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847B1 -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847B1
KR101592847B1 KR1020130157764A KR20130157764A KR101592847B1 KR 101592847 B1 KR101592847 B1 KR 101592847B1 KR 1020130157764 A KR1020130157764 A KR 1020130157764A KR 20130157764 A KR20130157764 A KR 20130157764A KR 101592847 B1 KR101592847 B1 KR 101592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cking
pressure vessel
open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902A (ko
Inventor
장석준
공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테크
Publication of KR2015006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는, 대상물에 남아 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압력용기와, 개구부 주변 도어 틈새를 밀봉하는 패킹을 설치한 덮개판,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판형상으로 형성한 도어, 도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장치,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탈부착 가능한 도어 가이드, 도어 내측에 상기 패킹이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 도어 내측에서 상기 패킹이 떼어지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한다. 덮개판에는, 패킹이 삽입된 패킹 삽입홈과, 패킹 삽입홈에 연통되고 압력용기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며 가압펌프의 가압력과 흡입펌프의 흡입력을 각각 전달하는 공통 공기유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틈새를 밀봉하는 패킹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함으로써 압력용기의 밀폐력을 향상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를 탈부착함으로써 도어 형상에 따라 도어 가이드를 용이하게 변경하고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Autoclave Apparatus With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틈새를 밀봉하는 패킹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절함으로써 압력용기의 밀폐력을 향상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가이드를 탈부착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도어 형상에 따라 도어 가이드를 용이하게 변경하고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패널과 편광필름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장치를 사용한다.
이러한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문헌 1(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48439호), 문헌 2(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5486호), 문헌 3(한국등록특허 제10-1095206호), 문헌 4(한국등록특허 제10-0782119호), 문헌 5(한국등록특허 제10-1247831호) 등이 있다.
상기 문헌들에서는 압력용기(챔버)에 대상물(액정 표시패널)을 적재하고, 밀폐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하여 기포를 제거한 후 압력용기에서 대상물을 인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문헌에서는 압력용기와 도어의 결합부위에 패킹을 설치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패킹을 이용하는 기술을 단순히 소개하고 있을 뿐, 패킹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기밀성을 향상하는 기술에 대해서 취급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한 종래 기술과 연결하여 이들 및 기타 문제점을 개선하여 압력용기의 내부 공간과 패킹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유로를 분리 형성하여 압력용기의 밀폐력을 향상하고,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를 착탈구조로 개선함으로써 도어 형상에 따라 도어 가이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도어 슬라이딩시 도어 가이드에 걸려 충돌하거나 도어가 틀어지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48439호(2007년 5월 9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5486호(2013년 10월 22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095206호(2011년 12월 9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782119호(2007년 11월28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47831호(2013년 3월 20일 등록)
[비특허문헌 1] 없음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압력용기의 내부와 패킹에 연결된 가압 공기유로를 분리하여 압력용기의 밀폐력을 향상하고,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를 착탈 구조로 개선한 오토클레이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편광필름이 일체로 부착된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압 및 가열하여 대상물에 남아 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압력용기; 상기 압력용기에 대상물을 적재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주변 도어 틈새를 밀봉하는 패킹을 설치한 덮개판;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판형상으로 형성한 도어; 상기 도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장치;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탈부착 가능한 도어 가이드; 상기 도어 내측에 상기 패킹이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패킹이 떼어지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에는,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 삽입홈과, 상기 패킹 삽입홈에 연통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며 상기 가압펌프의 가압력과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력을 각각 전달하는 공통 공기유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통 공기유로에 고정된 호스 꼭지와, 상기 호스 꼭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가압펌프 및 상기 흡입펌프에 타측이 각각 연결된 연결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가이드는 상기 덮개판 외측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부재의 내측에 완충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상단 양측에는 상기 도어 가이드 내측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블럭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압력용기의 내부와 패킹에 연결된 공통 공기유로를 분리하여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과 독립적으로 패킹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압력용기의 밀폐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가이드를 착탈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도어 슬라이딩시 도어와 도어 가이드의 걸림과 틀어짐에 대응하고, 도어 형상에 따라 도어 가이드의 형상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클레이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력용기에 설치된 덮개판에 형성된 유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오토클레이브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오토클레이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오토클레이브 장치의 도어 가이드 및 패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바닥에 놓이는 지지 플레이트(10)에 고정 설치된 압력용기(20)를 포함한다.
압력용기(20)는 대상물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대상물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하여 일체화한 판형의 물품이 될 수 있으나, 대상물이 특정하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밀폐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지는 압력 용기(20)에 수용되어 대상물에 남아 있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제품들에 적용할 수 있다.
압력용기(20)는 지지 플레이트(10)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고, 압력용기(20) 외측에 공기 유입구(13a)를 형성하며, 공기 유입구(13a)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압 펌프가 연결되어 압력용기(20) 안으로 고압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 제거를 위한 준비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압력용기(20) 외측에는 복수 개의 공기 배출구(13b)가 형성되어 있는데, 공기 배출구(13b)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입펌프를 연결하여 기포 제거 후 압력용기(20)에 채워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압력용기(20)에는 가열 조건에 따라 내부 온도를 공정 조건에 맞도록 가열하는 도시하지 않은 가열 히터가 설치되며, 열풍의 순환을 위하여 가열 히터의 후방에 팬모터 설치구(12)를 설치한다. 팬모터 설치구(12)에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전 공정의 대상물을 압력용기(20) 안으로 로딩하는 로딩부와 압력용기(20)로부터 대상물을 인출하는 언로딩부를 압력용기(20) 주변에 마련하고, 로딩부에 의해 압력용기(20) 안으로 대상물을 적재하고, 기포 제거 공정을 마친 후 언로딩부가 압력용기(20)로부터 대상물을 꺼내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압력용기(20) 양단을 막음 처리하는 덮개판(21)이 압력용기(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련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40)는 도어 구동장치(3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데, 도어 구동장치(30)의 로드봉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로드봉과 도어(40) 하단 일측이 연결되어 있어, 로드봉의 이동에 따라 도어(40)는 승강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도 2를 참고하여, 덮개판(21)은 일정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사각형상의 개구부(23)가 뚫려 있다. 개구부(23) 주변 도어 틈새를 밀봉하는 사각 띠 형상의 패킹(25)을 설치한다.
또한 개구부(23) 상부와 좌우측부에는 압력용기(20) 내부로 관통되고, 도어 가이드(50)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홈(24)이 형성된다. 도어(40)는 승강 또는 하강하여 개구부(23)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가이드(50)는 도어(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개구부(23) 상부와 좌우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각각 형성된다. 도어 가이드(50)는 지지부재(51)와 완충부재(52)와 이탈 방지부재(53) 및 체결부재(54)를 포함한다. 지지부재(51)는 체결홈(24)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관통홈을 형성하고, 이탈 방지부재(53)에도 체결홈(24)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관통홈을 형성하며, 복수 개의 체결부재(54)는 이탈 방지부재(53)와 지지부재(51)를 덮개판(21)에 각각 결합한다. 체결부재(54)는 나사 결합으로 체결되는데, 각 체결부재(54)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나사산이 이탈 방지부재(53)와 지지부재(51)의 관통홈에 끼워져 압력용기(20) 내부에 위치하는 너트에 결합된다.
이탈 방지부재(53)는 지지부재(51) 일측으로 돌출되어 승하강하는 도어(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탈 방지부재(53)의 내측에는 평판형상 또는 ㄱ자 형상의 완충부재(52)가 고정설치된다. 도어 구동장치(30)에 의해 승하강하는 도어(40)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더라도 완충부재(52)가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완충부재(52)는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이탈 방지부재(53)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도어(40) 상단 양측에는 보조 블럭(41)이 체결부재(42)에 의해 결합된다. 보조 블럭(41)은 좌우측부에 위치한 이탈 방지부재(53)와 지지부재(51)에 가두어진 상태에서 도어(40) 이동을 안내한다.
완충부재(52)와 보조 블럭(41)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내열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충격 강도를 가지는 ABS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덮개판(21)에는 상, 하, 좌, 우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통 공기유로(27)가 복수 개가 형성된다. 공통 공기유로(27) 일측은 외부로 노출되고, 그 노출 부위에는 호스 꼭지(26)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21)에는 패킹(25)이 삽입된 패킹 삽입홈(28)이 형성되고, 패킹 삽입홈(28)과 공통 공기유로(27)의 타측이 연통된다. 이러한 공통 공기유로(27)는 압력용기(20)의 내부 공간(20a)과 분리된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호스 꼭지(26)에는 연결호스(63)가 각각 연결된다. 이 연결호스(63)는 분기되어 가압력을 가하는 가압펌프(61)와 흡입력을 가하는 흡입펌프(62)에 각각 연결된다. 가압펌프(61) 가동으로 공급되는 가압력이 연결호스(63)를 통하여 공통 공기유로(27)에 연통된 패킹 삽입홈(28)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패킹(25)은 전진 이동하여 도어(40) 내측에 밀착되어 도어 틈새를 밀봉할 수 있다.
흡입펌프(62) 가동으로 공통 공기유로(27)에 흡입력이 가해지면 패킹(25)이 도어(40) 내측에서 떼어지고 패킹 삽입홈(28)에서 후퇴하며, 이에 따라 도어(40)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 구동장치(30)에 의해 하강하여 아래로 슬라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펌프(62)는 진공펌프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0) 하부에는 운반 바퀴(11)를 설치하여, 장치의 위치 이동을 위한 운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40)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로딩부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압력용기(20) 내부에 적재한다. 여기서 대상물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편광필름을 부착하여 일체화한 판형의 물품이 될 수 있으나, 대상물이 특정하게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밀폐 상태에서 가압 및 가열이 이루어지는 압력 용기(20)에 수용되어 대상물에 남아 있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제품들에 적용할 수 있다.
도어 승강장치(30)가 도어(40)를 승강시켜 개구부(23)를 폐쇄한다. 이때 도어(40) 승강시 도어 가이드(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가압 펌프(61)를 가동한다. 연결호스(63)를 통하여 가압력이 공통 공기유로(27)에 연통된 패킹 삽입홈(28)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패킹 삽입홈(28)에 삽입된 패킹(25)은 전진하여 개구부(23) 전면에 위치한 도어(40) 내측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도어 틈새는 밀봉된다. 이러한 밀봉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고압 공기가 공기 유입구(13a)를 통하여 압력용기(20) 안으로 공급됨에 따라 압력용기(20) 내부가 가압된다. 이와 병행하여 도시하지 않은 가열히터를 가동하여 압력용기(20) 내부가 가열되어 공정 조건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밀폐 상태에서 압력용기(20) 내부를 가열 및 가압하는 공정 조건에서 일정 시간 동안 공정이 지속됨에 따라 대상물에 남아 있는 기포가 제거된다.
기포 제거 공정이 끝나면, 압력용기(20) 외측에 형성한 복수 개의 공기 배출구(13b)를 통하여 압력용기(20) 밖으로 공기를 배출한다.
그런 다음 흡입펌프(62)를 가동하면 공통 공기유로(27)에 연결된 패킹 삽입홈(28)에 흡입력이 가해짐에 따라 패킹(25)이 도어(40) 내측에서 떼어지고 패킹 삽입홈(28)에서 후퇴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도어 구동장치(30)를 가동하여 도어(40)를 하강시키며, 이때 도어(40)는 패킹(25)에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활하게 하강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언로딩부를 이용하여 압력용기(20)에서 대상물을 인출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압력용기(20)의 일측에서 대상물을 적재하고 압력용기(20) 타측에서 대상물을 인출하는 방식을 적용하기 위하여 도어(40)를 압력용기(20) 일측과 타측에 마련하고 있으나, 압력용기(20) 일측에만 도어(40)를 마련하고 로딩부와 언로딩부를 번갈아 구동하여 대상물을 적재하거나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지지 플레이트 20 : 압력용기
21 : 덮개판 23 : 개구부
24 : 체결홈 25 : 패킹
26 : 호스 꼭지 27 : 공통 공기유로
28 : 패킹 삽입홈 30 : 도어 구동장치
40 : 도어 41 : 보조 블럭
42 : 체결부재 50 : 도어 가이드
51 : 지지부재 52 : 완충부재
53 : 이탈 방지부재 54 : 체결부재
61 : 가압 펌프 62 : 흡입 펌프
63 : 연결 호스

Claims (5)

  1. 디스플레이 패널과 편광필름이 일체로 부착된 대상물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가압 및 가열하여 대상물에 남아 있는 기포를 제거하는 압력용기;
    상기 압력용기에 대상물을 적재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 주변 도어 틈새를 밀봉하는 패킹을 설치한 덮개판;
    상기 압력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판형상으로 형성한 도어;
    상기 도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장치;
    상기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탈부착 가능한 도어 가이드;
    상기 도어 내측에 상기 패킹이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펌프;
    상기 도어 내측에서 상기 패킹이 떼어지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판에는, 패킹이 삽입되는 패킹 삽입홈과, 상기 패킹 삽입홈에 연통되고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 공간과 분리되며 상기 가압펌프의 가압력과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력을 각각 전달하는 공통 공기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 가이드는 상기 덮개판 외측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 방지부재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공기유로에 고정된 호스 꼭지와, 상기 호스 꼭지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가압펌프 및 상기 흡입펌프에 타측이 각각 연결된 연결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재의 내측에 완충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상단 양측에는 상기 도어 가이드 내측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보조 블럭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20130157764A 2013-12-02 2013-12-18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1592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8535 2013-12-02
KR1020130148535 2013-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902A KR20150063902A (ko) 2015-06-10
KR101592847B1 true KR101592847B1 (ko) 2016-02-11

Family

ID=5350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764A KR101592847B1 (ko) 2013-12-02 2013-12-18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191B1 (ko) 2017-11-07 2019-02-18 주식회사 버즈프리 개별적 개폐가 가능한 스윙 및 푸쉬 타입의 가압 챔버용 밀폐형 도어 개폐 장치
KR20190049289A (ko)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버즈프리 가압 챔버용 밀폐형 도어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759B1 (ko) * 2017-10-30 2019-11-06 주식회사 이노테크 디스플레이 항공운송용 고도시험 챔버 장치
CN115680452B (zh) * 2022-11-02 2023-09-08 贵州航天乌江机电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染色釜门盖快开装置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413B1 (ko) 2004-09-24 2006-07-13 오성엘에스티(주)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1334707B1 (ko) 2012-07-30 2013-11-29 (주)포시스 도어의 이물질 발생을 방지한 보조가이드가 구비된 오토클레이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595A (ko) * 2003-03-08 2004-09-16 최순기 오토클레이브 장치 및 방법
KR20070048439A (ko) 2005-11-04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라인 오토 클레이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패널 처리 방법
KR100782119B1 (ko) 2006-09-27 2007-12-05 박웅기 오토클레이브 장치
KR20090105528A (ko) * 2008-04-03 2009-10-07 (주) 인디고텍 에어튜브 기밀문
KR101095206B1 (ko) 2009-07-17 2011-12-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오토 클레이브 에어 시스템
KR101247831B1 (ko) 2011-03-02 2013-04-03 박웅기 오토클레이브
KR20130115486A (ko) 2012-04-12 2013-10-22 섬테크 주식회사 헤드 오토 클레이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413B1 (ko) 2004-09-24 2006-07-13 오성엘에스티(주)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1334707B1 (ko) 2012-07-30 2013-11-29 (주)포시스 도어의 이물질 발생을 방지한 보조가이드가 구비된 오토클레이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89A (ko)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버즈프리 가압 챔버용 밀폐형 도어 개폐 장치
KR101949191B1 (ko) 2017-11-07 2019-02-18 주식회사 버즈프리 개별적 개폐가 가능한 스윙 및 푸쉬 타입의 가압 챔버용 밀폐형 도어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902A (ko)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847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CN103097099A (zh) 纤维增强塑料的制造方法
KR101583584B1 (ko) 음료 추출 장치의 음료 패키지 낙하 구조
EP1842776A2 (en) Apparatus for packaging trays containing products in a modified atmosphere
KR101513594B1 (ko) 자동연속식 진공포장장치
US8915049B2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for packaging of products in bags
US20160271867A1 (en) Partial vacuum forming method by partial overlay of decorative film
US9931783B2 (en) Vacuum forming apparatus and vacuum forming method
KR102098754B1 (ko) 음식물 제조장치
KR101333099B1 (ko) 플레이트형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프레스 및 그러한플레이트 프레스를 작동시키는 방법
CN111244385A (zh) 打钉装置
KR101377656B1 (ko) 진공창의 필러 공급장치
KR101334707B1 (ko) 도어의 이물질 발생을 방지한 보조가이드가 구비된 오토클레이브장치
CN107934010B (zh) 一种真空包装封口装置
JP6360454B2 (ja) 真空射出成形装置及び真空射出成形方法
JP2013023229A (ja) 真空封止装置
KR102111961B1 (ko) 식품용기용 금형 범용 자동포장기
KR101359901B1 (ko) 트레이가 챔버에 결합되는 인라인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1319768B1 (ko) 진공 배기 헤드
CN211455829U (zh) 打钉装置
KR102519346B1 (ko) 이중 사출을 위한 금형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사출 성형 시스템을 이용하 사출 성형 방법
CN205870957U (zh) 模具
KR101698934B1 (ko) 밀폐용기 패킹 접합장치
US6394786B1 (en) Mold for injection molding
JP7197235B2 (ja) 脱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