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346B1 -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346B1
KR102519346B1 KR1020220157955A KR20220157955A KR102519346B1 KR 102519346 B1 KR102519346 B1 KR 102519346B1 KR 1020220157955 A KR1020220157955 A KR 1020220157955A KR 20220157955 A KR20220157955 A KR 20220157955A KR 102519346 B1 KR102519346 B1 KR 102519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plate
lid body
movable
e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길
조성수
심진보
박덕진
송명준
송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진정밀
Priority to KR102023004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4326A/ko
Priority to KR1020230043923A priority patent/KR2023005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8Detecting defective mould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3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outside the mould or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2045/14459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injecting se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5Movement of a part, e.g.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mould, generating fluid pressure in a built-in fluid pressur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1 금형 어셈블리 및 제2 금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 제작용 사출 성형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에서는 제1 사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가 형성되고, 용기 뚜껑 본체는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 삽입되며,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제1 사출 재료와 상이한 제2 사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에 고정되는 실링 부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MOLD ASSEMBLY FOR DOUBLE INJECTION MOLDING, INJECTION MO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INJECTION MOLDING SYSTEM}
본 발명은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밀폐 용기의 뚜껑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은 용융시킨 수지를 성형 장치 내부에 구비된, 성형하고자 하는 성형물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인 캐비티(cavity)에 주입하고, 캐비티에 주입된 수지를 다시 경화시킴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사출 성형물을 만드는 성형 방법이다.
이러한 사출 성형의 일 방식으로, 수지를 캐비티에 주입하기 이전에 수지와 다른 재질로 구성된 인서트 부재를 미리 캐비티 내에 배치하고, 용융된 수지를 캐비티로 주입하여 서로 다른 재질의 인서트 부재와 수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이중 사출 성형 방식이 존재한다.
한편, 밀폐 용기의 뚜껑은 용기와의 기밀성을 위하여 뚜껑 본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패킹 부재가 마련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패킹 부재를 뚜껑 본체에 결합시키는 작업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었기에 단순 노동 작업이 강제되었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이중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수작업 없이 밀폐 용기 뚜껑의 생산을 완전 자동화하는 방식이 고민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중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밀폐 용기 뚜껑의 생산을 자동화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밀폐 용기 뚜껑의 완전 자동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작 공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안전 장치들이 마련된 사출 성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술되지 아니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은 제1 금형 어셈블리 및 제2 금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 제작용 사출 성형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에서는 제1 사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가 형성되고, 용기 뚜껑 본체는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 삽입되며,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제1 사출 재료와 상이한 제2 사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에 고정되는 실링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용기 뚜껑 본체가 형성되는 제1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비티는 용기 뚜껑 본체의 상부덮개편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과, 상기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잠금돌기가 구비되는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이 형성되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장치에 의하여 제1 가동측 금형판과 제1 가동측 설치판과 제1 가동측 베이스는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사출물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출물 분리 장치는 상기 이격 공간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젝터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의 일부를 형성 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을 갖는 이젝터와, 일단이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를 잡아당겨 이동시키는 견인 케이블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견인 케이블에 의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가압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을 향하여 당겨질 때,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의 잠금돌기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로부터 이격된 허공 중에 지지 가능하다.
상기 실링 부재는 용기 뚜껑 본체의 상부덮개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용기 뚜껑 본체의 상부덮개편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는 미끄럼방지부와, 용기 뚜껑 본체의 상기 상부덮개편의 타측에 배치되어 용기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기밀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상기 기밀유지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에서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로 이동시키는 그리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를 3축 이동 가능한 매니퓰레이터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구비되고 음압을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를 파지 가능한 복수의 진공 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때의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반부 및 상기 복수의 진공 흡착기 중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반부에 고정된 진공 흡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간품 파지 영역과, 상기 플레이트 바디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때의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상반부 및 상기 복수의 진공 흡착기 중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상반부에 고정된 진공 흡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완성품 파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로부터 성형된 후 실링 부재가 미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중간품 파지 영역에 흡착시킨 상태로,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로부터 실링 부재가 성형 및 결합된 용기 뚜껑을 상기 완성품 파지 영역에 흡착 가능하다.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상기 완성품 파지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완성품 파지 영역에 부착된 용기 뚜껑의 실링 부재의 불량 여부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불량 검출 유닛과, 상기 불량 검출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불량 검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사용자단말과 커뮤니케이션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 검출 유닛은 실링 부재에 대응되도록 실링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검사 핀과, 상기 복수의 검사 핀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의 검사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복수의 압력 센서와, 상기 복수의 검사 핀 및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를 실링 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과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검사 핀이 실링 부재에 닿으면서 발생되는 압력이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검사 핀을 실링 부재에 닿도록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을 통하여 획득되는 압력 측정값 각각이 모두 기 결정된 압력값을 넘는 경우 실링 부재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을 통하여 획득되는 압력 측정값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 결정된 압력값 미만인 경우 실링 부재가 불량이라고 판단하며, 실링 부재가 불량이라고 판단한 경우의 횟수가 일정 기간동안 기 결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출 성형 시스템을 오프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단말에 출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의 가장자리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로부터 이격된 허공 중에 지지 가능하고,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상기 중간품 파지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용기 뚜껑 본체가 상기 이젝터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분리 검출 유닛과, 상기 분리 검출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분리 검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검출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가상의 직선 방향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대하여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가상의 직선 방향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기 결정된 값인 제1 거리이고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기 결정된 값인 제2 거리인 경우 용기 뚜껑 본체가 상기 이젝터에 의하여 제1 캐비티에서 정상적으로 분리되었고 상기 이젝터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 큰 경우 용기 뚜껑 본체가 제1 캐비티에서 분리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제1 거리이고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 큰 경우 용기 뚜껑 본체가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된 후 상기 이젝터에서 탈락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2 금형 어셈블리와 그리퍼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의 생산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생산 비용 및 소요 시간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검출 유닛들이 마련됨으로써 공정 중 발생되는 오류나 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들을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출 성형 시스템의 제1 및 2 금형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출 성형 시스템에 의하여 형성되는 완성된 용기 뚜껑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6은 도 2의 제1 금형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제1 금형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양한 위치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제1 금형 어셈블리의 사출물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출물 분리 장치에 의하여 용기 뚜껑 본체가 제1 캐비티에서 분리되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도 2의 제2 금형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11에 도시된 제2 금형 어셈블리에 있어서 (a) 일 위치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b) (a)의 단면에 제2 사출 재료가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 다면도 (c) (a)의 단면과 다른 위치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제2 금형 어셈블리의 가동측 코어 부재의 (a) 분해 사시도 및 (b)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의 그리퍼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그리퍼 어셈블리의 플레이트 바디를 전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19는 도 14에 도시된 그리퍼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제1 금형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어셈블리의 불량 검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어셈블리의 분리 검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좌측",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출 성형 시스템의 제1 및 2 금형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할 때, 사출 성형 시스템(1)은 제1 금형 어셈블리(1000) 및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 성형 시스템은 제1 금형 어셈블리(1000) 및/또는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형적인 실시예로서의 사출 성형 시스템(1)을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명되는 사출 성형 시스템에는 당업자에게 주지 또는 저명한 수단들이 부가되거나 설명되는 사출 성형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생략함은 주지 또는 저명한 수단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사출 성형 시스템(1)의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에 부대하여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설명한다. 사출 성형 시스템의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도 도 1에 도시된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에 부대하는 구성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들이 부대하여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도 구비되도록 하나씩 더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구성들 또는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의 구성들은 "제1"과 같은 서수를 붙여 기재될 수 있으며,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구성들 또는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의 구성들은 "제2"와 같은 서수를 붙여 기재될 수 있다.
사출 성형 시스템(1)은 배치탱크(10), 제1 금형 어셈블리(1000), 사출기(50), 배출관로(70), 순환관로(80), 복수의 밸브(30,40), 및 펌프(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탱크(10)는 사출 재료를 저장할 수 있다. 배치탱크에 저장되는 사출 재료는 천연 수지, 합성 수지, 고무, 유리,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는 폴리우레탄(PU),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탈(POM),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PMMA), 폴리에틸렌(PE),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페놀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출 재료는 사출 성형에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재료에 해당될 수 있다.
배치탱크(10)에 저장된 사출 재료는 교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임펠러(미도시) 등에 의해 교반될 수 있다.
사출 성형 시스템(1)은 보온장치(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탱크(10)는 사출 재료의 온도 변화로 인한 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온장치(11)에 의하여 보온될 수 있다. 보온 장치는 배치탱크의 외면을 둘러싸며 내부에 보온 유체가 순환될 수 있다.
배치탱크(10)는 사출 재료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 시스템(1)에 포함되는 질소충진탱크(미도시)로부터 질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탱크(10)에 충전된 질소압은 사출 재료의 배출시에 사출 재료를 밀어주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배치탱크(10)에 저장된 사출 재료는 사출 성형 시스템(1)에 포함되는 정량주입부(20)를 통해 사출기(50)로 공급될 수 있다.
정량주입부(20)는 배치탱크(10)로부터 공급된 사출 재료를 피스톤의 왕복이동을 통해 사출기(50)로 압입할 수 있다. 정량주입부(20)는 실린더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내장되고 실린더에 유입된 사출 재료를 왕복이동을 통하여 사출기(50)로 압입하는 피스톤과, 배치탱크(10)로부터 공급된 사출 재료가 유입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배치탱크와 정량주입부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 및 정량주입부와 사출기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는 유량 조절을 위한 밸브들(30,40)이 구비될 수 있다.
금형 어셈블리(1000)는 사출 재료가 과충전된 후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는 캐비티(1001, 도 7 참조)를 갖는다. 사출기(50)는 사출 재료를 금형 어셈블리(1000)에 공급할 수 있다. 사출기(50)는 정량주입부(20)로부터 공급된 금형 어셈블리(1000)의 캐비티(1001) 용적보다 많은 양의 사출 재료를 금형 어셈블리의 캐비티(1001)로 과충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출기(50)는 금형 어셈블리의 캐비티(1001)의 용적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양을 캐비티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사출 성형 시스템(1)은 캐비티(1001)에 공급된 사출 재료의 냉각 및/또는 순환관로(80)를 따라 유동하는 사출 재료의 냉각을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냉각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90)에는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으며, 냉각수는 냉동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출 성형 시스템(1)은 캐비티(1001)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금형 어셈블리(1000)를 움직일 수 있는 유압 장치(미도시)를,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로(70)는 금형 어셈블리(1000)의 캐비티(1001)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사출 재료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배출관로(70)는 금형 어셈블리의 캐비티(1001)로부터 금형 어셈블리의 외측으로 이어지는 통로나, 금형 어셈블리(1000)의 캐비티(1001)로부터 금형 어셈블리(1000)의 외측까지 관통되는 관일 수 있다.
순환관로(80)는 배출관로(70)와 배치탱크(10)를 연결하고, 배출관로(70)로부터 배출된 사출 재료가 순환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관로(70)로부터 배출된 사출 재료는 순환관로(80), 배치탱크(10), 정량주입부(20), 사출기(50), 금형 어셈블리(1000), 배출관로(70) 순으로 순환할 수 있다. 한편, 펌프(60)는 사출 재료가 순환관로(80), 배치탱크(10), 정량주입부(20), 사출기(50), 금형 어셈블리(1000), 및 배출관로(70)를 순환하도록 만드는 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사출 성형 시스템(1)은 하우징(100, 도 1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금형 어셈블리(1000)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배치탱크(10), 정량주입부(20), 사출기(50), 금형 어셈블리(1000), 배출관로(70), 순환관로(80), 펌프(60), 보온장치(11), 냉각부(90), 질소충진탱크, 및 유압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이 외에 추가적인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그리퍼 어셈블리와 같은 구성이 하우징(100)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1 금형 어셈블리(1000) 및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제1 금형 어셈블리(1000) 및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1 금형 어셈블리(1000) 및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이용한 이중 사출의 결과물인 용기 뚜껑(3000)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사출 성형 시스템에 의하여 형성되는 완성된 용기 뚜껑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기 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할 때, 용기 뚜껑(3000)은 밀폐 용기의 뚜껑일 수 잇다. 용기 뚜껑(3000)은 용기 뚜껑 본체(3100)와 실링 부재(32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뚜껑 본체(310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상부덮개편(3110)과, 상부덮개편(3110)의 가장자리에 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날개편(3120)과, 잠금날개편(3120)의 일 면에서 돌출되어 잠금날개편(3120)에 구비되는 잠금돌기(3121)(또는, "결합돌기")와, 폐루프를 이루도록 상부덮개편(3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밀폐 용기를 마주하도록 하방을 향해 개방되며 실링 부재(3200)의 일부(예: 기밀유지부(3220))가 삽입될 수 있는 패킹 삽입홈(3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잠금날개편(3120)은 상부덮개편(3110)의 4개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4개의 잠금날개편(3120)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돌기(3121)는 밀폐 용기의 상단 가장자리에 체결될 수 있다. 잠금돌기(3121)의 체결 구조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74534호의 도 4,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0001872호의 도 1 및 3, 및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4567호 등을 참조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링 부재(3200)는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부덮개편(3110)의 일측 면(예: 상면)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고 이를 잡은 사용자의 손에서 용기 뚜껑(3000) 및 밀폐 용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3210)와,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부덮개편(3110)의 타측 면(예: 하면) 상에 배치되어 용기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기밀유지부(3220)(또는,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용기 뚜껑 본체(3100)의 하면이란, 밀폐 용기와 용기 뚜껑이 체결될 때 밀폐 용기를 마주하는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일면을 용기 뚜껑 본체의 하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고, 이와 반대 측으로서 밀폐 용기와 용기 뚜껑이 체결 시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3210)는 제품의 상표가 표시된 상표표시편(32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표표시편(3211)은 상부덮개편(3110)의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상표표시편 배치홈(3113)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3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미끄럼방지부(3210)와 기밀유지부(3220)는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뚜껑 본체(3100)에는 상부덮개편(3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패킹 삽입홈(3111)과 오버랩되어 패킹 삽입홈(3111)과 연통되며 상부덮개편(311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3112)이 형성될 수 있고, 미끄럼방지부(3210)와 기밀유지부(3220)는, 관통홀(3112)을 채우고 일단이 기밀유지부(3220)에 연결되며 타단이 미끄럼방지부(3210)에 연결되는 연결부(323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실링 부재(3200)는 미끄럼방지부(3210)와 기밀유지부(3220)와 연결부(3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230)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112)을 관통하는 연결부(3230)에 의하여 실링 부재(3200)는 접착제 없이도 용기 뚜껑 본체(3100)에 단단히 고정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6은 도 2의 제1 금형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제1 금형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양한 위치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제1 금형 어셈블리의 사출물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출물 분리 장치에 의하여 용기 뚜껑 본체가 제1 캐비티에서 분리되어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이제부터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는 캐비티(1001)(또는, 제1 캐비티), 가동측 금형판(1100)(또는, 제1 가동측 금형판), 가동측 베이스(1200)(또는, 제1 가동측 베이스), 가동측 설치판(1300)(또는, 제1 가동측 설치판), 고정측 금형판(1400)(또는, 제1 고정측 금형판), 고정측 설치판(1500)(또는, 제1 고정측 설치판), 고정측 베이스(1800)(또는, 제1 고정측 베이스), 스페이서(1700), 사출물 분리 장치(16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는 서로 대응되는 금형판들(1100,1400)이 서로 맞닿아 사출물을 성형하는 상태인 닫힌 상태와, 서로 대응되는 금형판들(1100,1400)이 이격되어 캐비티(1001)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성형된 사출물을 언로딩 하는 열린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의 이동은 유압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동측 설치판(1200)과 가동측 베이스(1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001)에는 사출기(50)를 통하여 사출된 액상의 사출 재료(또는, 제1 사출 재료)가 유동할 수 있다. 캐비티(1001)는 용기 뚜껑 본체(3100)의 형상과 형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비티(1001)는 닫힌 상태에서 가동측 금형판(1100)과 고정측 금형판(140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측 금형판(1100)은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고정측 금형판(1400)은 용기 뚜껑 본체(3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가동측 금형판(1100)에는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형성 함몰부(1002)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측 금형판(1400)은 용기 뚜껑 본체(3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캐비티(1001)란 상면 형성 함몰부(1002)와 하면 형성 함몰부(1003)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면 형성 함몰부(1002)와 하면 형성 함몰부(1003)는 각각 제1 캐비티(1001)의 일부분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제1 캐비티(1001)는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부덮개편(3110) 및/또는 패킹 삽입홈(3111) 및/또는 상표표시편 배치홈(3113)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1001a)과,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1001a)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잠금돌기(3121)가 구비된 잠금날개편(3120)이 형성되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은 복수의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은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1001a)의 가장자리를 따라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가동측 금형판(1100)은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1001a)(또는, 상부덮개편(3110))의 일 가장자리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는 브랜딩 돌기(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랜딩 돌기(1120)는 브랜딩 돌기(112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브랜딩 돌기(1120) 주변의 가동측 금형판(1100)의 일면에 비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랜딩 돌기(1120) 주변의 가동측 금형판(1100)의 일면은 상면 형성 함몰부(1002)의 일부에 해당될 수 있다. 브랜딩 돌기(1120)는 상부덮개편(3110)의 일 가장자리의 중앙에 형성되는 상표표시편 배치홈(3113)을 형성할 수 있다.
가동측 설치판(1200)은 가동측 금형판(1100)을 지지할 수 있다. 가동측 금형판(110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동측 설치판(1200)은 복수의 가동측 금형판(110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가동측 금형판(1100)은 가동측 설치판(12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동측 설치판(1200)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냉각수 채널이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부(9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가동측 설치판에 공급될 수 있다. 가동측 설치판(1200)에 공급된 냉각수는 캐비티(1001)에 충전된 사출 재료를 냉각할 수 있다.
가동측 베이스(1300)는 가동측 설치판(1200)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측 베이스(1300)는 가동측 금형판(1100)과 반대되는 측에서 가동측 설치판(1200)에 고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가동측 설치판(1200)은 가동측 베이스(1300)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측 베이스(1300)는 단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측 베이스(1300)는 유압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유압 장치(예: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측 금형판(1100), 가동측 설치판(1200), 및 가동측 베이스(1300)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측 베이스(13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동측 금형판(1100) 및/또는 가동측 설치판(1200) 역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는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동측 금형판(1100)의 이동은 정지해 있는 고정측 금형판(140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일 수 있다.
고정측 금형판(1400)은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1001a)을 형성하는 코어 부재(1410)와,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을 형성하는 주변 부재(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부재(1420)는 중심에 코어 부재(141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 코어 리세스(1421)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코어 부재(1410)는 사출기(50)에 의하여 관통될 수 있으며, 코어 부재(1410)의 중심에는 사출기(50)와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는 캐비티(1001)와 연통된다.
코어 부재(1410)는 상부덮개편(3110)의 하면을 형성하는 코어 바디(1411)와, 코어 바디(1411)의 가장자리에서 고정측 금형판(1100)을 향해 돌출되고 패킹 삽입홈(3111)을 성형하도록 구비되는 코어 돌기(141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돌기(1412)는 코어 바디(14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코어 바디(1411)를 일주할 수 있다.
고정측 금형판(1400)은 주변 부재(1420) 및 코어 부재(1410)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핀(1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 핀(1430)은 전후 방향으로 주변 부재(1420) 및 코어 바디(1411) 및 코어 돌기(1412)를 모두 관통하여 제1 금형 어셈블리(1000)가 닫힌 상태일 때의 캐비티(1001)에 노출될 수 있다. 캐비티(1001)에 노출된 관통 핀(1430)의 일단은 가동측 금형판(1100)에 접할 수 있다. 관통 핀(1430)은 관통홀(3112)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 핀(1430)은 복수의 관통홀(311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주변 부재(1420) 및 후술하는 고정측 설치판(1500)에는 전후 방향으로 주변 부재를 관통하는 슬롯(1421,15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주변 부재의 슬롯(1421)의 일단은, 주변 부재(1420)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을 형성하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주변 부재(1420)에 형성된 슬롯(1421)의 일단은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에 노출될 수 있다. 슬롯(1421,1510)에는 사출물 분리 장치(1600)의 이젝터(16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고정측 설치판(1500)은 고정측 금형판(1400)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측 금형판(140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고정측 설치판(1500)은 복수의 고정측 금형판(140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측 금형판(1400)은 고정측 설치판(15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측 설치판(1500)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냉각수 채널이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부(9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고정측 설치판(1500)에 공급될 수 있다. 고정측 설치판에 공급된 냉각수는 캐비티(1001)에 충전된 사출 재료를 냉각할 수 있다.
고정측 베이스(1800)는 고정측 설치판(15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측 베이스(1800)는 고정측 금형판(1400)과 반대되는 측에서 고정측 설치판(1500)에 고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정측 설치판(1500)은 고정측 베이스(18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측 베이스(1800)는 단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측 금형판(1400), 고정측 설치판(1500), 및 고정측 베이스(1800)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1700)는 고정측 설치판(1500)과 고정측 베이스(18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측 설치판(1500)과 고정측 베이스(1800)를 연결할 수 있다. 스페이서(1700)는 고정측 설치판(1500)과 고정측 베이스(18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1700)는 고정측 설치판(1500)과 고정측 베이스(1800) 사이에 이격 공간(17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격 공간은 분리 장치 공간(1710)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분리 장치 공간(1710)에는 사출물 분리 장치(1600)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출물 분리 장치(1600)는 제1 금형 어셈블리(1000)가 열린 상태일 때 제1 캐비티(1001)(또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로부터 사출물(예: 용기 뚜껑 본체(310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사출물 분리 장치(1600)는 사출물을 캐비티(1001)(또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사출물(예: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상기 제1 캐비티(1001)로부터 이격된 허공 중에 지지(또는, 고정)할 수 있다.
사출물 분리 장치(1600)는 이젝터 플레이트(1610), 이젝터(1620), 견인 케이블(1630, 도 2 참조), 가압 로드(1650), 가이드 블록(16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161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1610)는 분리 장치 공간(17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1610)는 분리 장치 공간(1710)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1610)는 제1 이젝터 플레이트(1610a)와 제2 이젝트 플레이트(16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1610)는 제1 이젝터 플레이트(1610a)와 제2 이젝터 플레이트(1610b)가 서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젝터 플레이트(1610a)는 제2 이젝터 플레이트(1610b)보다 고정측 금형판(1400)으로부터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젝터 플레이트(1610a)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반대되는 제2 이젝터 플레이트(1610b)의 양면 중 고정측 금형판(1400)에서 더 멀리 떨어진 일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이젝터 플레이트(1610b)에는 전후 방향으로 제2 이젝터 플레이트(1610b)를 관통하는 개구(16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611)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611)에는 대응되는 이젝터(1620)가 배치 및/또는 삽입될 수 있다. 개구(1611)에는 대응되는 이젝터(162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을 수 있고, 삽입된 이젝터(1620)의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젝터(16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젝터(1620)는 복수의 이젝터(1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1620)의 일단은 이젝터 플레이트(1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젝터(1620)의 일단은 제2 이젝터 플레이트(1610b)의 개구(1611)에 배치되고 제2 이젝터 플레이트(161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젝터(1620)는 고정측 금형판(1400) 및 고정측 설치판(1500)을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측 설치판(1500)에 형성된 슬롯(1510)과 고정측 금형판(1400)(예: 주변 부재(1420))에 형성된 슬롯(1421)을 차례로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젝터(1620)는 슬롯(1421,151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1610)에 결합되는 이젝터(1620)의 일단과 반대 측인 이젝터(1620)의 타단은 캐비티(1001)에 노출될 수 있다. 이젝터(1620)의 타단은 고정측 금형판(1400)(예: 주변 부재(1420))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을 형성하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이젝터(1620)의 타단은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을 형성할 수 있다. 이젝터(1620)의 타단은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을 형성하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나, 이젝터(1620)의 타단은 잠금돌기(3121)를 형성하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의 일부에 해당될 수 있다. 이젝터(1620)의 타단은 잠금날개편(3120)의 잠금돌기(3121)를 성형 또는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이젝터(1620)는 이젝터 플레이트(1610) 상에서 잠금날개편(3120)(또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1001b))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이젝터(1620)에 대응되게 슬롯(1421,1510) 및 개구(1611) 역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견인 케이블(1630)은 이젝터 플레이트(1610)를 분리 장치 공간(171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견인 케이블(1630)은 이젝터 플레이트(1610)를 가동측 금형판(1100)을 향하여 당길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견인 케이블(1630)의 일단은 가동측 설치판(1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젝터 플레이트(1610)(예: 제1 이젝터 플레이트(1610a))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측 금형판(1100) 및 가동측 설치판(1200)이 고정측 금형판(14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동측 설치판(1200)에 일단이 고정된 견인 케이블(1630) 역시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견인 케이블(1630)의 타단에 고정된 이젝터 플레이트(1610)는 견인 케이블(1630)에 의하여 당겨지면서 가동측 설치판(1200)을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 플레이트(1610)가 분리 장치 공간(1710) 내에서 가동측 금형판(1100)을 향하여 이동되는 경우, 이젝터 플레이트(1610)에 결합되어 있는 이젝터(1620) 역시 슬롯(1421,151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가동측 금형판(110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잠금날개편(3120)(예: 잠금돌기(3121))이 고정되어 있는 이젝터(1620)의 타단은 캐비티(1001)(또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로부터 이격되어 가동측 금형판(1100)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용기 뚜껑 본체(3100)는 캐비티(1001)(또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로부터 분리되어 잠금날개편(3120)(예: 잠금돌기(3121))만 이젝터(1620)에 연결된(또는, 고정된) 채로 고정측 금형판(1400)과 가동측 금형판(1100) 사이의 이격 공간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젝터(1620)가 사출물(예: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캐비티(1001)로부터 분리시키는 상태를 분리 상태라고 지칭할 수 있고, 이젝터(1620)가 잠금날개편(3120)을 성형하도록 하면 형성 함몰부(1003)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복원 상태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출물 분리 장치(1600)(또는, 이젝터(1620))는 후술하는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용이하게 운반 가능하도록 캐비티(1001)로부터 용기 뚜껑 본체(31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잠금돌기(3121)는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여러 부분 중 가장 돌출된 말단에 해당되기에, 이젝터(1620)가 캐비티(1001)에서 분리되기 어려운 잠금돌기(3121) 부분을 붙잡고 캐비티(1001)로부터 용기 뚜껑 본체(3100)를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출물 분리 장치(1600)는 사출물 분리 작업을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다.
가압 로드(1650)는 이젝터 플레이트(1610)로부터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고정측 설치판(1500)을 관통할 수 있다. 가압 로드(1650)는 고정측 설치판(150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가압 로드(1650)는 고정측 금형판(1400)(예: 주변 부재(14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로드(1650)는 일단이 이젝터 플레이트(1610)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동측 설치판(1200)의 일면을 마주하는 고정측 설치판(15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동측 설치판(1200)의 상기 일면과 고정측 설치판(1500)의 상기 일면은 제1 금형 어셈블리(1000)가 닫힌 상태일 때 서로 접할 수 있다. 사출물 분리 장치(1600)가 복원 상태일 때, 가압 로드(1650)의 타단은 고정측 설치판(1500)의 일면과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사출물 분리 장치(1600)가 분리 상태일 때, 가압 로드(1650)의 타단은 고정측 설치판(1500)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가동측 설치판(1200)을 향하여 오프셋 될 수 있다. 제1 금형 어셈블리(1000)가 열릴 때 견인 케이블(1630)에 의하여 이젝터 플레이트(1610)는 가동측 금형판(1100)을 향해 당겨지고 이젝터(1620)는 분리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후에, 제1 금형 어셈블리(1000)가 다시 닫히는 경우 가동측 설치판(1200)의 일면이 가압 로드(1650)의 타단을 가압하게 되며, 가압 로드(1650)는 가동측 설치판(1200)에 의하여 고정측 베이스(1800)를 향하여 이동되게 되며, 이젝터 플레이트(1610) 역시 가압 로드(1650)와 함께 이동되게 되며, 이젝터(1620)는 복원 상태가 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640)은 이젝터(16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젝터(1620)는 가이드 블록(1640)을 관통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1640)은 고정측 설치판(1500)에 형성된 슬롯(1510)의 이젝터 플레이트(1610)를 마주하는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를 열기 위하여 가동측 금형판(1100)이 이동된 직후 이젝터 플레이트(1610)가 이동되면서 사출물(예: 용기 뚜껑 본체)이 가동측 금형판(110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닫힌 상태일 때 견인 케이블(1630)은 느슨한 상태가 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가동측 금형판(1100)이 이동한 직후에는 견인 케이블(1630)을 매개로 이젝터 플레이트(1610)에 힘이 전달되지 않으나, 가동측 금형판(1100)이 소정 거리 이동 후에는 팽팽하게 당겨진 견인 케이블(1630)에 장력이 인가되면서 견인 케이블(1630)을 매개로 이젝터 플레이트(1610)에 힘이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출기(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고정측 금형판(1400)(예: 코어 부재(1410)), 고정측 설치판(1500), 및 이젝터 플레이트(16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고정측 금형판(1400)(예: 코어 부재(1410)), 고정측 설치판(1500), 및 이젝터 플레이트(1610)에는 사출기(50)에 대응되는 사출기 배치홀(100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도 2의 제2 금형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11에 도시된 제2 금형 어셈블리에 있어서 (a) 일 위치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b) (a)의 단면에 제2 사출 재료가 주입된 상태를 도시한 다면도 (c) (a)의 단면과 다른 위치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이제부터,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는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에서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3100)가 공급될 수 있다.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는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 상기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삽입된 채로 닫힌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 뚜껑 본체가 삽입된 채로 닫힌 상태에서 제2 사출 재료를 캐비티(2001)로 주입하여 실링 부재 성형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뚜껑 본체(3100)는 가동측 금형판(2100)과 고정측 금형판(2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는 캐비티(2001)(또는, 제2 캐비티), 날개편 안착 공동(空洞)(2002), 가동측 금형판(2100)(또는, 제2 가동측 금형판), 가동측 설치판(2200)(또는, 제2 가동측 설치판), 가동측 베이스(2300)(또는, 제2 가동측 베이스), 고정측 금형판(2400)(또는, 제2 고정측 금형판), 고정측 설치판(2500)(또는, 제2 고정측 설치판), 고정측 베이스(2600)(또는, 제2 고정측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형 어셈블리(200)는 서로 대응되는 금형판들(2100,2400)이 서로 맞닿아 사출물을 성형하는 상태인 닫힌 상태와, 서로 대응되는 금형판들(2100,2400)이 이격되어 캐비티(2001)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성형된 사출물을 언로딩 하는 열린 상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의 이동은 유압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동측 설치판(2200)과 가동측 베이스(23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2001)에는 사출기(51)를 통하여 사출된 액상의 사출 재료가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에 공급된 사출 재료를 제1 사출 재료라고 할 수 있고,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 공급되는 사출 재료를 제2 사출 재료라고 할 수 있으며, 제2 사출 재료는 제1 사출 재료와 다른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출 재료는 고무, 실리콘, 합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합성 수지는 폴리우레탄(PU),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아세탈(POM),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PMMA), 폴리에틸렌(PE),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페놀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사출 재료는 경화된 후 탄성체가 되는 재료일 수 있다.
제2 캐비티(2001)는 실링 부재(3200)와 형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캐비티(2001)는 닫힌 상태에서 가동측 금형판(2100)과 고정측 금형판(240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캐비티(2001)는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삽입된 채로 제2 금형 어셈블리(2000)가 닫힌 상태일 때 용기 뚜껑 본체(3100)의 패킹 삽입홈(3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캐비티(2001)는 실링 부재(3200)의 미끄럼방지부(3210)가 형성되는 미끄럼방지부 형성 영역(2001a)과 실링 부재(3200)의 기밀유지부(3220)가 형성되는 기밀유지부 형성 영역(2001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동측 금형판(2100)은 실링 부재(32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고정측 금형판(2400)은 실링 부재(320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가동측 금형판(2100)은 실링 부재(3200)의 미끄럼방지부(3210)를 형성할 수 있고, 고정측 금형판(2400)은 실링 부재(3200)의 기밀유지부(32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캐비티(2001)로 주입된 제2 사출 재료는 용기 뚜껑 본체(3100)의 패킹 삽입홈(3111) 및/또는 관통홀(3112)에 충진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가동측 금형판(2100)에는 실링 부재(3200)의 미끄럼방지부(3210)를 형성하는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측 금형판(2400)은 실링 부재(3200)의 기밀유지부(3220)를 형성하는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가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는 미끄럼방지부 형성 영역(2001a)을 형성할 수 있고,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는 기밀유지부 형성 영역(2001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캐비티(2001)란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와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에 해당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와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는 각각 제2 캐비티(2001)의 일부분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 및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는,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금형 어셈블리(2000)가 닫힌 상태일 때의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부덮개편(3110) 가장자리 및/또는 패킹 삽입홈(3111)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캐비티(2001)의 일부(2001a)와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캐비티(2001)의 일부(2001b)는 연통될 수 있다.
날개편 안착 공동(2002)은 제2 금형 어셈블리(2000)가 닫힌 상태일 때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잠금날개편(3120)을 제2 캐비티(2001)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잠금날개편(3120)이 제2 사출 재료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날개편 안착 공동(2002)은 제2 금형 어셈블리(2000)가 닫힌 상태일 때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잠금날개편(3120)이 가동측 금형판(2100)과 고정측 금형판(2400) 사이에 끼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날개편 안착 공동(2002)은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3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날개편 안착 공동(2002)은 잠금날개편(3120)에 대응되는 개수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가동측 금형판(2100)에는 가동측 금형판(2100)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가동측 공동(2002a)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측 금형판(2400)에는 고정측 금형판(2400)의 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고정측 공동(200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날개편 안착 공동(2002)은 가동측 공동(2002a)과 고정측 공동(2002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해당될 수 있으며, 가동측 공동(2002a)과 고정측 공동(2002b)은 각각 날개편 안착 공동(2002)의 일부분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가동측 금형판(2100)은 닫힌 상태일 때 용기 뚜껑 본체의 상부덮개편(3110)의 상면과 맞닿아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지지하고 상표표시편 배치홈(3113)에 배치되는 상표표시편(3211)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가동측 코어 부재(2110)와,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 및 가동측 공동(2002a)이 형성되고 상표표시편(3211)을 제외한 미끄럼방지부(3210)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가동측 주변 부재(2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표표시편(3211)을 제외한 미끄럼방지부(3210)의 나머지 부분을 루프라고 지칭할 수 있다. 즉, 미끄럼방지부(3210)는 루프 및 일단이 루프에 연결되는 상표표시편(32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동측 주변 부재(2120)는 중심에 가동측 코어 부재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 가동측 코어 리세스(2121)을 가질 수 있다.
가동측 설치판(2200)은 가동측 금형판(2100)을 지지할 수 있다. 가동측 금형판(210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동측 설치판(2200)은 복수의 가동측 금형판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가동측 금형판(2100)은 가동측 설치판(22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가동측 설치판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냉각수 채널이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부(또는, 제2 냉각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가동측 설치판에 공급될 수 있다. 가동측 설치판에 공급된 냉각수는 제2 캐비티에 충전된 사출 재료를 냉각할 수 있다.
가동측 베이스(2300)는 가동측 설치판(2200)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측 베이스(2300)는 가동측 금형판(2100)과 반대되는 측에서 가동측 설치판(2200)에 고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가동측 설치판(2200)은 가동측 베이스(2300)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측 베이스(2300)는 단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측 베이스(2300)는 유압 장치(또는, 제2 유압 장치)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유압 장치(예: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측 금형판(2100), 가동측 설치판(2200), 및 가동측 베이스(2300)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동측 베이스(23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 가동측 금형판(2100) 및/또는 가동측 설치판(2200) 역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금형 어셈블리는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동측 금형판(2100)의 이동은 정지해 있는 고정측 금형판(240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일 수 있다.
고정측 금형판(2400)은 닫힌 상태일 때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부덮개편(3110)의 하면과 맞닿아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지지하고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가 형성되어 기밀유지부(3220)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고정측 코어 부재(2410)와, 닫힌 상태일 때의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잠금날개편(3120)을 지지하고 고정측 공동(2002b)이 형성되는 고정측 주변 부재(24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측 주변 부재(2420)는 중심에 고정측 코어 부재(2410)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 고정측 코어 리세스(2421)를 가질 수 있다.
고정측 설치판(2500)은 고정측 금형판(2400)을 지지할 수 있다. 고정측 금형판(2400)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나의 고정측 설치판(2500)은 복수의 고정측 금형판(2400)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측 금형판은 고정측 설치판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측 설치판(2500)에는 냉각수가 유동할 수 있는 냉각수 채널이 구비될 수 있으며, 냉각부(또는, 제2 냉각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고정측 설치판에 공급될 수 있다. 고정측 설치판에 공급된 냉각수는 제2 캐비티에 충전된 제2 사출 재료를 냉각할 수 있다.
고정측 베이스(2600)는 고정측 설치판(250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측 베이스(2600)는 고정측 금형판(2400)과 반대되는 측에서 고정측 설치판(2500)에 고정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정측 설치판(2500)은 고정측 베이스(26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측 베이스는 단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측 금형판(2400), 고정측 설치판(2500), 및 고정측 베이스(2600)는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사출기(51)(또는, 제2 사출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사출기(51)는 고정측 설치판(2500)과, 고정측 주변 부재(2420)와, 고정측 코어 부재(2410)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고정측 코어 부재(2410)의 일면에는 제2 사출기(51)와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는 제2 캐비티(2001)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구는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 상에 형성될 수 있고, 기밀유지부 형성 영역(2020)에 노출될 수 있다.
제2 사출기(51)를 통해 사출되는 제2 사출 재료는 주입구를 통해서 제2 캐비티(2001)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와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 사이에는 상부덮개편(3110)의 가장자리 및 패킹 삽입홈(3111)이 배치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 형성 영역(2001a)이란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와 상부덮개편(3110)의 상면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해당될 수 있고, 기밀유지부 형성 영역(2001b)이란 기밀유지부 형성 함몰부(2020)와 패킹 삽입홈(3111)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 형성 영역(2001a)과 기밀유지부 형성 영역(2002b)은 용기 뚜껑 본체(3100)에 형성된 관통홀(3112)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출기(51)를 통해 제2 캐비티(2001)로 주입된 사출 재료의 일부는 기밀유지부 형성 영역(2001b)과 관통홀(3112)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상부덮개편(3110)의 상면 측에 위치한 미끄럼방지부 형성 영역(2001a)으로 유동될 수 있고, 사출 재료의 다른 일부는 관통홀(3112)에 충진될 수 있으며, 사출 재료의 나머지는 기밀유지부 형성 영역(2001b)에 충진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경화되면, 상부덮개편(3110)의 상면 상으로 유동한 사출 재료는 미끄럼방지부(3210)를 형성하고, 패킹 삽입홈(3111)에 충진된 사출 재료는 기밀유지부(3220)를 형성하며, 관통홀(3112)에 충진된 사출 재료는 미끄럼방지부(3210)와 기밀유지부(32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323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제2 금형 어셈블리의 가동측 코어 부재의 (a) 분해 사시도 및 (b)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할 때,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의 가동측 코어 부재(2110)는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부덮개편(3110)의 상면과 맞닿아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지지하는 가동측 코어 바디(2111)와, 가동측 코어 바디(2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표표시편(3211)을 형성하는 상표표시블럭(2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표표시블럭(2112)은 미끄럼방지부 형성 함몰부(2010)를 구성하는 일면(2112a)에 상표가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표표시블럭(2112)은 각각 상이한 상표가 양각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표표시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표표시블럭(2112)은 상표표시편(3211) 및/또는 상표표시편 배치홈(3113) 및/또는 브랜딩 돌기(1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표표시편(3211)은 상표표시편 배치홈(3113)과 상표표시블럭(2112)의 일면(2112a) 사이의 공간에 제2 사출 재료가 충진되어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가동측 코어 부재(2110)는 전후 방향으로 가동측 코어 바디(2111)를 관통하도록 가동측 코어 바디(2111)에 형성되고 상표표시블럭(2112)이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결합슬롯(2113)과, 결합슬롯(2113)의 내측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결합슬롯(2113)에 형성되는 걸림홈(2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표표시블럭(2112)은 상표표시블럭(2112)의 일 측면에서 돌출되는 스토퍼돌기(211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돌기(2115)는 걸림홈(2114)과 형합될 수 있고, 상표표시블록(2112)이 결합슬롯(2113)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표표시블록(2112)은 결합슬롯(2113)에 스토퍼돌기(2115)가 걸림홈(2114)에 삽입될 때까지 밀어 넣어짐으로써 가동측 코어 바디(211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표표시블록(2112)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상표표시블록만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상표가 표시된 상표표시편들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의 그리퍼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그리퍼 어셈블리의 플레이트 바디를 전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19는 도 14에 도시된 그리퍼 어셈블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 내지 19를 참조할 때, 사출 성형 시스템(1)은 용기 뚜껑(3000) 및/또는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운반하도록 마련되는 그리퍼 어셈블리(8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에서 형성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로 이동 또는 공급할 수 있다.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서 형성된 실링 부재(3200)가 구비된 용기 뚜껑(3000)을 완성품 적재 영역(110)으로 운반할 수 있다.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직사각형 판상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바디(8100)와, 플레이트 바디(8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플레이트 바디(8100)를 3축 이동 가능한 매니퓰레이터(8200)와, 플레이트 바디(8100)에 구비되고 음압을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3100) 또는 용기 뚜껑(3000)을 파지 가능한 복수의 진공 흡착기(8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종단장치(End-of-Arm-Tooling)를 전후 방향 축, 좌우 방향 축, 및 상하 방향 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매니퓰레이터(8200)는 당업자에게 통상의 수단에 불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매니퓰레이터(8200)의 종단장치에 해당되는 부분에 플레이트 바디(8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매니퓰레이터(8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플레이트 바디(8100)는 지면에 수직이게 배치될 수도 있고,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진공 흡착기(830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레이트 바디(8100)의 일면(예: 전면)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파이프 로드(8310, 도 21 참조)와, 파이프 로드(8310)의 일단(예: 전단)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되 파이프 로드(8310)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일면에 일단(예: 전단)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흡착판(8320, 도 21 참조)과, 파이프 로드(8310)의 타단에 결합되고 파이프 로드(8310)를 매개로 흡착판(8320)에 음압을 공급하는 에어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펌프와 파이프 로드는 튜브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플레이트 바디(8100)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용기 뚜껑 본체(3100)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플레이트 바디(8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때 진공 흡착기(8300)의 흡착판(8320)은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부덮개편(3110)에 접촉될 수 있으며,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흡착판의 음압을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3100)를 흡착판에 흡착시킬 수 있다.
그리퍼 어셈블리(800)는 플레이트 바디(8100)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때의 플레이트 바디(8100)의 하반부 및 복수의 진공 흡착기(8300) 중 플레이트 바디(8100)의 하반부에 고정된 진공 흡착기(83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간품 파지 영역(8100a)과, 플레이트 바디(8100)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때의 플레이트 바디(8100)의 상반부 및 복수의 진공 흡착기(8300) 중 플레이트 바디(8100)의 상반부에 고정된 진공 흡착기(83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완성품 파지 영역(8100b)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품 파지 영역(8100a)은 복수의 중간품 파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중간품 파지 영역(8100a)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완성품 파지 영역(8100b)은 복수의 완성품 파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완성품 파지 영역(8100b)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중간품 파지 영역(8100a)을 통해서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에서 형성되고 실링 부재(3200)가 미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파지(또는, 흡착)할 수 있고, 완성품 파지 영역(8100b)을 통해서는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서 형성되고 실링 부재(3200)가 구비된 용기 뚜껑(3000)을 파지(또는, 흡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출 성형 시스템(1)을 이용하여 용기 뚜껑을 사출 성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출 성형 방법은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에 제1 사출 재료를 주입하여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성형하는 용기 뚜껑 본체 성형 공정과, 용기 뚜껑 성형 공정을 통하여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 공급하는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과,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을 통하여 공급받은 용기 뚜껑 본체(3100)에 직접적으로 실링 부재(3200)를 성형하는 실링 부재 성형 공정과, 실링 부재 성형 공정을 통하여 실링 부재(3200)가 구비된 용기 뚜껑(3000)을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로부터 수거하는 용기 뚜껑 수거 공정과, 상기 용기 뚜껑 수거 공정을 통하여 수거된 용기 뚜껑을 적재함에 적재하는 용기 뚜껑 적재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뚜껑 본체 성형 공정은 제1 사출 재료를 닫힌 상태의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의 제1 캐비티(1001)에 공급하는 단계, 제1 캐비티(1001)에 공급된 제1 사출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를 여는 단계, 사출물 분리 장치(1600)가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제1 캐비티(1001)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은 그리퍼 어셈블리(80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은, 지면에 수직한 상태의 플레이트 바디의 중간품 파지 영역이 제1 가동측 금형판(1100)과 제1 고정측 금형판(140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캐비티(1001)로부터 분리되어 이젝터(1620)에 의해 지지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마주하도록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플레이트 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제1 캐비티(1001)로부터 분리되어 이젝터(1620)에 의해 지지된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부덮개편(3110)에 진공 흡착기(8300)(예: 흡착판)가 닿을 때까지 플레이트 바디(8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흡착판에 음압을 공급하여 용기 뚜껑 본체(3100)를 흡착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진공 흡착기(8300)에 용기 뚜껑 본체(3100)가 흡착된 상태의 플레이트 바디(8100)를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에서 빼내어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이동시키는 단계, 진공 흡착기에 용기 뚜껑 본체가 흡착된 상태의 플레이트 바디를 열린 상태의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의 제2 고정측 금형판(2400)과 제2 가동측 금형판(2100) 사이에 배치되도록 그리퍼 어셈블리(800)가 플레이트 바디(8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 고정측 금형판(2400)에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장착되도록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플레이트 바디(8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진공 흡착기(8300)의 음압을 해제하여 진공 흡착기(8300)에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 성형 공정은 제2 금형 어셈블리(2000)가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닫히는 단계, 제2 사출 재료를 닫힌 상태의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의 제2 캐비티(2001)에 공급하는 단계, 제2 캐비티(2001)에 공급된 제2 사출 재료를 경화시키는 단계,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를 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뚜껑 수거 공정은 그리퍼 어셈블리(80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용기 뚜껑 수거 공정은, 제2 고정측 금형판(2400)과 제2 가동측 금형판(2100) 사이에서 완성품 파지 영역이 제2 고정측 금형판(2400)에 고정된 실링 부재(3200)가 구비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마주하도록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플레이트 바디(8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제2 고정측 금형판(2400)에 고정된 실링 부재(3200)가 구비된 용기 뚜껑(3000)(또는, 완성된 용기 뚜껑(3000))에 완성품 파지 영역의 진공 흡착기(8300)가 닿을 때까지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플레이트 바디(8100)를 전후 방향(예: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진공 흡착기(8300)의 음압으로 완성된 용기 뚜껑(3000)을 흡착하는 단계, 완성된 용기 뚜껑을 흡착한 상태에서 완성된 용기 뚜껑이 제2 캐비티(2001)에서 분리되도록 플레이트 바디(8100)를 전후 방향(예: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뚜껑 적재 공정은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서 분리된 용기 뚜껑을 완성품 적재 영역(100)으로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완성품 적재 영역(100)에는 박스 형상의 적재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용기 뚜껑 적재 공정은 그리퍼 어셈블리(8000)가 적재함에 완성된 용기 뚜껑을 적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제1 금형 어셈블리(1000)로부터 성형된 후 실링 부재(3200)가 미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중간품 파지 영역에 부착시킨 상태로,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로부터 실링 부재(3200)가 성형 및/또는 결합된 용기 뚜껑 본체(3100)(또는, 용기 뚜껑(3000))를 완성품 파지 영역에 부착 가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그리퍼 어셈블리(8000)를 이용하여 완성된 용기 뚜껑(3000)을 제2 고정측 금형판(2400)에서 분리하는 것과 실링 부재(3200)가 미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제2 고정측 금형판(2400)에 장착시키는 것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은 용기 뚜껑 수거 공정이 수행된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제2 금형 어셈블리(2000)로부터 완성된 용기 뚜껑(3000)을 회수하는 것과 실링 부재(3200) 성형이 요구되는 새로운 용기 뚜껑 본체(3100)를 제2 고정측 금형판(2400)에 장착하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있으므로, 그리퍼 어셈블리의 동선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제1 금형 어셈블리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출물 분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을 참조할 때, 사출물 분리 장치(1600)는 사출물(예: 용기 뚜껑 본체(3100))이 이젝터(162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탄성 가압핀(1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가압핀(1900)은 잠금돌기(3121)가 형성 및 지지되는 이젝터(162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가압핀(1900)은 이젝터(162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 가압핀(1900)은, 일단이 잠금돌기(3121)가 형성 및 지지되는 이젝터(1620)의 측면에 노출되는 가압핀(1910), 가압핀(19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스프링(1911), 가압핀(1910)이 배치되는 스프링(1911)의 일측과 반대 측인 스프링(1911)의 타측에 배치되는 스프링 커버(1930), 및 스프링 커버(1930)에서 돌출되어 스프링(1911)의 내측에 삽입되고 가압핀(19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940)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스프링(1911)은 가압핀(1910)과 스프링 커버(19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젝터(1620)에는 가압핀(1910)과 스프링(1911)과 스토퍼(1940)이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홀(1920)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홀(1920)은 이젝터(1620)의 일 측면으로부터 잠금돌기(3121)와 접촉되는 이젝터(1610)의 다른 측면까지 이젝터(1620)를 관통할 수 있다. 가압핀(1910)은 슬라이딩 홀(192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커버(1930)는 슬라이딩 홀(1920)을 커버하면서 이젝터(162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고, 슬라이딩 홀(1920)의 내부의 스프링(1911)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홀(1920)에 배치된 가압핀(1910)은 일단이 잠금돌기(3121) 및/또는 하면 형성 함몰부(1003)를 형성하는 이젝터(1620)의 일면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가압핀(1910)의 일단은 하면 형성 함몰부(1003) 상에 노출될 수 있다. 스프링(1911)은 가압핀(1910)의 이동에 의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스프링(1911)은 가압핀(1910)의 이동에 의하여 압축될 수도 있고, 압축된 스프링(1911)이 복원되면서 가압핀(1910)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1 캐비티(1001)에 사출 재료가 주입되는 동안 사출 재료의 압력에 의하여 가압핀(1910)은 타단이 스토퍼(1930)에 닿을 때까지 밀리게 된다. 이때 스프링(1911)은 압축되며 가압핀(1910)의 일단은 하면 형성 함몰부(1003)의 다른 면들로부터 돌출됨 없이 하면 형성 함몰부(1003)의 주변 다른 부분과 연속적이게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로 사출 재료의 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성형이 완료된 후 사출물 분리 장치(1600)는 제1 캐비티(1001)에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분리할 수 있다.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이젝터(1620)에 의하여 제1 캐비티(1001)에서 분리된 상태로 지지되는 동안에도 가압핀(1910)은 눌려진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그리퍼 어셈블리(8000)의 진공 흡착기(8300)가 용기 뚜껑 본체(3100)를 흡착할 때 충격이 발생되게 되며, 그 충격으로 인하여 복수의 이젝터(1620)에 의하여 용기 뚜껑 본체(3100)에 사방에서 가해지는 힘의 균형이 일시적으로 흐트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시적으로 힘의 균형이 무너진 때, 복수의 이젝터(1620)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된 탄성 가압핀(1900)은 스프링(1911)의 복원력을 전달받아 잠금돌기(3121)를 이젝터(162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뚜껑 본체(3100)는 그리퍼 어셈블리(8000)에 파지된 상태로 용이하게 이젝터(16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어셈블리의 불량 검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어셈블리의 분리 검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리퍼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설명은 도 1 내지 19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 및/또는 도 20에 도시된 사출 성형 시스템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 내지 23을 참조할 때, 그리퍼 어셈블리(8000)는 제어부(6000), 통신 모듈(7000), 불량 검출 유닛(4000), 또는 분리 검출 유닛(50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 어셈블리(800)는 불량 검출 유닛(4000)만 포함할 수도 있고, 분리 검출 유닛(5000)만 포함할 수도 있으며, 불량 검출 유닛(4000)과 분리 검출 유닛(5000)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6000)는 불량 검출 유닛(4000)과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불량 검출 유닛(40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분리 검출 유닛(5000)과 정보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분리 검출 유닛(50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7000)은 사용자단말(2)과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통신 모듈(7000)은 제어부(6000)와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 모듈과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통신 모듈(7000)을 매개로 사용자단말(2)과 신호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7000)은 사용자단말(2)과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단말(2)은 별개의 입력부(예: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와 출력부(예: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불량 검출 유닛(4000)은 실링 부재(3200)의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량 검출 유닛(4000)은 실링 부재의 기밀유지부(3220)의 두께가 불량인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불량 검출 유닛(4000)은 플레이트 바디(8100)의 일면(예: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불량 검출 유닛(4000)은 완성품 파지 영역(8100b)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바디(8100)의 일면(예: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불량 검출 유닛(4000)은 제2 금형 어셈블리(2000)에서 완성품 파지 영역(8100b)의 진공 흡착기(8300)에 흡착된 용기 뚜껑(3000)의 실링 부재(3200)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불량 검출 유닛(4000)은 완성품 파지 영역의 진공 흡착기에 흡착된 용기 뚜껑의 실링 부재(3200)를 마주할 수 있다. 불량 검출 유닛(4000)은 완성품 파지 영역의 진공 흡착기에 흡착된 용기 뚜껑의 실링 부재(예: 기밀유지부(3220))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불량 검출 유닛(4000)은, 플레이트 바디(8100) 상에 배치되고 일면(예: 전면)이 개방된 가늘고 긴 박스 형상을 갖는 케이싱(4200)과, 케이싱(4200)의 내측 일면(예: 후면)에 배치되고 압력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압력 센서(4500)와, 압력 센서(4500)의 일면(예: 전면) 상에 배치되고 일방으로(예: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검사 핀(4400)과, 플레이트 바디(8100)에 고정되고 플레이트 바디(8100)에 대해서 일방으로(예: 전후 방향으로) 케이싱(4200) 및/또는 압력 센서(4500) 및/또는 검사 핀(44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410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4100)는 리니어 액추에이터에 해당될 수 있다. 압력 센서(4500)는 복수의 압력 센서(45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 핀(4400)은 복수의 검사 핀(4400)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다양한 원리와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어떠한 센서라도 상관없다.
케이싱(4200)은 완성품 파지 영역(8100b)의 진공 흡착기(8300)에 흡착된 용기 뚜껑(3000)의 실링 부재(3200)(예: 기밀유지부(3220))에 대응될 수 있도록 가늘고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압력 센서(4500)는 케이싱(42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복수의 검사 핀(4400)은 그 일단(예: 후단)이 케이싱(4200)에 수용될 수 있다. 검사 핀(4400)은 용기 뚜껑(300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검사 핀(4400)의 타단(예: 전단)은 용기 뚜껑(3000)의 실링 부재(3200)(예: 기밀유지부(3220))에 접촉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검사 핀(4400) 및/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4500)는 기밀유지부(3220)에 대응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검사 핀(4400) 및/또는 복수의 압력 센서(4500)는 기밀유지부(3220)에 대응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검사 핀(4400)은 일단(예: 전단)이 뾰족하고 타단(예: 후단)이 넓은 압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검사 핀(4400)의 타단(예: 후단)은 압력 센서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압력 센서(4500) 각각은 복수의 검사 핀(4400) 각각과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압력 센서(4500) 각각은 케이싱(4200)에 고정될 수 있다. 압력 센서(4500)는 대응되는 검사 핀(4400)의 일단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불량 검출 유닛(4000)은 상하 방향으로 검사 핀(4400)을 지지하도록 케이싱(4200)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벽(4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4100)는 케이싱(420) 자체를 플레이트 바디(8100)의 일면에 대해서 일방(예: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4100)가 케이싱(4200)을 움직일 때 케이싱(4200)에 고정된 압력 센서(4500) 및 검사 핀(4400) 역시 케이싱(4200)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액추에이터(4100)가 케이싱(4200)을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면 검사 핀(4400)은 케이싱(4200)의 전방에 배치된 용기 뚜껑(3000)의 실링 부재(3200)(예: 기밀유지부(322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케이싱(4200)의 전방에 배치된 용기 뚜껑(3000)의 실링 부재(3200)에 검사 핀(4400)이 접촉되면서 검사 핀(4400)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러한 압력은 대응되는 압력 센서(4500)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케이싱 및/또는 검사 핀(4400)이 상기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이동될 때, 기밀유지부(3220) 중 정상적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검사 핀(4400)이 닿아서 기 결정된 기준 압력값 이상의 압력값이 측정될 수 있으며, 기밀유지부(3220) 중 사출 재료가 제대로 충진되지 못하여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검사 핀(4400)이 닿지 못하여 기준 압력값 미만의 압력값이 측정되거나 압력값이 0으로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복수의 검사 핀(440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압력 센서(4500) 모두가 기준 압력값(또는, "기 결정된 압력값") 이상의 압력값을 측정한 경우 실링 부재(3200)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6000)는 복수의 검사 핀(440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압력 센서(4500) 중 하나 이상이 기준 압력값 미만의 압력값을 측정한 경우 실링 부재(3200)가 불량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실링 부재(3200)가 불량이라고 판단한 경우의 횟수가 일정 기간(예: 24시간, 또는 1주일 등) 동안 기 결정된 횟수(예: 3회)를 초과하는 경우 사출 성형 시스템(1)을 오프하고 사용자단말(2)이 경고 신호를 출력(output)하도록 통신 모듈(7000)을 매개로 사용자단말(2)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경고 신호는 "시스템이 비정상입니다"와 같은 문구나 경고음 등의 음향신호일 수 있다.
분리 검출 유닛(5000)은 제1 금형 어셈블리(1000)의 제1 캐비티(1001)에서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정상적으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분리 검출 유닛(5000)은 중간품 파지 영역(8100a)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바디(8100)의 일면(예: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검출 유닛(5000)은 전후 방향으로 이젝터(1620)에 고정된 용기 뚜껑 본체(3100)를 바라볼 때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좌우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검출 유닛(5000)은 플레이트 바디(8100)에 대하여 예각인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가상의 직선 방향(또는, 제1 직선 방향)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 거리 감지 센서(5100)와, 플레이트 바디(8100)에 대하여 예각인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가상의 직선 방향(또는, 제2 직선 방향)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 거리 감지 센서(5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각도는 제2 각도보다 크다.
제1,2 거리 감지 센서(5100,520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모두 갖는 적외선 거리 감지 센서 또는 레이저 거리 감지 센서 등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원리와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거리 감지 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제1 거리 감지 센서(5100)를 통하여 측정되는 거리가 제1 거리(d1)이고 제2 거리 감지 센서(5200)를 통하여 측정되는 거리가 제2 거리(d2)인 경우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제1 캐비티(1001)에서 정상적으로 분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정상적으로 분리되었다고 함은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캐비티(1001)에서 분리되어 이젝터에 지지되는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제2 거리(d2)는 제1 거리(d1)와 상이할 수 있다. 제2 거리(d2)는 제1 거리(d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제1 거리(d1)는 플레이트 바디(8100)가 기 결정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직선 방향으로 제1 거리 감지 센서(5100)와 제1 고정측 금형판(1400)(예: 하면 형성 함몰부(1003))사이의 거리에 해당될 수 있으며, 기 결정된 값에 해당될 수 있다. 제2 거리(d2)는 플레이트 바디(8100)가 상기 기 결정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직선 방향으로 제2 거리 감지 센서(5200)와 이젝터(1620)에 고정(또는, 지지)된 상태의 용기 뚜껑 본체(3100)의 상면 사이의 거리에 해당되며, 기 결정된 값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결정된 위치란 플레이트 바디(8100)가 제1 고정측 금형판(1400)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기 결정된 거리(예: 20cm)만큼 떨어진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6000)는 제1 거리 감지 센서(5100)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제3 거리(d3)이고 제2 거리 감지 센서(5200)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제4 거리(d4)인 경우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제1 캐비티(1001)에서 분리되지 않았다(또는, 이젝터(1620)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런 경우의 예로는, 견인 케이블(1630)이 모두 끊어진 경우가 있다. 이때, 제3 거리(d3)는 제1 거리(d1)보다 작을 수 있고, 제4 거리(d4)는 제2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제어부(6000)는 제1 거리 감지 센서(5100)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제1 거리(d1)이고 제2 거리 감지 센서(5200)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제5 거리(d5)인 경우 용기 뚜껑 본체(3100)가 사출물 분리 장치(1600)에 의하여 제1 캐비티(1001)에서 분리된 후 이젝터(1620)에서 탈락하여 낙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런 경우의 예로는, 이젝터(1620)의 말단이 마모된 경우가 있다. 이때, 제5 거리(d5)는 제2 거리(d2) 및 제4 거리(d4)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리퍼 어셈블리(800)는 분리 검출 유닛(5000)을 이용하여 사출물 분리 장치(16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사출 성형 시스템
1000; 제1 금형 어셈블리
1001; 제1 캐비티
2000; 제2 금형 어셈블리
2001; 제2 캐비티
1100; 제1 가동측 금형판
1400; 제1 고정측 금형판
2100; 제2 가동측 금형판
2400; 제2 고정측 금형판
3000; 용기 뚜껑

Claims (11)

  1. 제1 금형 어셈블리 및 제2 금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 제작용 사출 성형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에서는 제1 사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가 형성되고,
    용기 뚜껑 본체는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 삽입되며,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제1 사출 재료와 상이한 제2 사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에 고정되는 실링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용기 뚜껑 본체가 형성되는 제1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비티는
    용기 뚜껑 본체의 상부덮개편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과, 상기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잠금돌기가 구비되는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이 형성되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가동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이 설치되는 제1 가동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고정되고 유압 장치에 연결되는 제1 가동측 베이스와,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과 함께 상기 제1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고정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고정측 금형판이 설치되는 제1 고정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고정측 설치판에 고정되는 제1 고정측 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고정측 베이스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가동측 베이스는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사출물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출물 분리 장치는
    상기 이격 공간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젝터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의 일부를 형성 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을 갖는 이젝터와,
    일단이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를 잡아당겨 이동시키는 견인 케이블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견인 케이블에 의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가압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을 향하여 당겨질 때,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의 잠금돌기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로부터 이격된 허공 중에 지지 가능한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는
    용기 뚜껑 본체의 상부덮개편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실링 부재는
    용기 뚜껑 본체의 상부덮개편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는 미끄럼방지부와, 용기 뚜껑 본체의 상기 상부덮개편의 타측에 배치되어 용기에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기밀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서는 상기 미끄럼방지부와 상기 기밀유지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에서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로 이동시키는 그리퍼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 바디를 3축 이동 가능한 매니퓰레이터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구비되고 음압을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를 파지 가능한 복수의 진공 흡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때의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반부 및 상기 복수의 진공 흡착기 중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하반부에 고정된 진공 흡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간품 파지 영역과, 상기 플레이트 바디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때의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상반부 및 상기 복수의 진공 흡착기 중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상반부에 고정된 진공 흡착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완성품 파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로부터 성형된 후 실링 부재가 미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중간품 파지 영역에 흡착시킨 상태로,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로부터 실링 부재가 성형 및 결합된 용기 뚜껑을 상기 완성품 파지 영역에 흡착 가능한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상기 완성품 파지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완성품 파지 영역에 부착된 용기 뚜껑의 실링 부재의 불량 여부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불량 검출 유닛과, 상기 불량 검출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불량 검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사용자단말과 커뮤니케이션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 검출 유닛은
    실링 부재에 대응되도록 실링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검사 핀과, 상기 복수의 검사 핀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복수의 검사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복수의 압력 센서와, 상기 복수의 검사 핀 및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를 실링 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과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검사 핀이 실링 부재에 닿으면서 발생되는 압력이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를 통하여 측정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검사 핀을 실링 부재에 닿도록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을 통하여 획득되는 압력 측정값 각각이 모두 기 결정된 압력값을 넘는 경우 실링 부재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압력 센서 각각을 통하여 획득되는 압력 측정값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기 결정된 압력값 미만인 경우 실링 부재가 불량이라고 판단하며,
    실링 부재가 불량이라고 판단한 경우의 횟수가 일정 기간동안 기 결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사출 성형 시스템을 오프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매개로 상기 사용자단말에 출력 신호를 송신하는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의 가장자리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로부터 이격된 허공 중에 지지 가능하고,
    상기 그리퍼 어셈블리는
    상기 중간품 파지 영역을 형성하는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용기 뚜껑 본체가 상기 이젝터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분리 검출 유닛과, 상기 분리 검출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분리 검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검출 유닛은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대하여 제1 각도로 기울어진 가상의 직선 방향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1 거리 감지 센서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대하여 제1 각도보다 작은 제2 각도로 기울어진 가상의 직선 방향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기 결정된 값인 제1 거리이고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기 결정된 값인 제2 거리인 경우 용기 뚜껑 본체가 상기 이젝터에 의하여 제1 캐비티에서 정상적으로 분리되었고 상기 이젝터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 큰 경우 용기 뚜껑 본체가 제1 캐비티에서 분리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상기 제1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제1 거리이고 상기 제2 거리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거리가 상기 제2 거리보다 큰 경우 용기 뚜껑 본체가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된 후 상기 이젝터에서 탈락했다고 판단하는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9. 용기 뚜껑 본체와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을 성형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으로서,
    제1 사출 재료를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를 형성하는 제1 금형 어셈블리;
    상기 용기 뚜껑 본체를 공급받고, 상기 제1 사출 재료와 상이한 제2 사출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 뚜껑 본체에 고정되는 실링 부재를 형성하는 제2 금형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에서 형성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로 이동시키는 그리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용기 뚜껑 본체는
    용기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덮개편과, 상기 상부덮개편의 가장자리에 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용기에 체결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는 잠금날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실링 부재는 접착제 없이 상기 용기 뚜껑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용기 뚜껑 본체가 형성되는 제1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비티는, 상기 용기 뚜껑 본체의 상기 상부덮개편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과, 상기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상기 용기 뚜껑 본체의 상기 잠금날개편이 형성되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가동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이 설치되는 제1 가동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고정되고 유압 장치에 연결되는 제1 가동측 베이스와,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과 함께 상기 제1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고정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고정측 금형판이 설치되는 제1 고정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고정측 설치판에 고정되는 제1 고정측 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고정측 베이스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가동측 베이스는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사출물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출물 분리 장치는
    상기 이격 공간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젝터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의 일부를 형성 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을 갖는 이젝터와,
    일단이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를 잡아당겨 이동시키는 견인 케이블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견인 케이블에 의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가압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을 향하여 당겨질 때,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의 잠금돌기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로부터 이격된 허공 중에 지지 가능한 것인, 사출 성형 시스템.
  10. 제1 금형 어셈블리 및 제2 금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여 용기 뚜껑 본체 및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용기 뚜껑을 제작하는 사출 성형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에 제1 사출 재료를 주입하여 용기 뚜껑 본체를 성형하는 용기 뚜껑 본체 성형 공정;
    상기 용기 뚜껑 성형 공정을 통하여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에 공급하는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
    상기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을 통하여 공급받은 용기 뚜껑 본체에 직접적으로 실링 부재를 성형하는 실링 부재 성형 공정;
    상기 실링 부재 성형 공정을 통하여 실링 부재가 구비된 용기 뚜껑을 상기 제2 금형 어셈블리로부터 수거하는 용기 뚜껑 수거 공정; 및
    상기 용기 뚜껑 수거 공정을 통하여 수거된 용기 뚜껑을 적재함에 적재하는 용기 뚜껑 적재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용기 뚜껑 본체가 형성되는 제1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캐비티는
    용기 뚜껑 본체의 상부덮개편이 형성되는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과, 상기 상부덮개편 형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며 잠금돌기가 구비되는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이 형성되는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가동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이 설치되는 제1 가동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고정되고 유압 장치에 연결되는 제1 가동측 베이스와,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과 함께 상기 제1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고정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고정측 금형판이 설치되는 제1 고정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고정측 설치판에 고정되는 제1 고정측 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고정측 베이스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측 금형판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과 상기 제1 가동측 베이스는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금형 어셈블리는
    성형된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사출물 분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출물 분리 장치는
    상기 이격 공간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젝터 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잠금날개편 형성 영역의 일부를 형성 가능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을 갖는 이젝터와,
    일단이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를 잡아당겨 이동시키는 견인 케이블과,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견인 케이블에 의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과는 반대로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가압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이젝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가동측 설치판을 향하여 당겨질 때, 용기 뚜껑 본체의 잠금날개편의 잠금돌기를 상기 제1 캐비티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며, 용기 뚜껑 본체를 상기 제1 캐비티로부터 이격된 허공 중에 지지 가능한 것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 상기 용기 뚜껑 수거 공정, 및 상기 용기 뚜껑 적재 공정은 상기 사출 성형 시스템의 그리퍼 어셈블리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용기 뚜껑 본체 공급 공정은 상기 용기 뚜껑 수거 공정이 수행된 직후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KR1020220157955A 2022-11-21 2022-11-23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KR102519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924A KR20230054326A (ko) 2022-11-21 2023-04-04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KR1020230043923A KR20230054325A (ko) 2022-11-21 2023-04-04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355 2022-11-21
KR20220156355 2022-11-21
KR20220156911 2022-11-22
KR1020220156911 2022-11-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923A Division KR20230054325A (ko) 2022-11-21 2023-04-04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KR1020230043924A Division KR20230054326A (ko) 2022-11-21 2023-04-04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346B1 true KR102519346B1 (ko) 2023-04-10

Family

ID=8598482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955A KR102519346B1 (ko) 2022-11-21 2022-11-23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KR1020230043923A KR20230054325A (ko) 2022-11-21 2023-04-04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KR1020230043924A KR20230054326A (ko) 2022-11-21 2023-04-04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923A KR20230054325A (ko) 2022-11-21 2023-04-04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KR1020230043924A KR20230054326A (ko) 2022-11-21 2023-04-04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19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1781B1 (ko) * 2023-07-13 2024-09-04 주식회사 삼우코리아 이중 사출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471Y1 (ko) * 1994-03-22 1999-05-15 김광호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
JP2006231878A (ja) * 2005-02-28 2006-09-07 Yushin Precision Equipment Co Ltd 成形品の取出装置
KR20100009527U (ko) * 2009-03-19 2010-09-29 (주)명문엘씨 노출된 패킹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뚜껑
KR101862335B1 (ko) * 2017-06-23 2018-05-30 창신리빙(주)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KR20220077284A (ko) * 2020-12-01 2022-06-09 주식회사 호원 금형 파손 방지 장치
KR20220114414A (ko) * 2021-02-08 2022-08-17 (주)승일기전 커넥터 핀 이탈 검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471Y1 (ko) * 1994-03-22 1999-05-15 김광호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
JP2006231878A (ja) * 2005-02-28 2006-09-07 Yushin Precision Equipment Co Ltd 成形品の取出装置
KR20100009527U (ko) * 2009-03-19 2010-09-29 (주)명문엘씨 노출된 패킹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뚜껑
KR101862335B1 (ko) * 2017-06-23 2018-05-30 창신리빙(주) 이중 인서트 사출성형장치 및 방법
KR20220077284A (ko) * 2020-12-01 2022-06-09 주식회사 호원 금형 파손 방지 장치
KR20220114414A (ko) * 2021-02-08 2022-08-17 (주)승일기전 커넥터 핀 이탈 검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326A (ko) 2023-04-24
KR20230054325A (ko) 202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346B1 (ko)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JP4842243B2 (ja) 自動組み立て装置
US8528604B2 (en) Methods of filling a liquid container
US5285678A (en) Container seal testing and pressurization
US20070222098A1 (en) Mold for foam molding and foam molding method
US9168525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luidic device
CN105939940B (zh) 改进的密封剂液体容器
KR101841165B1 (ko) 스킨 포장 장치
JP7197235B2 (ja) 脱気装置
KR101592847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1377656B1 (ko) 진공창의 필러 공급장치
CN111244385A (zh) 打钉装置
KR101795582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 장치
KR20050015942A (ko) 분리포장장치, 포장장치 및 포장물의 제조방법
CN112622155B (zh) 模具半部和用于制造注塑件的方法
CN112622153B (zh) 模具半部和用于制造带有至少一个嵌入件的注塑件的方法
CN211455829U (zh) 打钉装置
CN112622156B (zh) 模具半部和用于制造带有至少一个栓式的嵌入件的注塑件的方法
JP2011006079A (ja) 縦式真空包装機
KR101990629B1 (ko) 스킨 포장 장치
US9452552B2 (en) Pressure-controlling foam molding method
CN216573905U (zh) 一种燃料电池点胶机及燃料电池生产线
JP5307521B2 (ja) 樹脂シートの熱成形装置
CN221238597U (zh) 一种药盒的气密性检测模具
CN210820568U (zh) 模具入子、模具及模具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