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860B1 -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 Google Patents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860B1
KR102275860B1 KR1020210010967A KR20210010967A KR102275860B1 KR 102275860 B1 KR102275860 B1 KR 102275860B1 KR 1020210010967 A KR1020210010967 A KR 1020210010967A KR 20210010967 A KR20210010967 A KR 20210010967A KR 102275860 B1 KR102275860 B1 KR 10227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ized liquid
pressure
circulation fan
pressure vessel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숙
황인기
Original Assignee
에너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진(주) filed Critical 에너진(주)
Priority to KR102021001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860B1/ko
Priority to US17/197,028 priority patent/US11772307B2/en
Priority to EP21923333.5A priority patent/EP4286150A1/en
Priority to PCT/KR2021/002940 priority patent/WO2022163901A1/ko
Priority to CN202180091976.2A priority patent/CN116745105A/zh
Priority to MX2023008754A priority patent/MX2023008754A/es
Priority to JP2023545216A priority patent/JP202450418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flexible element, e.g. diaphragm, urged by fluid pressure; Isostatic presses
    • B30B11/002Isostatic press chambers; Press sta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0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0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or dies
    • B29C2043/106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or dies using powd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 B29C2043/562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combined with isostatic pressure, e.g. pressurising fluids,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액체에 의해 피가공물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가압액체를 가압 또는 냉각시켜 피가공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며 등방압 성형할 수 있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에 의한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는 가압액체의 압력에 의해 피가공물을 가압성형하는 압력베셀,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액체와 열교환하여 상기 가압액체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한 열매체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가열냉각공급부를 포함하는 등방압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액체를 순환시키는 가압액순환팬, 상기 가압액순환팬을 회전시키는 순환팬모터, 상기 압력베셀에서 구획되어 상기 순환팬모터가 수용되는 모터수용부, 및 상기 압력베셀과 상기 모터수용부의 압력차이에 따라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모터수용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수용부의 내부압력을 증감시키는 균압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Isostatic press device capable of rapid heating and cooling by pressurized liquid circulation fan}
본 발명은 가압액체에 의해 피가공물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가압액체를 가압 또는 냉각시켜 피가공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며 등방압 성형할 수 있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방압 프레스장치는 압력베셀의 내부에 고압으로 유체를 공급하여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피가공물을 성형한다.
등방압 프레스장치는 가열한 상태에서 가공하는 WIP(Warm Isostatic press)또는 HIP(Hot Isostatic press)와 냉각한 상태에서 가공하는 CIP(Cold Isostatic press)로 구분되는 데, HIP는 가스상태의 유체를 사용하고 WIP 및 CIP는 액체를 사용한다. 특히 HIP는 가스상태의 유체를 300℃ 이상 2500℃ 까지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제품에 사용되어 250℃ 이하의 액체로 가압되는 WIP, 그리고 상온의 액체로 가압되는 CIP와는 사용처가 구분된다.
상기한 WIP는 통상 가열 또는 냉각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피가공물을 압축가공 후에 반출할 때에는 고온에 맞춰진 상태에서 반출해야하기 때문에 고온상태에서 변형이 있는 제품에는 냉각후 반출해야 하며, 이런 작업 상황에서는 피가공물이 압축 후에 원상으로 복귀되는 스프링백 현상이 발생하여 압축가공의 의미가 감소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1708490호(이하 '종래기술 1' 이라 함),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38354호(이하, '종래기술 2' 이라 함)을 개발한 바가 있다.
종래기술 1은 선택공급부에 의해 열교환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냉간 등방압과 가열 등방압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선행기술 2는 트레이에 의해 유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하여 가압유체의 신속한 온도를 변화하여 피가공물을 신속하고 균일한 품질로 가공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1563호(이하, '종래기술 3' 이라 함)에는 강제순환수단에 의해 유체를 매체 가스의 순환량을 조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기술 1과 종래기술 2는 가압매체를 별도로 순환시키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가압매체의 가열과 냉각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종래기술 3은 강제순환수단에 의해 가압매체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킬 수는 있지만, 가압매체가 팬을 구동하는 모터로 유입되면서 모터의 손상이 발생하고, 압력차에 따라 모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히터와 냉각기를 갖는 가열냉각공급부에서 열매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열교환기로 공급하기 때문에 가압유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냉간 등방압 및 가열 등방압 가공을 수행할 수 있어 스프링백의 현상이나 고온상태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피가공물을 신속히 냉각시켜 반출할 수 있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한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순환팬모터를 모터수용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균압조정부에 의해 압력베셀의 변화되는 압력에 대응하여 모터수용부의 압력을 균등하게 조정함으로써, 압력차로 인해 가압액체가 모터수용부로 침투하여 순환팬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압액순환팬이 회전함과 동시에 트레이에 의해 가압액체를 순환기류를 형성하여 가압액체를 신속하게 가열과 냉각시킴과 동시에 균일한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여 피가공물의 성형 불량 및 신속한 가공작업이 가능한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에 의한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는 가압액체의 압력에 의해 피가공물을 가압성형하는 압력베셀,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액체와 열교환하여 상기 가압액체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한 열매체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가열냉각공급부를 포함하는 등방압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액체를 순환시키는 가압액순환팬, 상기 가압액순환팬을 회전시키는 순환팬모터, 상기 압력베셀에서 구획되어 상기 순환팬모터가 수용되는 모터수용부, 및 상기 압력베셀과 상기 모터수용부의 압력차이에 따라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모터수용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수용부의 내부압력을 증감시키는 균압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균압조정부는 상기 압력베셀과 상기 모터수용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베셀의 압력의 증감에 따라 상기 모터수용부의 부피를 확장 또는 축소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벨로우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로우즈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된 링형상의 복수 개의 판을 적층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내주와 외주를 번갈아가며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균압조정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모터수용부의 내부 압력이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상기 모터수용부에 충전되는 절연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매체가 지나는 매체유로와 상기 가압액체가 지나는 순환유로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매체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형성한 열전도성플레이트를 복수 개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상기 순환유로에서 가압액체가 공급되거나, 상기 순환유로로 가압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액순환팬이 위치하며 상기 순환유로의 일단과 연통되는 중앙공급부, 및 상기 순환유로를 거친 상기 가압액체를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된 트레이로 공급하거나,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트레이를 거쳐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하도록 상기 트레이와 상기 순환유로의 타단이 연통되는 안착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압력베셀에 반입하거나, 상기 압력베셀에서 반출하기 위해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피가공물을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트레이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출입구, 및 상기 유출입구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압력베셀에서 상기 피가공물이 수용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압력베셀의 사이를 구획하는 트레이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냉각공급부에 의해 열교환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온도의 급녀화가 가능한 WIP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온 고압의 가압액체 하에서 압력을 유지한 상태로 신속히 냉각시켜 가공작업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특히 기공이 없으며 스프링 백 현상을 억제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가압액체를 순환시키고, 트레이에 의해 가압액체가 순환하는 순환기류를 형성함으로써, 가압액체를 균일한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액체의 신속한 온도변화가 가능하여 신속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가공물의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순환팬모터가 압력베셀과는 구획되는 모터수용부에 설치되고, 모터수용부에는 균압조정부가 설치되어 압력베셀의 압력에 대응하여 모터수용부의 압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축씰의 손상을 방지하여 모터수용부의 가압유체의 유입에 따른 순환팬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열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를 구성하는 모터수용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압력베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압력베셀(110)은 가압액체를 충전하여 가압액체에 의해 내부에 수용되는 피가공물을 피가공물의 둘레에서 균일하게 가압하는 형태로 피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가공은 피가공물에 압력을 가해 형상을 변형하거나, 파우더로 임의의 형상으로 압축하여 형성하거나, 피가공물의 조직이 치밀하도록 가압하거나, 가압력에 의해 조직을 변화시키거나, 가압에 의해 확산접합하는 등의 피가공물의 모든 변형을 의미한다.
압력베셀(110)은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거나,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베셀(110)에는 개방된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하부 둘 모두를 개폐하는 뚜껑(115)이 설치될 수 있다.
압력베셀(110)에 설치되는 뚜껑(115)은 투껑개폐기구에 의해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뚜껑(115)은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일부 삽입되어 압력베셀(110)의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는 압력베셀(110)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과 압력베셀(110)의 사이에는 고압씰(111)이 설치되어 압력베셀(110)의 내부에 충전되는 가압액체게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고압씰(111)은 압력베셀(11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기밀하거나, 경사면과 같이 압력이 작용할 경우, 경사면에 가이드되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고압씰(111)이 적용될 수 있다.
압력베셀(110)에는 가압액체를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충전 및 방출하기 위한 충전구 및 방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구와 방출구는 뚜껑(115)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베셀(110)이 하부에 뚜껑(115)이 설치되어 하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별도로 방출구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압력베셀(110)의 충전구에는 가압액공급수단(120)이 연결되어 가압액공급수단(120)에 의해 가압액체를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가압액공급수단(120)은 가압액체를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 또는 피스톤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압력베셀(110)은 고압을 견디기 위해 압력베셀(110)의 둘레에 메탈와이어를 권취하여 압력베셀(11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메탈와이어는 피아노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압력베셀(110)이 메탈와이어에 의해 보강된 경우, 6000bar 이상의 초고압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을 초고압으로 가공할 수 있다.
압력베셀(110)의 내부에는 압력베셀(110)의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와 열교환함면서 온도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13)가 설치될 수 있다.
단열재(113)는 압력베셀(110)의 내부에 뿐만 아니라, 압력베셀(110)의 뚜껑(115)에도 설치되어 압력베셀(110)의 전체적인 내부 공간을 모두 단열할 수 있다.
여기서, 단열재(113)는 압력베셀(110)의 온도를 보온하는 것보다는 압력베셀(110)의 내부에서 가열 또는 냉각되는 가압액체의 온도를 보온하여 피가공물의 가열성과 냉각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압력베셀(110)에 충전되어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가압액체는 물 또는 기름일 수 있다.
여기서, 기체에 의해 피가공물을 가압할 경우에는 기체는 액체에 비해 압축률이 높기 때문에 피가공물을 압축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액체에 비해 많은 부피를 차지하여 보관이 어렵고, 누설되는 경우, 회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취급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는 압력베셀(110)에 가압액체를 충전하여 피가공물을 가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기체보다는 보관이 용이하고, 누설 시 회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취급이 쉽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트레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트레이(170)는 피가공물을 수용하여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반입하거나, 압력베셀(110)에서 반출할 수 있다.
트레이(170)는 복수 개의 선반(175)이 설치되어 각 선반(175)마다 피가공물을 안착시켜 압력베셀(110)에 반입하거나, 압력베셀(110)에서 반출할 수 있다.
트레이(170)는 피가공물을 압력베셀(110)에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력베셀(110)의 내부에서 가압액체의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트레이(170)는 피가공물이 위치하는 내부공간과 압력베셀(110)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트레이벽(17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트레이벽(17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벽(171)에는 트레이(170)의 내부로 피가공물을 반입 또는 반출할 수 있도록 트레이벽(171)을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170)는 내부공간을 가압액체가 지나도록 상부와 하부에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출입구(17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입구(173)는 트레이(170)의 상부 및 하부에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유출입구(173)는 트레이(170)의 상하 및 하부를 완전히 개방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선반(175)에는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지날 수 있도록 선반(175)에는 가압액체가 관통하여 지나는 복수 개의 선반(175)공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트레이(170)는 트레이(170)의 상부의 유출입구(173)를 통해 가압액체가 트레이(17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트레이(170)의 하부의 유출입구(173)를 통해 트레이(170)의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가압액체는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트레이벽(171)의 외부에서 상향되어 다시 트레이(170)의 상부로 이동하여 트레이(170)의 상부에 위치한 유출입구(173)를 통해 트레이(17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형태로 순환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가압액체는 트레이(170)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입구(173)를 통해 가압액체가 트레이(170)의 내부로 유입되고, 트레이(170)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입구(173)를 통해 배출되면서 트레이벽(171)의 외부를 통해 하향되어 다시 트레이(170)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입구(173)를 통해 유입되는 형태로 실시예와는 반대로 가압액체가 순환될 수도 있다.
트레이(170)는 압력베셀(110)을 밀폐하는 뚜껑(115)에 설치되어 뚜껑(115)을 개방할 때, 압력베셀(110)에서 트레이(170)가 함께 반출될 수 있으며, 압력베셀(110)을 뚜껑(115)으로 밀폐할 때,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트레이(170)가 함께 반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열교환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압력베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압력베셀(110)의 내부에 충전되는 가압액체와 열교환함으로써, 가압액체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열매체를 순환시켜 열매체와 열교환하면서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에는 열매체가 지나면서 열교환하기 위한 매체유로(135b)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액체가 지나면서 열교환하기 위한 순환유로(135a)가 형성될 수 있다.
매체유로(135b)와 순환유로(135a)는 열매체와 가압액체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열교환기(130)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복수 개의 열전도성플레이트(135)를 적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열전도성플레이트(135)는 확산접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130)는 복수 개의 열전도성플레이트(135)의 각각에 순환유로(135a)를 형성하기 위한 순환유로(135a)홈과 매체유로(135b)를 형성하기 위한 매체유로(135b)홈을 형성한 후, 복수 개의 열전도성플레이트(135)를 서로 겹친 상태에서 합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도성플레이트(135)에 형성되는 순환유로(135a)와 매체유로(135b)는 서로 연결되지 않아 가압액체와 열매체가 서로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열전도성플레이트(135)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접합하는 확산접합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중앙공급부(131)와 안착공급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공급부(131)는 열교환기(13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순환유로(135a)의 일단과 연통될 수 있다.
중앙공급부(131)에는 가압액순환팬(150)에서 가압액체를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하는 부분이 위치하여 가압액순환팬(150)의 흡입력에 의해 순환유로(135a)를 거쳐 가열 또는 냉각된 가압액체가 가압액순환팬(1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안착공급부(133)에는 트레이(17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안착공급부(133)는 트레이(170)를 통해 피가공물과 열교환한 가압액체가 트레이(170)를 거친 후 열교환기(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착공급부(133)에 트레이(170)가 안착된 상태에서 트레이벽(171)의 내측둘레와 순환유로(135a)의 타단을 연통될 수 있다.
예컨대, 안착공급부(133)에 트레이(170)가 안착되면 트레이(170)의 하단 둘레와 안착공급부(133)가 밀착되면서, 가압액순환팬(150)의 흡입력에 의해 순환유로(135a)의 타단을 거쳐 순환유로(135a)의 일단으로 가압액체가 이동하며 열교환한 후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흡입되어 트레이(17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가열냉각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냉각공급부(140)는 열교환기(130)를 가열 또는 냉각하도록 열매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열교환기(130)로 공급할 수 있다.
가열냉각공급부(140)는 열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41)와 열매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1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41)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141) 또는 열전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기(143)는 열전소자를 포함하여 열전소자의 냉각면을 열매체가 열매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냉각기(143)는 냉동사이클 예컨대, 응축기,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를 포함하여 상변화물질이 냉동사이클을 거치면서 증발기를 냉각시키고, 열매체가 증발기와 열교환하면서 냉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냉각공급부(140)는 매체순환펌프(145)를 포함하여, 매체순환펌프(145)에 의해 열매체가 열교환기(130)와 히터(141) 및 냉각기(143)를 강제적으로 순환하며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가열냉각공급부(140)는 가압액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해 히터(141)와 냉각기(143)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냉각공급부(140)는 가압액체를 가열할 경우에는 냉각기(143)는 작동을 정지시키고, 히터(141)만을 작동하며, 가압액체를 냉각할 경우에는 히터(14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냉각기(143)만을 작동할 수 있다.
이때, 가열냉각공급부(140)는 히터(141)와 냉각기(143)를 직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141)와 냉각기(143)중 어느 하나만의 작동시켜 열매체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거나, 히터(141)와 냉각기(143)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히터(141)와 냉각기(143) 중 어느 하나만 열매체가 지나도록 제어하는 형태로 열매체의 가열과 냉각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가압액순환팬(150) 및 순환팬모터(15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액순환팬(150)은 복수 개의 베인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됨에 따라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흡입력 및 토출력을 발생할 수 있으며, 가압액순환팬(150)은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고, 흡입된 유체를 둘레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액순환팬(150)은 원심팬 외에 액체를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임펠러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가압액순환팬(150)의 흡입력이 발생하는 중앙부분은 열교환기(130)의 중앙공급부(131)에 위치되어 중앙공급부(131)를 통해 가압액체를 흡입할 수 있으며, 흡입된 가압액체는 열교환기(130)의 외부 둘레로 토출할 수 있다.
순환팬모터(151)는 가압액순환팬(15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순환팬모터(151)는 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순환팬모터(151)는 압력베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압력베셀(110)에 충전되는 가압액체가 순환팬모터(151)로 유입되면서, 순환팬모터(151)에 합선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순환팬모터(151)는 하기에 설명할 모터수용부(16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모터수용부(160), 및 균압조정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수용부(160)는 압력베셀(110)의 가압액체가 충전되는 공간과는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수용부(160)에는 순환팬모터(151)가 수용될 수 있다.
모터수용부(160)에 수용된 순환팬모터(151)는 모터축이 압력베셀(110)을 관통하여 압력베셀(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가압액순환팬(1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모터축이 관통하는 압력베셀(110)의 부분에는 가압액체가 모터수용부(16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축씰(153)이 설치될 수 있다.
모터수용부(160)에는 절연액체가 충전될 수 있으며, 절연액체는 절연성을 가져 순환팬모터(151)에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순환팬모터(151)에 합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순환팬모터(151)는 모터수용부(160)에 절연액체를 충전한 상태에서 절연액체에 잠긴 상태로 모터수용부(160)에 위치될 수 있다.
절연액체는 압력베셀(110)에 충전되는 가압액체와 대응되는 압축률 갖거나, 압축률이 더 낮은 액체일 수 있으며, 절연액체는 비경화성 액체일 수 있다.
균압조정부(165)는 압력베셀(110)의 내부압력과 모터수용부(160)의 내부압력이 동일하거나, 내부압력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압력베셀(110)의 내부압력에 비례하여 모터수용부(160)의 압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균압조정부(165)는 모터수용부(160)와 압력베셀(110)이 연통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균압조정부(165)는 압력베셀(110)과 모터수용부(160)의 압력차이를 감소시킴에 따라 압력차에 따른 축씰(153)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가압액체가 모터수용부(16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순환팬모터(15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균압조정부(165)는 모터수용부(160)의 일부에 압력베셀(110)과 연통되는 압력실(166)을 형성하고, 압력실(166)에 설치되거나, 모터수용부(160)에서 이격된 부분에 압력실(166)을 형성하고, 압력실(166)와 모터수용부(160)를 서로 연결유로를 통해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균압조정부(165)는 벨로우즈부재(167)를 포함할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167)는 압력베셀(110)에 충전되는 가압액체에 의해 부피가 팽창 또는 축소되면서 모터수용부(160)의 절연액체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는 형태로 모터수용부(160)의 압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167)는 모터수용부(160)가 위치한 방향으로 부피가 팽창 또는 팽창한 상태에서 축소되도록 압력실(166)에 설치될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167)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된 형태일 수 있으며, 압력실(166)에서 개방된 일단이 압력베셀(1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위치되고 밀폐된 타단이 모터수용부(160)가 위치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167)는 개방된 부분으로 압력베셀(110)의 가압액체가 유입되면서 부피가 팽창될 수 있으며, 부피가 팽창한 상태에서 가압액체가 다시 빠져나가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초기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167)는 압력베셀(110)에 충전되는 가압액체의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167)는 내부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링판 형상의 금속판을 적층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내주와 외주를 서로 번갈아가며 접합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벨로우즈부재(167)는 복수 개의 링판을 적층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링판의 내주를 접합한 경우, 그 다음 상부에 위치하는 링판은 내주끼리 접합된 링판의 외주를 접합하고, 외주가 접합된 링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링판은 다시 내주를 접합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벨로우즈부재(167)의 양단 중 어느 한 단에는 밀폐된 판을 접합시켜 벨로우즈부재(167)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밀폐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벨로우즈부재(167)는 압력실(166)에서 압력베셀(110)의 압력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면, 압력실(166)의 공간을 축소시키면서, 압력실(166)에 충전된 절연액체를 가압하여 모터수용부(160)의 압력을 증대시킨다.
반면, 벨로우즈부재(167)의 부피가 확장된 상태에서 압력베셀(110)의 압력이 낮아지면, 압력실(166)의 압력에 의해 벨로우즈부재(167)에 유입되었던 가압액체가 다시 압력베셀(110)로 이동하면서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압력베셀(110)의 내부에는 가압액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1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압력베셀(110)의 내부에는 가압액체의 가열 또는 냉각에 의한 온도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열재(113)가 설치될 수 있다.
압력베셀(110)의 내부에는 가압액체가 고압으로 공급되어 압력베셀(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피가공물을 가압액체의 압력에 의해 가공할 수 있으며, 압력베셀(110)에는 충전구와 방출구가 형성되어 가압액체를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공급하거나, 압력베셀(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가압액체는 가압액공급수단(120)에 의해 고압으로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에는 가압액체가 지나면서 열교환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는 순환유로(135a)가 형성되며, 열교환기(130)에는 순환유로(135a)와는 연결되지 않으면서 열매체가 지나는 매체유로(135b)가 형성된다.
열교환기(130)에는 가압액체가 지나며 열교환할 수 있도록 순환유로(135a)의 일단과 연결되는 중앙공급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교환기(130)에는 트레이(170)가 안착되는 안착공급부(1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공급부(133)는 트레이(170)의 내측 둘레와 순환유로(135a)의 타단을 연통시켜 가압액체가 트레이(170)를 거친 후 열교환기(130)의 순환유로(135a)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열전도성플레이트(135)를 겹쳐 확산접합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안착공급부(133)에 안착되는 트레이(170)에는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복수 개의 선반(175)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선반(175)에는 가압액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투과공이 타공될 수 있다.
트레이(170)에는 가압액체가 상부에서 하부로 지나면서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동시에 피가공물과 열교환하여 피가공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가압액체가 유출입되는 유출입구(17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트레이(170)는 트레이벽(171)에 의해 둘러싸여 압력베셀(110)에서 피가공물이 위치되는 공간과 가압액체가 지나는 유로를 구획할 수 있다.
트레이(170)는 뚜껑(115)에 결합되어 뚜껑(115)을 개폐시에 압력베셀(110)에서 트레이(170)가 반입 또는 반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에는 열매체를 공급하는 가열냉각공급부(140)가 연결될 수 있으며, 가열냉각공급부(140)는 히터(141)와 냉각기(143)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열매체를 히터(141)에 의해 가열하거나, 냉각기(143)에 의해 냉각하여 열교환기(130)로 공급할 수 있다.
열교환기(130)의 중앙공급부(131)에는 가압액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가압액순환팬(150)이 위치될 수 있으며, 가압액순환팬(150)은 순환팬모터(151)에 의해 회전하며 가압액체를 중앙공급부(131)로부터 흡입하여 가압액순환팬(150)의 둘레로 토출할 수 있다.
순환팬모터(151)는 압력베셀(110)에서 구획되는 모터수용부(16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수용부(160)에는 절연액체가 충전되어 절연액체에 순환팬모터(151)가 잠긴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모터수용부(160)에는 압력베셀(110)의 압력차에 따라 순환팬모터(151)를 기밀하는 축씰(15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균압조정부(165)가 설치될 수 있다.
균압조정부(165)는 모터수용부(160)와 압력베셀(110)의 내부공간을 연통하는 압력실(16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실(166)에는 압력베셀(110)의 압력에 따라 부피가 축소 또는 확장되는 벨로우즈부재(167)가 설치된다.
벨로우즈부재(167)는 압력실(166)에서 모터수용부(16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부피가 축소 또는 확장되면서 모터수용부(160)에 충전되는 절연액체를 가압 및 가압을 해제하는 형태로 압력베셀(110)의 내부압력에 대응하여 모터수용부(160)의 내부압력을 증감시킬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167)는 부식을 최소화하고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벨로우즈부재(167)는 금속의 링판을 복수 개 적층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링판끼리 외주와 내주를 교대로 접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압력베셀(110)의 뚜껑(115)을 개방한 상태에서 트레이(170)의 선반(175)에 피가공물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압력베셀(110)의 뚜껑(115)을 닫으면,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트레이(170)가 반입되고, 압력베셀(110)이 뚜껑(115)에 의해 밀폐되면 가압액공급수단(120)에 의해 가압액체를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주입한다.
가압액체는 피가공물을 가압할 미리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도록 압력베셀(110)의 내부로 주입되며, 미리 설정된 압력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피가공물에 가압액체에 의해 압력을 가해 피가공물을 가공한다.
한편, 피가공물을 가공할 때, 고온으로 가열하여 가공하거나, 냉각시켜 가공할 때에는 가열냉각공급부(140)에 의해 히터(141) 또는 냉각기(143)를 선택하여 작동시킨다.
히터(141) 또는 냉각기(143)가 작동하면 열매체가 히터(141)에 의해 가열되거나, 냉각기(143)에 의해 냉각되고, 냉각 또는 가열된 열매체는 열교환기(130)로 공급된다.
열교환기(130)를 공급되는 열매체는 매체유로(135b)를 순환하고 열매체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열교환기(130)의 순환유로(135a)를 가압액체가 지나면서 열교환하여 가압액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형태로 피가공물을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13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되는 가압액체는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압력베셀(110)에서 순환하며 압력베셀(110)의 온도를 신속하게 변경하고, 변경된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가압액순환팬(150)이 회전하면, 열교환기(130)의 중앙공급부(131)에서 흡입력이 발생하면서 열교환기(130)의 안착공급부(133)를 통해 가압액체가 열교환기(130)의 순환유로(135a)의 타단으로 흡입되면서 열교환기(130)와 열교환하고, 열교환하여 가열 또는 냉각된 가압액체는 순환유로(135a)의 일단이 위치하는 중앙공급부(131)로 공급된다.
한편, 순환유로(135a)의 타단에 위치한 안착공급부(133)에서는 가압액체의 흡입력에 의해 트레이벽(171)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입구(173)를 통해 트레이(170)의 내부로 유입되고, 트레이(170) 내부로 유입된 가압액체는 피가공물을 가압과 동시에 피가공물과 접촉되면서 피가공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킨다.
그리고, 피가공물을 냉각 또는 가열시킨 가압액체는 트레이(170)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입구(173)로 배출되면서 안착공급부(133)를 통해 순환유로(135a)의 타단으로 유입되고,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토출되는 유체는 트레이벽(171)의 외부를 통해 상향되면서 트레이(170)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입구(173)를 통해 트레이(17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열교환기(130)를 거쳐 가열되거나, 냉각된 가압액체는 트레이벽(171)과 압력베셀(110)의 사이 공간으로 토출되면서 압력베셀(110)의 상부로 이동하고, 트레이(170)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입구(173)를 통해 트레이(170)의 내부로 유입되고, 트레이(170)의 내부를 거치면서 피가공물을 가압 및 열교환하여 가열하거나, 냉각한다.
피가공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한 가압액체는 열교환기(130)의 안착공급부(133)를 통해 중앙공급부(131)로 공급되어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흡입된 후 다시 가압액순환팬(150)의 둘레로 토출되면서 트레이벽(171)과 압력베셀(110)의 사이로 이동하는 형태로 순환한다.
실시예에서는 열교환기(130)를 거친 가압액체가 트레이벽(171)과 압력베셀(110)의 사이로 토출되면서 상향되고 다시 트레이(170)의 내부를 통해 열교환기(130)로 순환하는 형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토출되는 유체가 열교환기(130)를 거쳐 트레이(170)의 내부로 유입되어 피가공물과 열교환한 뒤 트레이(170)의 상부의 유출입구(173)로 토출되면서 압력베셀(110)과 트레이벽(171)의 사이를 통해 하향 이동하고 다시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열교환기(130)를 거쳐 트레이(170)의 내부로 유입되는 형태로 순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가압액체가 순환하면 열교환기(130)와 신속한 열교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압액체의 신속한 냉각 또는 가열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압액체의 신속한 냉각 또는 가열이 가능하므로 가공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피가공물을 가열한 상태에서 반출할 때에는 화상사고를 방지하거나, 피가공물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가공물을 냉각시킨 후 반출해야 하는 데, 가압액체를 냉각시키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냉각기(143)를 작동시켜 열교환기(130)를 냉각시키는 형태로 가압액체를 냉각시킴으로써, 피가공물을 신속한 반출이 가능하다.
또한, 열교환기(130)가 가열냉각공급부(14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이 가능하기 때문에 담금질과 같이 피가공물을 가열하는 중에 급속히 냉각시키거나, 냉각하여 가공하는 중에 급속히 가열하여 가공할 수도 있다.
또한, 고온으로 가열된 피가공물을 급속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온으로 가열된 피가공물에서 발생하는 스프링백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가압액체에 의해 압력베셀(110)의 압력이 증가되면 균압조정부(165)의 벨로우즈부재(167)가 팽창하고, 벨로우즈부재(167)가 팽창하면, 압력실(166)에 유입된 절연액체가 가압되면서 모터수용부(160)의 압력도 함께 증가된다.
반면, 압력베셀(110)의 압력이 낮아지면, 팽창되었던 벨로우즈부재(167)가 다시 수축하고, 벨로우즈부재(167)가 수축하면, 절연액체의 가압력이 낮아지면서 모터수용부(160)의 압력도 함께 낮아진다.
이렇게 균압조정부(165)는 압력베셀(110)과 모터수용부(160)의 압력을 균등하게 맞추기 때문에 압력차로 인한 모터축을 기밀하는 축씰(153)의 손상으로 인해 가압액체가 모터수용부(160)로 유입되면서 순환팬모터(151)의 합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100)는 가압액순환팬(150)에 의해 가압액체를 순환시켜 가압액체를 신속하게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며 피가공물을 가공하여 가공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는 스프링백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력베셀(110)의 압력에 대응하여 균압조정부(165)가 모터수용부(160)의 압력을 증감시키기 때문에 압력차로 인한 축씰(153)의 파손으로 인해 가압유체가 모터수용부(160)로 유입되면서 순환팬모터(151)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균압조정부(165)의 압력을 조정하는 벨로우즈부재(167)가 금속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압의 압력변화에도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130)를 복수 개의 열전도성플레이트(135)를 겹쳐 제작하기 때문에 압력베셀(110)의 압력에 따라 열교환기(130)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170)를 통해 가압액체의 순환유로(135a)를 형성하기 때문에 가압액체의 순환 시 난류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가압유체를 신속하게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으며, 압력베셀(11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110: 압력베셀 111: 고압씰
113: 단열재 115: 뚜껑
120: 가압액공급수단 130: 열교환기
131: 중앙공급부 133: 안착공급부
135: 열전도성플레이트 135a: 순환유로
135b: 매체유로 140: 가열냉각공급부
141: 히터 143: 냉각기
145: 순환펌프 150: 가압액순환팬
151: 순환팬모터 153: 축씰
160: 모터수용부 165: 균압조정부
166: 압력실 167: 벨로우즈부재
170: 트레이 171: 트레이벽
173: 유출입구 175: 선반

Claims (7)

  1. 가압액체의 압력에 의해 피가공물을 가압성형하는 압력베셀,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액체와 열교환하여 상기 가압액체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기 위한 열매체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가열냉각공급부를 포함하는 등방압 프레스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에서 상기 가압액체를 순환시키는 가압액순환팬,
    상기 가압액순환팬을 회전시키는 순환팬모터,
    상기 압력베셀에서 구획되어 상기 순환팬모터가 수용되는 모터수용부,
    상기 압력베셀과 상기 모터수용부의 압력차이에 따라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모터수용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압력베셀의 내부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수용부의 내부압력을 증감시키는 균압조정부, 및
    상기 균압조정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모터수용부의 내부 압력이 용이하게 변경되도록 상기 모터수용부에 충전되는 절연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조정부는
    상기 압력베셀과 상기 모터수용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베셀의 압력의 증감에 따라 상기 모터수용부의 부피를 확장 또는 축소시켜 압력을 조절하는 벨로우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된 링형상의 복수 개의 판을 적층한 상태에서 서로 인접한 내주와 외주를 번갈아가며 접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매체가 지나는 매체유로와 상기 가압액체가 지나는 순환유로가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매체유로와 상기 순환유로를 형성한 열전도성플레이트를 복수 개 적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상기 순환유로에서 가압액체가 공급되거나, 상기 순환유로로 가압액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가압액순환팬이 위치하며 상기 순환유로의 일단과 연통되는 중앙공급부, 및
    상기 순환유로를 거친 상기 가압액체를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된 트레이로 공급하거나,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트레이를 거쳐 상기 순환유로로 공급하도록 상기 트레이와 상기 순환유로의 타단이 연통되는 안착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을 상기 압력베셀에 반입하거나, 상기 압력베셀에서 반출하기 위해 상기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피가공물을 순환하는 기류를 형성하도록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압액체가 상기 트레이 내부로 유출입되는 유출입구, 및
    상기 유출입구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압력베셀에서 상기 피가공물이 수용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압력베셀의 사이를 구획하는 트레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KR1020210010967A 2021-01-26 2021-01-26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KR10227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967A KR102275860B1 (ko) 2021-01-26 2021-01-26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US17/197,028 US11772307B2 (en) 2021-01-26 2021-03-10 Isostatic press apparatus enabling rapid heating and cooling using pressurized liquid circulation fan
EP21923333.5A EP4286150A1 (en) 2021-01-26 2021-03-10 Isostatic pressing device capable of rapid heating and cooling by means of pressurized liquid circulation fan
PCT/KR2021/002940 WO2022163901A1 (ko) 2021-01-26 2021-03-10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CN202180091976.2A CN116745105A (zh) 2021-01-26 2021-03-10 通过加压液循环风扇能够快速加热和冷却的等静压压制装置
MX2023008754A MX2023008754A (es) 2021-01-26 2021-03-10 Aparato de presion isostatica que permite calentamiento y enfriamiento rapido utilizando ventilador de circulacion de liquido presurizado.
JP2023545216A JP2024504180A (ja) 2021-01-26 2021-03-10 加圧液循環ファンによって迅速な加熱及び冷却が可能な等方圧プレス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967A KR102275860B1 (ko) 2021-01-26 2021-01-26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860B1 true KR102275860B1 (ko) 2021-07-09

Family

ID=7686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967A KR102275860B1 (ko) 2021-01-26 2021-01-26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72307B2 (ko)
EP (1) EP4286150A1 (ko)
JP (1) JP2024504180A (ko)
KR (1) KR102275860B1 (ko)
CN (1) CN116745105A (ko)
MX (1) MX2023008754A (ko)
WO (1) WO20221639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0129A (zh) * 2023-11-30 2023-12-29 四川力能超高压设备有限公司 等静压成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180B2 (ja) * 1989-03-18 1996-08-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圧処理装置
JP2000501780A (ja) * 1995-12-01 2000-02-15 アセア ブラウン ボベリ アクチボラグ 部品を熱間アイソスタティック成形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471783B2 (ja) * 2004-08-27 2010-06-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等方圧加圧方法及び熱間等方圧加圧装置
KR20130031796A (ko) * 2011-09-21 2013-03-2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열간 등방압 가압 장치
KR20160018704A (ko) * 2013-07-12 2016-02-17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열간 등방압 가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4253B2 (ja) * 2002-05-15 2009-01-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等方加圧装置
JP2007263463A (ja) * 2006-03-28 2007-10-11 Kobe Steel Ltd 熱間等方圧プレス方法および装置
JP5615019B2 (ja) 2009-11-20 2014-10-2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等方圧加圧装置
US9551530B2 (en) * 2013-03-13 2017-01-24 Quintus Technologies Ab Combined fan and ejector cooling
KR101708490B1 (ko) 2014-04-11 2017-02-21 에너진(주)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칩 부품의 제조방법
KR102138354B1 (ko) 2019-11-27 2020-07-27 에너진(주) 냉각과 가열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180B2 (ja) * 1989-03-18 1996-08-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圧処理装置
JP2000501780A (ja) * 1995-12-01 2000-02-15 アセア ブラウン ボベリ アクチボラグ 部品を熱間アイソスタティック成形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471783B2 (ja) * 2004-08-27 2010-06-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熱間等方圧加圧方法及び熱間等方圧加圧装置
KR20130031796A (ko) * 2011-09-21 2013-03-2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열간 등방압 가압 장치
KR20160018704A (ko) * 2013-07-12 2016-02-17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열간 등방압 가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0129A (zh) * 2023-11-30 2023-12-29 四川力能超高压设备有限公司 等静压成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6150A1 (en) 2023-12-06
CN116745105A (zh) 2023-09-12
US20220234260A1 (en) 2022-07-28
WO2022163901A1 (ko) 2022-08-04
US11772307B2 (en) 2023-10-03
JP2024504180A (ja) 2024-01-30
MX2023008754A (es)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2428B1 (en) Hot isostatic pressing arrangement
US9733020B2 (en)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cooling a pressure vessel
JP5170981B2 (ja) 熱間等方圧加圧装置
WO2014192506A1 (ja) 熱間等方圧加圧装置
KR102296876B1 (ko) 프레스 장치 및 프레스 방법
KR102275860B1 (ko) 가압액순환팬에 의해 신속한 가열과 냉각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CN106163702A (zh) 可进行加热和冷却的等静压压合装置及利用其装置制造芯片型部件的制造方法
US20140127637A1 (en) Outer cooling loop
JP5797772B2 (ja) プレス装置
WO2015005047A1 (ja) 熱間等方圧加圧装置
US8764432B2 (en) High-pressure press
KR102138354B1 (ko) 냉각과 가열이 가능한 등방압 프레스장치
JP5722416B2 (ja) 熱間静水圧プレス装置
RU2731613C1 (ru) Способ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зделий под высоким давлением
KR102437272B1 (ko) 열간 정수압 가압장치
JPH0829069A (ja) 熱間等方圧加圧装置の冷却方法
KR102409112B1 (ko) 열간 정수압 가압장치
JPH04240389A (ja) 熱間等方圧加圧装置
KR200337726Y1 (ko) 온도 조절 장치
RU2429105C1 (ru) Газостат
JPH0362997B2 (ko)
JPH03175288A (ja) 熱間静水圧加圧装置における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JPH04182A (ja) Hip装置における圧力容器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