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807B1 - 소스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소스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807B1
KR101190807B1 KR1020110031205A KR20110031205A KR101190807B1 KR 101190807 B1 KR101190807 B1 KR 101190807B1 KR 1020110031205 A KR1020110031205 A KR 1020110031205A KR 20110031205 A KR20110031205 A KR 20110031205A KR 101190807 B1 KR101190807 B1 KR 10119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stirring tank
sauce
cooling water
flow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호
손형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맛기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맛기신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맛기신정
Priority to KR102011003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상과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프로펠러에 의하여 교반하여 소스를 제조하도록 하는 교반탱크; 상기 교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교반탱크 내의 소스를 토출시키는 새니터리 펌프; 상기 새니터리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된 소스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상기 필터와 연결되어 소스의 유량을 체크하는 마그네틱 유량센서;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에 의해 체크된 유량에 의해 소스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볼 밸브;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를 통과한 소스의 이동 경로상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와 상기 새니터리 펌프에 신호를 보내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와 상기 새니터리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근접센서; 를 포함하는 소스 제조 장치를 제공하여,
새니터리 펌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소스의 양을 마그네틱 유량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동일한 양만큼 포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필터에 의해 한 번에 이중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스 제조 장치{SAUC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반탱크 내에 액상과 분말을 혼합하여 소스를 제조한 후 마그네틱 유량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소스를 토출하여 일정량의 소스를 포장할 수 있는 소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의 재료로 쓰이는 고추장이나 양념장 등과 같은 소스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고추분 등과 같은 분말을 분쇄시킨 후 투입함과 동시에 액젓이나 물 등과 같은 액상의 원료를 혼합하여 균질화시킨 후에 원하는 중량을 균질한 품질의 소스로 포장하여 판매하였다.
소스를 제조하는 공정은 사람의 손을 많이 필요로 하는 공정으로 대부분은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피로가 쉽게 누적되는 문제가 있었고, 균일한 양을 포장하기 위하여는 작업자의 세밀한 작업이 요구되었다. 종래에는 균일한 양을 포장하기 위하여 무게 센서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소스의 중량을 측정하여 기설정된 양이 되면 소스의 이송을 중단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는 기설정된 양이 된 후에 이송을 중단하게 되어 정확한 양의 계측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직접 대부분의 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위생상의 문제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 설비를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이를 위해서는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어 자금력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쉽지 않았다.
결국, 종래에는 많은 작업을 사람이 직접 하다보니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급되는 소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공급되는 소스의 양을 정확히 측정한 후에 공급되는 소스를 차단함으로써 일정량의 소스를 포장하는 것이 가능한 소스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상과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프로펠러에 의하여 교반하여 소스를 제조하도록 하는 교반탱크; 상기 교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교반탱크 내의 소스를 토출시키는 새니터리 펌프; 상기 새니터리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된 소스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상기 필터와 연결되어 소스의 유량을 체크하는 마그네틱 유량센서;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에 의해 체크된 유량에 의해 소스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볼 밸브;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를 통과한 소스의 이동 경로상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와 상기 새니터리 펌프에 신호를 보내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와 상기 새니터리 펌프와 볼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근접센서; 를 포함하는 소스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는 입구측으로부터 내경이 점점 확대되는 커버와, 일단이 상기 커버와 결합되며 원통형의 몸통을 가지며 타단은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통 내에 삽입되어 이물을 걸러낼 수 있는 그물 형상의 메시와 상기 메시의 내부에 이격형성되면서 상기 메시를 통과한 소스 중의 금속 성분을 걸러내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입구단은 상기 새니터리 펌프와 연결되는 펌프 배관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몸체 끝단의 직경은 상기 볼 밸브와 연결되는 배출관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탱크는 그 내부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축이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축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펠러는 탈부착에 의해 위치를 가변시켜 혼합물의 양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몸체의 사이에는 실리콘 부재가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교반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스팀기와, 상기 교반탱크의 또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각수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탱크의 내벽과 격벽 사이에 스팀 또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순환되도록 하는 자켓이 형성되며,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에는 냉각수의 순환에 의해 냉각수 저장탱크 내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칠러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과 냉각수는 자동전환밸브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새니터리 펌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소스의 양을 마그네틱 유량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동일한 양만큼 포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필터에 의해 한 번에 이중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제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과 냉각수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유량센서가 배출관에 사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제조 장치의 단면도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제조 장치는 액상과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교반하기 위한 원통형의 교반탱크(10)와, 상기 교반탱크(10)의 하단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반탱크(10)로부터 분기되는 토출관(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소스를 펌프 배관(32)을 통하여 필터(40)에 공급하는 새니터리 펌프(30)(sanitary pump)와, 상기 새니터리 펌프(30)로부터 공급받은 소스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40)와, 상기 필터(40)와 연결되고 그 내부에 유량을 체크하는 마그네틱 유량센서(52)가 내장되어 있어 유량을 제어하는 볼 밸브(60)와, 상기 볼 밸브(60)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시 소스의 이동 경로상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새니터리 펌프(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근접센서(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교반탱크(10)는 상측이 일부 개구된 원통형이고 그 하단은 아랫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통으로, 그 내부의 중앙에는 일단은 교반탱크(10)의 덮개(13)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축(12)과, 상기 축(12)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14,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로펠러(14,15) 중 적어도 하나는 하부 프로펠러(15)로서 상기 교반탱크(10)의 밑바닥에 소스가 고이지 않도록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중앙 부분에는 상부 프로펠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로펠러의 개수는 당업자가 작업환경에 따라 필요한 만큼 사용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소스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바닥부분에서 하부 프로펠러(15)가 작동되고, 상하 방향으로 가운데 정도에 상부 프로펠러(14)가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프로펠러를 더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소스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소스를 교반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낮은 부분에 프로펠러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교반탱크(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소스의 양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프로펠러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면 항상 적은 양의 소스만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부 프로펠러(15)는 공회전을 하게 되어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소스를 제대로 혼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스의 양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14,15)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특히, 상부 프로펠러(15)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 때, 상기 프로펠러(14,15)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축(12)을 고정시킨 채 상기 프로펠러(14,15)가 상기 축(12)에 밀착 고정되도록 나사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즉, 축(12)상에 소스의 양에 따라 기설정된 높이에 프로펠러(14,15)를 부착하여 소스의 양에 따라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교반탱크(10)의 하단에는 소스가 토출되는 토출관(20)이 형성되어 상기 새니터리 펌프(30)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제조 장치에서의 펌프는 일반적인 펌프의 기능만 있으면 사용가능하나 위생상의 이유로 새니터리 펌프(30)(sanitary pump)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새니터리 펌프(30)를 사용함으로써 소스를 위생적으로 이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시 외부로부터의 세균이나 위험물로부터 소스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내부식성이 뛰어나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새니터리 펌프(30)에 의해 이송되는 소스는 펌프 배관(32)을 통해 필터(40)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40)는 소스 내의 이물질 즉, 불순물이나 미세한 금속성분 등을 걸러내는데, 메시(48)와 마그네트(46)를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단일의 필터(40)로 작동하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4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실시예에 따른 필터(4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40)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40)는 1차적으로 그물 형상으로 되어 불순물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메시(48)와, 상기 메시(48)에 내장되면서 상기 메시(48)를 통과한 소스의 미세 금속 성분을 자력에 의해 걸러내는 마그네트(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필터(40)는 펌프 배관(32)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에서 하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확대되는 커버(42)와, 상기 커버(42)와 그 일단이 결합하며 원통형의 몸통(44a)과 타단은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하단부(44b)를 포함하는 몸체(44) 및 상기 몸통(44a) 내에 삽입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그물 형상의 메시(4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46)는 상단부가 원뿔 형상의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어 소스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그네트(46)의 하단에는 하나 이상의 기저부(4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그네트(46)가 넘어지지 않도록 받치고 있으며, 상기 메시(48)의 일측 끝단에는 테두리(49)가 형성되어 있는데, 내부를 향하여 복수의 돌기 형상의 고정부(49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그네트(46)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시(48)의 끝단 외주연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띠 형상의 원형의 안착부(49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메시(48)가 상기 몸체(44)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커버(42)와 하단부(44b)에는 연결구(42a, 42b)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각각 펌프 배관(32)과 배출관(50)과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메시(48)는 필요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는데, 소스가 교반탱크(10)로부터 새니터리 펌프(30)로 유입되는 경우 1차적으로 원통형의 그물망의 형상인 메시(48)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상기 메시(48)를 통과한 혼합물은 그 후에 마그네트(46)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금속성분이 마그네트(46)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48)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상기 메시(48)를 통과한 이물질 중 금속 이물질은 마그네트(46)의 자력에 의해 흡착되어 걸러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40)는 메시(48)와 마그네트(46)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증진시켰다.
상기 필터(40)를 통과한 소스는 마그네틱 유량센서(52)에 의해 유량이 측정되면서 필요한 양만큼만 이송시켜 일정한 양의 소스를 포장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볼 밸브(60)와 볼 밸브(60)의 내부에 장착되는 마그네틱 유량센서(52)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52)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52)를 통과한 소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설정된 양이 통과하게 되면 볼 밸브(60)가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볼 밸브(60)가 작동하여 소스의 이송을 차단함과 동시에 새니터리 펌프(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만약, 상기 새니터리 펌프(30)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는다면 상기 볼 밸브(60)와 상기 새니터리 펌프(30) 사이의 배관에는 과부하가 걸려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52)는 소스가 통과하는 관로 양단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통과하는 내용물의 양을 펄스값으로 읽어 이를 통과하는 양으로 환산시켜 터치스크린(미도시)에 숫자로 표시한다. 이 값은 면적값으로 표시된다.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52)의 작동원리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유량센서(52)가 배출관(50)에 사용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절개사시도인데, 상기 배출관(52)을 통과하는 소스의 속도(V)와 인가된 자기장(B)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54)에 의해 단위 시간당 단면적을 통과하는 소스의 단면적을 마그네틱 유량센서(52)에 의해 측정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52)에 의해 측정된 단면적에 소스의 이송 속도(V)를 곱하면 소스의 이송량이 측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미리 소스의 이송량을 계산할 수 있어 정확한 시점에서 소스의 이동을 차단시킬 수가 있어 일정한 양의 소스를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근접센서(70)는 배출관(50)으로부터 배출되는 소스의 이동 경로상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어 마그네틱 유량센서(52)와 새니터리 펌프(30)를 작동시킨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2)와 몸체(44)의 사이에는 실리콘 부재(41)가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 부재(41)의 외측은 상기 커버(42)와 몸체(44)를 클램프(43)로 단단히 고정시켜 더욱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과 냉각수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인데, 상기 교반탱크(10)의 일측에는 상기 교반탱크(10)에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소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스팀기(80)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탱크(10)의 또 다른 일측에는 상기 교반탱크(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저장탱크(9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90)에는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인출하고 냉각된 냉각수를 재공급하여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90) 내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칠러(96)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에는 소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9)가 교반탱크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스팀 또는 냉각수를 공급해야 하는 타이밍(timing)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스 제조 장치에 대한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소스를 제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액상과 분말을 혼합하고 상기 온도센서(19)에 의해 측정된 고온(60~110℃)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팀기(80)에서 스팀 공급라인(8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10)의 내벽(18)과 격벽(16)의 사이에 형성된 자켓(17)에 스팀(steam)을 유입시켜 상기 교반탱크(10)를 가열시킨다. 상기 스팀을 공급한 상태에서 프로펠러(14,15)를 작동시켜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끓여 소스를 제조한다.
상기 공급된 스팀은 교반탱크(10)의 내벽과 격벽(16) 사이의 스팀 자켓(17)에서 응축되고 이는 다시 스팀 배출라인(82)를 통해 외부로 응축수와 스팀(steam)으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프로펠러(14,15) 중 하부 프로펠러(15)는 교반탱크(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 프로펠러(14)는 소스의 혼합물이 잘 교반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어 소스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소스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채로 끓이면서 교반하고 정해진 교반시간이 경과된 후에 소스를 포장 적정온도(40℃~50℃)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스팀(steam)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90)에 있는 냉각수가 물 펌프(94)의 작동에 의하여 냉각수 공급라인(91)을 통해 상기 교반탱크(10)의 자켓(17)의 내부에 유입시켜 상기 교반탱크(10)를 냉각시킨다.
이 때, 교반탱크(10)의 자켓(17)으로 유입되는 스팀(steam)은 자동전환밸브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되며, 이는 온도센서(19)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냉각수는 교반탱크(10)의 자켓(167)을 순환하면서 다소 온도가 상승되며 상승된 냉각수는 다시 냉각수 배출라인(92)를 통하여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90)로 유입된다.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90)의 물의 온도는 냉각을 위한 적정수온(4℃)을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수 저장탱크(90)와 칠러(96) 사이에 별도의 배관을 통해 순환시켜 강제 냉각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자켓(17)이 스팀과 냉각수 모두의 출입공간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교반탱크(10)에 스팀과 냉각수가 개별적으로 유동하는 스팀 자켓과 냉각수 자켓을 각각 구비하여 스팀과 냉각수가 출입되는 공간을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소스의 온도가 토출온도(40~50℃) 정도가 되면 상기 소스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작업자는 터치스크린에 있는 버튼을 조작하여 수량을 설정한다. 작업자는 소스를 포장할 포장용기(미도시)를 포장테이블(77)위 배출관(50) 끝단에 벌려 소스를 받을 준비를 하고, 동시에 근접센서(70) 근처에 신체의 일부를 접근시켜 근접센서(70)를 작동시켜 새니터리 펌프(30)와 볼 밸브(60)을 작동시킨다. 상기 소스가 교반탱크(10)로부터 배출되어 새니터리 펌프(30)에 의해 필터(40)로 이송되어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물질이 제거된 소스는 마그네틱 유량센서(52)에 의해 유량이 계측되어 기설정된 양만큼 이송되면 볼 밸브(60)와 새니터리 펌프(30)에 신호가 전송되어 상기 볼 밸브(60)가 차단됨과 동시에 새니터리 펌프(30)의 작동이 중지된다. 일정량의 소스가 이송되면 받침대(76) 위의 포장테이블(77)에서 일정한 양의 소스를 담은 후 밀봉하여 포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의 무게 센서에 의해 계측하던 불균일한 소스의 양을 정확한 양만큼만 운반하여 포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탱크(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가 하나 이상의 토출관(20)으로 분기되어 복수의 새니터리 펌프(30)에 공급될 수도 있다.
10: 교반탱크 11: 모터
12: 축 13: 덮개
14: 상부 프로펠러 15: 하부 프로펠러
16: 격벽 17: 자켓
18: 내벽 19: 온도센서
20: 토출관 30: 새니터리 펌프
32: 펌프 배관 40: 필터
41: 실리콘 부재 42: 커버
42a, 42b: 연결구 43: 클램프
44: 몸체 44a: 몸통
44b: 하단부 45: 돌출부
46: 마그네트 47: 기저부
48: 메시 49: 테두리
49a: 고정부 49b: 안착부
50: 배출관 52: 마그네틱 유량센서
54: 자기력선 60: 볼 밸브
70: 근접센서 76: 받침대
77: 포장테이블 80: 스팀기
81: 스팀 공급라인 82: 스팀 배출라인
90: 냉각수 저장탱크 91: 냉각수 공급라인
92: 냉각수 배출라인 94: 물 펌프
96: 칠러(chiller)

Claims (11)

  1. 액상과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프로펠러에 의하여 교반하여 소스를 제조하도록 하는 교반탱크;
    상기 교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교반탱크 내의 소스를 토출시키는 새니터리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된 소스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상기 필터와 연결되어 소스의 유량을 체크하는 마그네틱 유량센서;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에 의해 체크된 유량에 의해 소스의 이송량을 제어하는 볼 밸브;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를 통과한 소스의 이동 경로상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와 상기 새니터리 펌프에 신호를 보내 상기 마그네틱 유량센서와 상기 새니터리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근접센서;
    를 포함하는 소스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입구측으로부터 내경이 점점 확대되는 커버와, 일단이 상기 커버와 결합되며 원통형의 몸통을 가지며 타단은 내경이 점점 감소하는 하단부를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통 내에 삽입되어 이물을 걸러낼 수 있는 그물 형상의 메시와 상기 메시의 내부에 이격 형성되면서 상기 메시를 통과한 소스 중의 금속 성분을 걸러내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소스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입구단은 상기 새니터리 펌프와 연결되는 펌프 배관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몸체 끝단의 직경은 상기 볼 밸브와 연결되는 배출관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탱크는 그 내부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축이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축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가 부착되어 있는 소스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는 탈부착에 의해 위치를 가변시켜 혼합물의 양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소스 제조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축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제조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몸체의 사이에는 실리콘 부재가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소스 제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스팀기와, 상기 교반탱크의 또 다른 일측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의 온도를 하강시키는 냉각수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소스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탱크의 내벽과 격벽 사이에 스팀 또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순환되는 자켓이 형성된 소스 제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저장탱크에는 냉각수의 순환에 의해 냉각수 저장탱크 내의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칠러가 연결되는 소스 제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과 냉각수는 자동전환밸브에 의해서 제어되는 소스 제조 장치.
KR1020110031205A 2011-04-05 2011-04-05 소스 제조 장치 KR10119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05A KR101190807B1 (ko) 2011-04-05 2011-04-05 소스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205A KR101190807B1 (ko) 2011-04-05 2011-04-05 소스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807B1 true KR101190807B1 (ko) 2012-10-12

Family

ID=4728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205A KR101190807B1 (ko) 2011-04-05 2011-04-05 소스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0807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8977A (zh) * 2014-01-23 2014-05-07 朱其安 一种基料生产方法及基料机
KR101891970B1 (ko) * 2018-04-19 2018-09-28 송규재 정립기를 이용한 소스 제조방법
KR101891969B1 (ko) * 2018-04-19 2018-09-28 송규재 이물제거장치를 이용한 후배합 소스 제조방법
CN109289590A (zh) * 2018-11-08 2019-02-01 安徽家思特涂料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施工用粉刷涂料搅拌装置
KR101999149B1 (ko) 2018-12-07 2019-07-11 최인수 양념소스 자동 포장장치
KR101999151B1 (ko) 2018-12-07 2019-07-12 최인수 양념소스 자동 포장 시스템
KR102016888B1 (ko) * 2019-07-30 2019-10-23 이광희 소스 제조 장치
CN110394228A (zh) * 2019-08-21 2019-11-01 广东傲迪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酱料搅拌粉碎一体机
CN110449068A (zh) * 2019-08-15 2019-11-15 武汉长江科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灌浆搅拌系统
KR102047104B1 (ko) 2019-11-01 2019-11-20 김정택 양념 자동 포장장치
KR102047103B1 (ko) 2019-05-23 2019-11-20 김정택 양념 포장장치
KR102047632B1 (ko) * 2019-07-25 2019-12-04 박종천 위생과 품질 유지 및 저장성을 향상시킨 치킨 양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098763B1 (ko) 2019-12-03 2020-04-08 안수호 음식물 제조장치
KR102098754B1 (ko) 2019-12-03 2020-04-08 안성희 음식물 제조장치
KR102172412B1 (ko) * 2020-01-08 2020-11-02 정진호 간장소스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교반 장치
KR102181066B1 (ko) * 2020-01-08 2020-11-19 정진호 복수의 양념 소스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교반 장치
KR102183014B1 (ko) * 2020-01-08 2020-11-25 정진호 체다마요 소스 제조 방법
KR102185936B1 (ko) * 2020-09-07 2020-12-02 최동조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37734B1 (ko) 2022-06-08 2022-08-30 루에랑 주식회사 소스 개발 시스템
KR102461580B1 (ko) * 2022-06-20 2022-10-31 손영하 소스 교반 장치
KR102649822B1 (ko) 2023-08-25 2024-03-20 박상기 소스 제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997A (ja) 2001-05-18 2002-11-27 Kazumasa Ikuta 具入りスープ類の小分け装置
JP2005245330A (ja) 2004-03-04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スープ製造装置
KR100830543B1 (ko) 2007-04-24 2008-05-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육수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미글라스소스 제조방법
KR100891143B1 (ko) 2009-01-13 2009-04-03 (주)디에스알푸드 닭고기용 숙성 소스의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997A (ja) 2001-05-18 2002-11-27 Kazumasa Ikuta 具入りスープ類の小分け装置
JP2005245330A (ja) 2004-03-04 2005-09-15 Sanyo Electric Co Ltd スープ製造装置
KR100830543B1 (ko) 2007-04-24 2008-05-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육수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미글라스소스 제조방법
KR100891143B1 (ko) 2009-01-13 2009-04-03 (주)디에스알푸드 닭고기용 숙성 소스의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8977A (zh) * 2014-01-23 2014-05-07 朱其安 一种基料生产方法及基料机
KR101891970B1 (ko) * 2018-04-19 2018-09-28 송규재 정립기를 이용한 소스 제조방법
KR101891969B1 (ko) * 2018-04-19 2018-09-28 송규재 이물제거장치를 이용한 후배합 소스 제조방법
CN109289590A (zh) * 2018-11-08 2019-02-01 安徽家思特涂料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施工用粉刷涂料搅拌装置
KR101999149B1 (ko) 2018-12-07 2019-07-11 최인수 양념소스 자동 포장장치
KR101999151B1 (ko) 2018-12-07 2019-07-12 최인수 양념소스 자동 포장 시스템
KR102047103B1 (ko) 2019-05-23 2019-11-20 김정택 양념 포장장치
KR102047632B1 (ko) * 2019-07-25 2019-12-04 박종천 위생과 품질 유지 및 저장성을 향상시킨 치킨 양념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016888B1 (ko) * 2019-07-30 2019-10-23 이광희 소스 제조 장치
CN110449068A (zh) * 2019-08-15 2019-11-15 武汉长江科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灌浆搅拌系统
CN110394228A (zh) * 2019-08-21 2019-11-01 广东傲迪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酱料搅拌粉碎一体机
KR102047104B1 (ko) 2019-11-01 2019-11-20 김정택 양념 자동 포장장치
KR102098754B1 (ko) 2019-12-03 2020-04-08 안성희 음식물 제조장치
KR102098763B1 (ko) 2019-12-03 2020-04-08 안수호 음식물 제조장치
KR102172412B1 (ko) * 2020-01-08 2020-11-02 정진호 간장소스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교반 장치
KR102181066B1 (ko) * 2020-01-08 2020-11-19 정진호 복수의 양념 소스 제조 방법, 시스템 및 교반 장치
KR102183014B1 (ko) * 2020-01-08 2020-11-25 정진호 체다마요 소스 제조 방법
KR102185936B1 (ko) * 2020-09-07 2020-12-02 최동조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37734B1 (ko) 2022-06-08 2022-08-30 루에랑 주식회사 소스 개발 시스템
KR102461580B1 (ko) * 2022-06-20 2022-10-31 손영하 소스 교반 장치
KR102473080B1 (ko) * 2022-06-20 2022-11-30 손영하 교반효율이 향상된 소스 교반기
KR102649822B1 (ko) 2023-08-25 2024-03-20 박상기 소스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807B1 (ko) 소스 제조 장치
US9022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ingredients for a baby bottle
US9968222B2 (en) Fluid communication of a blender system
CN105979789B (zh) 食品单剂量制备和分配的设备及方法和相关单剂量单元
ES2373800T3 (es) Máquina y método para producir y distribuir productos alimenticios líquidos o semilíquidos.
KR102520843B1 (ko) 유아식 준비 디바이스
HU209987B (en) Device for mixing and homogenizating bulk materials, favourably flour and similars
CN104799697B (zh) 即热式自动配奶机
CN206252428U (zh) 定量装置及烹饪器具
CN206526770U (zh) 一种临床药学配药装置
CN101797120A (zh) 全自动多功能饮品机
US6938435B2 (en) Method for cooling meals and stirring device embodied as heat exchanger
CN110589520A (zh) 一种落料装置
US20230083963A1 (en) Portable preparation assembly and method to prepare liquid cosmetic/cleanser products
CN105768883B (zh) 一种冲奶机
JP2015157252A (ja) 混合物生成装置
CN208583230U (zh) 一种新型多功能乳制品加工搅拌装置
CN206986166U (zh) 一种中药饮片生产用发酵罐
CN206762741U (zh) 盘管式配液罐
KR20190001762A (ko) 양념 자동 공급장치
CN208161435U (zh) 一种带有消泡装置的药品配制罐
CN207722712U (zh) 一种医疗用药液混合装置
CN207025358U (zh) 防飞溅冷却用实验烧杯
CN107960922A (zh) 定量装置及烹饪器具
CN208066188U (zh) 一种澄清剂用的复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