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335B1 -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335B1
KR101862335B1 KR1020170079592A KR20170079592A KR101862335B1 KR 101862335 B1 KR101862335 B1 KR 101862335B1 KR 1020170079592 A KR1020170079592 A KR 1020170079592A KR 20170079592 A KR20170079592 A KR 20170079592A KR 101862335 B1 KR101862335 B1 KR 10186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product
mold
injection molding
molde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창신리빙(주)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리빙(주), 이민규 filed Critical 창신리빙(주)
Priority to KR102017007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using means, e.g. mould parts, for transferring an injected part between mould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2045/1693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shaping the first molding material before injecting the second molding material, e.g. by cutting,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사출성형이면서 인서트 방식의 사출성형이 자동으로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순회하는 공급 및 배출수단의 일단에서 제1성형품을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제1성형품을 금형내로 이송토록 하기 위한 이송수단의 흡착홀더가 제1성형품을 홀딩하기 위하여 정위치에 도달하면 공급 및 배출수단은 정지토록 하고, 정지된 상태에서 이송수단의 흡착홀더에는 진공이 발생되어 제1성형품을 흡착하여 이송토록 한 후 금형내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은 금형내에서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을 취출하고 또 다른 이중사출을 위하여 흡착되어 이송된 제1성형품을 취부하면서 이중사출을 위한 런너를 취출하여 가이드수단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이송수단은 금형내를 빠져나오면서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을 낙하토록 하게 되고 그후 공급 및 배출수단의 장착부에서 장착된 제1성형품이 정위치에 도달하면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A Injection molding apparatus }
본 발명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사출성형이면서 인서트 방식의 사출성형이 자동으로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경우에 사출물이 서로 다를 경우에는 이중 사출성형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반드시 2개의 금형이 필요하고, 사출기를 이용하여 1차 성형물이 1차로 사출성형된 이후에 1차 성형물에 이중사출을 위하여는 사출기에 금형을 탈부착한 후 수지를 교환하여 이중 사출성형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시 생산성의 향상을 위하여는 2대의 사출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럼에도 이러한 이중사출성형을 위하여는 어느 한개의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한 1차 성형물을 또 다른 금형에 취부(인서트)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또 다른 사출기에서 사출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서트 작업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1차 성형물을 또 다른 금형에 인서트 한 이후에 2중 사출성형하게 됨으로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결국 작업환경이 나빠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작업자가 인서트가 잘못될 경우에 금형의 형개되는 과정에서 인서트 되어진 1차 성형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은 물론 정위치 고정이 잘못될 경우에는 이중사출물의 위치나 접착력이 떨어지면서 1차 성형품을 버려야 하는 등의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생산성이나 품질의 상태가 달라지게 된다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인서트하는 것이 아니고 금형이 회전되면서 2개의 노즐을 사용하여 하나의 사출기에서 이중사출성형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사출성형한 1차 성형물의 일측면으로만 이중사출이 가능한 것이어서 1차 성형물의 양면으로 이중사출할 경우에는 결국 종래의 방식 즉 작업자가 일일이 금형에 인서트하는 작업으로만 가능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의 이중사출성형은 상기의 문제점은 물론 작업자가 손으로 1차 성형물을 만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특히 식품용기일 경우에는 이물질이 묻을 경우에 이중사출한 부분에 접착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의 발생은 물론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1차 성형물을 금형에 일일이 인서트하지 않아도 되고, 1차 성형물을 공급하고 금형에 취부후 2중사출성형된 2차 성형물을 취출하고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 공정에 의하여 제작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순회하는 공급 및 배출수단의 일단에서 제1성형품을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제1성형품을 금형내로 이송토록 하기 위한 이송수단의 흡착홀더가 제1성형품을 홀딩하기 위하여 정위치에 도달하면 공급 및 배출수단은 정지토록 하고, 정지된 상태에서 이송수단의 흡착홀더에는 진공이 발생되어 제1성형품을 흡착하여 이송토록 한 후 금형내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과, 상기 가이드수단은 금형내에서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을 취출하고 또 다른 이중사출을 위하여 흡착되어 이송된 제1성형품을 취부하면서 이중사출을 위한 런너를 취출하여 가이드수단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이송수단은 금형내를 빠져나오면서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을 낙하토록 하게 되고 그후 공급 및 배출수단의 장착부에서 장착된 제1성형품이 정위치에 도달하면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일이 금형내로 이중사출을 위하여 인서트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불편함이나 각종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사출기내에서 복수의 금형이 이동되면서 이중사출성형된 것과 사출성형할 것을 한 번에 취출과 취부를 연속동작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토록 한 것이고, 이동시 정위치 장착이 용이하도록 흡착홀더를 복수와 단수로 구분토록 하여 취출과 취부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해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업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은 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순회하는 공급 및 배출수단의 일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공급 및 배출수단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공급 및 배출수단의 장착부에 제1성형품이 장착되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제2성형품과 런너가 이송밸트에 낙하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흡착홀더가 구비된 이송수단의 일 실시 예.
도 8은 공급 및 배출수단로 공급된 제1성형품을 흡착하여 이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이송수단은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금형에 구비된 제2성형품을 취출하고 이송수단에 구비된 제1성형품을 상기 금형에 취부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이송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의 일 실시 예.
도 12는 이송수단과 집게수단이 가이드수단에 의하여 금형내로 진입하거나 빠져나오는 작동상태의 일 실시 예.
도 13은 이송수단에 흡착된 제1성형품과 제2성형품의 일 실시 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공정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제1성형품(1)을 이중사출하기 위하여 이송하고 이중사출성형되어 배출되는 제2성형품(2)을 모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궤도를 순회하는 공급 및 배출수단(100)과 상기 순회하는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일단에 장착되어 제1성형품(1)을 이송할 경우에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토록 하면서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50)와 상기 장착부(15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송되는 제1성형품(1)을 금형(400)에서 취부하고 제1성형품(1)에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2)을 취출토록 하기 위하여 이송토록 하는 가이드수단(300)과 상기 가이드수단에 장착되어 제1성형품(1) 또는 제2성형품(2)을 흡착하여 이송토록 하는 이송수단(200)과 상기 이송수단(200)에 장착되어 제1성형품(1)을 금형(400)에 취부토록 하기 위하여 이송하게 되는 흡착홀더(210)와 이때 상기 흡착홀더는 제1성형품(1)을 이중사출성형하기 위하여 금형(400)에 취부토록 하는 취부흡착홀더(211)와 금형(400)내에서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2)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흡착홀더(212)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작동은 제1성형품(1)을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장착부(150)에 장착할 경우에는 공급 및 배출수단(100)이 정지한 상태에서 장착하고 장착이 완료되면 자동 또는 수동조작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이송수단(200)의 흡착홀더(210)에 흡착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공급 및 배출수단(100)은 정지토록 하고, 정지된 상태에서 이송수단(200)의 흡착홀더(210)에는 진공이 발생되어 제1성형품(1)을 흡착하여 들어올린 후에 이송토록 한 후 가이드수단(300)이 금형(400)내로 제1성형품을 가이드하고, 이때 가이드수단(300)에 의하여 금형(400)으로 이송된 이송수단(200)에는 취출흡착부(212)가 구비되어져 금형(400)내에서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2)을 취출하고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또 다른 이중사출을 위하여 흡착되어 이송된 제1성형품(1)을 금형(400)에 취부하면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2성형품(2)을 형성하는 이중사출시 발생되는 런너(3)를 제거하면서 취출하여 가이드수단(300)에 의하여 이송수단(200)은 금형(400)내를 빠져나오면서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2)을 지정된 낙하장소에 낙하토록 하게 되고 그후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장착부(150)에서 장착된 제1성형품(1)을 동일한 방법으로 흡착하면서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순회하는 공급 및 배출수단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순회하는 공급 및 배출수단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공급 및 배출수단의 장착부에 제1성형품이 장착되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100)은 제1성형품(1)을 공급하는 이송레일(130)과, 제2성형품(2)을 지정된 장소에 모을 수 있는 이송밸트(12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이송레일(130)과 이송밸트(120)는 공급 및 배출수단(100)을 이루는 틀(110)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밸트(120)는 이송레일(13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공간으로 효율적인 설치되도록 함은 물론 제1성형품(1) 또는 제2성형품(2)을 이동시키는 가이드수단(300)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데, 상기 이송밸트(120)와 이송레일(130)을 이웃하게 구비될 경우 제2성형품(2)을 이송밸트(120)에 낙하시키기 위하여 가이드수단(300)은 더욱 길어지게 되고, 더불어 상기 이송수단(200)은 이송레일(130)에 구비된 제1성형품(1)을 흡착하기 위하여 장착부(150)의 상단으로 이동되는데 이는 가이드수단(30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소모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가이드수단(300)을 이루는 부속품의 마모도가 상승하게 되어 잔고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100)을 설치하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급 및 배출수단(100)은 이송밸트(120) 상단에 이송레일(130)이 구비되어 그 급급 및 배출수단(100)의 설치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130)에 구비된 장착판(151)이 작업자가 위치된 부분에 위치될 경우 이송레일(130)과 이송레일(130)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이송수단(200)에 흡착된 제2성형품(2)을 낙하시켜 이송밸트(12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그후 장착판(151)이 이송수단(200)의 하단에 위치될 경우 이송수단(200)이 장착판(151)에 구비된 제1성형품(1)을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수단(300)의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제2성형품(2)을 이송밸트(120)에 낙하시키거나 제1성형품(1)을 이송수단(200)에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130)에 제1성형품(1)이 장착되는 장착부(150)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150)는 그 이송레일(130)을 따라서 좌, 우측으로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장착부(150)의 상면에는 다수의 장착돌부(152)가 구비되고, 그 장착돌부(152) 사이로 제1성형품(1)이 장착되는 것이다.
즉, 제1성형품(1)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부(150)가 이동할 때 상기 제1성형품(1)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기 제1성형품(1)이 이송부(200)에 흡착될 때 정위치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130)의 이웃한 일측에는 장착판(151)을 견인하는 견인레일(140)이 구비되고, 상기 견인레일(140)에는 견인바(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견인바(141)는 장착판(151)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레일(140)에 의해 장착부(150)가 이송레일(13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이송레일(130)의 양 끝단에는 완충부(160)와 위치감지센서(170)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완충부(160)는 장착부(150)의 일면과 맞닿게 됨으로써 천천히 멈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송레일(1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170)는 장착부(150)로 인하여 가려지거나 가려지지 않게 되는 상황에 대하여 밝기를 감지하도록 되는 조도센서 또는 근접센서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여 그 제어부가 견인레일(140)을 구동시켜 장착부(150)를 이송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이송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160)는 스프링식 또는 유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견인레일(140)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버튼(180)은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밸트(120)는 틀(110)의 양단으로 구비된 롤러(111)에 감겨진 밸트(1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111)는 체인 또는 기어 등으로 연결된 모터(112)의 구동에 의해 회전작동되면서 그 롤러(111)에 감겨진 밸트(121)도 함께 일정퀘도를 따라서 순회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밸트(121)는 탄력을 갖는 재질 즉 고무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이송수단과 집게수단에 구비된 제1성형품과 런너가 공급 및 배출수단에 낙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상부에 위치된 이송수단(200)의 흡착홀더(210)에 구비된 제2성형품(2)은 밸트(121)의 상단에 낙하하게 되고, 상기 제2성형품(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해 주기 위하여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틀(110)은 작업자가 위치된 일단에서 이송수단(200)이 위치된 타단으로 점점 상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장착부(150)는 작업자의 허리 부분쯤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150)에 제1성형품(1)을 장착할 때 작업자의 시선을 아래 대각선방향으로 바라보게 되어 장착부(150)의 상면에 형성된 장착돌부(152) 사이로 제1성형품(1)의 장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타단은 이송수단(200)과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수단(300)의 수직가이드(310)의 슬라이드작동 반경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이송수단(200)에서 낙하되는 제2성형품(2)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상기 제2성형품(2)의 변형 또는 공급 및 배출수단(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흡착홀더가 구비된 이송수단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장착부(150)에 장착된 제1성형품(1)을 금형(400)내로 이송토록 하기 위한 이송수단(200)은, 일면에 흡착홀더(210)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홀더(210)는 진공이 발생되어 제1성형품(1) 또는 제2성형품(2)을 흡착하여 이송토록 한 것이다.
상기 흡착홀더(210)는 복수로 이루어진 취부흡착홀더(211)와, 단수로 이루어진 취출흡착홀더(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부흡착홀더(211)는 장착부(150)에 장착된 제1성형품(1)을 흡착할 때 사용되고, 취출흡착홀더(212)는 금형(400)에 구비된 제2성형품(2)을 흡착하여 취출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취부흡착홀더(211)는 복수로 구비하여 제1성형품(1)의 일면 중 일정거리 이격된 두 지점에 흡착되도록 하여 흡착하는 과정에서 또는 흡착된 제1성형품(1)이 금형(400)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성형품(1)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금형(400)의 정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취부흡착홀더(211)의 외측으로 받침판(213)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213)은 제1성형품(1)이 취부흡착홀더(211)에 흡착될 때 상기 받침판(213)에 받침되면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흡착될 수 있도록 서포트해주고, 그로 인하여 제1성형품(1)을 금형(400)에 취부시 안정적으로 취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공급 및 배출수단으로 인해 공급된 제1성형품을 이송수단으로 이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송수단(200)은 공급 및 배출수단(100)과 평행 또는 지면과 수평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성형품(1) 또는 제2성형품(2)을 흡착된 상태로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상단과 금형(400)의 상단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즉, 이송수단(200)이 수평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면 그만큼 가이드수단(300)의 수직이동 반경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사출성형장치는 소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이송수단은 가이드수단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송수단(200)은 수직가이드(310)의 회전축(311)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장착부(150)에 구비된 제1성형품(1)을 흡착하기 위하여 이송수단(200)은 회전축(311)에 의해 장착부(150)와 평행을 이루는 각도로 구비되도록 하고, 그 제1성형품(1)을 금형(400)에 취부시키기 위하여 회전축(311)에 의해 상기 금형(400)과 평행하게 이송수단(20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도 10은 금형에 구비된 제2성형품을 취출하고, 이송수단에 구비된 제1성형품을 상기 금형에 취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금형(400)은 제1금형(410)과 제2금형(420), 제3금형(4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금형(410)과 제2금형(420) 사이에는 제1성형품(1)이 위치되고, 제2금형(420)과 제3금형(430) 사이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지가 상기 제1성형품(1)이 구비된 금형(400)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라인이 형성된 것이다.
도 11은 이송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이송수단(200)이 구비된 수직가이드(310)와, 상기 수직가이드(310)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바(320)와, 상기 가이드바(3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대(330)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수단(300)은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2는 이송수단과 집게수단이 가이드수단에 의해 금형 내로 진입하거나 빠져나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이송수단의 흡착홀더에 제1성형품과 제2성형품이 흡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직가이드(310)는 이송수단(200)이 구비된 제1수직가이드(310a)와 집게수단(200a)이 구비된 제2수직가이드(3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직가이드(310a)에 구비된 이송수단(200)은 제1성형품(1) 또는 제2성형품(2)을 옮길 때 사용되고, 제2수직가이드(310b)에 구비된 집게수단(200a)은 이중사출성형 한 후 제2금형(420)과 제3금형(430) 사이에 발생되는 런너(3)를 제거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의 작동과정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또 다른 사출기에서 성형된 제1성형품(1)을 준비한다.
상기 제1성형품(1)은 공급 및 배출수단(100)에 구비된 장착부(150)에 장착한 후 조작버튼(180)을 누른다.
이에 따라 공급 및 배출수단(100)에 구비된 견인레일(140)에 의해 장착부(150)는 견인되고, 이때 상기 장착부(150)는 이송레일(130)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레일(130)의 끝단에 완충부(160)와 위치감지센서(170)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160)와 맞닿게 되면서 장착부(150)는 천천히 멈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160)에 의해 멈춰진 장착부(150)는 위치감지센서(170)의 상단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위치감지센서(170)는 견인바(141)와 이송수단(200)에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정보란 장착부(150)를 더 이상 견인하지 않도록 견인바(141)가 정지되도록 하고, 더불어 이송부(200)의 하단에 제1성형품(1)이 정위치에 도달되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를 전달받은 이송수단(200)은 제1수직가이드(310a)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송수단(200)에 구비된 취부흡착홀더(211)는 제1성형품(1)과 밀착되고, 이때 취부흡착홀더(211)에 진공이 발생되면 제1성형품(1)은 취부흡착홀더(211)에 흡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취부흡착홀더(211)에 흡착된 제1성형품(1)은 제1수직가이드(310a)에 의해 임의의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임의의 높이란 사출성형장치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높이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이송수단(200)이 상승한 후에 상기 장착부(150)는 작업자가 위치된 타단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승된 이송수단(200)은 수직가이드(310)와 연결된 가이드바(320)와 함께 가이드대(330)를 따라 금형(400) 상단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400) 상단에 위치된 이송수단(200)은 회전축(311)에 의해 그 이송수단(200)이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형(400) 상단에 위치된 이송수단(200)은 그 금형(400)이 열리면 제1수직가이드(310a)에 의해 제1금형(410)과 제2금형(420) 사이로 정렬되고, 상기 이송수단(200)과 이웃한 집게수단(200a)은 제2수직가이드(310b)에 의해 제2금형(420)과 제3금형(430)의 사이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송수단(200)의 취부흡착홀더(211)와 이웃한 취출흡착홀더(212)는 제1금형(410)내에 이중사출성형된 제1성형품(2)을 취출한 다음 이웃한 취부흡착홀더(211)가 제1금형(410)내에 제1성형품(1)을 취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수단(200)과 이웃한 집게수단(200a)은 다음 이중사출작업을 위하여 제2금형(420)과 제3금형(430)의 라인에 생성된 런너(3)를 제거하기 위하여 집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이송수단(200)에 흡착된 제1성형품(2)과, 집게수단(200a)에 집힌 런너(3)은 수직가이드(310)에 의해 상승되고, 그 이송수단(200)과 집게수단(200a)은 가이드대(330)에 의해 공급 및 배출수단(100) 상단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상단으로 이동된 이송수단(200)과 집게수단(200a)에 구비된 제2성형품(2)과 런너(3)는 이송밸트(120)로 낙하시켜 배출토록 한 것이다.
그후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장착부(150)에 장착된 제1성형품(1)이 정위치에 도달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성형품을 공급, 제2성형품을 취출, 제1성형품을 취부, 제2성형품을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 라인에 의하여 연속으로 이루어지면서 간단하게 제작되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고 생산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또는 변형된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제1성형품 2:제2성형품 3:런너
100:공급 및 배출수단
110:틀 111:롤러 112:모터
120:이송밸트 121:밸트 130:이송레일
140:견인레일 141:견인바 150:장착부
151:장착판 152:장착돌부 160:완충부
170:위치감지센서 180:조작버튼
200:이송수단 200a:집게수단
210:흡착홀더 211:취부흡착홀더 212:취출흡착홀더
213:받침판
300:가이드수단
310:수직가이드 310a:제1수직가이드 310b:제2수직가이드
311:회전축 320:가이드바 330:가이드대
400:금형
410:제1금형 420:제2금형 430:제3금형

Claims (11)

  1. 제1성형품을 이중사출하기 위하여 이송하고 이중사출성형되어 배출되는 제2성형품을 모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궤도를 순회하는 공급 및 배출수단(100)은 제1성형품(1)을 공급하는 이송레일(130)과, 제2성형품(2)을 지정된 장소에 모을 수 있는 이송밸트(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레일(130)과 이송밸트(120)는 공급 및 배출수단(100)을 이루는 틀(110)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밸트(120)는 이송레일(13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하여 최소한의 공간으로 효율적인 설치가 되도록 하여 제1성형품(1) 또는 제2성형품(2)을 이동시키는 가이드수단(300)의 이동경로를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일단에 장착되어 제1성형품(1)을 이송할 경우에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토록 하면서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50)의 상면에는 다수의 장착돌부(152)가 구비되고, 그 장착돌부(152) 사이로 제1성형품(1)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15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송되는 제1성형품(1)을 금형(400)에서 취부하고 제1성형품(1)에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2)을 취출토록 하기 위하여 이송토록 하는 가이드수단(300)과
    상기 가이드수단(300)에 장착되어 제1성형품(1) 또는 제2성형품(2)를 흡착하여 이송토록 하는 이송수단(200)과
    상기 이송수단(200)에 장착되어 제1성형품(1)을 금형에 취부토록 하기 위하여 이송하게 되는 흡착홀더(210)는 제1성형품(1)을 이중사출성형하기 위하여 금형(400)에 취부토록 하는 취부흡착홀더(211)와 금형(400)내에서 이중사출성형된 제2성형품(2)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흡착홀더(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100)의 이송레일(130)의 이웃한 일측에는 장착판(151)을 견인하는 견인레일(140)이 구비되고, 상기 견인레일(140)에는 견인바(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견인바(141)는 장착판(151)과 연결되어, 상기 견인레일(140)에 의해 장착부(150)가 이송레일(13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할 수 있도록 되고,
    상기 이송레일(130)의 양 끝단에는 완충부(160)와 위치감지센서(1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및 배출수단(100)은 작업자가 위치된 일단에서 이송수단(200)이 위치된 타단으로 점점 상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300)은 이송수단(200)이 구비된 수직가이드(310)와, 상기 수직가이드(310)를 좌, 우측방향으로 이동토록 하는 가이드바(320)와, 상기 가이드바(3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토록 하는 가이드대(3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가이드(310)는 이송수단(200)이 구비된 제1수직가이드(310a)와, 집게수단(200a)가 구비된 제2수직가이드(31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50)에 장착된 제1성형품(1)을 금형(400)내로 이송토록 하기 위한 이송수단(200)은, 일면에 흡착홀더(210)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홀더(210)는 진공이 발생되어 제1성형품(1) 또는 제2성형품(2)을 흡착하여 이송토록 하고,
    상기 흡착홀더(210)는 복수로 이루어진 취부흡착홀더(211)와, 단수로 이루어진 취출흡착홀더(2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취부흡착홀더(211)의 외측으로 받침판(213)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213)은 제1성형품(1)이 취부흡착홀더(211)에 흡착될 때 상기 받침판(213)에 받침되면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흡착될 수 있도록 서포트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79592A 2017-06-23 2017-06-23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KR101862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592A KR101862335B1 (ko) 2017-06-23 2017-06-23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592A KR101862335B1 (ko) 2017-06-23 2017-06-23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335B1 true KR101862335B1 (ko) 2018-05-30

Family

ID=6230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592A KR101862335B1 (ko) 2017-06-23 2017-06-23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346B1 (ko) * 2022-11-21 2023-04-10 주식회사 두진정밀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553A (ja) * 2000-12-26 2002-07-10 Sanwa Kako Kk 二重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432237B1 (ko) * 2001-10-23 2004-05-28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037640B1 (ko) 2009-09-18 2011-05-30 전진오 사출기의 로딩/언로딩장치
KR101165136B1 (ko) * 2009-12-22 2012-07-20 (주)참테크글로벌 휴대폰케이스의 인서트 사출성형 전용 인서트소재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553A (ja) * 2000-12-26 2002-07-10 Sanwa Kako Kk 二重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432237B1 (ko) * 2001-10-23 2004-05-28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037640B1 (ko) 2009-09-18 2011-05-30 전진오 사출기의 로딩/언로딩장치
KR101165136B1 (ko) * 2009-12-22 2012-07-20 (주)참테크글로벌 휴대폰케이스의 인서트 사출성형 전용 인서트소재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346B1 (ko) * 2022-11-21 2023-04-10 주식회사 두진정밀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8753A (en) Assembling apparatus using back up pins for supporting printed circuit board
JP6225086B2 (ja) スパウト付き袋の供給装置
KR101718145B1 (ko) 콘택트렌즈 몰드 분리장치
CN113423053B (zh) 一种蓝牙耳机自动化生产组装线
JPH07189054A (ja) ケンス分配装置
KR101862335B1 (ko)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KR101842369B1 (ko) 스파우트 캡핑을 위한 비닐백 공급 시스템
CN116214160A (zh) 一种全自动组装系统及组装方法
KR101739780B1 (ko) 라벨 부착기
KR20160064822A (ko) 광학렌즈의 컷팅장치
KR101004533B1 (ko) 가이드앵커 제조시스템
KR20020097445A (ko) 라벨 공급 장치
KR101020705B1 (ko) 튜브 헤드 성형 장치
KR101008444B1 (ko) 가이드앵커용 플레이트 공급장치
JP6110414B2 (ja) ダイ供給装置
KR20100035325A (ko) 가이드앵커용 피스 공급장치
JPH1120932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5960674B2 (ja) 中空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TWM445873U (zh) 鞋墊標籤自動燙印機
KR101874859B1 (ko) 접힘 부위 형성 구조의 라벨 피더
CN219750308U (zh) 一种自动剥离机
KR101446268B1 (ko) 오토몰드장치 및 오토몰드용 클리닝장치
KR20140055720A (ko) 립스틱 성형장치
CN217435025U (zh) 无线耳机充电盒铁片和保护膜组装机
CN110370533B (zh) 一种植入设备和植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