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129B1 - 이중 사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사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129B1
KR101700129B1 KR1020150073054A KR20150073054A KR101700129B1 KR 101700129 B1 KR101700129 B1 KR 101700129B1 KR 1020150073054 A KR1020150073054 A KR 1020150073054A KR 20150073054 A KR20150073054 A KR 20150073054A KR 101700129 B1 KR101700129 B1 KR 101700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ert
injection
chuck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773A (ko
Inventor
고재영
Original Assignee
고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영 filed Critical 고재영
Priority to KR102015007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12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12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two or more fixed moulds, e.g. in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means, e.g. mould parts, for transferring an injected part between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means, e.g. mould parts, for transferring an injected part between moulding stations
    • B29C2045/1621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means, e.g. mould parts, for transferring an injected part between moulding stations the transfer means operating independently from the injection mould cavity, i.e. during injection the transfer means are completely outside the moul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를 공급받은 이후부터 비젼 검사를 수행하기까지의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운영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소모 및 공정 사이클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인서트 정렬부에 의해 공급받은 인서트의 적재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인서트 정렬부가 적재된 인서트를 자동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기 설정된 방향 및 위치를 향하도록 인서트를 정렬시킴으로써 1차 금형사출부의 캐비티로 인서트를 신속하게 배치시킴과 동시에 인서트의 삽입 오차로 인한 금형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냉각 및 이송부가 1차 사출성형품을 2차 금형 사출부로 신속하게 이송시키는 이송공정과, 가열된 상태의 1차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인력소모 및 공정 사이클이 더욱 절감되며, 비젼 검사부가 최종 사출성형품인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의 형상 및 색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조명이 구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에 대한 선명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비젼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이중 사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사출 시스템{double injection molding system}
본 발명은 이중 사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MSBU : macpherson strut bearing unit)의 외형 및 색상 등의 특성에 대응하여 각 공정을 최적화하여 수행하며, 각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 운영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정 사이클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킴과 동시에 불량률을 최소화하며,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중 사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서트 사출(insert injection)은 금속재질의 인서트를 사출 금형 내에 삽입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수지재질의 사출품 내에 금속재질의 인서트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금형 사출방법이고, 이중 사출은 서로 다른 재질이나 색상의 재료를 단일 사이클 내에서 성형하기 위한 사출방법이다.
특히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려는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및 재질로 이루어져 외관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이중 사출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이중 사출방법으로는 인서트 방식, 로터리 방식, 턴테이블 방식, 인덱스 코어 회전 방식, 스틴-폼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이중 사출방법들 중 턴테이블 방식, 인덱스 코어 회전 방식 및 스틴- 폼 방식의 이중 사출은 1차 사출이 이루어지고 나면 금형 또는 코어를 회전시켜 1차 사출성형품을 2차 사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금형 구조가 복잡하고, 가공 공정이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1차 사출금형장치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을 로봇이송장치를 이용하여 2차 사출금형장치로 공급하는 로봇이송에 의한 이중사출 방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로봇이송에 의한 이중 사출성형은 우선 공급받은 인서트를 적재 및 정렬하는 제1 정렬공정과, 정렬된 인서트를 제1 사출 금형장치의 캐비티(cavity)로 삽입하여 1차 금형사출을 수행하는 제1 금형사출공정과, 제1 금형사출공정에 의하여 금형 사출된 제1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과, 냉각공정을 수행한 제1 사출성형품을 정렬하는 제2 정렬공정과, 제2 정렬공정에 의해 정렬된 제1 사출성형품을 제2 사출 금형장치의 캐비티로 삽입하여 2차 금형사출을 수행하는 제2 금형사출공정과, 제2 금형사출공정에 의해 금형 사출된 제2 사출성형품에 대한 비젼 검사를 수행하는 비젼 검사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정렬공정은 인서트 또는 제1 사출성형품이 사출 금형장치의 캐비티로 삽입될 때 인서트 또는 제1 사출성형품이 기 설정된 위치 및 방향을 형성하도록 이들을 정렬하는 공정으로 정의된다.
또한 종래의 로봇이송에 의한 이중 사출성형은 척킹유닛 및 이송수단이 구비된 앤드-이펙터(end-effector)인 서보로봇을 이용하여 각 공정을 수행한 공정 대상들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력소모를 줄이고,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로봇이송에 의한 이중 사출성형은 공급받은 다량의 인서트들을 정리하여 적재시키는 적재공정과, 적재된 인서트를 기 설정된 위치 및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정렬공정과, 정렬된 인서트를 제1 사출 금형장치의 서보로봇의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공정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유발하며, 공정시간이 지체되며, 정렬의 정확도가 떨어져 금형장치로의 삽입 오차에 의한 금형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로봇이송에 의한 이중 사출성형은 제1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과, 냉각공정을 수행한 제1 사출성형품을 제2 사출 금형장치의 서버로봇의 척킹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공정이 별도로 분리되어 운영됨과 동시에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 사이클이 증가하며, 불필요한 인력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로봇이송에 의한 이중 사출성형은 각 공정이 분리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공정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지 않아 공정 사이클이 과도하게 높은 단점을 갖는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29988호(발명의 명칭 : 이동식 사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사출 금형 시스템)에 개시된 이중사출 금형 시스템은 다양한 수지량을 주입할 수 있는 이동식 사출기를 포함하고, 이동식 사출기가 일반 사출 성형기와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 소모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이중사출 금형 시스템은 단순히 고정식 사출기 및 이동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이중 사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공급받은 인서트를 적재 및 정렬시키기 위한 제1 정렬공정과, 각 공정 간의 사출물 이송공정 등이 인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공정 사이클을 절감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즉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장치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진행되었으나, 전체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이중 사출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고, 이에 따라 인서트를 공급받은 이후부터 비젼 검사를 수행하기까지의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운영되는 이중 사출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인서트를 공급받은 이후부터 비젼 검사를 수행하기까지의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운영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소모를 줄이고, 아울러 공정 사이클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이중 사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공급받은 인서트를 적재 및 정렬하는 인서트 정렬부를 포함하여 1차 금형 사출부의 캐비티로 인서트를 신속하게 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서트가 기 설정된 위치 및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삽입되기 때문에 삽입 오차로 인한 금형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중 사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냉각 및 이송부를 포함하여 냉각 및 이송부가 1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을 2차 금형 사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공정과 가열된 상태의 1차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을 분리하여 운영하지 않고 동시에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력소모 및 공정 사이클을 더욱 절감시킬 수 있는 이중 사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비젼 검사부가 최종 사출성형품인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의 형상 및 색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조명이 구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에 대한 선명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비젼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이중 사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각 공정이 시간테이블에 따라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센서의 신호에 따라 유기적으로 운영됨으로써 공정들 중 어느 하나의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공정 간의 2차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 이중 사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인서트를 이중 사출 성형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를 기 설정된 위치 및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인서트 정렬부; 상기 인서트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인서트를 척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척킹유닛들과, 상기 척킹유닛들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 서보로봇; 상기 인서트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인서트가 상기 제1 서보로봇에 의하여 캐비티 내부로 삽입되면 1차 금형 사출을 수행하는 1차 금형 사출부; 상기 제1 서보로봇에 의하여 상기 1차 금형 사출부로부터 취출된 1차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냉각 및 이송부; 상기 냉각 및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1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척킹유닛들과, 상기 척킹유닛들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서보로봇; 상기 1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이 상기 제2 서보로봇에 의해 캐비티 내부로 삽입되면 2차 금형 사출을 수행하는 2차 금형 사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보로봇은 상기 인서트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인서트를 척킹하여 상기 인서트를 상기 1차 금형 사출부의 캐비티 내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1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을 취출하여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 서보로봇은 상기 냉각 및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1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하여 상기 1차 사출성형품을 상기 2차 금형 사출부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키며, 상기 2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2차 사출성형품을 취출하여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냉각 및 이송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 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스테이지와, 상기 제1 서보로봇에 의하여 상기 1차 금형사출부로부터 취출된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안착지그와, 상기 안착지그에 안착된 1차 사출성형품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스테이지부; 터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가이드레일이 관통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로 냉기를 유입시키는 냉기발생부로 이루어지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서트는 1차 금형 사출부의 캐비티로 삽입될 때 상기 기 설정된 위치 및 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정렬부는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상하부가 개구되며, 일면에 핀삽입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 상기 인서트가 안착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생성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하강 되도록 상기 핀삽입홈에 설치되는 승강핀;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승강핀의 직상부에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이 위치하지 않을 때 회전하고, 상기 승강핀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직상부에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이 위치할 때 승강하여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서트는 중공을 더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동력 생성수단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안착되는 인서트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제2 회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인서트는 회전 시 상기 제2 회전체에 지지되어 유동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서트 정렬부는 상기 인서트들이 공급되면 공급된 인서트들을 적재시키기 위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인서트를 척킹함과 동시에 전후, 좌우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척킹부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서보로봇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적재부는 제2 동력생성수단과, 상기 제2 동력생성수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테이블과,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의 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의 중공이 관통되어 적재되는 적재 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 바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의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서트 정렬부는 상기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의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인서트의 척킹 속도에 대응하여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양측으로 수직되게 설치되는 수직 주행프레임들과, 상기 수직 주행프레임들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주행프레임들을 따라 승하강 하는 승강플레이트들과, 상기 승강플레이트들 각각의 일면에 인접한 적재 바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들 중 최하부에 배치된 인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삽입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플레이트는 상기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최상부의 인서트가 상기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에 의하여 척킹되어 상기 지그부로 이송되면 상기 인서트의 적재높이만큼 상기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들을 승강시키고, 상기 회전테이블은 상기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의 척킹이 완료되면 인접한 적재 바가 상기 제1 척킹부의 직하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적재부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적재 바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삽입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이 상기 적재 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 바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인서트들을 승강시키고, 상기 회전테이블은 다변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인접하는 변들이 연접하는 연접영역에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인접하는 삽입홈들 사이의 변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적재 바들은 상기 회전테이블의 삽입홈들 사이의 영역에 수직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는 하강 시 상기 승강플레이트가 상기 회전테이블보다 하향되게 위치되고, 승강 시 상기 테이블의 삽입홈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적재 바들은 상기 회전테이블의 삽입홈들 사이의 영역에 복수개씩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의 수량은 상기 회전테이블의 삽입홈들 사이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설치되는 적재 바들의 수량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부의 하우징은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발생부가 설치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양측부에 연결되는 곡면부들과, 상기 곡면부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경사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부의 하우징은 높이 방향에서 상기 경사부들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 보다 하향되고, 폭 방향에서 상기 경사부들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 보다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차 사출성형품은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에 연설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스테이지부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착지그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핀이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1차 사출성형품이 상기 안착지그에 안착될 때 상기 1차 사출성형품의 관통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안착지그는 상기 안착홈으로 1차 사출성형품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2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2차 사출성형품은 상단부에 서로 이격되는 내측테두리 및 외측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 사출 시스템은 상기 제2 서보로봇에 의하여 상기 2차 금형 사출부로부터 취출된 2차 사출성형품을 공급받으면 공급받은 2차 사출성형품에 대한 비젼 검사를 수행하는 비젼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젼 검사부는 상면에 고정프레임부가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는 제2 안착지그; 상기 함체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초점이 상기 제2 안착지그를 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안착지그에 안착된 2차 사출성형품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제2 안착지그에 안착된 2차 사출성형품보다 하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의 외측테두리로 조명이 집중되도록 빛을 출사하는 제1 조명부; 상기 재2 안착지그에 안착된 2차 사출성형품보다 상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의 내측테두리로 조명이 집중되도록 빛을 출사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제1 조명부의 조명에 의하여 상기 외측테두리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촬영과, 상기 제2 조명부의 조명에 의하여 상기 내측테두리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조명부는 중공 원판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함체의 상면에 대접되는 원판부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테두리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조명하우징과, 상기 조명하우징의 경사판의 내면에 설치되어 빛을 출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원판부의 중공으로 상기 제2 안착지그가 삽입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조명부는 판재로 형성되되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하면에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부재를 갖으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면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드 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 및 중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와, 중공 원판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하면에 대접되는 원판부 및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테두리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조명하우징과, 상기 제2 조명하우징의 제2 경사판의 내면에 설치되어 빛을 출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명부는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가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중공 및 제2 원판부의 중공들의 직상부에 상기 카메라가, 직하부에 상기 제2 안착지그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젼검사부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주행레일과, 일측이 상기 수직 주행레일에 연결되는 판재로 형성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직 주행레일을 따라 승하강 되는 승하강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젼 검사부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 서보로봇에 의하여 상기 2차 금형 사출부로부터 취출된 2차 사출성형품을 공급받으면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 '
Figure 112015050285752-pat00001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결합되는 이송부 프레임과,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향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이송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 봉들과, 상기 가이드 봉들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의 직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보다 하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이송된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는 판재 형상의 보조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은 상호 이격거리가 상기 제2 서보로봇으로부터 2차 사출성형품을 공급받는 지점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보조 안착부에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의 외경의 두 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이 상기 보조 안착부로 하나씩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젼 검사부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함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판재로 형성되어 하면이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되 단부가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단부가 상기 함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출판을 포함하여 비젼 검사의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을 비젼 검사의 결과에 따라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비젼 검사부는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제2 척킹부들과, 상기 보조 안착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를 향하는 직선방향을 갖는 전후 주행레일과, 하부에 상기 제2 척킹부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판재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전후 주행레일에 결합되어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전후 주행레일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스테이지로 이루어지는 제2 보조 서보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서보로봇의 상기 제2 척킹부들의 상호 이격거리는 상기 보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2 안착지그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안착지그로부터 상기 배출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2 척킹부들은 한 쌍이며, 상기 제2 척킹부들 중 상기 보조 안착부에 인접한 제2 척킹부인 일측 제2 척킹부는 상기 보조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지그 사이를 이동하고, 타측 제2 척킹부는 상기 제2 안착지그 및 상기 배출부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한 번의 공정으로 상기 보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2 안착지그로의 이송과, 상기 제2 안착지그로부터 상기 배출부로의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스테이지는 상기 촬영부의 촬영 시 상기 카메라의 직하부에, 상기 제2 안착지그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투과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인서트를 공급받은 이후부터 비젼 검사를 수행하기까지의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운영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소모 및 공정 사이클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서트 정렬부에 의해 공급받은 인서트의 적재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인서트 정렬부가 적재된 인서트를 자동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기 설정된 방향 및 위치를 향하도록 인서트를 정렬시킴으로써 1차 금형사출부의 캐비티로 인서트를 신속하게 배치시킴과 동시에 인서트의 삽입 오차로 인한 금형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 및 이송부가 1차 사출성형품을 2차 금형 사출부로 신속하게 이송시키는 이송공정과, 가열된 상태의 1차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인력소모 및 공정 사이클이 더욱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젼 검사부가 최종 사출성형품인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의 형상 및 색상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조명이 구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에 대한 선명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비젼 검사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공정이 기 등록된 시간테이블에 따라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센서의 신호에 따라 유기적으로 운영됨으로써 공정들 중 어느 하나의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공정 간의 2차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서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서트를 활용하여 이중 사출된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MSBU)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중 사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인서트 정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적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승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승강부에 의하여 도 8의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가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6과 7의 제1 척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지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4와 5의 냉각 및 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이동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1 안착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투명하우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4와 5의 비젼 검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0의 제2 보조 서보로봇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제2 척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5의 제2 보조 서보로봇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도 20의 제2 안착지그 및 제1 조명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0의 제2 조명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제2 조명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조명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3은 도 4의 제1 서보로봇의 척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서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서트를 활용하여 이중 사출된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MSBU)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사진이다.
도 1의 인서트(88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후술되는 도 4의 이중 사출 시스템(1)의 1차 금형 사출부(4)의 캐비티(cavity) 내부로 삽입되어 1차 금형 사출된 후 2차 금형 사출부(7)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되어 2차 금형 사출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도 2와 3의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MSBU : macpherson strut bearing unit)(890)으로 사출 성형된다.
또한 인서트(880)는 중공(882)을 갖는 원판 형상의 원판부(881)와, 원판부(881)의 테두리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측벽(883)과, 원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벽(883)의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연장부(884)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부(884)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원판부(88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원판부(881)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884)는 일단부가 측벽(883)에 연결되되 대향되는 타단부를 향할수록 상향되는 제1 경사면(885)과, 제1 경사면(885)에 연결되는 제1 평탄면(886)과, 제1 평탄면(886)에 연결되어 대향되는 단부를 향할수록 하향되는 제2 경사면(887)과, 제2 경사면(887)에 연결되는 제2 평탄면(888)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 때 경사면(885), (887)들이 압축 및 복원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880)의 연장부(884)의 제2 평탄면(888)에는 양면을 관통하는 관통공(889)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889)들은 수지 재질과의 결합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1차 금형장치에 가공되어 있는 핀에 삽입되어 1차 사출성형품의 중앙에 인서트(880)가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한다.
도 2와 3의 서스펜션 베어링(MSBU)(890)은 전술하였던 도 1의 인서트(880)가 내부에 삽입되어 후술되는 도 4의 1차 사출 금형장치(4)에 의하여 성형되는 가이드 링(891)과, 후술되는 도 4의 2차 사출 금형장치(7)의 캐비티 내부로 가이드 링(891)이 삽입되어 사출 성형되는 차체연결부재(893)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스펜션 베어링(890)이 도 3과 4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 링(891)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높이 방향으로 중간 지점에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장부(892)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링(891)은 슬라이드 베어링(미도시)으로 삽입되고, 슬라이드 베어링은 연장부(891)에 걸려 지지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장부(891)에는 전술하였던 도 2의 인서트(880)의 관통공(889)들에 연설되는 관통공(미도시)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1차 사출성형품인 가이드 링(891)은 2차 금형 사출부(7)로 삽입될 때 2차 금형 사출부(7)에 가공되어 있는 핀이 관통공(미도시)들이 삽입되어 가이드 링(891)이 캐비티 내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는 기준점이 제공된다. 이때 가이드 링(891)의 연장부(892)의 관통공은 2차 금형 사출 시 차체연결부재(893)의 외측테두리(894)에 의해 덮여진다.
차체연결부재(893)는 가이드 링(891)의 연장부(892)의 상면에 형성되는 외측테두리(894)와, 가이드 링(891)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내측테두리(895)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측테두리(894)에는 내측테두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연장살(896)들이 형성된다.
또한 차체연결부재(893)는 통상적으로 흰색 색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서스펜션 베어링(890)은 조립 및 성형 푸붐의 인서트 성형 및 일체 성형 방법이 다양한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 및 사용화되어 있고, 이러한 방법은 통상적으로 까다로운 공정 및 설비를 통해 조립 및 성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중 사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5의 이중 사출 시스템(1)은 공급받은 인서트를 적재, 정렬 및 이송하는 인서트 정렬부(2)와, 인서트 정렬부(2)에 의해 정렬된 인서트(880)를 척킹(파지)하여 1차 금형 사출부(4)의 캐비티(cavity) 내부로 삽입시키며 1차 금형 사출부(4)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인 가이드 링(881)을 취출하여 냉각 및 이송부(5)로 이송시키는 앤드 이펙터(end effector)인 제1 서보로봇(3)과, 제1 서보로봇(3)에 의하여 캐비티 내부로 삽입된 인서트를 금형 사출하는 1차 금형 사출부(4)와, 1차 금형 사출부(4)에 의해 금형 사출되어 제1 서보로봇(3)에 의하여 취췰된 1차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키면서 후술되는 제2 서보로봇(6)에 의해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냉각 및 이송부(5)와, 냉각 및 이송부(5)에 의해 이송된 1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하여 2차 금형 사출부(7)의 캐비티 내부로 이송시키며 2차 금형 사출부(7)에 의해 금형 사출된 2차 사출성형품인 도 2의 서스펜션 베어링(890)을 후술되는 비젼 검사부(9)로 이송시키는 앤드 이펙터인 제2 서보로봇(6)과, 제2 서보로봇(6)에 의하여 캐비티 내부로 삽입된 인서트를 금형 사출하는 2차 금형 사출부(7)와, 2차 금형 사출부(7)에 의해 금형 사출되어 제2 서보로봇(6)에 의하여 이송된 2차 사출성형품의 비젼 검사를 수행하는 비젼 검사부(9)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4의 인서트 정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6과 7의 인서트 정렬부(2)는 1차 금형 사출부(3)의 공정 이전에 수행되는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상세하게로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인서트(880)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적재부(21)에 적재시키는 공정과, 보조 서보 로봇(servo-robot)을 이용하여 적재부(21)에 적재된 인서트(880)를 지그부(27)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시키는 공정과, 1차 금형 사출 시 캐비티 중앙에 인서트(880)가 기 설정된 방향 및 위치로 배치되도록 지그부(27)에 안착된 인서트(880)를 정렬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인서트 정렬부(2)는 공급된 대량의 인서트(880)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1차 사출 금형부(4)로 삽입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공급받은 인서트(880)를 1차 사출 금형부(4)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삽입시키는 공정은 제품의 품질(강도) 및 시스템 전체의 사이클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인서트 정렬부(2)는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로 형성되어 측면에 투명판(201)이 설치되는 하우징(20)과, 인서트(880)들이 적재되되 하우징(20) 내부에 수직 설치되는 복수개의 적재 바(211)들로 이루어지는 적재부(21)와, 하우징(2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함체부(23)와, 적재 바(211)에 적재된 인서트(880)를 척킹(파지)하기 위한 제1 척킹부(241)들을 포함하며 함체부(23)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보조 서보로봇(24)과, 제1 보조 서보로봇(24)의 제1 척킹부(241)들에 의해 인서트(880)가 파지(척킹)되어 후술되는 지그부(27)로 이송되면 이송된 인서트(880)의 하부에 배치된 인서트가 적재 바(211)의 최상부에 배치되도록 인서트(880)들을 승강시키는 승강부(25)와, 제1 보조 서보로봇(24)에 의하여 적재 바(211)로부터 척킹된 인서트(880)가 안착되며 안착된 인서트(880)를 정렬시키는 지그부(27)와, 하우징(20) 및 함체부(4)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29)로 이루어진다.
하우징(20)은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적재부(21)가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차단하여 적재부(21)의 적재 바(211)들에 적재된 인서트(880)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하우징(20)은 측면에 투명판(201)들이 설치되어 적재부(21)의 동작상태 및 적재상황에 대한 확인 및 점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8은 도 6의 적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적재부(21)는 하우징(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 받은 인서트(880)들이 적재된다.
또한 적재부(21)는 팔변형 판재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동력 생성수단(219)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테이블(212)과, 회전테이블(212)의 하면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발생시켜 회전테이블(212)을 회전시키는 동력 생성수단(219)과,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테이블(212)의 상면의 테두리에 인접한 지점에 상호 이격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적재 바(211)들과, 판재로 형성되되 양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삽입공(217)들이 형성되며 각 삽입공(217)으로 적재 바(211)가 관통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삽입된 적재 바(211)들의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16)들로 이루어진다.
회전테이블(212)은 하면에 동력생성수단(219)이 결합되고, 상면에 적재 바(211)들이 수직 설치됨으로써 동력생성수단(219)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적재 바(211)들을 회전시킨다.
또한 회전테이블(212)은 팔변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각 변이 연접하는 연접영역에 판재의 중앙을 향하여 내측으로 삽입홈(213)들이 형성되고, 삽입홈(213)으로는 후술되는 도 9의 승강부(25)의 삽입부(252)가 삽입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회전테이블(212)이 팔변형의 판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회전테이블(2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변형 판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회전테이블(212)은 회전 시 평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적재 바(211)에 적재된 인서트(880)를 지그부(27)로 이송하기 위하여 제1 보조 서보로봇(24)의 제1 척킹부(241)들에 의하여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가 회전테이블(212)의 회전 반경, 상세하게로는 적재 바(211)들의 회전 반경에 포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재 바(211)들 중 한 쌍의 적재 바들은 제1 척킹부(241)들 각각의 직하부에 배치된다.
지지플레이트(216)는 내부에 한 쌍의 적재 바(211)들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217)들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며, 회전테이블(212)의 삽입홈(213)들 사이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216)는 삽입공(217)들의 내경이 적재 바(2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삽입공(217)들로 적재 바(211)가 관통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216)는 적재 바(21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216)는 대접되는 회전테이블(212)의 대접면보다 길이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회전테이블(212)에 안착될 때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가 삽입홈(213)까지 돌출된다. 즉 지지플레이트(216)는 양 단부가 삽입홈(213)들로 돌출됨으로써 삽입홈(213)으로 삽입되는 승강부(25)의 삽입부(252)에 의하여 지지되고, 이에 따라 승강부(25)의 삽입부(252)의 승하강에 따라 적재 바(211) 내에서 승하강 하게 된다.
적재 바(211)들은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테이블(212)의 상면에 한 쌍의 단위로 동일 원호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수직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적재 바(211)들은 하나의 지지플레이트(216)의 삽입홈(217)들 각각으로 관통된다. 이때 적재 바(211)들은 회전테이블(212)의 삽입홈들 사이의 영역에 2개씩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제1 보조 서보로봇(24)은 2개의 적재 바(211)들에 적재된 인서트를 한 번에 두 개씩 척킹할 수 있도록 2개의 제1 척킹부들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테이블(212)이 적재 바(211)들이 수직 설치되면, 작업자에 의하여 적재 바(211)의 상단부로 인서트(880)의 중공(882)이 삽입되며, 삽입된 인서트(880)가 적재 바(211)를 따라 낙하됨에 따라 낙하된 인서트(880)들은 지지플레이트(216)의 상부에 차례대로 적재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적재 바(211)들은 한 쌍의 단위로 회전테이블(212)에 설치됨과 동시에 동력 생성수단(219)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적재 바(211)들 중 한 쌍의 적재 바(211)들은 제1 보조 서보로봇(24)의 제1 척킹부(241)들 각각의 직하부에 배치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척킹부(241)들이 하강하여 직하부에 배치된 적재 바(211)들에 적재된 인서트(880)들 중 최상부에 적재된 두 개의 인서트(880)들을 각각 척킹하여 지그부(27)로 이송시킨다.
도 9는 도 7의 승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의 승강부(25)는 하우징(20)을 향하는 함체부(23)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지지플레이트(216)들 중 회전테이블(212)의 회전에 의하여 인접하게 배치된 지지플레이트(216)를 승강시켜 적재 바(211)들에 적재된 인서트(880)들을 승강 시킨다. 이때 승강부(25)는 인접한 지지플레이트(216)에 적재된 인서트(880)들이 모두 지그부(27)로 이송되면 해당 지지플레이트(216)를 하강시킨 후 대기한다.
또한 승강부(25)는 함체부(23)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양측에 레일들이 형성되는 승강 주행프레임(253)과, 승강 주행프레임(253)의 레일들 각각에 결합되어 승강 주행프레임(253)을 따라 승하강 되는 승강 플레이트(251)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승강 플레이트(251)들은 설치 시 적재부(21)를 향하는 일면에 일면으로부터 삽입부(252)들이 돌출 형성되고, 삽입부(252)들은 전술하였던 도 9의 회전테이블(212)의 삽입홈(213)들로 각각 삽입된다.
또한 삽입부(252)는 회전테이블(212)의 삽입홈(213)으로 삽입되어 지지플레이트(216)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216) 및 지지플레이트(216)의 상부에 적재된 인서트들이 삽입부(252)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또한 승강부(25)는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의 인서트 척킹 속도에 대응하여 인서트를 승강시킨다.
도 10은 도 9의 승강부에 의하여 도 8의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가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적재부(21) 및 승강부(25)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승강부(25)의 승강플레이트(251)는 최초 회전테이블(212)의 하부에 위치하며, 적재 바(211)에 인서트(880)들이 모두 적재된 지지플레이트(216)가 회전테이블(212)의 회전에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면 외부 제어신호에 의하여 승강 주행프레임(253)을 따라 승강하여 삽입부(252)가 회전테이블(212)의 삽입홈(213)으로 삽입된다. 이때 승강플레이트(251)의 삽입부(212)들은 삽입홈(213)들로 돌출된 지지플레이트(216)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함으로써 지지플레이트(216)는 승강플레이트(251)의 삽입부(212)들에 의해 지지되어 승하강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 바(211)의 최상부에 적재된 인서트(880)가 제1 보조 서보로봇(24)의 제1 척킹부(241)에 의하여 지그부(27)로 이송되면 승강부(25)는 인서트(880)의 적재높이만큼 상승함으로써 적재 바(211)에 적재된 인서트(880)들이 제1 보조 서보로봇(24)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지그부(27)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테이블(212)은 인접한 적재 바(211)들에 적재된 모든 인서트(880)들의 척킹 및 이송이 완료되면 다음 적재 바(211)들이 제1 척킹부(241)의 직하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됨으로써 공정이 정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서트 정렬부(2)는 공급된 인서트(880)들이 적재 바(211)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적재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적재 바(211)로 인서트(880)들을 적재시키기 위한 공정이 매우 용이해져 공정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적재 바(211)에는 대략 55 ~ 65 개의 인서트들이 적재됨과 동시에 회전테이블(212)에는 대략 16개의 적재 바(211)들이 설치되기 때문에 적재부(21)에는 대략 880 ~ 1170개의 공급된 인서트(880)들이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재 바(211)에 적재된 인서트(880)들은 한 쌍의 제1 척킹부(241)들에 의하여 한 번에 2개씩 지그부(27)로 이송되기 때문에 공정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적재 바(211)의 최상부에 적재된 인서트(880)가 이송되면 승강플레이트(251)의 상승에 의하여 지지플레이트(216)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이송된 인서트의 하부에 적재된 인서트가 적재 바(211)의 최상부로 승강함으로써 공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인서트 정렬부(2)는 공급된 인서트(880)들을 적재 바(211)로 삽입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적재된 인서트들을 지그부(27)로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력소모 및 작업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고, 종래에 공급 받은 인서트를 정리, 적재 및 이송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의 제1 보조 서보로봇(24)은 인서트(880)를 척킹(파지)하기 위한 척킹유닛(291)들을 포함하는 한 쌍의 제1 척킹부(241)들과, 제1 척킹부(241)들을 좌우 방향(X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좌우 주행레일(245)과, 제1 척킹부(241)들을 전후 방향(Y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전후 주행레일(247)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척킹부(241)가 주행레일(245), (247)들을 따라 이송하는 방법 및 구성은 앤드 이펙터 및 로봇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1 척킹부(241)들은 좌우 주행레일(245) 및 전후 주행레일(247)에 의하여 평면상의 기 설정된 위치좌표 데이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척킹부(241)는 적재 바(211)에 적재된 인서트(880)를 척킹하기 위한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할 때 전술하였던 도 9의 승강부(25)의 삽입부(252)의 직상부에 채비되고, 척킹된 인서트(880)를 지그부(27)로 안착시키기 위한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할 때 지그부(27)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위치좌표 데이터가 기 설정됨으로써 적재 바(211)의 적재된 인서트(888)들은 제1 보조 서보로봇(24)의 제1 척킹부(241)들에 의해 지그부(27)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서보로봇(24)은 이동플레이트(246)를 더 포함하고, 이동 플레이트(246)는 일측이 좌우 주행레일(245)에, 타측이 전후 주행레일(247)에 결합됨으로써 좌우 주행레일(245) 또는 전후 주행레일(247)을 따라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제1 척킹부(241)들이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이때 제1 척킹부(241)들의 이격거리는 지지플레이트(216)의 삽입공(217)들 사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거리로 형성됨으로써 각 제1 척킹부는 직하부에 배치된 인서트(880)를 척킹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6과 7의 제1 척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다.
제1 척킹부(241)는 도 11과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는 고정브라켓(293)과, 고정브라켓(293)의 상면에 결합되어 고정브라켓(293)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구동부(294)와, 고정브라켓(293)의 하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실린더가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296)들이 양측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척킹유닛 구동부(295)와, 판재로 형성되어 척킹유닛 구동부(295)의 양측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296)들 각각에 수직 결합되는 지지체(297)들과, 지지체(297)들 각각에 설치되며 하부에 한 쌍의 척킹유닛(291)이 설치되는 이동체(298)들과, 척킹유닛 구동부(295)의 내측에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296)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S)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하강 구동부(294) 및 척킹유닛 구동부(295)는 액츄이에터 및 실린더 등의 공지된 동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척킹유닛(291)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부에 걸림턱(292)에 의해 외경이 증가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척킹부(241)는 일측 이동체(298)에 설치되는 척킹유닛들과 타측 이동체에 설치되는 척킹유닛들의 이격거리는 피스톤 로드(296)의 동작에 따라 변하게 된다.
또한 척킹유닛(291)을 지지하는 지지체(297) 및 이동체(298)는 척킹유닛 구동부(295)로부터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296)의 단부에 결합됨에 따라 피스톤 로드(296)의 길이 연장 및 축소에 따라 수평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척킹부(241)는 척킹유닛(291)들의 이격거리가 전술하였던 도 1의 인서트(880)의 중공(88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척킹유닛 구동부(295)의 피스톤 로드(296)가 축소되면, 승하강 구동부(294)에 의하여 척킹유닛(291)들이 하강하여 인서트(880)의 중공(882)으로 삽입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척킹유닛 구동부(295)의 피스톤 로드(296)가 확장되면 척킹유닛(291)의 걸림턱(292)이 인서트(882)의 원판부(881)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고, 승하강 구동부(294)에 의하여 척킹유닛(291)들이 승강하면 인서트(880)의 원판부(881)가 걸림턱(292)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척킹유닛(291)의 외주면이 인서트(880)의 중공(882)을 형성하는 내측벽을 가압함으로써 인서트(880)를 견고하게 척킹할 수 있게 된다.
감지센서(S)는 척킹유닛 구동부(295)의 내부에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296)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피스톤 로드(296)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 구동되는 경우 알림 및 경고메시지를 설비 컨트롤러로 전송함으로써 이후의 공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공정오류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감지센서(S)는 척킹유닛 구동부(295)의 피스톤 로드(296)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피스톤 로드(296)가 동작하지 않는 것은 척킹유닛(291)들에 의한 인서트(880)의 척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으미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감지센서(S)를 이용하여 척킹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되지 않았지만 제1 척킹부(241)는 척킹유닛(291)의 척킹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제1 척킹부(241) 이동 시 척킹된 인서트의 낙하 및 유실을 즉각적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척킹부(241)는 좌우 주행레일(245) 및 전후 주행레일(247)에 의하여 평면상의 기 설정된 위치좌표 데이터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승하강 구동부(294)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척킹부(241)는 적재 바(211)에 적재된 인서트(880)를 척킹할 때 전술하였던 도 10의 승강부(25)의 삽입부(252)의 직상부에 위치하고, 척킹된 인서트(880)를 지그부(27)에 안착시킬 때 지그부(27)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위치좌표 데이터가 기 설정됨으로써 적재 바(211)의 적재된 인서트(880)들은 제1 척킹부(241)에 의해 지그부(27)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제1 척킹부(241)는 삽입부(252) 또는 지그부(27)의 직상부에 배치되도록 이동되면 승하강 구동부(294)에 의해 척킹유닛(291)이 하강하여 인서트(880)를 척킹 또는 척킹해제 한다.
도 13은 도 6의 지그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측단면도이다.
도 13과 14의 지그부(27)는 함체부(23)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1 척킹부(241)에 의해 인서트(880)가 안착되면 안착된 인서트(880)가 1차 금형 사출부(4)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될 때 최적의 방향 및 위치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인서트(880)를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 1의 인서트(880)는 1차 금형 사출부(4)의 캐비티로 삽입될 때 제2 평탄면(888)의 관통공(889)으로 금형 내 돌출 형성된 가이드 핀(미도시)이 관통함으로써 인서트(880)가 1차 금형사출 시 캐비티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지그부(27)는 인서트(880)의 관통공(889)들 중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위치를 향하도록 인서트(880)를 정렬시키는 정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서 인서트 사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지그부(27)는 상하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함체부(23)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그부 몸체(271)와, 지그부 몸체(27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체(273)와, 회전체(273)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감속기 등을 포함하는 동력 생성수단(274)과,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그부 몸체(271)의 승강핀 삽입홈(272)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승강핀(275)과, 승강핀(275)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광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광센서(278)와, 승강핀(275)의 하부에 결합되어 승강핀(275)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승강핀 구동부(276)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3과 1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력 생성수단(274)이 모터 및 감속기 등으로, 승강핀 구동부(276)가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동력 생성수단(274) 및 승강핀 구동부(276)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법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착된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이 승강핀(275)의 직상부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광센서(278)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감지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센서 및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지그부 몸체(271)는 상하부가 개구된 육면체로 형성되며, 함체부(23)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지그부 몸체(271)는 내측면에 회전체(273)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지그부 몸체(271)는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승강핀(275)이 설치되는 승강핀 삽입홈(27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273)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그부 몸체(271)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회전체(281)와, 제1 회전체(281)보다 직경이 작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 내측으로 원 형상으로 홈(284)이 형성되어 제1 회전체(281)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체(283)로 이루어지고, 제1 회전체(281)의 하부가 동력 생성수단(274)에 결합됨으로써 동력 생성수단(27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체(273)는 지그부 몸체(271)에 설치될 때 제1 회전체(281)의 상면이 지그부 몸체(271)의 상면보다 하향되고, 제2 회전체(283)의 상면이 지그부 몸체(271)의 상면보다 상향되도록 설치되고, 지그부 몸체(271)의 내측면 및 제2 회전체(283)의 외측면 사이로 간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그부(27)로 인서트(880)가 안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1 회전체(281)가 인서트(880)의 중공(882)으로 삽입되면서 인서트(880)의 원판부(881)는 제1 회전체(281)에 안착되고, 인서트(880)의 측벽(883)은 지그부 몸체(271)의 내측면 및 제2 회전체(283)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인서트(880)의 연장부(884)는 지그부 몸체(271)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로 안착된다. 이때 지그부(27)에 안착된 인서트(880)는 회전체(27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승강핀(275)은 지그부 몸체(271)의 승강핀 삽입홈(272) 내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부가 승강핀 구동부(276)에 결합되어 승강핀 구동부(276)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 하게 된다.
이때 승강핀(275)은 하강 시 단부가 지그부 몸체(27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며, 승강 시 단부가 지그부 몸체(27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상세하게로는 안착된 인서트(880)의 연장부(884)보다 높게 상향되도록 승강핀 삽입홈(272)에 설치된다.
또한 승강핀(275)은 인서트(880)가 안착될 때 평면상에서 인서트(880)의 관통공(889)들과 동일한 원호 상에 배치됨으로써 광센서(278)에 의해 승강핀(275)의 직상부에 인서트(880)의 관통공(889)들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되면 승강하여 직상부의 관통공(889)으로 삽입되고, 이에 따라 인서트(880)는 금형 사출 시 캐비티 중앙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광센서(278)는 광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장치이며, 인서트(880)가 안착될 때 평면상에서 인서트(880)의 관통공(889)들과 동일한 원호를 형성하도록 지그부 몸체(271)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광센서(278)는 광신호를 송신한 후 반사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승강핀(275)의 직상부에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이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 말하면 광센서(278)는 수신된 광신호 정보를 제어부(미도시) 또는 컨트롤러(미도시)로 전송하고, 제어부 또는 컨트롤러는 만약 광센서(278)에 의해 광신호를 수신 받으면 승강핀 삽입홈(272)의 직상부에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이 위치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광센서(278)에 의해 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승강핀 삽입홈(272)의 직상부에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이 위치하였다고 판단하여 승강핀 구동부(276)에 의해 승강핀(275)이 승강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그부(27)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지그부(27)는 제1 척킹부(241)들에 의하여 인서트(880)가 안착되면 광센서(278)에서 광신호가 송출되며, 광신호를 이용하여 승강핀(275)의 직상부에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승강핀(275)의 직상부에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이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동력 생성수단(274)에 의해 승강핀(275)의 직상부에 안착된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이 배치되도록 회전체(273)가 회전된다. 이때 승강핀(275)의 직상부로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이 배치되면 승강핀(275)이 상승하여 관통공(889)으로 삽입됨으로써 인서트(880)는 1차 금형 사출부(4)의 캐비티 중앙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서트(880)가 특정 방향 및 위치로 1차 금형 사출부(4)로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1차 금형 사출부의 캐비티 중앙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인서트(880)의 관통공(889)들이 복수개 형성되고, 승강핀(275)이 인서트(880)의 관통공(889)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인서트(880)가 특정 방향 및 위치를 가지는 경우에는 인서트(880)의 관통공(889)을 하나로 형성하여 인서트(880)의 방향 및 위치를 정렬시키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서트 정렬부(2)는 지그부(27)가 회전체(273), 광센서(278) 및 승강핀(275)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인서트(880)의 방향을 정렬함으로써 인서트가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금형 사고로 인한 공정시간 지체, 장비점검 등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5의 제1 서보로봇(3)은 지그부(27)에 정렬 안착된 인서트(880)를 1차 금형 사출부(4)의 금형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키는 인서트 삽입공정과, 1차 금형 사출부(4)에 의하여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을 취출하여 냉각 및 이송부(5)로 이송시키는 이송공정을 수행한다.
즉 인서트 정렬부(2)의 지그부(27)에 정렬되어 안착된 인서트(880)는 제1 서보로봇(3)에 의하여 1차 금형 사출부(4)로 삽입되고, 1차 금형 사출부(4)에 의하여 1차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은 제1 서보로봇(3)에 의하여 냉각 및 이송부(5)로 이송하게 된다.
1차 금형 사출부(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비티를 형성하여 제1 서보로봇(3)에 의하여 캐비티 내부로 인서트가 삽입되면 1차 금형 사출성형을 수행하여 전술하였던 도 3의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가이드 링(891)인 1차 사출성형품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또한 1차 금형 사출부(4)는 캐비티로 인서트(880)가 삽입되면 금형을 닫는 형체공정과, 용융된 수지를 설정압력으로 금형에 사출시키는 사출공정과, 금형 내의 용융수지가 경화될 때까지 사출 압력을 유지시키는 보압 공정과, 금형을 열어 코어에 부착된 성형품을 취출하는 취출공정과, 성형품에 연결된 런너 및 게이트를 제거하는 제거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공지된 다양한 구성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도 4와 5의 냉각 및 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냉각 및 이송부(5)는 1차 금형 사출부(4)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인 도 3의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가이드 링(891)을, 제2 서보로봇(6)의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이송공정과, 가열된 상태의 1차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냉각 및 이송부(5)는 지지프레임부(51), 레일부(53), 이동스테이지부(55), 냉각부(57) 및 구동제어부(59)로 이루어진다.
지지프레임부(51)는 장비의 골격을 형성하며, 강성을 가진 바 또는 판재들로 이루어져 구성수단(53), (55), (57), (59)들을 지지한다.
레일부(53)는 프레임부(51)의 상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532) 및 제3 가이드레일(533)과, 제2 가이드레일(532) 및 제3 가이드레일(533)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531)로 이루어진다.
제2, 제3 가이드레일(532), (533)들은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도 16의 이동스테이지부(55)의 가이드부(555), (556)들 각각의 가이드 홈(555')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제2, 제3 가이드레일(532), (533)들을 따라 이동스테이지부(55)가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가이드레일(531)은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가이드레일(532) 및 제3 가이드레일(533)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제1 가이드레일(531)은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가이드홈(531')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가이드레일(531)의 가이드 홈(531')으로는 이동스테이지부(55)의 돌출부(557)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된다.
도 16은 도 15의 이동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동스테이지부(5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보로봇(3)에 의하여 1차 금형 사출부(4)로부터 취출된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며, 구동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하여 레일부(53)를 따라 직선 이동하여 1차 사출성형품을 제2 서보로봇(6)의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이동스테이지부(55)는 면적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레일부(5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스테이지(551)와, 이동스테이지(551)의 상부에 설치되어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안착지그(553)와, 하면에 제2, 제3 가이드레일(532), (533)들 각각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가이드 홈(555')이 형성되어 이동스테이지(551)의 하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555), (556)들과, 가이드부(555), (556)들 사이의 이동스테이지(551)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1 가이드레일(531)의 가이드 홈(531')으로 삽입되는 돌출부(557)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동스테이지부(55)는 일측이 구동제어부(59)에 결합되어 구동제어부(59)의 제어에 의하여 레일부(53)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동스테이지(551)는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555), (556)들 및 돌출부(557)에 의하여 레일부(53)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및 이송부(5)는 이동스테이지(551)의 돌출부(557) 및 가이드부(555), (556)들이 레일부(53)의 제1 가이드레일(531) 및 제2, 제3 가이드레일(532), (533)들 각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이동스테이지(551)에 안착된 1차 사출성형품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도 16의 제1 안착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평면도이다.
도 17과 18의 제1 안착지그(553)는 이동스테이지(55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제1 안착지그(553)가 이동스테이지(551)의 상면에 4개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안착지그(553)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안착지그(553)는 안착지그 몸체(561) 및 가이드 핀(565)들로 이루어진다.
제1 안착지그 몸체(561)는 면적 및 두께를 판재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안착홈(563)이 내측으로 형성된다. 이때 안착지그 몸체(561)의 안착홈(563)은 대접되는 1차 사출성형품의 대접면의 형상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1차 사출성형품이 견고하게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안착지그 몸체(561)의 상면의 테두리에 인접한 위치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핀(565)들이 수직 설치된다.
가이드 핀(565)들은 길이를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착지그 몸체(561)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에 수직 설치되며,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지그 몸체(561)의 안착홈(565)에 안착될 때 1차 사출성형품의 관통공으로 삽입됨으로써 1차 사출성형품이 기 설정된 위치 및 방향을 향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이송공정 시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소망의 위치 및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안착지그(553)는 안착지그 몸체(561)의 안착홈(563)의 대향되는 내측벽에 광센서(S)가 설치되고, 광센서(S)는 광 신호를 출사하는 송신부 및 광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를 포함하여 안착홈(563)으로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될 때 광 신호가 1차 사출성형품에 의하여 차단되어 광 신호를 수신 받게 되고, 안착홈(563)으로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지 않을 때 광 신호를 수신 받지 않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안착지그(553)는 광센서(S)를 통해 안착홈(563)으로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기 설정된 공정 절차에 따라 안착홈(563)으로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어야 하는 시점에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지 않는 경우 설비 제어부로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지 않아 이송공정의 동작을 정지하라는 알림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금형 및 설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1차 금형 사출부(4)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이 제1 서보로봇(3)에 의하여 취출되어 1차 사출성형품이 취출 당시 그대로의 위치 및 방향으로 제1 안착지그(553)에 안착됨으로써 가이드핀(565)이 1차 사출성형품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1차 사출성형품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1차 금형 사출부(4)의 취출이 낙하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안착지그(553)는 전술하였던 도 11의 지그부(27)로 구성되어 지그부가 1차 사출성형품을 회전시켜 대응되는 승강핀의 직상부에 관통공이 위치하도록 한 후 승강핀을 승강시켜 관통공으로 삽입하는 정렬공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각부(57)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부(51)의 상부, 상세하게로는 길이방향으로 레일부(53)의 중간지점에 레일부(53) 및 레일부(53)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스테이지부(55)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냉기를 발생시켜 가열된 상태로 이동스테이지부(55)에 안착된 1차 사출성형품이 이송할 때 1차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킨다.
또한 냉각부(57)는 투명재질의 터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부(51)의 상부에 설치되는 투명하우징(571)과, 투명하우징(571)의 상면에 설치되어 투명하우징(571)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블로워(573)들로 이루어진다.
투명하우징(571)은 '
Figure 112015050285752-pat00002
'자 형상의 각면을 갖는 터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냉각블로워(573)들로부터 공기를 유입받기 위한 유입공(미도시)들이 형성된다.
또한 투명하우징(571)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1차 사출성형품의 손상 및 오염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냉각블로워(573)는 냉기를 배출하는 배출공(미도시)이 투명하우징(571)의 유입공에 연설되도록 투명하우징(571)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및 이송부(5)는 이동스테이지부(55), 레일부(53) 및 구동제어부(59)에 의한 1차 사출성형품의 이송공정과, 냉각부(57)에 의한 1차 사출성형품의 냉각공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종래에 이송공정 및 냉각공정이 분리되어 수행되어 설비가 복잡하며, 전체 사출 사이클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냉각 및 이송부(5)는 이동스테이지부(55)의 제1 안착지그(553)가 안착홈(563)을 형성함과 동시에 1차 사출성형품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가이드핀(565)으로 구성됨으로써 2차 금형 사출부(7)로 1차 사출성형품이 특정 방향 및 위치로 정렬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삽입 오차로 인한 금형사고를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5의 투명하우징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의 투명하우징(671)의 제2 실시예는 곡면을 갖는 터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냉각블로워(573)로부터 지속적으로 냉기가 유입되어 결로가 발생할 때 발생된 결로가 곡면 및 경사면을 따라 1차 사출성형품 및 설비로 낙하되지 않고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투명하우징(671)은 냉각블로워(573)들이 설치되는 평탄면(672)과, 평탄면(672)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곡면(673), (673')들과, 곡면(673), (673')들에 연결되어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대향되는 단부를 향할수록 하향되는 경사면(675), (675')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투명하우징(571)은 경사면(675)들의 단부가 높이방향으로 레일부(53)보다 하향되고, 폭방향으로 레일부(53)보다 외측으로 배치됨으로써 결로가 발생할 때 발생된 결로가 곡면 및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5의 제2 서보로봇(6)은 냉각 및 이송부(5)의 이동스테이지(551)가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되면 이동스테이지(551)의 제1 안착지그(553)에 안착된 1차 사출성형품을 2차 금형사출부(7)의 금형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키는 삽입공정과, 2차 금형 사출부(7)에 의하여 금형 사출된 2차 사출성형품을 취출시키는 취출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서보로봇(6)은 제1 서보로봇(3)과 동일하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인서트 또는 사출성형품을 척킹하기 위한 척킹유닛들과, 척킹유닛들을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서보로봇의 구성은 로봇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냉각 및 이송부(5)의 제1 안착지그(553)에 안착된 1차 사출성형품은 제2 서보로봇(6)에 의하여 2차 금형 사출부(7)의 캐비티로 삽입되고, 2차 금형 사출부(7)에 의하여 2차 금형 사출된 2차 사출성형품은 제2 서보로봇(6)에 의하여 취출된다.
도 20은 도 4와 5의 비젼 검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평면도이다.
도 20 내지 22의 비젼 검사부(9)는 구성 수단들이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함체(90)와, 제2 서보로봇(6)에 의하여 2차 금형사출부(7)로부터 취출된 2차 사출성형품인 도 2와 3의 서스펜션 베어링(890)을 공급받으면 2차 사출성형품을 함체(90)에 인접하게 이송함과 동시에 후술되는 제2 보조 서보로봇(92)에 의하여 척킹될 수 있도록 2차 사출성형품을 정렬하는 이송부(91)와, 제2 척킹부(921), (921')들을 포함하는 제2 보조 서보로봇(92)과, 함체(9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2 보조 서보로봇(92)에 의하여 2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는 제2 안착지그(93)와, 프레임들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함체(9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94)와, 고정프레임부(94)에 승하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951)를 포함하는 촬영부(95)와, 중앙으로 제2 안착지그(93)가 관통하여 촬영부(95) 구동 시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조명을 출력하는 제1 조명부(96)와, 고정프레임부(94)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촬영부(95) 구동 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조명을 출력하는 제2 조명부(97)와, 촬영부(95)에 의하여 촬영이 완료되어 사출성형품의 검사 결과 여부에 따라 사출성형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98)로 이루어진다.
함체(90)는 구성 수단(91), (92), (93), (94), (95), (96), (97), (98)들을 지지 및 고정한다.
도 23은 도 20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도 23과 24의 이송부(91)는 2차 금형사출부(7)로부터 취출되는 2차 사출성형품을 정렬하는 정렬공정과, 2차 사출성형품을 함체(90)에 인접하게, 상세하게로는 제2 보조 서보로봇(92)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기 설정된 위치인 보조 안착부(917)로 이송시키는 이송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이송부(91)는 공급받은 2차 사출성형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911)와, 컨베이어 벨트(911)로부터 상향되게 설치되어 후술되는 가이드 봉(915), (915')들을 고정시키는 이송부 프레임(913)과,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컨베이어 벨트(911)와 평행하며 상향 이격되도록 이송부 프레임(913)에 결합되는 가이드 봉(915), (915')들과, 함체(90)에 인접한 컨베이어 벨트(911)의 단부에 배치되어 컨베이어 벨트(911)에 의해 이송된 2차 사출성형품이 임시적으로 안착되는 보조 안착부(917)로 이루어진다.
이송부 프레임(913)은 '
Figure 112015050285752-pat00003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향되는 프레임들이 컨베이어 벨트(911)의 양측부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대향되는 프레임들에 연결되는 프레임은 컨베이어 벨트(911)와 평행하면서 상향 이격되게 설치된다.
가이드 봉(915), (915')들은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컨베이어 벨트(911)로부터 평행하되 상향되게 이송부 프레임(913)에 결합된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911)로부터 가이드 봉(915), (915')들의 높이는 도 2의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가이드 링(891)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부(892)까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봉(915), (915')들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사출성형품이 유입되는 지점은 컨베이어 벨트(911)의 폭의 거리와 동일하게, 사출성형품이 배출되는 보조 안착부(917)에 인접한 지점은 전술하였던 도 2의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가이드 링(891)의 직경과 유사하게 형성, 즉 컨베이어 벨트(911)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호 간격이 줄어들게 형성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911)로 공급된 사출성형품은 가이드 봉(915), (915')들에 의하여 정렬되어 하나씩 차례대로 보조 안착부(917)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가이드 봉(915), (915')들은 보조 안착부(917)에 인접한 지점은 전술하였던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가이드 링(891)의 직경의 두 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이격된 거리 사이에 하나의 서스펜션 베어링(890)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안착부(917)는 면적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평면상으로 컨베이어 벨트(911)의 단부에 인접하게, 높이 상으로 컨베이어 벨트(911)의 단부보다 하향되도록 함체(90)의 상면에 설치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911)에 따라 이동하는 2차 사출성형품들은 가이드 봉(915), (915')들에 의하여 하나씩 차례대로 보조 안착부(917)로 안착된다. 이때 안착된 사출성형품은 제2 보조 서보로봇(92)의 제2 척킹부(921), (921')들 중 하나인 제2 척킹부(921)에 의하여 척킹되어 제2 안착지그(93)로 이송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조 안착부(917)가 단순히 고정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보조 안착부(917)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착되는 2차 사출성형품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 및 홈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5는 도 20의 제2 보조 서보로봇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제2 척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측면도이다.
도 25의 제2 보조 서보로봇(92)은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주행레일(923)과, 사출성형품을 척킹(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척킹유닛(931), (931')들이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척킹부(921), (921')들과, 판재로 형성되어 제2 척킹부(921), (921')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일측이 전후 주행레일(923)에 결합되어 전후 주행레일(923)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스테이지(925)로 이루어진다.
이동 스테이지(925)는 일측이 전후 주행레일(923)에 결합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전후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 스테이지(925)는 하부에 제2 척킹부(41), (41')들이 전후 주행레일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이동 스테이지(925)는 일측에 양면을 관통하는 소정 면적의 투과공(926)이 형성된다.
제2 척킹부(921)는 도 26과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930)와, 고정 플레이트(930)의 상면에 결합되어 고정 플레이트(930)를 승하강 시키는 높이 조절부(932)와, 고정 플레이트(930)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체(933)와, 고정체(933)의 하부 양단부에 설치되는 지지체(934)들과, 내부에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되되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936)가 일면을 관통하여 지지체(934)에 연결되는 이동체(935)들과, 이동체(935)들 각각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출성형품을 척킹하는 척킹유닛(931), (931')들과, 고정체(933)의 일측에 설치되어 척킹유닛(931), (931')들이 사출성형품을 척킹 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9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체(935)의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936)의 단부에 지지체(934)가 결합됨에 따라 피스톤 로드(936)의 길이가 연장될 때 척킹유닛(931), (931')들이 외측으로 벌려져 척킹유닛(931), (931')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피스톤 로드(936)의 길이가 줄어들 때 척킹유닛(931), (931')들이 내측으로 가까워져 척킹유닛(931), (931')들 사이의 이격거리가 작아지게 된다.
즉 제2 척킹부(921)는 높이 조절부(932)에 의하여 척킹유닛(931), (931')들이 승하강 가능하게 되고, 이동체(935)의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936)의 변위에 따라 척킹유닛(931), (931')들의 이격거리가 조절된다.
척킹유닛(931), (931')들은 내측을 향하는 내측면(937)이 평면으로, 외측면(938)이 곡면으로 형성되며, 외측면(938)에 걸림턱(939)이 형성되어 걸림턱(939)에 의하여 외측면이 외측으로 확장된다.
또한 척킹유닛(931), (931')들은 사출성형품인 도 2와 3의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가이드 링(891)의 중공으로 삽입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이격거리가 증가하여 가이드 링(891)의 내측벽을 가압함과 동시에 걸림턱(939)이 가이드 링(891)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서스펜션 베어링(890)을 척킹하게 된다. 이때 척킹유닛(931), (931')들은 척킹 과정의 역순으로 동작하여 척킹된 서스펜션 베어링(890)을 척킹 해제하게 된다.
감지센서(940)는 제2 척킹부(921), (921')들 각각의 고정체(933)에 설치되며, 척킹유닛(931), (931')들에 2차 사출성형품이 척킹되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제2 척킹부(921), (921')들이 2차 사출성형품을 척킹 하지 못한 상태로 구동되거나 또는 2차 사출성형품이 제2 척킹부(921), (921')들에 의해 척킹되어 이동하다가 유실 또는 낙하할 때 감지센서(940)가 이를 감지하여 설비 제어부로 경고 및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동작을 멈추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제2 척킹부(921), (921')들에 의해 사출성형품의 척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동작될 때 비젼검사 설비 에러 및 고장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높이 조절부(932)는 내부에 실린더가 설치되며,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단부가 고정 플레이트(93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930) 및 척킹유닛(931), (931')들을 승하강 시킨다.
즉 제2 보조 서보로봇(92)은 제2 척킹부(921), (921')들이 이동 스테이지(925) 및 높이 조절부(932)에 의하여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8은 도 25의 제2 보조 서보로봇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2 척킹부(921), (921')들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스테이지(925)의 하면에 수직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호 이격거리(L1)가 보조 안착부(917) 및 제2 안착지그(93)의 이격거리(L2)와, 제2 안착지그(93) 및 배출부(98)의 이격거리(L3)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일측 제2 척킹부(921)는 타측 제2 척킹부(921') 보다 보조 안착부(917)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제2 척킹부(921), (921')들의 상호 이격거리(L1)는 제2 안착지그(93) 및 배출판(981)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제2 보조 서보로봇(92)의 제2 척킹부(921), (921')들이 배출부(98)를 향하여 이동할 때 타측 제2 척킹부(921')에 의하여 척킹된 2차 사출성형품(비젼검사가 완료된)은 배출판(98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동 스테이지(925)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하면에 제2 척킹부(921), (921')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전후 주행레일(923)에 결합된다.
또한 이동 스테이지(925)는 일측에 양면을 관통하는 소정 면적의 투과공(926)이 형성된다. 이때 투과공(926)은 촬영부(95)의 카메라(951)의 촬영 시 카메라(951)의 직하부 및 제2 안착지그(93)의 직상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카메라(951)의 촬영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보조 서보로봇(92)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일측 제2 척킹부(921)가 보조 안착부(37)의 직상부에, 타측 제2 척킹부(921')가 제2 안착지그(93)의 직상부에 위치할 때 이동 스테이지(925)는 카메라(951)의 직하부 및 제2 안착지그(93)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카메라(951)의 촬영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일측 제2 척킹부(921)가 보조 안착부(917)에 안착된 2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함과 동시에 타측 제2 척킹부(41')가 제2 안착지그(93)에 안착되어 비젼 검사를 수행한 2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스테이지(925)가 전후 주행레일(923)을 따라 이동하여 일측 제2 척킹부(921)가 제2 안착지그(93)의 직상부에, 타측 제2 척킹부(921')가 배출부(98)의 직상부에 위치하면 제2 척킹부(921), (921')들이 하강하여 일측 제2 척킹부(921)에 척킹된 2차 사출성형품은 제2 안착지그(93)로, 타측 제2 척킹부(921')에 척킹된 2차 사출성형품은 배출부(98)로 공급되고, 이러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반복 수행함으로써 촬영부(95)로 2차 사출성형품을 공급함과 동시에 비젼검사가 수행된 2차 사출성형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공정을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보조 서보로봇(92)은 전후방 이동에 따라 일측 제2 척킹부(921)는 보조 안착부(917) 및 제2 안착지그(93) 사이를 이동하고, 타측 제2 척킹부(921')는 제2 안착지그(93) 및 배출부(98)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제2 척킹부(921), (921')들에 의하여 이송된 2차 사출성형품의 보조 안착부(917)로부터 제2 안착지그(93)로의 이송 및 비젼검사가 수행된 2차 사출성형품의 제2 안착지그(93)로부터 배출부(98)로의 이송이 한 번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정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의 고정프레임부(94)는 프레임들이 사각형상을 형성하며, 함체(90)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고정프레임부(94)에는 촬영부(95)가 결합된다.
촬영부(95)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부(94)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주행레일(953)과, 수직 주행 레일(953)에 일측이 결합되어 수직 주행레일(953)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하강 스테이지(955)와, 승하강 스테이지(955)에 결합되어 촬영을 수행하는 카메라(951)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직 주행레일(953)을 따라 승하강 스테이지(955)가 승하강되는 구성 및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 및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951)는 초점이 직하부에 위치한 제2 안착지그(93)를 향하도록 승하강 스테이지(955)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촬영을 수행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획득된 영상은 제어부(미도시)로 입력되어 비젼 검사에 활용된다.
또한 카메라(951)는 승하강 스테이지(955)의 이동에 의하여 승하강 됨으로써 초점이 정확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951)는 제1 조명부(96)로부터 출력된 조명을 받아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촬영과, 제2 조명부(97)로부터 출력된 조명을 받아 촬영을 수행하는 제2 촬영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촬영은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차체연결부재(893)의 외측테두리(894)에 대한 비젼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촬영이고, 제2 촬영은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차체연결부재(893)의 내측테두리(895)에 대한 비젼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촬영이다.
도 29는 도 20의 제2 안착지그 및 제1 조명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착지그(93)는 카메라(951)의 직하부에 위치되는 함체(9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2 보조 서보로봇(92)에 의하여 척킹되어 이송된 2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된다.
또한 제2 안착지그(93)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면에 2차 사출성형품인 자동차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가이드 링(891)이 삽입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안착지그(93)는 2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제1 조명부(96)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하우징(961)과, 조명하우징(961)에 설치되어 빛을 출사하는 복수개의 광원(969)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명하우징(961)은 제2 안착지그(93)가 삽입되는 중공(963)을 갖는 원판부(962)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판부(962)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원판부(962)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판(96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조명부(96)는 원판부(962)가 함체(90)의 상면에 대접되되 중공(963)으로 제2 안착지그(93)가 삽입되어 카메라(951)의 직하부에 배치되고, 카메라(951)의 제1 촬영 시 광원에서 빛을 출사시킴으로써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차체연결부재(893)의 외측 테두리(894)에 대한 선명한 영상이 획득되도록 한다.
도 30은 도 20의 제2 조명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30의 제2 조명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0의 제2 조명부(97)는 고정프레임부(94)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이동되지 않을 때에는 고정프레임부(94) 내측에 배치되되 이동될 때에는 카메라(951) 및 제2 안착지그(93)의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카메라(951)의 제2 촬영 시 카메라(951)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조명을 출력하여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차체연결부재(893)의 내측 테두리(895)로 조명을 집중시킨다.
또한 제2 조명부(97)는 제1 조명부(96)의 조명하우징(96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하우징(961) 및 광원(969)들과, 판재로 형성되되 하면에 슬라이드 홈(973)을 갖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부재(972)가 설치되는 고정판(971)과, 조명하우징(961)의 중공(963)과 동일한 직경의 중공(975)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가이드부재(972)의 슬라이드 홈(97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돌출부(976)가 형성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974)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조명부(97)의 조명하우징(961)의 원판부(962)는 슬라이딩 스테이지(974)의 하면에 대접되어 광원(969)이 하부를 향하여 빛을 출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조명부(97)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951)의 제2 촬영 시 슬라이딩 스테이지(974)가 카메라(951)의 직하부에, 상세하게로는 조명하우징(961)의 중공(963) 및 슬라이딩 스테이지(974)의 중공(975)이 카메라의 직하부에 배치되도록 이동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광원(969)에서 빛이 출사되면 카메라(951)는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차체연결부재(893)의 내측테두리(895)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조명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비젼 검사부(9)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특성 및 색상에 대응하여 제1 조명부(96) 및 제2 조명부(97)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비젼 검사부(9)는 제1 촬영 시 제1 조명부(96)에서 조명이 출력되어 제1 조명부(96)에서 출력된 빛이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차체연결부재(893)의 외측테두리(894)로 집중되고, 이에 따라 선명한 외측테두리(894)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젼 검사부(9)는 제2 촬영 시 제2 조명부(97)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조명부(97)로부터 조명이 출력되면 제2 조명부(97)에서 출력된 빛이 서스펜션 베어링(890)의 차체연결부재(893)의 내측테두리(895)로 집중됨으로써 선명한 내측테두리(895)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의 배출부(98)는 함체(90)의 상면에 설치되어 비젼검사가 수행된 사출성형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배출부(98)는 함체(90)의 상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하면이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판재로 형성되는 배출판(98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배출판(981)은 폭 방향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가이드 벽(983)들이 형성된다.
또한 배출판(981)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일측은 함체(90)의 내측에, 타측은 함체(90)의 외측에 배치되고, 측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일측에서 타측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구동모터에 결합됨으로써 구동모터에 의하여 하향되는 단부가 회전하여 비젼검사의 결과에 따라 2차 사출성형품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출부(98)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배출부(98)는 타측 제2 척킹부(921')에 의하여 비젼 검사가 완료된 2차 사출성형품을 배출판(981)으로 공급받으면 비젼검사의 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회전각도로 구동모터가 회전됨에 따라 배출판(981) 또한 회동하여 2차 사출성형품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33은 도 4의 제1 서보로봇의 척킹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3의 제1 서보로봇(3)은 고정스테이지(30)의 일면에 복수개의 척킹부(31)들이 결합되고, 고정스테이지(30)는 전후, 좌우, 높이 방향으로 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척킹부(31)는 단부에 인서트(380) 및 1차 사출성형품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흡착부(32)들이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흡착부(32)들은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인서트(380) 및 1차 사출성형품을 견고하게 흡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서보로봇(3)은 고정스테이지(30)의 일면에 삽입핀(35)이 돌출 연결된다. 이때 제1 서보로봇(3)은 인서트를 1차 금형 사출부(4)의 캐비티의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또는 1차 금형 사출부(4)로부터 1차 사출성형품을 취출할 때 고정스테이지(30)는 1차 금형 사출부(4)의 캐비티의 내면에 대접되고, 이때 삽입핀(35)이 캐비티의 내면에 형성된 핀삽입공으로 삽입된다.
또한 제1 서보로봇(3)은 척킹부(33)의 척킹여부를 감지하는 센서(S)를 포함하고, 센서(S)가 척킹부에 인서트 또는 1차 사출성형품이 척킹되었는지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척킹부가 척킹한 상태로 이동 중에 인서트 또는 1차 사출성형품을 낙하, 유실하는 경우 설비 제어부로 경고 및 알림메시지를 전송하고, 설비 제어부는 경고 및 알림메시지를 전송받을 때 공정 구동을 일시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서보로봇의 오동작 및 오류로 인한 공정 사고 및 금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서보로봇(6)은 제1 서보로봇(3)과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이중 사출 시스템 2:인서트 정렬부 3:제1 서보로봇
4:1차 금형 사출부 5:냉각 및 이송부 6:제2 서보로봇
7:2차 금형 사출부 9:비젼 검사부
21:적재부 24:제1 보조 서보로봇
25:승강부 27:지그부 51:지지프레임부
53:레일부 55:이동스테이지부 57:냉각부
59:구동제어부 91:이송부 92:제2 보조 서보로봇
93:제2 안착지그 94:고정프레임부 95:촬영부
96:제1 조명부 97:제2 조명부 98:배출부

Claims (21)

  1. 인서트를 이중 사출 성형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를 기 설정된 위치 및 방향으로 정렬시키는 인서트 정렬부;
    상기 인서트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인서트를 척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척킹유닛들과, 상기 척킹유닛들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 서보로봇;
    상기 인서트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인서트가 상기 제1 서보로봇에 의하여 캐비티 내부로 삽입되면 1차 금형 사출을 수행하는 1차 금형 사출부;
    상기 제1 서보로봇에 의하여 상기 1차 금형 사출부로부터 취출된 1차 사출성형품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는 냉각 및 이송부;
    상기 냉각 및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1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척킹유닛들과, 상기 척킹유닛들을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제2 서보로봇;
    상기 1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이 상기 제2 서보로봇에 의해 캐비티 내부로 삽입되면 2차 금형 사출을 수행하는 2차 금형 사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보로봇은 상기 인서트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인서트를 척킹하여 상기 인서트를 상기 1차 금형 사출부의 캐비티 내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1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1차 사출성형품을 취출하여 기 설정된 위치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 서보로봇은 상기 냉각 및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1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하여 상기 1차 사출성형품을 상기 2차 금형 사출부의 캐비티 내부로 삽입시키며, 상기 2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2차 사출성형품을 취출하여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냉각 및 이송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
    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스테이지와, 상기 제1 서보로봇에 의하여 상기 1차 금형사출부로부터 취출된 1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스테이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안착지그와, 상기 안착지그에 안착된 1차 사출성형품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스테이지부;
    터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가이드레일이 관통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로 냉기를 유입시키는 냉기발생부로 이루어지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1차 금형 사출부의 캐비티로 삽입될 때 상기 기 설정된 위치 및 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는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정렬부는 지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부는
    상하부가 개구되며, 일면에 핀삽입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몸체;
    상기 인서트가 안착되며, 상기 몸체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생성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체;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하강 되도록 상기 핀삽입홈에 설치되는 승강핀;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승강핀의 직상부에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이 위치하지 않을 때 회전하고, 상기 승강핀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직상부에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이 위치할 때 승강하여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중공을 더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동력 생성수단에 결합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안착되는 인서트의 중공으로 삽입되는 제2 회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인서트는 회전 시 상기 제2 회전체에 지지되어 유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정렬부는
    상기 인서트들이 공급되면 공급된 인서트들을 적재시키기 위한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인서트를 척킹함과 동시에 전후, 좌우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척킹부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서보로봇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제2 동력생성수단과, 상기 제2 동력생성수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테이블과,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테이블의 일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인서트의 중공이 관통되어 적재되는 적재 바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재 바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의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정렬부는 상기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의 척킹이 이루어지는 기 설정된 위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인서트의 척킹 속도에 대응하여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양측으로 수직되게 설치되는 수직 주행프레임들과, 상기 수직 주행프레임들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 주행프레임들을 따라 승하강 하는 승강플레이트들과, 상기 승강플레이트들 각각의 일면에 인접한 적재 바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들 중 최하부에 배치된 인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삽입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플레이트는 상기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최상부의 인서트가 상기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에 의하여 척킹되어 상기 지그부로 이송되면 상기 인서트의 적재높이만큼 상기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들을 승강시키고,
    상기 회전테이블은 상기 인접한 적재 바에 적재된 인서트의 척킹이 완료되면 인접한 적재 바가 상기 제1 척킹부의 직하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적재 바가 삽입되어 관통되는 삽입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이 상기 적재 바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적재 바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인서트들을 승강시키고,
    상기 회전테이블은 다변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인접하는 변들이 연접하는 연접영역에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인접하는 삽입홈들 사이의 변들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적재 바들은 상기 회전테이블의 삽입홈들 사이의 영역에 수직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는 하강 시 상기 승강플레이트가 상기 회전테이블보다 하향되게 위치되고, 승강 시 상기 회전테이블의 삽입홈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적재 바들은 상기 회전테이블의 삽입홈들 사이의 영역에 복수개씩 설치되고, 상기 제1 보조 서보로봇의 제1 척킹부의 수량은 상기 회전테이블의 삽입홈들 사이의 영역들 중 하나의 영역에 설치되는 적재 바들의 수량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의 하우징은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기발생부가 설치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양측부에 연결되는 곡면부들과, 상기 곡면부들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경사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각부의 하우징은 높이 방향에서 상기 경사부들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 보다 하향되고, 폭 방향에서 상기 경사부들의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 보다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13. 청구항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성형품은 상기 인서트의 관통공에 연설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스테이지부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안착지그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핀이고, 상기 가이드 핀은 상기 1차 사출성형품이 상기 안착지그에 안착될 때 상기 1차 사출성형품의 관통공으로 삽입되고,
    상기 안착지그는 상기 안착홈으로 1차 사출성형품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14. 청구항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금형 사출부에 의해 금형 사출된 2차 사출성형품은 상단부에 서로 이격되는 내측테두리 및 외측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이중 사출 시스템은 상기 제2 서보로봇에 의하여 상기 2차 금형 사출부로부터 취출된 2차 사출성형품을 공급받으면 공급받은 2차 사출성형품에 대한 비젼 검사를 수행하는 비젼 검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젼 검사부는
    상면에 고정프레임부가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는 제2 안착지그;
    상기 함체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초점이 상기 제2 안착지그를 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안착지그에 안착된 2차 사출성형품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제2 안착지그에 안착된 2차 사출성형품보다 하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의 외측테두리로 조명이 집중되도록 빛을 출사하는 제1 조명부;
    상기 제2 안착지그에 안착된 2차 사출성형품보다 상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의 내측테두리로 조명이 집중되도록 빛을 출사하는 제2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제1 조명부의 조명에 의하여 상기 외측테두리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촬영과, 상기 제2 조명부의 조명에 의하여 상기 내측테두리에 대한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15. 청구항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는 중공 원판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함체의 상면에 대접되는 원판부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테두리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조명하우징과, 상기 조명하우징의 경사판의 내면에 설치되어 빛을 출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명부는 상기 원판부의 중공으로 상기 제2 안착지그가 삽입되도록 상기 함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16. 청구항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명부는 판재로 형성되되 하부에 슬라이드 홈이 하면에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부재를 갖으며,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면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슬라이드 홈으로 삽입되는 돌출부 및 중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와, 중공 원판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하면에 대접되는 원판부 및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테두리로부터 외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결되는 제2 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제2 조명하우징과, 상기 제2 조명하우징의 제2 경사판의 내면에 설치되어 빛을 출사하는 복수개의 광원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명부는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가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의 중공 및 제2 원판부의 중공들의 직상부에 상기 카메라가, 직하부에 상기 제2 안착지그가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17. 청구항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검사부의 상기 촬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주행레일과, 일측이 상기 수직 주행레일에 연결되는 판재로 형성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직 주행레일을 따라 승하강 되는 승하강 스테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승하강 스테이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18. 청구항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 검사부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 서보로봇에 의하여 상기 2차 금형 사출부로부터 취출된 2차 사출성형품을 공급받으면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와, '
    Figure 112015050285752-pat00004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결합되는 이송부 프레임과,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향되며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이송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 봉들과, 상기 가이드 봉들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의 직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보다 하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이송된 사출성형품이 안착되는 판재 형상의 보조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봉들은 상호 이격거리가 상기 제2 서보로봇으로부터 2차 사출성형품을 공급받는 지점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상기 보조 안착부에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의 외경의 두 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이 상기 보조 안착부로 하나씩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19. 청구항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 검사부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함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판재로 형성되어 하면이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되 단부가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단부가 상기 함체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출판을 포함하여 비젼 검사의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을 비젼 검사의 결과에 따라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20. 청구항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 검사부는
    상기 2차 사출성형품을 척킹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제2 척킹부들과, 상기 보조 안착부로부터 상기 배출부를 향하는 직선방향을 갖는 전후 주행레일과, 하부에 상기 제2 척킹부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판재로 형성되되 일측이 상기 전후 주행레일에 결합되어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전후 주행레일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스테이지로 이루어지는 제2 보조 서보로봇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조 서보로봇의 상기 제2 척킹부들의 상호 이격거리는 상기 보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2 안착지그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안착지그로부터 상기 배출부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제2 척킹부들은 한 쌍이며, 상기 제2 척킹부들 중 상기 보조 안착부에 인접한 제2 척킹부인 일측 제2 척킹부는 상기 보조안착부 및 상기 제2 안착지그 사이를 이동하고, 타측 제2 척킹부는 상기 제2 안착지그 및 상기 배출부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한 번의 공정으로 상기 보조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2 안착지그로의 이송과, 상기 제2 안착지그로부터 상기 배출부로의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21. 청구항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스테이지는 상기 촬영부의 촬영 시 상기 카메라의 직하부에, 상기 제2 안착지그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투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사출 시스템.
KR1020150073054A 2015-05-26 2015-05-26 이중 사출 시스템 KR10170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54A KR101700129B1 (ko) 2015-05-26 2015-05-26 이중 사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054A KR101700129B1 (ko) 2015-05-26 2015-05-26 이중 사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773A KR20160138773A (ko) 2016-12-06
KR101700129B1 true KR101700129B1 (ko) 2017-02-13

Family

ID=5757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054A KR101700129B1 (ko) 2015-05-26 2015-05-26 이중 사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4201A (zh) * 2019-01-19 2019-04-16 广东速博智能科技有限公司 自动铁片上料二次取出埋入生产系统
CN114193701B (zh) * 2021-11-30 2024-02-20 珠海市英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网布过滤组件的生产方法及生产系统
CN116408918B (zh) * 2023-03-13 2023-12-08 中山创优自动化科技有限公司 脚轮智能注塑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96B1 (ko) * 2002-08-06 2005-05-10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취출기의 인서트시스템
JP2010110899A (ja) 2008-11-04 2010-05-20 J Quality Kk 検査装置
KR101442187B1 (ko) * 2013-08-26 2014-09-24 박정원 착즙기용 스크루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99B1 (ko) * 2008-07-29 2010-04-16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인서트너트 정렬장치가 구비된 취출인서트 로봇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96B1 (ko) * 2002-08-06 2005-05-10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취출기의 인서트시스템
JP2010110899A (ja) 2008-11-04 2010-05-20 J Quality Kk 検査装置
KR101442187B1 (ko) * 2013-08-26 2014-09-24 박정원 착즙기용 스크루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773A (ko)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130B1 (ko) 서스펜션 베어링의 이중 사출 성형 방법
KR101241182B1 (ko) 워크검사반송장치
CN109622396B (zh) 一种透镜外径和中心厚双参数自动检测装置
KR101700129B1 (ko) 이중 사출 시스템
CN112792550B (zh) 一种磁铁组装机及组装方法
KR101700128B1 (ko) 인서트 공급 및 이송 시스템
JP2015523262A (ja) シェアログラフィック撮像マシン及び方法
JP2010101691A (ja) 樹脂成型品の外観検査装置及びその外観検査方法
CN113879646A (zh) 勺盖自动贴标检测组装系统
KR20130064597A (ko) 레이저 커팅 자동화 시스템
KR101672920B1 (ko) 인서트 정렬 시스템
CN108426896B (zh) 一种ccd检测设备
CN116344424B (zh) 一种高效硅片检测分选装置
CN115825069B (zh) 方形件表面检测设备
CN110961934A (zh) 压铸件加工检测一体机
KR101008444B1 (ko) 가이드앵커용 플레이트 공급장치
CN217058884U (zh) 一种滑靴视觉检测机
CN113070230B (zh) 一种旋转式瓶坯检测机
KR101822083B1 (ko) 사출물 비전검사 및 적재시스템
CN112798618A (zh) 线路板检测装置
CN217837491U (zh) 一种半导体收料装置的传动装置
KR100314572B1 (ko) 반도체 팩키지 튜브적재 시스템
CN219541000U (zh) 产品外观尺寸检测及分类系统
CN219525488U (zh) 检测下料摆盘装置
KR102339003B1 (ko) 자동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 성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