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754B1 - 음식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754B1
KR102098754B1 KR1020190158993A KR20190158993A KR102098754B1 KR 102098754 B1 KR102098754 B1 KR 102098754B1 KR 1020190158993 A KR1020190158993 A KR 1020190158993A KR 20190158993 A KR20190158993 A KR 20190158993A KR 102098754 B1 KR102098754 B1 KR 10209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slide block
food
support
suppo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희
Original Assignee
안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희 filed Critical 안성희
Priority to KR102019015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3/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 B65B3/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application of pressure to material mechanically, e.g. by pistons o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4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 B65B43/3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applied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죽이나 소스와 같은 겔상 또는 액상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조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는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교반기(A)와,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어 교반기(A)에 저장된 정량공급수단(B)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을 통해 공급된 음식물을 합성수지재질의 봉투(1)에 담은 후 상기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는 포장수단(D)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과 포장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이 구비되어, 교반기에 저장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봉투(1)에 공급한 후, 밀봉하여 배출함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음식물이 오염에 노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뜨거운 음식물에 의해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제조장치{food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죽이나 소스와 같은 겔상 또는 액상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조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공장에서 죽이나 소스 등과 같은 겔상 또는 액상의 음식물을 제조하여 포장하는 음식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교반기(A)와,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어 교반기(A)에 저장된 정량공급수단(B)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의 일측에 구비된 열융착기(C)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기(A)는 교반통(11)과, 상기 교반통(11)의 내부에 구비되며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개(12)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통(11)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일측에 도시 안된 히터가 구비되어 내부에 공급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날개(12)는 상기 교반통(11)의 내부에 측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어 회전시 교반통(11)의 내부에 공급된 음식물을 교반한다.
상기 정량공급수단(B)은 상기 교반기(A)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봉투(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테이블(21)과,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측으로 연장된 공급관(22)과, 상기 공급관(22)에 구비된 펌프(23)와, 공급관(22)에 구비되어 공급관(22)을 통과하는 음식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24)와, 상기 공급관(22)의 단부에 구비된 전자식제어밸브(25)와, 상기 유량계(2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펌프(23) 및 전자식제어밸브(25)의 작동을 제어하며 일측에는 작업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27)이 구비된 제어수단(26)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봉투(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재질의 사각형 봉투(1)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을 벌린 후, 내부에 음식물을 주입하여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봉투(1)를 공급관(2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올려놓고, 봉투(1)의 상단 입구가 개방되도록 한 후, 상기 입력수단(27)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수단(26)은 상기 유량계(24)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펌프(23)와 전자식제어밸브(25)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교반기(A)에 저장된 음식물이 공급관(22)을 통해 봉투(1)로 공급되도록 하고, 봉투(1)에 정해진 양의 음식물이 공급되면 상기 펌프(23)를 제어하고 전자식제어밸브(25)를 밀폐하여, 봉투(1)로 공급되는 음식물의 흐름을 정지시킨다.
상기 열융착기(C)는 구동장치에 의해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는 가압부재(41)와, 상기 가압부재(41)에 구비된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41)의 사이에 상기 봉투(1)의 상단을 삽입한 후 상기 구동장치를 작동시키면, 가압부재(41)가 인접방향으로 전진되어 봉투(1)의 상단을 가압하고, 상기 히터가 작동되어 봉투(1)의 상단을 가열함으로써, 봉투(1)의 상단이 열융착되어 밀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교반기(A)를 작동시켜 교반통(11)의 내부에 공급된 교반시키면서, 상기 정량공급수단(B)을 이용하여 봉투(1)에 정해진 양의 음식물을 담은 후, 상기 열융착기(C)를 이용하여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함으로써, 음식물의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음식물 제조장치는 음식물을 봉투(1)에 담고 음식물이 담긴 봉투(1)를 밀봉하는 작업이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 생산성이 낮고, 음식물이 오염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음식물은 종류에 따라 뜨거운 상태로 봉투(1)에 공급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9080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죽이나 소스와 같은 겔상 또는 액상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조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교반기(A)와,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어 교반기(A)에 저장된 정량공급수단(B)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을 통해 공급된 음식물을 합성수지재질의 봉투(1)에 담은 후 상기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는 포장수단(D)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과 포장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고, 상기 정량공급수단(B)은 교반기(A)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봉투(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테이블(21)과,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측으로 연장된 공급관(22)과, 상기 공급관(22)에 구비된 펌프(23)와, 공급관(22)에 구비되어 공급관(22)을 통과하는 음식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24)와, 상기 공급관(22)의 단부에 구비된 전자식제어밸브(25)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수단(D)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봉투(1)가 상호 전후망향으로 정렬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개구부(34)가 형성되고 일측 전단부에는 상기 봉투(1)가 배출되는 배출구(35)가 형성된 지지가이드(30)와,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40)과,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중에서 가장 전방의 봉투(1)를 흡착하여 상기 배출구(35)를 통해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60)과, 상기 제1 이송유닛(60)의 일측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이송유닛(60)에 의해 이송된 봉투(1)를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유닛(70)과, 상기 공급관(22)의 하측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이송유닛(70)에 의해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된 봉투(1)의 전면을 전방으로 당겨 봉투(1)의 상단을 개방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유닛(80)과,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측방향슬라이드구동수단에 의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며 내부에 음식물이 공급된 봉투(1)의 상단 전후면을 가압하여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여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융착유닛(90)과, 상기 융착유닛(9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된 봉투(1)를 밀어 지지테이블(21)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실린더(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봉투(1)는 상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재질의 사각형 봉투(1)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전후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포장수단(D)은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 상단의 입구부분을 개방하는 개방유닛(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유닛(50)은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관(51)과, 상기 지지관(51)의 내부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분사관(52)과, 상기 분사관(52)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관(52)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51)은 내경이 상기 분사관(52)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고, 분사관(52)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지지관(51)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급기수단(53)을 이용하여 분사관(52)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분사관(52)의 하단이 지지관(51)의 내부에서 불규칙하게 유동되어 공기가 불규칙한 방향으로 상기 봉투(1)의 상측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 상단의 입구부분이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가이드(30)의 내부 바닥면과 지지테이블(21)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36)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유닛(40)은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장공(36)을 통해 지지테이블(21)의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바(41a)가 구비된 가압부재(41)와, 상기 장공(36)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하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42)와, 상기 연장바(41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로울러(42)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케이블(43)과, 상기 연장케이블(43)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41)를 전방으로 당기는 무게추(44)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41)는 상기 지지가이드(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연장바(41a)가 구비된 슬라이드블록(41b)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b)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블록(41b)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유닛(41d)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b)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41h)에 의해 전후방향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판(41g)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가압판(41g)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1h)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되어 상기 봉투(1)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송유닛(60)을 이용하여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를 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전에, 상기 제동유닛(41d)을 구동시켜 슬라이드블록(41b)을 고정하고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1h)을 제어하여 가압판(41g)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상기 가압판(41g)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송유닛(60)은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실린더기구(62)에 의해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전방에서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과,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2 실린더기구(6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상부슬라이드블록(63)과,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블록(63)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의 개구부(34)를 통해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 중에서 가장 전방에 구비된 봉투(1)의 전측면에 흡착되는 제1 흡착헤드(6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유닛(70)은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의 측방향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제3 실린더기구(72)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하부슬라이드블록(71)과,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91)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4 실린더기구(7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상부슬라이드블록(73)과, 상기 상부슬라이드블록(41b)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이송유닛(6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된 봉투(1)의 후측면에 흡착되는 제2 흡착헤드(7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80)은 상기 공급관(22)의 하측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5 실린더기구(8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슬라이드블록(81)과,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8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송유닛(70)에 의해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된 봉투(1)의 전면에 흡착되는 제3 흡착헤드(83)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유닛(90)은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6 실린더기구(92)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슬라이드블록(9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91)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가압바(93,94)와,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실린더(95)와, 상기 제1 가압바(93)와 제2 가압바(94)의 인접면에 구비된 히터(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는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교반기(A)와,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어 교반기(A)에 저장된 정량공급수단(B)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을 통해 공급된 음식물을 합성수지재질의 봉투(1)에 담은 후 상기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는 포장수단(D)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과 포장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이 구비되어, 교반기에 저장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봉투(1)에 공급한 후, 밀봉하여 배출함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음식물이 오염에 노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뜨거운 음식물에 의해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음식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음식물 제조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4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봉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의 포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의 포장장치의 지지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F-F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도 7의 G-G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도 7의 H-H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의 융착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도 7의 I-I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6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교반기(A)와,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어 교반기(A)에 저장된 정량공급수단(B)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을 통해 공급된 음식물을 합성수지재질의 봉투(1)에 담은 후 상기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는 포장수단(D)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과 포장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으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기(A)는 교반통(11)과, 상기 교반통(11)의 내부에 구비되며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날개(12)로 구성된다.
상기 교반통(11)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일측에 도시 안된 히터(96)가 구비되어 내부에 공급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날개(12)는 상기 교반통(11)의 내부에 측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구비되어 회전시 교반통(11)의 내부에 공급된 음식물을 교반한다.
상기 정량공급수단(B)은 교반기(A)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봉투(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테이블(21)과,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측으로 연장된 공급관(22)과, 상기 공급관(22)에 구비된 펌프(23)와, 공급관(22)에 구비되어 공급관(22)을 통과하는 음식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24)와, 상기 공급관(22)의 단부에 구비된 전자식제어밸브(25)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테이블(21)은 상판(21a)과, 상기 상판(21a)의 둘레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레그부재(21b)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22)은 금속재로 구성된다.
상기 전자식제어밸브(25)는 상기 제어수단(E)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급관(22)의 단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장수단(D)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봉투(1)가 상호 전후망향으로 정렬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개구부(34)가 형성되고 일측 전단부에는 상기 봉투(1)가 배출되는 배출구(35)가 형성된 지지가이드(30)와,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40)과,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 상단의 입구부분을 개방하는 개방유닛(50)과,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중에서 가장 전방의 봉투(1)를 흡착하여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60)과, 상기 제1 이송유닛(60)의 일측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이송유닛(60)에 의해 이송된 봉투(1)를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유닛(70)과, 상기 공급관(22)의 하측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이송유닛(70)에 의해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된 봉투(1)의 전면을 전방으로 당겨 봉투(1)의 상단을 개방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유닛(80)과,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측방향슬라이드구동수단에 의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며 내부에 음식물이 공급된 봉투(1)의 상단 전후면을 가압하여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여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융착유닛(90)과, 상기 융착유닛(9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된 봉투(1)를 밀어 지지테이블(21)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실린더(100)로 구성된다.
상기 봉투(1)는 상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재질의 사각형 봉투(1)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을 벌린 후, 내부에 음식물을 주입하여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가이드(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하판(31)과, 상기 하판(3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32)과 상기 하판(31)과 측판(32)의 전단부를 막는 전면판(33)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봉투(1)가 상호 전후면이 밀착되도록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가이드(30)는 전면판(33)이 상기 공급관(22) 단부의 우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4)는 상기 전면판(33)에 좌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35)는 좌측 측판(32)의 전단부와 전면판(33)의 사이에 상기 봉투(1)의 두께에 비해 조금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어, 한 번에 한 장의 봉투(1)만이 배출구(35)를 통해 좌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가이드(30)의 바닥면, 즉, 상기 하판(31)과,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 즉, 상기 상판(21a)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36)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압유닛(4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장공(36)을 통해 지지테이블(21)의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바(41a)가 구비된 가압부재(41)와, 상기 장공(36)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하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42)와, 상기 연장바(41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로울러(42)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케이블(43)과, 상기 연장케이블(43)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41)를 전방으로 당기는 무게추(44)로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재(41)는 상기 지지가이드(30)의 내부, 즉, 상기 하판(31)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연장바(41a)가 구비된 슬라이드블록(41b)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b)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블록(41b)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유닛(41d)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b)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41h)에 의해 전후방향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판(41g)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41b)은 하측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오목홈(41c)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판(31)의 상면에는 도시 안된 가이드레일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판(31)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동유닛(41d)은 상기 오목홈(41c)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고무재질의 마찰블록(41e)과, 상기 마찰블록(41e)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수단(E)의 제어에 따라 마찰블록(41e)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실린더(41f)로 구성되어, 상기 마찰블록(41e)이 상승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블록(41b)이 전후진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1f)에 의해 마찰블록(41e)이 하강되면 마찰블록(41e)이 상기 하판(31)의 상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블록(41b)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가압판(41g)은 전면이 수직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1h)은 상기 슬라이드블록(41b)에 구비되며 전방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가 상기 가압판(41g)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가압판(41g)이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판(41g)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1h)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 상기 제동유닛(41d)의 마찰블록(41e)이 상승되면, 상기 무게추(44)의 무게에 의해 가압부재(41)가 전방으로 당겨져, 상기 가압판(41g)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배치된 봉투(1)의 후측면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가장 전방에 위치된 봉투(1)가 상기 전면판(33)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가이드(30)에 봉투(1)를 추가하여야 할 경우, 작업자가 상기 가압부재(41)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무게추(44)가 상측으로 당겨지며, 작업자가 지지가이드(30)에 봉투(1)를 투입한 후 가압부재(41)를 놓으면, 상기 무게추(44)에 의해 가압부재(41)가 전진되어, 봉투(1)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동수단의 마찰블록(41e)을 하강시켜 가압부재(41)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1h)을 제어하여 가압판(41g)이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하면, 가압판(41g)이 가장 후방에 위치된 봉투(1)로부터 후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압부재(41)가 봉투(1)를 전방으로 가압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봉투(1)의 간격이 조금씩 벌어지면서, 가장 전방에 위치된 봉투(1)가 상기 전면판(33)에 밀착되는 힘이 약해지게 된다.
상기 개방유닛(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관(51)과, 상기 지지관(51)의 내부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분사관(52)과, 상기 분사관(52)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관(52)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51)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51a)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단은 밀폐되고 하단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지지관(51)은 내경이 상기 분사관(52)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된다.
상기 분사관(52)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은 상기 지지관(51)의 상면을 관통하여 지지관(51)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관(51)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급기수단(53)은 급기관(53a)을 통해 상기 분사관(52)의 상단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따라서, 급기수단(53)을 이용하여 분사관(52)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분사관(52)의 하단이 지지관(51)의 내부에서 불규칙하게 유동되어 공기가 불규칙한 방향으로 상기 봉투(1)의 상측으로 분사하게 되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41)의 가압판(41g)이 후측으로 이격되어 각각의 봉투(1)의 간격이 조금씩 벌어지면, 상기 지지관(51)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봉투(1) 상단의 입구부분이 열리게 된다.
상기 제1 이송유닛(6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실린더기구(62)에 의해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전방에서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과,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2 실린더기구(6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상부슬라이드블록(63)과,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블록(63)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의 개구부(34)를 통해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 중에서 가장 전방에 구비된 봉투(1)의 전측면에 흡착되는 제1 흡착헤드(65)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은 상기 상판(21a)의 상면에 지지가이드(30)의 전방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흡착헤드(65)는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블록(63)의 후측면에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도시 안된 진공펌프(23)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이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블록(63)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제1 흡착헤드(65)가 상기 개구부(34)를 통해 봉투(1)의 전면에 흡착되고,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을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적재된 다수개의 봉투(1) 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된 봉투(1)가 지지가이드(30)의 배출구(35)를 통해 좌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2 이송유닛(7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의 좌측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제3 실린더기구(72)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하부슬라이드블록(71)과,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91)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4 실린더기구(7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상부슬라이드블록(73)과, 상기 상부슬라이드블록(41b)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이송유닛(6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된 봉투(1)의 후측면에 흡착되는 제2 흡착헤드(75)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하부슬라이드블록(71)는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상기 제1 가이드레일의 좌측단 전방에서 상기 공급관(22)의 선단부 하측까지 연장된 제2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흡착헤드(75)는 제2 상부슬라이드블록(73)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도시 안된 진공펌프(23)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이송유닛(6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된 봉투(1)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흡착되도록 높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부슬라이드블록(71)이 우측으로 슬라이드되고,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블록(73)이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투(1)가 제1 이송유닛(60)에 의해 좌측으로 배출되면,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블록(73)이 전진되어 상기 제2 흡착헤드(75)가 봉투(1)의 후측면에 흡착되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흡착헤드(65)를 봉투(1)의 전면에서 이격시킨 후, 상기 제2 하부슬라이드블록(71)를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봉투(1)가 상기 공급관(22)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유닛(8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22)의 하측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5 실린더기구(8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슬라이드블록(81)과,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8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송유닛(70)에 의해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된 봉투(1)의 전면에 흡착되는 제3 흡착헤드(83)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81)은 상기 상판(21a)의 상면에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3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3 흡착헤드(83)는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81)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도시 안된 진공펌프(23)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흡착헤드(75)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유닛(70)에 고정된 봉투(1)가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3 흡착헤드(83)가 상기 봉투(1)의 전면에 흡착고정되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81)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봉투(1)의 전면이 전방으로 당겨져 봉투(1) 상측의 입구가 열리게 되며, 상기 정량공급수단(C)을 작동시키면 상기 봉투(1)의 내부로 음식물이 공급된다.
상기 융착유닛(90)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6 실린더기구(92)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슬라이드블록(9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좌측단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91)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가압바(93,94)와,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실린더(95)와, 상기 제1 가압바(93)와 제2 가압바(94)의 인접면에 구비된 히터(96)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91)은 상하방향의 길이가 상기 봉투(1)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판(21a)의 상면에 상기 공급관(22)의 선단부 좌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4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는 측방향의 길이가 상기 봉투(1)의 측방향 길이에 비해 길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2 흡첵헤드(75)와 제3 흡착헤드(83)에 비해 높은 위치,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투(1)의 상단에 근접되도록 위치된다.
상기 전후진실린더(95)는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91)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에 연결되는 로드리스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히터(96)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을 하는 전기히터(96)를 이용하는 것으로, 측방향 길이가 상기 봉투(1)의 측방향의 길이에 비해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의 인접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이송유닛(70)과 고정유닛(80)에 의해 고정된 봉투(1)에 정해진 양의 음식물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96)에 전원이 인가되어 히터(96)가 발열되는 상태에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를 인접방향으로 전후진시키면, 상기 히터(96)가 봉투(1)의 상단을 인접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가열하여 봉투(1)의 상단을 융착시켜 밀봉한다.
그리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91)을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밀봉된 봉투(1)가 좌측으로 이동되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를 이격시키면, 상기 봉투(1)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배출실린더(100)는 도 14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융착수단(90)에 의해 봉투(1)가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위치의 전방에 구비되어 신장시 상기 봉투(1)를 후방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지지테이블(21)의 후방에는 후방으로 하향경사진 배출가이드(101)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실린더(10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봉투(1)는 배출가이드(101)를 따라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 제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적절한 양의 봉투(1)를 공급하면, 상기 가압유닛(40)에 의해 봉투(1)가 지지가이드(30)의 전방으로 밀착되도록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기(A)에 음식물이 공급되어 교반되면,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유닛(40)의 제동유닛(41d)과 전후진구동수단(41h)을 제어하여, 상기 봉투(1)가 작은 힘으로 가압되도록 한 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송유닛(60)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를 측방향으로 이송한다.
한편, 상기 제동유닛(41d)과 전후진구동수단(41h)을 제어하여 봉투(1)가 작은 힘으로 가압될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개방유닛(50)을 제어하여 봉투(1) 상단의 입구부분이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유닛(70)을 제어하여 봉투(1)를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하고, 상기 고정유닛(80)을 제어하여 봉투(1) 상단의 입구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봉투(1)는 하측면이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정량공급수단(B)을 제어하여, 상기 봉투(1)의 내부로 정해진 양의 음식물이 공급되도록 한 후,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융착유닛(90)을 이용하여 봉투(1)의 상단을 밀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E)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유닛(70)과 고정유닛(8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고, 융착유닛(90)을 좌측으로 슬라이드시켜 밀봉된 봉투(1)를 상기 배출실린더(100)쪽으로 이동시키고,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착유닛(90)의 제1 및 제2 가압바(93,94)를 이격시켜 봉투(1)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배출실린더(100)를 작동시켜 봉투(1)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반복적으로 봉투(1)에 음식물을 공급한 후 밀봉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 제조장치는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교반기(A)와,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어 교반기(A)에 저장된 정량공급수단(B)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을 통해 공급된 음식물을 합성수지재질의 봉투(1)에 담은 후 상기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는 포장수단(D)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과 포장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이 구비되어, 교반기에 저장된 음식물을 자동으로 봉투(1)에 공급한 후, 밀봉하여 배출함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음식물이 오염에 노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뜨거운 음식물에 의해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교반기 B. 정량공급수단
D. 포장수단 E. 제어수단

Claims (4)

  1. 내부에 음식물이 저장되는 교반기(A)와,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어 교반기(A)에 저장된 정량공급수단(B)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을 통해 공급된 음식물을 합성수지재질의 봉투(1)에 담은 후 상기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는 포장수단(D)과,
    상기 정량공급수단(B)과 포장수단(D)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E)을 포함하고,
    상기 정량공급수단(B)은
    교반기(A)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한 봉투(1)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지테이블(21)과,
    상기 교반기(A)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측으로 연장된 공급관(22)과,
    상기 공급관(22)에 구비된 펌프(23)와,
    공급관(22)에 구비되어 공급관(22)을 통과하는 음식물의 양을 측정하는 유량계(24)와,
    상기 공급관(22)의 단부에 구비된 전자식제어밸브(25)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수단(D)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봉투(1)가 상호 전후망향으로 정렬되도록 구비되며 전면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개구부(34)가 형성되고 일측 전단부에는 상기 봉투(1)가 배출되는 배출구(35)가 형성된 지지가이드(30)와,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40)과,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중에서 가장 전방의 봉투(1)를 흡착하여 상기 배출구(35)를 통해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유닛(60)과,
    상기 제1 이송유닛(60)의 일측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이송유닛(60)에 의해 이송된 봉투(1)를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유닛(70)과,
    상기 공급관(22)의 하측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이송유닛(70)에 의해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된 봉투(1)의 전면을 전방으로 당겨 봉투(1)의 상단을 개방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유닛(80)과,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측방향슬라이드 구동수단에 의해 측방향으로 위치조절되며 내부에 음식물이 공급된 봉투(1)의 상단 전후면을 가압하여 봉투(1)의 상단을 밀봉하여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융착유닛(90)과,
    상기 융착유닛(9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된 봉투(1)를 밀어 지지테이블(21)의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실린더(100)를 포함하되,
    상기 봉투(1)는 상면이 개방된 합성수지재질의 사각형 봉투(1)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전후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포장수단(D)은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 상단의 입구부분을 개방하는 개방유닛(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유닛(50)은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관(51)과,
    상기 지지관(51)의 내부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분사관(52)과,
    상기 분사관(52)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관(52)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51)은 내경이 상기 분사관(52)의 외경에 비해 크게 구성되고,
    분사관(52)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지지관(51)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급기수단(53)을 이용하여 분사관(52)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분사관(52)의 하단이 지지관(51)의 내부에서 불규칙하게 유동되어 공기가 불규칙한 방향으로 상기 봉투(1)의 상측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 상단의 입구부분이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30)의 내부 바닥면과 지지테이블(21)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36)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유닛(40)은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장공(36)을 통해 지지테이블(21)의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바(41a)가 구비된 가압부재(41)와,
    상기 장공(36)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하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로울러(42)와,
    상기 연장바(41a)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로울러(42)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케이블(43)과,
    상기 연장케이블(43)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41)를 전방으로 당기는 무게추(44)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41)는 상기 지지가이드(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연장바(41a)가 구비된 슬라이드블록(41b)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b)에 구비되어 슬라이드블록(41b)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유닛(41d)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b)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후진구동수단(41h)에 의해 전후방향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판(41g)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E)은 상기 가압판(41g)이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1h)에 의해 전방으로 전진되어 상기 봉투(1)에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송유닛(60)을 이용하여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를 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전에, 상기 제동유닛(41d)을 구동시켜 슬라이드블록(41b)을 고정하고 상기 전후진구동수단(41h)을 제어하여 가압판(41g)이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상기 가압판(41g)이 상기 지지가이드(30)에 올려진 봉투(1)의 후측면에서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유닛(60)은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실린더기구(62)에 의해 상기 지지가이드(30)의 전방에서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과,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2 실린더기구(6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상부슬라이드블록(63)과,
    상기 제1 상부슬라이드블록(63)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가이드(30)의 개구부(34)를 통해 지지가이드(30)에 구비된 봉투(1) 중에서 가장 전방에 구비된 봉투(1)의 전측면에 흡착되는 제1 흡착헤드(6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유닛(70)은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상기 제1 하부슬라이드블록(61)의 측방향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제3 실린더기구(72)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하부슬라이드블록(71)과,
    상기 제2 하부슬라이드블록(71)의 상면에 구비되어 제4 실린더기구(7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상부슬라이드블록(73)과,
    상기 제2 상부슬라이드블록(73)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이송유닛(60)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송된 봉투(1)의 후측면에 흡착되는 제2 흡착헤드(7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80)은
    상기 공급관(22)의 하측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5 실린더기구(8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1 슬라이드블록(81)과,
    상기 제1 슬라이드블록(8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송유닛(70)에 의해 상기 공급관(22)의 하측으로 이송된 봉투(1)의 전면에 흡착되는 제3 흡착헤드(83)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유닛(90)은
    상기 지지테이블(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6 실린더기구(92)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제2 슬라이드블록(91)과,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 슬라이드블록(91)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가압바(93,94)와,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압바(93,94)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전후진실린더(95)와,
    상기 제1 가압바(93)와 제2 가압바(94)의 인접면에 구비된 히터(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제조장치.
KR1020190158993A 2019-12-03 2019-12-03 음식물 제조장치 KR10209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93A KR102098754B1 (ko) 2019-12-03 2019-12-03 음식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93A KR102098754B1 (ko) 2019-12-03 2019-12-03 음식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754B1 true KR102098754B1 (ko) 2020-04-08

Family

ID=7027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993A KR102098754B1 (ko) 2019-12-03 2019-12-03 음식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7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07B1 (ko) * 2022-06-27 2022-11-03 조휘도 포장기용 소스 충진 장치
KR102506214B1 (ko) * 2022-08-11 2023-03-06 홈앤쿡푸드 주식회사 소스 포장 장치
CN117302613A (zh) * 2023-11-28 2023-12-29 贵州省现代农业发展研究所(贵州省现代农村发展研究中心、贵州省农村经济与社会发展科学研究所、贵州省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植物油脂定量充氮包装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807B1 (ko) 2011-04-05 2012-10-12 주식회사 맛기신정 소스 제조 장치
KR101290571B1 (ko) * 2012-03-16 2013-07-31 방창학 직렬 순차 이송 방식의 신속 자동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807B1 (ko) 2011-04-05 2012-10-12 주식회사 맛기신정 소스 제조 장치
KR101290571B1 (ko) * 2012-03-16 2013-07-31 방창학 직렬 순차 이송 방식의 신속 자동포장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507B1 (ko) * 2022-06-27 2022-11-03 조휘도 포장기용 소스 충진 장치
KR102506214B1 (ko) * 2022-08-11 2023-03-06 홈앤쿡푸드 주식회사 소스 포장 장치
CN117302613A (zh) * 2023-11-28 2023-12-29 贵州省现代农业发展研究所(贵州省现代农村发展研究中心、贵州省农村经济与社会发展科学研究所、贵州省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植物油脂定量充氮包装设备
CN117302613B (zh) * 2023-11-28 2024-01-26 贵州省现代农业发展研究所(贵州省现代农村发展研究中心、贵州省农村经济与社会发展科学研究所、贵州省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植物油脂定量充氮包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754B1 (ko) 음식물 제조장치
CN110431104B (zh) 用于粘性物料的清空装置以及相关方法
JP6626364B2 (ja) 固体粒子を含有する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吐出方法並びに塗布装置
KR102004249B1 (ko) 기포 제거와 형성 방지를 위한 액체 시린지 충진기
CN106865465B (zh) 一种全自动瓶装灌装机
KR101847843B1 (ko) 유압식 액체충진장치
JP2010083585A (ja) フォイル・バッグに食品を充填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3864891A (en) Meat packaging and pr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74873B1 (ko) 유리성형기의 금형 진공화장치
KR101633597B1 (ko) 가이드 롤러를 구비한 x축 및 y축 이동식 고무시트 자동 적재 장치
KR102098763B1 (ko) 음식물 제조장치
US3937139A (en) Compressing refuse
EP2644519B1 (en) A fitment indexer for a pouch filler
WO2005035232A1 (en) Platen press
EP2733086A1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bodies of cork agglomerate, in particular stoppers to be used in the oenological field
JPH09501891A (ja) 機械的なガスフラッシュ装置
KR101339298B1 (ko) 밴드 실링장치
US5328347A (en) Device for introducing a plastic material into a mould cavity
JPS5934338B2 (ja) 塊成型に食品材料を詰める方法および機構
KR102506214B1 (ko) 소스 포장 장치
US3574271A (en) Apparatus for sealing a valve opening
JP2500589Y2 (ja) 粘稠材料の自動充填装置
KR20030070705A (ko) 식료품 비닐팩 자동포장기 및 이에 사용되는 비닐 팩 고정구
CN109335039A (zh) 方便维护的封膜式颗粒料装盒机
CN210364613U (zh) 一种方便使用的上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