133)는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된 세 개의 공기흡착부(137)가 구비되어 플레이트(P)를 흡착지지한다.
흡착로봇본체(133)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축(113a)의 최상위에 적층된 플레이트(P)에 흡착력을 발생시켜 플레이트(P)를 흡착로봇헤드(135)에 흡착하고, 제1가이드축(131) 방향으로 상승한다. 상승된 흡착로봇본체(133)는 제1가이드축(131)을 따라 이동하고 제1위치에서 흡착로봇헤드(135)는 아래로 하강하여 플레이트(P)를 플레이트직선이송로봇(140)으로 인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플레이트흡착로봇(130)은 플레이트의 이송을 위해 공기를 이용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정전기력을 이용하거나 집개를 이용하여 플레이트를 이송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직선이송로봇(140)은 제1위치와 제2위치 간을 이동하며 플레이트(P)를 이송한다. 플레이트직선이송로봇(140)은 제2가이드축(141)과, 제2가이드축(141)을 따라 이동하며 플레이트(P)를 이송하는 직선이송로봇본체(143)를 포함한다. 직선이송로봇본체(143)는 제1위치에서 제1플레이트흡착로봇(130)으로부터 플레이트를 이송받는다. 직선이송로봇본체(143)는 상면에 플레이트를 적재한 상태로 제2위치로 제2가이드축(141)을 따라 이송한다.
제2플레이트흡착로봇(150)은 제2위치에서 플레이트직선이송로봇(140)으로부터 플레이트(P)를 인계받아 압입장치(300)의 압입지그본체(310) 상에 플레이트(P)를 이송한다. 제2플레이트흡착로봇(150)은 제2위치에서 압입장치(300)로 안내되는 제3가이드축(151)을 따라 이동한다. 제2플레이트흡착로봇(150)의 구성은 제1플레이트흡착로봇(13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이송유닛(160)은 도8에 제1플레이트흡착로봇(130)과 플레이트직선이송로봇(140) 및 제2플레이트흡착로봇(150)의 세 개의 이송로봇의 구성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는 각 구성들의 공간적인 배치, 매거진유닛(110)과 압입장치(300)와의 거리, 제어과정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이송로봇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플레이트 이동경로 상에 컨베이어 벨트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흡착 로봇(130, 150)과 플레이트직선이송로봇(140)은 종래 공지된 LM가이드를 이용한 이송로봇들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피스 공급장치)
피스 공급장치(200)는 피스(PE)를 압입장치(300)로 공급한다. 피스 공급장치(200)는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로부터 공급된 복수개의 피스(PE)를 진동에 의해 정렬하는 원형피더(bowl feeder,210)와, 원형피더(210)에서 정렬된 피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직선피더(220)와, 직선피더(220)에서 공급되는 피스를 압입장치(300)로 이송하는 피스이송유닛(230)을 포함한다.
원형피더(210)는 임의적으로 공급된 복수개의 피스(PE)를 진동에 의해 정렬하여 직선피더(220)로 공급한다. 원형피더(210)는 피스(PE)가 수용되는 원형피더본체(211)와, 원형피더본체(211)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원형피더본체(211)가 진동하도록 진동을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213, 도3 참조)와, 원형피더본체(211)를 지지하는 원형피더프레임(215)을 포함한다. 원형피더본체(211)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달팽이관 형태로 단차진 피스이송레일(211b)이 형성된다. 원형피더본체(211)가 진동에 의해 흔들리면 복수의 피스들은 단차진 피스이송레일(211b)를 따라 정렬된다. 즉, 피스이송레일(211b)의 폭에 의해 한 개씩 순차적으로 피스가 이송된다. 피스이송레일(211b)을 통해 이송되는 피스(PE)는 피스배출구(211c)를 통해 직선피더(220)로 공급된다.
바이브레이터(213)는 원형피더(2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원형피더(210)가 진동하며 피스(PE)가 정렬되도록 진동을 발생한다. 또한, 바이브레이터(213)의 일측 에는 피스공급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원형피더(210)가 계속 회전하며 진동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피스이송레일(211b)을 따라 복수의 피스가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직선피더(220)는 원형피더(210)의 피스배출구(211c)와 연결되어 원형피더(210)로부터 배출된 피스(PE)를 피스이송유닛(230)으로 공급한다. 직선피더(220)는 소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레일(221)을 구비한다. 피스배출구(211c)를 통해 배출된 피스(PE)들은 피스공급모터(217, 도22 참조)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인 가압력에 의해 밀려 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된다.
피스이송유닛(230)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피더(220)를 통해 이송된 피스(PE)를 압입장치(300)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스이송유닛(230)은 직선피더(220)로부터 공급된 피스(PE)를 비젼검사유닛(240)을 경유한 제3위치로 공급하는 피스직선이송로봇(231)과, 제3위치의 피스(PE)를 취부하여 압입장치(300)의 압입지그본체(310)에 적재하는 피스집개로봇(233)을 포함한다.
피스직선이송로봇(231)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피더(220)를 통해 이송된 낱개의 피스(PE)를 비젼검사유닛(240)을 경유한 제3위치로 이송한다. 피스직선이송로봇(231)은 상부에 피스가 적재되는 적재로봇본체(231a)와, 적재로봇본체(231a)를 직선피더(220)로부터 제3위치로 안내하는 피스적재이송가이드(231b)를 포함한다. 적재로봇본체(231a)는 상부에 피스가 수용되는 피스수용홈이 형성되어 피스를 안정적으로 이송한다.
피스집개로봇(233)은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직선이송로 봇(231)에 의해 제3위치로 이송된 피스(PE)를 취부하여 압입장치(300)의 압입지그본체(310) 상에 인계한다. 피스집개로봇(233)은 집개로봇(235)을 제3위치에서 압입장치(300)로 안내하는 집개로봇가이드(233a)와, 집개로봇가이드(233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피스(PE)를 압입장치(300)로 이송하는 집개로봇(235)을 포함한다. 집개로봇(235)은 하단부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피스직선이송로봇(231) 상의 피스(PE)의 양측면을 집어 올리는 한 쌍의 피스집개(235a)가 마련된다. 피스집개(235a)는 제어신호에 의해 오무려졌다 펴지게 마련되어 피스(PE)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피스집개로봇(233)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위치에서 피스직선이송로봇(241) 상의 피스(PE)를 집어올려 압입장치(300) 측으로 직선이동하고 플레이트(P)가 적재된 압입지그본체(310)로 피스(PE)를 내려놓는다. 이 때, 피스집개(235a)로부터 이탈된 피스(PE)는 확대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낙하하여 플레이트(P) 상으로 떨어지고 플레이트(P)와 압입지그본체(310)의 형상에 의해 90ㅀ 회전된 상태로 위치가 고정된다.
비젼검사유닛(240)은 피스직선이송로봇(231)의 이송경로 상에 마련되어 공급되는 피스(PE)의 패턴을 감지하여 좌우 피스의 혼입을 방지한다. 비젼검사유닛(240)은 피스직선이송로봇(231)에 의해 이송되는 피스(PE)의 패턴을 촬영하는 카메라(241)와, 카메라(241)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프레임(245)과, 카메라(241)로 촬영된 패턴이 기 저장된 기준패턴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패턴판단부(243)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좌측피스와 우측피스는 서로 상이한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좌측 앵커가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서 우측피스가 공급될 경우 불량품이 생산된다. 비젼검사유닛(240)은 피스이송유닛(230)을 통해 공급되는 피스의 패턴을 감지하여 좌측피스와 우측피스가 서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카메라(241)는 공급되는 피스의 패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패턴판단부(243)로 공급한다. 패턴판단부(243)는 초기 디폴트값으로 저장된 기준 패턴 영상과 카메라(241)에 의해 촬영된 패턴을 상호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 다음 후속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고, 패턴이 상이할 경우 제어부(800)로 패턴의 상이함을 알린다. 이 경우 제어부(800)는 경고음을 울려 작업자에게 피스의 혼입을 알리고, 피스공급장치(200)의 작동을 중단시켜 공정의 진행을 중지시킨다.
일례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피스의 기준피스(RP)와 촬영된 피스의 패턴(CP)이 상이할 경우 패턴판단부(243)는 제어부(800)로 피스의 혼입을 알린다. (압입장치)
압입장치(30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된 플레이트(P)와, 피스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급된 피스(PE)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압입장치(300)는 플레이트(P)와 피스(PE)가 적재되는 압입지그본체(310)와, 압입지그본체(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압입지그본체(310) 상에 안치된 피스(PE)의 내부로 삽입되어 플레이트(P)와 피스(PE)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피스(PE)를 지지하는 가이드핀유닛(320)과, 압입지그본체(310)의 타측에 구비되어 피스(PE)의 내부로 삽입된 가이드핀(325)을 수용하는 가이드핀수용부(330)와, 플레이 트(P)를 가압하여 플레이트(P)와 피스(PE)를 상호 결합시키는 가압부(340)를 포함한다.
압입지그본체(310)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플레이트(P)의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2플레이트흡착로봇(150)에 의해 이송된 플레이트(P)가 안정적으로 압입지그본체(310) 상에 지지되도록 한다.
가이드핀유닛(320)은 피스(PE)의 내부로 가이드핀(325)을 이동시켜 플레이트(P)와 피스(PE)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피스(PE)를 지지한다. 가이드핀유닛(320)은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실린더(321)와, 공압실린더(321)에 의해 이동하는 실린더이동부(323)와, 실린더이동부(323)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핀안내축(327)과, 실린더이동부(323)에 의해 이동하며 피스(PE)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핀(325)을 포함한다.
공압실린더(321)는 압입지그본체(310)에 플레이트(P)와 피스(PE)가 함께 적재되면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공압을 발생시켜 실린더이동부(323)가 가이드핀안내축(327)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이동부(323)가 압입지그본체(310) 측으로 이동하고 가이드핀(325)이 피스(PE) 내부로 삽입된다. 피스(PE) 내부로 삽입된 가이드핀(325)은 피스(PE)를 관통하여 반대쪽 가이드핀수용부(330)의 가이드핀수용공(331)에 수용된다.
가압부(340)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P)와 피스(PE)를 가압하여 피스(PE)가 플레이트(P)에 압착 결합되도록 한다. 가압부(340)는 압입지그본체(310)를 가압하는 프레스(341)와,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발생부(343)와, 공압발 생부(343)에 결합되어 공압이 발생할 경우 연장되며 프레스(341)를 가압하는 프레스가압부(340)를 포함한다. 가압부(340)는 제어부(800)의 신호에 따라 공압발생부(343)가 공압을 발생하면 프레스(341)가 압입지그본체(310)를 가압한다. 이 때, 피스(PE) 내부에는 가이드핀(325)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피스(PE)는 프레스(341)의 가압에 의해 움직이지 못한다. 프레스(341)의 가압상태가 계속되면 피스(PE)는 가이드핀(325)을 따라 내측으로 휘면서 플레이트(P)와 고정결합된다.
본 발명의 압입장치(300)에 따라 종래 사용자가 플레이트(P)와 피스(PE)를 개별적으로 프레스를 통해 가압하여 형성하던 공정에 비해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의 체력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인덱스유닛)
인덱스유닛(400)은 압입장치(300)에서 상호 결합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복수개 정렬하여 스카라로봇(500)으로 공급한다. 인덱스유닛(400)은 인덱스지그(411)를 지지하는 인덱스베이스(410)와, 인덱스베이스(410)에 구비되어 복수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이 안착되는 인덱스지그(411)와, 압입장치(300)에서 상호 결합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인덱스지그(411)로 이송하는 조립품이송로봇(430)을 포함한다.
인덱스베이스(410)는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데스프레임(440) 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인덱스베이스(410)는 좌우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인덱스지그(412, 413) 중 어느 하나(412)에 4개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이 모두 안착되면 회전하여 다른 쪽 인덱스지그(413)에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이 안착되 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인덱스베이스(410)의 외주연에는 종동기어열(417)이 구비되고, 종동기어열(417)과 치합되는 구동기어(423)와 맞물리게 배치된다.
인덱스지그(411)는 인덱스베이스(410)의 상측에 좌우로 마련된다. 인덱스지그(411)는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의 형상에 대응하게 구비되어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한 개의 인덱스지그(411)에는 네 개의 조립품 수용지그(412a)가 마련된다. 각 조립품 수용지그(421a)에는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의 안착을 감지하는 조립품감지센서(415, 도22 참조)가 구비된다. 인덱스지그(411) 상의 네 개의 조림품감지센서(415)가 모두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800)는 인덱스구동부(420)를 구동하여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덱스베이스(410)가 회전하도록 한다. 비어있는 인덱스지그(413)에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이 안착되도록 한다.
인덱스구동부(420)는 인덱스구동모터(421)와, 인덱스구동모터(421)에 의해 구동되며 인덱스베이스(410)의 종동기어열(417)과 치합하여 인덱스베이스(410)를 회전시키는 인덱스구동기어(423)를 포함한다. 인덱스구동부(420)는 조립품감지센서(415)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800)로부터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된다. 인덱스구동부(420)의 구동에 따라 인덱스베이스(410)가 회전한다.
조립품이송로봇(430)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장치(300)에서 조립이 완료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인덱스지그(411) 상에 안착시킨다. 조립품이송로봇(430)은 제1조립품가이드축(431)과 제1조립품가이드축(431)과 제2조립품가이드축(432)을 따라 이동하며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이송하는 조립품이송로봇본체(433)를 포함한다. 조립품이송로봇본체(433)는 조립품가이드축(431, 432)으로부터 공압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압입지그본체(310) 상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공압에 의해 흡착하여 인덱스지그(411)로 이송한다. 조립품이송로봇본체(433)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플레이트흡착로봇(13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조립품가이드축(431)은 압입장치(300)로부터 인덱스지그(411)까지 조립품이송로봇본체(433)를 안내하고, 제2조립품가이드축(432)은 제1조립품가이드축(431)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인덱스지그(411) 상에서 조립품이송로봇본체(433)의 수직이송을 안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덱스유닛(400)은 인덱스베이스(410) 상에 좌우 두 개의 인덱스지그(411)가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3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인덱스지그(411)가 4개의 조립품수용지그(412a)를 갖는 것으로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5개 이상의 조립품수용지그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스카라로봇)
스카라로봇(500)은 도18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유닛(400), 사출장치(600), 배출유닛(700) 사이에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과, 사출된 가이드앵커(GA)를 상호 이송한다. 스카라로봇(500)은 인덱스유닛(400)의 인덱스지그(411)로부터 4개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인계받고, 사출장치(600)의 사출몰드(620)에서 사출 완성된 사출품(S)을 수령하고 비어있는 사출몰드(620)로 플레이 트-피스 조립품(PC)을 안착시킨 후 사출품(S)을 배출장치(700)으로 이송한다.
스카라로봇(500)은 로봇지지축(510)과, 로봇지지축(510)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511)과, 회전축(511)의 단부영역에 구비된 스카라로봇헤드(530)와, 스카라로봇헤드(530)로 공기를 공급 및 흡입하는 공압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된다. 회전축(511)은 인덱스유닛(400), 사출장치(600), 배출장치(700)의 회전반경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카라로봇헤드(530)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유닛(400)으로부터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조립품흡착부(531)과, 사출몰드(620)로부터 사출 완료된 사출품(S)을 수령하는 사출품수용부(537)를 포함한다. 스카라로봇헤드(530)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립품흡착부(531)와 사출품수용부(537)가 상호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조립품흡착부(531)는 공기를 흡입하여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수령한다. 조립품흡착부(531)는 인덱스지그(411) 상의 4개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동시에 수령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조립품흡착부(531)는 1개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 당 세 개의 공기흡착부(535)를 구비하여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안정적으로 흡착한다. 여기서, 조립품흡착부(531) 상에는 인덱스지그(411)와 사출몰드(620)로 공기를 불어넣어 인덱스지그(411)와 사출몰드(620) 상의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배출구(533)도 복수개가 마련된다. 조립품흡착부(531)는 인덱스지그(411) 상의 4개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흡착하여 사출몰드(620)에 인계한다.
사출품수용부(537)는 조립품흡착부(531)의 일측에 구비된다. 사출품수용 부(537)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몰드(620) 상에 사출이 완료된 사출품(S)을 수령하여 배출장치(700)으로 공급한다. 사출품수용부(537)는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출품(S)의 런너(R)를 취부하여 사출품(S)을 배출장치(700)으로 이송한다. 사출품수용부(537)는 폭이 변경가능하게 마련되어 런너(R)를 집을 수 있게 구비된다.
(사출유닛)
사출장치(600)은 스카라로봇(500)에 의해 사출몰드(620)에 플레이트-피스 조립품이 안착되면 사출몰드(620)로 사출수지를 공급하여 플레이트-피스 조립품 상에 수지체를 성형하여 사출품(S)을 완성한다. 사출장치(600)은 사출기본체(610)와, 사출기본체(610) 상에 구비된 한 쌍의 사출몰드(620)를 구비한다.
사출몰드(620)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이 안착되는 조립품안착부(621)와, 조립품안착부(621)를 상호 연결하며 사출수지가 공급되는 수지공급부(623)로 구성된다.
사출기본체(610)는 좌측 사출몰드(620)의 사출성형이 완료되면 회전하여 우측 사출몰드(620)의 사출성형이 진행되도록 한다. 사출기본체(610)의 구성은 일반적인 사출유닛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출유닛)
배출유닛은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카라로봇(500)으로부터 이송된 사출품(S)을 커팅하여 가이드앵커(GA)를 완성하고, 완성된 가이드앵커(GA)를 배출한다. 배출장치(700)은 사출품(S)을 커팅하는 커팅부(710)와, 커팅부(710)로부터 커팅이 완료된 가이드앵커(GA)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부(730)와, 컨베이어부(73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이드앵커(GA)를 냉각시키는 냉각부(720)를 포함한다.
커팅부(710)는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품(S)의 런너(R)를 절취하여 사출품(S)을 각각의 가이드앵커(GA)로 분리한다. 커팅부(710)는 런너(R)를 절취하는 4개의 니퍼(711)와, 니퍼(711)를 구동시키는 니퍼구동부(713)를 포함한다. 니퍼(711)는 상향으로 배치되며 스카라로봇(500)에 의해 이송된 사출품(S)의 런너(R)가 니퍼(711)의 한 쌍의 칼날 사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니퍼구동부(713)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어 사출품(S)이 이송되지 않은 상태에는 니퍼(711)가 벌려진 상태로 유지시키고, 사출품(S)이 이송된 경우 니퍼(711)가 오무라들어 런너(R)를 절취하도록 한다. 니퍼구동부(713)는 각각의 니퍼(711)에 구비된다.
한편, 니퍼(711)에 의해 절취된 런너(R)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니퍼(711) 하부의 런너수용부(미도시)에 일괄적으로 수용된다.
컨베이어부(730)는 커팅부(710)에서 커팅이 완료되어 상호 분리된 4개의 가이드앵커(GA)를 제품박스(B)로 이송한다. 컨베이어부(730)는 가이드앵커(GA)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731)와, 컨베이어벨트(731)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풀리(733) 및 종동풀리(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냉각부(720)는 컨베이어부(7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커팅부(710)로부터 분리되어 이송되는 가이드앵커(GA)를 냉각시킨다. 냉각부(720)는 복수의 냉각팬(721)으로 구비되어 바람을 발생시켜 가이드앵커(GA)를 냉각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720)는 바람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공랭식을 취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컨베이어부(730)의 하부영역에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하여 가이드앵커(GA)를 냉각시키는 수냉식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부(720)는 컨베이어부(730)의 일측면에만 구비되었으나 냉각효율을 위해 양측면에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커팅부(710)의 일측에는 니퍼(711)에 의해 분리된 가이드앵커(GA)를 컨베이어부(730)로 안내하는 가이드판(740)이 구비된다.
제어부(800)는 각 구성에서 발송되는 감지신호들을 기초로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제어부(800)는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공급장치(100)의 플레이트감지센서(125)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매거진구동모터(117)와 리프팅이송모터(123), 플레이트이송유닛(16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피스공급장치(200)의 비젼검사유닛(240)의 판단결과에 따라 피스이송유닛(230)을 제어하여 피스(PE)의 공급여부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800)는 플레이트 공급장치(100)와 피스공급장치(200)의 진행여부에 따라 압입장치(300)의 가이드핀유닛(320)과 가압부(3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인덱스유닛(400)의 조립품감지센서(415)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어부(800)는 인덱스구동모터(421)를 구동하여 인덱스베이스(410)가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인덱스구동모터(421)의 구동과 함께 스카라로봇(500)을 구동하여 인덱스지그(411) 상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이 사출장치(600)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한다.
스카라로봇(500)의 회전과 함께 사출장치(600)의 사출기본체(610)도 회전구동시켜 사출몰드(620)에서 스카라로봇(500)이 사출품(S)과 플레이트-피스 조립 품(PC)을 교환하도록 한다. 스카라로봇(500)이 사출품(S)을 커팅부(710)로 이송하면 니퍼구동부(713)를 구동하여 런너(R)를 절취하도록 하고, 냉각부(720)를 구동하여 가이드앵커(GA)를 냉각하도록 한다.
제어부(800)는 시계열적으로 제어되거나 각각의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도 있다. 제어부(800)는 오퍼레이션 판넬에 의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1)의 가이드앵커 제조방법을 도3 내지 도21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매거진유닛(110)의 플레이트지지부(113)에 플레이트(P)를 적층한다. 그리고, 피스공급장치(200)의 원형피더본체(211)에 복수의 피스(PE)를 공급한다. 제어부(8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리프팅이송모터(217)와 바이브레이터(213) 및 피더공급모터(217)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한 개의 플레이트지지부(113)의 수용축(113a)에 적층된 플레이트(P)는 리프팅유닛(120)에 의해 리프팅되고 제1플레이트흡착로봇(130), 플레이트직선이송로봇(140), 제2플레이트흡착로봇(150)을 거쳐 압입장치(300)의 압입지그본체(310) 상에 안착된다.
한편, 피스(PE)는 원형피더(210)와 직선피더(220)를 거쳐 공급되고, 피스직선이송로봇(231)과 피스집개로봇(233)에 의해 압입지그본체(310)의 플레이트(P) 상에 적재된다. 이 때, 피스직선이송로봇(231)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비젼검사유닛(240)은 피스의 좌측 및 우측 혼입여부를 검사한다.
압입지그본체(310) 상에 플레이트(P)와 피스(PE)가 함께 공급되면 가이드핀 유닛(320)은 가이드핀(325)을 피스(PE)의 내부로 이송하고, 가이드핀(325)이 가이드핀수용부(330)에 수용되면 가압부(340)는 공압을 발생시켜 프레스(341)가 플레이트(P)를 가압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플레이트(P)와 피스(PE)는 상호 결합된다. 압입장치(300)에서 상호 결합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은 조립품이송로봇(430)에 의해 인덱스유닛(400)의 인덱스지그(411)로 이송된다. 인덱스지그(411) 상에 4개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가 안착되면 인덱스베이스(410)는 회전한다.
인덱스베이스(410)가 회전하면 비어있는 인덱스지그(411)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이 이송되고, 이와 함께 스카라로봇(500)은 4개의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을 흡착하여 사출장치(600)로 이송한다.
스카라로봇(500)은 사출품수용부(537)를 통해 사출몰드(620)에 사출이 완성된 사출품(S)의 런너(R)를 취부하고, 비어있는 사출몰드(620)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를 적재한다. 플레이트-피스 조립품(PC)가 적재되면 사출기본체(610)는 회전하여 사출성형이 진행된다. 한편, 사출품(S)을 취부한 스카라로봇(500)은 사출품(S)의 런너(R)를 니퍼(711) 사이에 이송하고 인덱스유닛(400)으로 이동한다.
니퍼(711)는 런너(R)를 절취하여 가이드앵커(GA)를 분리하고, 분리된 가이드앵커(GA)는 컨베이어벨트(731)를 통해 이송된다. 이 때, 컨베이어벨트(731)의 측면에 마련된 냉각부(720)는 가이드앵커(GA)를 냉각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에 의하면 플레이트의 공급과 피스의 공급, 플레이트와 피스의 결합, 결합된 플레이트-피스 조립품의 이송, 사출성형, 사출품의 이송, 사출품의 커팅 등 전공정이 자동화되어 생산되므로 작업자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공압을 이용한 플레이트와 피스의 결합이 자동화되므로 프레스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화 생산에 의해 각 공정별로 부품들이 로봇에 의해 이송되므로 종래 무거운 부품들을 작업자에 의해 이송되던 공정이 없어지므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활 발생요소를 해소하고 직무기피 요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전 공정이 자동화되므로 종래 수작업으로 생산될 때와 비교해서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증가하고, 작업자 1인당 생산성도 5배 이상 상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이드앵커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가이드앵커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와 피스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우측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좌측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플레이트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리프팅유닛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플레이트 이송유닛의 구성과 플레이트 이송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피스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피스 이송유닛의 구성과 피스 이송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3과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압입장치의 구성과 가이드핀유닛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압입장치의 프레스 압입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인덱스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인덱스유닛의 인덱스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18과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스카라로봇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스카라로봇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배출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의 제어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100 : 플레이트 공급장치
200 : 플레이트 이송유닛 300 : 압입장치
400 : 인덱스유닛 500 : 스카라로봇
600 : 사출유닛 700 : 배출유닛

Claims (8)

  1. 플레이트에 피스를 압입하여 상호 결합된 조립품을 형성하는 압입장치와;
    상기 압입장치로 상기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플레이트공급장치와;
    상기 플레이트가 공급된 상기 압입장치로 상기 피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피스공급장치와;
    상기 조립품을 사출하여 사출품을 형성하는 사출장치와;
    상기 사출장치에서 사출된 앵커가이드를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립품을 동시에 수용하는 인덱스와;
    상기 압입장치에서 결합된 조립품을 상기 인덱스로 이송하는 조립품이송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인덱스에 수용된 복수의 조립품을 상기 사출장치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인덱스의 조립품을 이송하는 조립품흡착부와, 상기 사출품을 이송하는 사출품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시 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품의 런너를 절취하여 가이드앵커를 분리하는 커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에서 분리된 가이드앵커를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의 일측에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앵커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7. 플레이트를 공급하는 단계와;
    피스를 공급하는 단계와;
    공급된 플레이트와 피스를 가압하여 상호 조립하는 단계와;
    상호 조립된 플레이트와 피스에 사출수지를 성형하여 사출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출품을 커팅하여 가이드앵커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가이드앵커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앵커 제조방법.
KR1020080094633A 2008-09-26 2008-09-26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KR101004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633A KR101004533B1 (ko) 2008-09-26 2008-09-26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633A KR101004533B1 (ko) 2008-09-26 2008-09-26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321A true KR20100035321A (ko) 2010-04-05
KR101004533B1 KR101004533B1 (ko) 2010-12-31

Family

ID=4221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633A KR101004533B1 (ko) 2008-09-26 2008-09-26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5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37B1 (ko) * 2013-09-24 2015-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힌지 자동 장착 시스템 및 방법
KR101881128B1 (ko) * 2018-02-13 2018-07-23 최창석 석션봉을 구비한 가변형 펌프의 조립장치
KR102111901B1 (ko) * 2020-01-08 2020-05-15 주식회사 케이아이티 차량 쇼바 브라켓 볼트 자동 장착 시스템
KR102337276B1 (ko) * 2021-03-24 2021-12-08 주식회사 대송 커넥팅로드용 자동 부싱 압입 및 드릴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77B1 (ko) * 2020-02-13 2020-08-07 김기웅 차량안전벨트 텅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37B1 (ko) * 2013-09-24 2015-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힌지 자동 장착 시스템 및 방법
US10155555B2 (en) 2013-09-24 2018-12-18 Kia Motors Corporation Auto mounting system of door hing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0766551B2 (en) 2013-09-24 2020-09-08 Kia Motors Corporation Auto mounting system of door hing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881128B1 (ko) * 2018-02-13 2018-07-23 최창석 석션봉을 구비한 가변형 펌프의 조립장치
KR102111901B1 (ko) * 2020-01-08 2020-05-15 주식회사 케이아이티 차량 쇼바 브라켓 볼트 자동 장착 시스템
KR102337276B1 (ko) * 2021-03-24 2021-12-08 주식회사 대송 커넥팅로드용 자동 부싱 압입 및 드릴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533B1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533B1 (ko)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KR101157442B1 (ko) 제함기의 불량품 제거 장치 및 제함기
KR101008444B1 (ko) 가이드앵커용 플레이트 공급장치
KR101917345B1 (ko) 성형 부품의 홀 가공 장치
US201702579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workpieces
CN111037087B (zh) 一种卡扣螺钉智能装配线
KR20100035325A (ko) 가이드앵커용 피스 공급장치
KR20170088533A (ko) 커넥터 조립 및 공급장치
JP6516288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システム及びインモールド成形方法
JPH08118168A (ja) ロボットによる歯車の自動組立装置
JPH115133A (ja) 複合型物品搬送装置
WO2020126476A1 (en) Multi-conveyor belt based insertion mechanism for pocketed coil springs
KR20150116216A (ko) 전자부품 케이싱 장비 및 라벨링 장비
KR101004470B1 (ko) 가이드앵커용 압입장치
KR20100035319A (ko) 가이드앵커 제조용 배출장치
KR20120078337A (ko) 시트 이송 장치 및 시트 이송 장치가 마련된 가공 장치
KR101502405B1 (ko) 커넥터 조립장치
CN109466190B (zh) 自动制证机
KR101700129B1 (ko) 이중 사출 시스템
KR20130097034A (ko) 다이 소터
JP2013124169A (ja) バッチシート給紙装置
KR101665868B1 (ko) 2열 이송장치가 구비된 복합금형 장치
JP2019182625A (ja) ストック装置
KR101862335B1 (ko)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JPH08141851A (ja) ワーク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