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413B1 - 오토클레이브 장치 - Google Patents

오토클레이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413B1
KR100600413B1 KR1020040076861A KR20040076861A KR100600413B1 KR 100600413 B1 KR100600413 B1 KR 100600413B1 KR 1020040076861 A KR1020040076861 A KR 1020040076861A KR 20040076861 A KR20040076861 A KR 20040076861A KR 100600413 B1 KR100600413 B1 KR 10060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ssel
air pressure
workpiece
inle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944A (ko
Inventor
고승현
김영민
신재혁
Original Assignee
오성엘에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388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0041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엘에스티(주) filed Critical 오성엘에스티(주)
Priority to KR102004007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41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4Pressure vessels, e.g. autoclaves
    • B01J3/046Pressure-balanced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투입 및 배출에 따른 대기 시간이 발생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가공물을 수용하며 그 전후단에는 각각 투입구(12)와 배출구(14)가 형성된 압력용기(10)와, 이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하도록 상기 압력용기(10)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전후방도어(22,24)와, 이 전후방도어(22,24)를 슬라이드 작동시켜서 상기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하도록 된 도어개폐수단(30)과,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통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압 공급수단(40)과,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피가공물을 가열하는 히팅수단(60)과, 상기 압력용기(10) 내부와 연통되어 피가공물이 공기압 공급수단(40)과 히팅수단(60)에 의해 처리 완료되었을 때 압력용기(10) 내부의 공기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압 배출수단(50)과, 상기 전후방도어(22,24)의 전후단부와 압력용기(1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피가공물을 투입함과 더불어 처리 완료된 피가공물을 압력용기(10)의 외측으로 이송하도록 된 이송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토클레이브 장치{Autoclav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클레이브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계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력용기 12. 투입구
14. 배출구 22. 전방도어
24. 후방도어 30. 도어개폐수단
40. 공기압 공급수단 50. 공기압 배출수단
60. 히팅수단 70. 이송수단
본 발명은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공정으로 피가공물을 처리하므로, 처리된 피가공물을 꺼낼 때 대기 시간이 발생되지 않아, 작업 시간의 지연을 방지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 패널 제조시 거치게 되는 엘씨디쎌(LCD Cell) 공정에서는 액정분자의 복굴절에 의한 편광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엘씨디쎌의 표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엘씨디쎌 공정에서 엘씨디쎌과 편광필름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면, 엘씨디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등의 하자가 발생되므로, 엘씨디쎌에 편광필름이 부착된 피가공물을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의해 기포를 제거한다. 즉, 종래의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의하면, 전면에 투입구와 이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 압력용기의 내부에 공기압 공급수단과 히팅수단에 의해 공기압과 열을 공급하여 편광필름과 엘씨디쎌 사이의 기포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압력용기의 투입구를 회동 개폐되는 도어나 투입구의 전방에서 전후진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하는데, 압력용기의 외부로 공기압이 유출되지 않도록 도어와 투입구 사이를 밀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압력용기의 투입구 둘레부에 도 어의 내측면과 밀착되는 패킹을 설치하고, 별도의 클램핑기구나 피스톤기구 등을 마련하여, 도어에 의해 투입구를 닫았을 때, 이러한 클램핑기구나 피스톤기구 등에 의해 도어를 패킹에 가압 밀착시킴으로써, 도어와 투입구 사이를 밀폐한다.
한편, 슬라이드되는 도어에 의해 투입구를 개폐하는 방식은 도어의 원활한 슬라이드를 위해서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에 유격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도어와 패킹 사이의 유격에 의해 압력용기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로 유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도어를 슬라이드 개폐식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슬라이드 개폐되는 도어를 채용하지 못하고, 회동 개폐되는 도어 또는 전후진 개폐되는 도어에 의해 압력용기의 투입구를 개폐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압력용기의 투입구 전방이 회동 개폐식 도어 또는 전후진 개폐식 도어에 의해 점유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압력용기의 투입구 바로 앞에까지 피가공물 이송기구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상기 투입구를 통해 피가공물을 투입하고, 처리된 피가공물을 투입구를 통해서 꺼내는 이른바 단속식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오토클레이브 장치는 압력용기의 내부에서 처리 작업이 완료된 제품을 다시 꺼내기 전까지는 새로운 피가공물을 투입하지 못하고 대기해야만 하기 때문에, 대기 시간으로 인한 시간 지연이 불가피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대부분 전기히터와 송풍팬을 설치하여 전기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송풍팬에 의해 불어주어 피가공물의 모든 부위가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열풍 순환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압력용기 내부의 송풍팬을 회 전시키기 위해서 압력용기 외부의 구동모터와 송풍팬이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축과 압력용기 사이의 공기압누설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기구적으로 복잡한 수냉식 기밀장치가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전후단에 형성된 투입구 및 배출구를 따라 피가공물을 연속적으로 투입 및 배출하면서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된 피가공물을 배출하고 새로운 피가공물을 재투입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가공물을 수용하며 그 전후단에는 각각 투입구(12)와 배출구(14)가 형성된 압력용기(10)와, 이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하도록 상기 압력용기(10)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전후방도어(22,24)와, 이 전후방도어(22,24)를 슬라이드 작동시켜서 상기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하도록 된 도어개폐수단(30)과,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통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압 공급수단(40)과,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피가공물을 가열하는 히팅수단(60) 과, 상기 압력용기(10) 내부와 연통되어 피가공물이 공기압 공급수단(40)과 히팅수단(60)에 의해 처리 완료되었을 때 압력용기(10) 내부의 공기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압 배출수단(50)과, 상기 전후방도어(22,24)의 전후단부와 압력용기(1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피가공물을 투입함과 더불어 처리 완료된 피가공물을 압력용기(10)의 외측으로 이송하도록 된 이송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투입구(12)와 배출구(14)의 외측 둘레부에는 도어(22,24)를 향하는 면으로 개방된 안착홈(90)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90)에는 패킹(95)이 안착되고, 이 패킹(95)의 배면에서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공기압 공급공(100)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22,24)를 슬라이드시켜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닫고 상기 공기압 공급수단(40)에 의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공기압을 공급하면, 상기 공기압 공급공(100)을 통해 공급된 공기압에 의해 상기 패킹(95)이 도어(22,24)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투입구(12) 및 배출구(14)가 자동 밀폐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압 공급수단(40)은 공압장치(41)와, 이 공압장치(41)에 연결됨과 더불어 압력용기(42)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1공기압밸브(42)와, 이 1차공기압밸브(42)에 비하여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공기압밸브(42)와 병렬로 연결됨과 더불어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결된 제2공기압밸브(4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기압 배출수단(50)은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배출밸브(52)와, 이 제1배출밸브(5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배출밸브(52)와 병렬 연결되고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2배출밸브(5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배출밸브(52,54)에는 소음기(56)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에는 송풍팬(64)이 내장되고, 이 송풍팬(64)은 회전축(64a)에 의해 압력용기(10) 외부의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64a)의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밀폐링(66a)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64a)은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크롬으로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계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압력용기(10)의 전후방에 형성된 투입구(12)와 배출구(14)에 전후방 도어(22,24)가 설치되고, 이 도어(22,24)는 도어개폐수단 (30)에 의해 슬라이드 개폐되고, 상기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에 이어지도록 이송수단(70)이 설치되며, 상기 압력용기(10)의 일측에는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압 공급수단(40) 및 공기압 배출수단(50)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에는 히팅수단(60)이 내장된다.
상기 압력용기(10)는 도시안된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전후방 벽면에 투입구(12)와 배출구(14)가 형성된 드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투입구(12)의 전단과 배출구(14)의 후단에 피가공물을 이송하는 이송수단(70)이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12)와 배출구(14) 사이에도 이송수단(70)이 배치되어, 상기 이송수단(70)에 의해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에서 배출구(14) 방향으로 피가공물이 연속적으로 이송되면서 가공된다. 이러한 이송수단(70)은 상기 투입구(12)와 배출구(14)의 전후단 및 압력용기(1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로울러(70)와, 이 로울러(70)를 구동시키는 모터(도시안됨)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22,24)는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하는 전방도어(22)와 후방도어(24)로 이루어진다. 이 도어(22,24)는 도어개폐수단(30)에 연결되어, 이 도어개폐수단(30)의 작동에 따라 압력용기(1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22,24)는 압력용기(10)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방식으로서,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의 전방 공간이 도어(22,24)에 의해 점유되지 않으므로, 상기 투입구(12)와 배출구(14)의 바로 앞에까지 상기 피가공물 이송수단(70)을 설치할 수 있다. 설명안된 부호 80은 도어(22,24)의 둘레부에 밀착되는 단 면 기역자 형상의 도어프레임(80)으로서, 도어(22,24)를 닫았을 때, 이 도어(22,24)의 둘레부에 그 내측면이 밀착된다.
상기 도어개폐수단(30)은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실린더(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린더(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10)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한 쌍의 실린더(30)의 각 피스톤로드(32)의 하단부가 가로바아(11a)에 의해 연결되고, 이 가로바아(11a)에 상기 도어(22,24)가 직립 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가로바아(11a)의 양단부는 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32)와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도어가이드(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30)의 피스톤로드(32)가 신축됨에 따라 도어(22,24)가 도어가이드(11)를 따라 압력용기(10)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한다.
상기 공기압 공급수단(40)은 공압장치(41)와, 이 공압장치(41)와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결되며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공기압밸브(42,44)로 이루어진다. 이 제1공기압밸브(42)에 비하여 제2공기압밸브(44)가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이루어져 공기압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공압장치(4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압을 상기 제1공기압밸브(42)를 열어서 압력용기(10)의 내부로 급송하여 지정된 공기압 이전까지 피가공물을 가압한 후, 상기 제1공기압밸브(42)를 닫고 제2공기압밸브(44)를 이용하여 공기압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피가공물의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의 외측 둘레부에는 도어(22,24)를 향하는 면으로 개방된 안착홈(90)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90)에는 패킹(95)이 안착되며, 이 패킹(95)의 배면에서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공기압 공급공(10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22,24)에 의해 투입구(12)와 배출구(14)가 닫혀진 상태에서 공기압 공급수단(40)에 의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공기압을 공급하면, 상기 공기압 공급공(100)을 통해 공기압이 유입되어 패킹(95)을 도어(22,24)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시키므로, 상기 투입구(12) 및 배출구(14)가 자동으로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슬라이드되는 도어(22,24)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압 배출수단(50)은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통되며 서로 병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배출밸브(52,54)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배출밸브(52)에 비하여 제2배출밸브(54)가 상대적으로 소형 밸브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배출밸브(52,54)에는 소음기(56)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배출밸브(52)를 열어서 지정된 공기압까지 감압한 다음, 상기 제1배출밸브(52)를 닫고 상대적으로 소형인 제2배출밸브(54)를 열어서 2차적으로 감압하므로, 감압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킨다.
상기 히팅수단(60)은 압력용기(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전기히터로 이루어진 것으로, 압력용기(10)의 내부에 투입된 피가공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한다. 이때, 상기 히팅수단(60)에 인접되도록 송풍팬(64)이 구비되어, 이 송풍팬(64)에 의해 히 팅수단(60)의 열이 확산되므로, 피가공물이 고르게 가열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팬(64)은 회전축(64a)에 의해 압력용기(10) 외부의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축(64a)의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밀폐링(66a)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64a)은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크롬으로 특수 코팅 처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용기(10) 내부의 공기압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도 상기 회전축(64a)은 텅스텐 카바이드나 크롬으로 코팅 처리되어, 상기 밀폐링(66a)과 회전축(64a) 사이의 마찰 저항이 적어서 회전축(64a)이 원활하게 회전되면서도 마찰에 의한 열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냉각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해 피가공물을 처리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피가공물(즉, 엘씨디에 편광필름이 부착된 것)이 적재된 적재대(5)가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 전단에 설치된 이송수단(70)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압력용기(10) 내부의 이송수단(70)에 의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피가공물이 투입된다. 이어서, 도어개폐수단(30)에 의해 전방 및 후방도어(22,24)가 상승되어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가 닫혀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압 공급수단(40)의 제1공기압밸브(42)가 개방되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공기압이 공급되고, 제1공기압밸브(4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형인 제2공기압밸브(44)에 의해 공기압이 미세하게 조정된다.
이때, 상기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의 외측 둘레부에는 도어(22,24)를 향하는 면으로 개방된 안착홈(90)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90)에는 패킹(95)이 안착되며, 이 패킹(95)의 배면에서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공기압 공급공(100)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압 공급수단(40)에 의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공기압이 공급되면, 상기 공기압 공급공(100)을 통해 공기압이 공급되어 패킹(95)이 도어(22,24)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므로, 상기 투입구(12) 및 배출구(14)가 자동으로 밀폐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압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파가공물(5)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히팅수단(60)에 의해 소정의 열이 공급되어 피가공물을 가열함으로써, 피가공물의 엘씨디쎌과 편광필름 사이에 발생된 기포가 제거된다. 이렇게 피가공물이 처리된 다음, 상기 히팅수단(60)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제1 및 제2공기압밸브(42,44)가 차단되고, 상기 제1배출밸브(52)가 개방되어 압력용기(10) 내부의 공기압이 지정된 공기압까지 감압된 다음, 상기 제2배출밸브(54)가 개방되어 압력용기(10) 내부의 공기압과 외부 대기압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한편, 이처럼 피가공물을 압력용기(10)의 내부로 이송시켜 처리하는 동안 상기 투입구(12)의 전면에 위치한 적재대(5)에 피가공물을 적재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렇게 피가공물의 처리가 완료되면, 도어개폐수단(30)에 의해 도어(22,24)가 하강되어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방되어, 처리 완료된 피가공물이 배출구(14)의 후단에 이어져 설치된 이송수단(70)에 의해 압력용기(10)의 외부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투입구(12)의 전단에 이어져 설치된 이송수단(70)에 의해 새로운 피가공물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가 압력용기에 대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 개폐되어, 도어가 투입구의 전방과 배출구의 후방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피가공물 이송수단을 투입구의 바로 앞과 배출구의 바로 뒤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투입, 처리 및 배출 작업을 이송라인을 따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처리된 피가공물을 배출하고 새로운 피가공물을 재투입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명은 슬라이드되는 도어에 의해 압력용기의 투입구와 배출구를 닫고, 공기압 공급수단에 의해 압력용기의 내부에 공기압을 공급하면, 이 공기압에 의해 패킹이 도어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면서 자동으로 투입구와 배출구가 밀폐되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압력용기 내부의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공기압밸브를 열어서 압력용기의 내부로 일차적으로 공기압을 공급한 다음, 상기 제1공기압밸브를 차단하여 상대적으로 소형인 제2공기압밸브에 의해 공기압을 원하는 공기압으로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피가공물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력용기에 연결된 제1배출밸브와 제2배출밸브에 소음기가 연결되어, 제1배출밸브와 소음기를 통해 일차적으로 공기압을 배출하여 소음을 낮추고, 상기 소음기와 상대적으로 소형인 제2배출밸브를 통해 공기압을 배출하여,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압력용기에 내장된 송풍팬을 압력용기 외부의 구동모터와 연결하는 회전축의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밀폐링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은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크롬으로 특수 코팅 처리된다. 따라서, 압력용기 내부의 공기압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도, 상기 밀폐링과 회전축 사이의 적은 마찰 저항으로 인하여 마찰에 의한 열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마찰열을 식히기 위한 복잡한 수냉식 냉각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피가공물을 수용하며 그 전후단에는 각각 투입구(12)와 배출구(14)가 형성된 압력용기(10)와, 이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하도록 상기 압력용기(10)의 상하측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전후방도어(22,24)와, 이 전후방도어(22,24)를 슬라이드 작동시켜서 상기 압력용기(10)의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개폐하도록 된 도어개폐수단(30)과,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통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공기압을 공급하는 공기압 공급수단(40)과,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피가공물을 가열하는 히팅수단(60)과, 상기 압력용기(10) 내부와 연통되어 피가공물이 공기압 공급수단(40)과 히팅수단(60)에 의해 처리 완료되었을 때 압력용기(10) 내부의 공기압을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압 배출수단(50)과, 상기 전후방도어(22,24)의 전후단부와 압력용기(10)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피가공물을 투입함과 더불어 처리 완료된 피가공물을 압력용기(10)의 외측으로 이송하도록 된 이송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12)와 배출구(14)의 외측 둘레부에는 도어(22,24)를 향하는 면으로 개방된 안착홈(90)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90)에는 패킹(95)이 안착되고, 이 패킹(95)의 배면에서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공기압 공급공(100)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22,24)를 슬라이드시켜 투입구(12)와 배출구(14)를 닫고 상기 공기압 공급수단(40)에 의해 압력용기(10)의 내부로 공기압을 공급하면, 상기 공기압 공급공(100)을 통해 공급된 공기압에 의해 상기 패킹(95)이 도어(22,24)의 내측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투입구(12) 및 배출구(14)가 자동 밀폐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공급수단(40)은 공압장치(41)와, 이 공압장치(41)에 연결됨과 더불어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1공기압밸브(42)와, 이 1차공기압밸브(42)에 비하여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공기압밸브(42)와 병렬로 연결됨과 더불어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결된 제2공기압밸브(4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배출수단(50)은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배출밸브(52)와, 이 제1배출밸브(5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배출밸브(52)와 병렬 연결됨과 더불어 압력용기(10)의 내부와 연결되는 제2배출밸브(5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배출밸브(52,54)에는 소음기(56)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10)의 내부에는 송풍팬(64)이 내장되고, 이 송풍팬(64)은 회전축(64a)에 의해 압력용기(10) 외부의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64a)의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밀폐링(66a)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64a)은 텅스텐 카바이드 또는 크롬으로 코팅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20040076861A 2004-09-24 2004-09-24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0600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861A KR100600413B1 (ko) 2004-09-24 2004-09-24 오토클레이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861A KR100600413B1 (ko) 2004-09-24 2004-09-24 오토클레이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44A KR20060027944A (ko) 2006-03-29
KR100600413B1 true KR100600413B1 (ko) 2006-07-13

Family

ID=3713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861A KR100600413B1 (ko) 2004-09-24 2004-09-24 오토클레이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4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792B1 (ko) 2009-12-22 2012-03-22 박웅기 오토클레이브 장치
KR20150063902A (ko) * 2013-12-02 2015-06-10 주식회사 이노테크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20160129312A (ko) 2015-04-30 2016-11-09 조현진 구획된 가열공간을 갖는 오토클레이브
KR20190049957A (ko) * 2017-10-30 2019-05-10 주식회사 이노테크 디스플레이 항공운송용 고도시험 챔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169B1 (ko) * 2020-03-11 2021-06-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복합재 성형 장치
KR102353120B1 (ko) * 2020-06-09 2022-01-18 문경원 오토클레이브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197B1 (ko) 1999-05-12 2001-11-05 이정빈 오토클래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197B1 (ko) 1999-05-12 2001-11-05 이정빈 오토클래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792B1 (ko) 2009-12-22 2012-03-22 박웅기 오토클레이브 장치
KR20150063902A (ko) * 2013-12-02 2015-06-10 주식회사 이노테크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1592847B1 (ko) 2013-12-02 2016-02-11 주식회사 이노테크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20160129312A (ko) 2015-04-30 2016-11-09 조현진 구획된 가열공간을 갖는 오토클레이브
KR20190049957A (ko) * 2017-10-30 2019-05-10 주식회사 이노테크 디스플레이 항공운송용 고도시험 챔버 장치
KR102040759B1 (ko) 2017-10-30 2019-11-06 주식회사 이노테크 디스플레이 항공운송용 고도시험 챔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944A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2428B1 (en) Hot isostatic pressing arrangement
KR100600413B1 (ko) 오토클레이브 장치
US6307184B1 (en) Thermal processing chamber for heating and cooling wafer-like objects
AU713894B2 (en) Apparatus for molding composite articles
KR101461431B1 (ko) 유체 공급장치 및 타이어 가류장치
JP2012504508A (ja) 昇華印刷
WO2006030504A1 (ja) 真空熱処理炉の冷却ガス風路切替え装置
JPWO2011077844A1 (ja) タイヤの加硫装置
KR101119792B1 (ko) 오토클레이브 장치
CN102174669B (zh) 金属工件热处理用的甑式炉
KR20040079595A (ko) 오토클레이브 장치 및 방법
KR20170044829A (ko) 유리성형기의 금형 진공화장치
TW202134033A (zh) 熱成形裝置
JP2009000857A (ja) タイヤ加硫モールドの予熱装置、タイヤ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130050415A (ko) 소재 가열로 및 이를 이용한 소재 가열 방법
JP2006035430A (ja) 熱プレス装置及び方法
CN109234503A (zh) 一种用于桶形工件的淬火装置
CN109848013B (zh) 有机蒸汽去除效率改善型lcd烘烤室
US20080110206A1 (en) Optical element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JPH01230984A (ja) 熱間静水圧加圧装置及び同装置の冷却運転方法
KR101442747B1 (ko) 진공단열재의 연속 자동화 진공성형장치 및 그 방법
JP3185159B2 (ja) ガラスレンズの成形装置
KR20050094910A (ko)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처리방법 및 장치
JP2002224899A (ja) プレス装置
JP2004244243A (ja) 光学素子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3

Year of fee payment: 9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304

Effective date: 20160129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1437;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226

Effective date: 2016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