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936B1 -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936B1
KR102185936B1 KR1020200114154A KR20200114154A KR102185936B1 KR 102185936 B1 KR102185936 B1 KR 102185936B1 KR 1020200114154 A KR1020200114154 A KR 1020200114154A KR 20200114154 A KR20200114154 A KR 20200114154A KR 102185936 B1 KR102185936 B1 KR 10218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ust
discharge
season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조
Original Assignee
최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조 filed Critical 최동조
Priority to KR102020011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7/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18Controlling escape of air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3/28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215/00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으로서, 양념장이 균일한 조성이 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교반이 완료된 상기 양념장을 포장재에 투입하는 양념장 투입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OF MARINADE}
본 발명은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면은 옛 선조 때부터 즐겨먹던 한국의 전통 음식으로서 물냉면과 비빔냉면 등의 형태로 나뉜다.
비빔 냉면은 찬물에 헹군 삶은 사리 위에 오이, 무, 배, 편육, 삶은 달걀 및 양념장 등을 얹어낸 것이고, 물냉 면은 찬물에 헹군 삶은 사리에 오이, 무, 삶은 달걀, 배, 편육 등을 고명으로 얹은 후 차게 식힌 쇠고기 육수를 부어 낸 것이다.
냉면은 면발도 중요하지만, 양념장이나 쇠고기 육수가 사람들의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양한 냉면 용 양념장과 육수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시대가 발전하고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웰빙 음식과 같은 건강에 유익한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 최근에는 냉면 고유의 맛을 유지하면서도 건강에도 유익한 냉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5877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량의 양념장을 제조할 수 있는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는, 양념장이 균일한 조성이 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교반이 완료된 상기 양념장을 포장재에 투입하는 양념장 투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는, 상기 양념장이 투입된 상기 포장재의 상단을 열선에 의해 녹여 포장을 마감하는 포장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교반부는, 상기 양념장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수용 가능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T’모양으로 형성되어 가로 기둥의 양단은 상기 본체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세로 기둥은 상기 가로 기둥과 맞닿아 상기 본체의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 기둥 및 세로 기둥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타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 상단 기둥은 일단이 상기 회전체와 맞닿아 있으며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본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뻗어 타단이 상기 본체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하단 기둥은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가장 낮은 부분과 맞닿아 있으며 상기 회전체와 맞닿아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1 상단 기둥의 본체 방향의 일직선으로 뻗어 상기 본체와 맞닿아 있는 일단까지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상단 기둥의 타단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교반날; 상기 회전체의 일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2 상단 기둥은 타단이 상기 회전체와 맞닿아 있으며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본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뻗어 일단이 상기 본체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하단 기둥은 타단이 상기 회전체의 가장 낮은 부분과 맞닿아 있으며 상기 회전체와 맞닿아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2 상단 기둥의 본체 방향의 일직선으로 뻗어 상기 본체와 맞닿아 있는 일단까지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상단 기둥의 일단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교반날; 상기 본체에서 교반이 완료된 양념장을 배출 가능하도록 오픈(open)또는 클로즈(close)하는 연결부; 및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연결부가 오픈(open)하여 상기 교반이 완료된 양념장이 비어 있는 내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에서 양념장의 교반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양념장을 배출하기 위하여 오픈(open)하고, 상기 본체에서 양념장의 교반이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양념장의 배출을 막기 위하여 클로즈(close)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배출부는, 외측면을 따라 감싸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단에 위치하여 개방되어 있는 상단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1 흡입부; 상기 제1 흡입부로 흡입된 먼지를 흡입하는 제2 흡입부; 상기 제1 흡입부 및 상기 제2 흡입부로 흡입된 먼지를 수용하여 일정량의 먼지를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먼지수용부; 상기 먼지수용부에 일정량 이상의 먼지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먼지를 배출하도록 경고음을 발생하는 먼지배출부; 상기 제1 흡입부, 상기 제2 흡입부, 상기 먼지수용부 및 상기 먼지배출부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1 흡입부, 상기 제2 흡입부, 상기 먼지수용부 및 상기 먼지배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먼지배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념장 투입부는, 상기 포장재에 투입되는 상기 양념장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 상기 교반부의 제1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양념장을 수용하고,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배출부의 너비과 같은 너비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로부; 일단이 상기 이동통로부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중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포장재의 중량에 따라 상기 이동통로부로 이동되는 양념장의 이동을 지속시키거나 막는 제어부; 일단이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이동부로부터 이동되는 양념장을 상기 포장재로 배출하고, 타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하는 제2 배출부; 및 상기 포장재를 수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양념장이 수용되는 포장재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포장재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장마감부는, 상단에 위치하여 입력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마감제어부; 상기 마감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 온도의 열을 공급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온도제공부; 및 상기 포장재의 상단과 맞닿아 상기 온도제공부로부터 공급받은 열을 이용하여 상기 포장재의 상단을 녹여 부착함으로 마감하는 열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장재는, 상기 양념장을 수용하는 포장본체부; 및 상기 포장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이 포함되어 있어 뚜껑을 열어 상기 포장본체부로부터 상기 양념장을 배출하고, 뚜껑을 닫아 상기 포장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양념장을 위생적으로 보관하는 제3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방법은, 제1항에 또는 제2항의 양념장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양념장 제조방법으로서, 양파 및 마늘을 투입한 후 상기 교반부의 회전을 구동하는 단계; 회전 구동 중인 상기 교반부에 송주냉육수를 투입하는 단계; 회전 구동 중인 상기 교반부에 간장, 식초, 까나리액젓, L글루타민나트륨, 백설탕을 추가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부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여 배합시킨 후 상기 양념장 투입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량의 양념장을 제조할 수 있고, 포장지에 투입하여 포장마감까지 가능한 양념장 제조장치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교반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양념장 투입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포장마감부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에 의해 양념장이 저장되는 포장재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양념장 제조방법의 제조 순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제1 배출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먼지제거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먼지제거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제1 배출부의 노즐교환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10)는 교반부(900) 및 양념장 투입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900)는 마늘, 양파 등의 재료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마늘, 양파 등의 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양념장이 균일한 조성을 이룰 수 있도록 회전하는 회전날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양념장 투입부(100)는 교반부(900)에서 교반이 완료된 양념장을 교반부(900)로부터 전달받아 포장재에 투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교반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10)의 일부 구성인 교반부(900)는 본체(910), 회전체(930), 제1 교반날(931), 제2 교반날(932), 연결부(950) 및 제1 배출부(9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910)는 양념장을 제조하기 위한 마늘, 양파 등의 다양한 재료들과 다량을 수용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료들을 교반함에 있어서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930)는 ‘T’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어 가로 기둥의 양단은 본체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고, 세로 기둥은 가로 기둥과 맞닿아 본체(910)의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가로 기둥 및 세로 기둥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반날(931)은 회전체(930)의 타단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상단 기둥은 일단이 회전체(930)와 맞닿아 있을 수 있으며 회전체(930)로부터 본체(910)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뻗어 타단이 본체(910)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반날(931)의 제2 하단 기둥은 일단이 회전체(930)의 가장 낮은 부분과 맞닿아 있을 수 있으며 회전체(930)와 맞닿아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1 상단 기둥의 본체 방향의 일직선으로 뻗어 본체와 맞닿아 있는 일단까지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타단이 상단 기둥의 타단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교반날(932)은 회전체의 일단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상단 기둥은 타단이 회전체(930)와 맞닿아 있을 수 있으며 회전체(930)로부터 본체(910)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뻗어 일단이 본체(910)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교반날(932)의 제2 하단 기둥은 타단이 회전체(930)의 가장 낮은 부분과 맞닿아 있을 수 있으며 회전체(930)와 맞닿아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2 상단 기둥의 본체 방향의 일직선으로 뻗어 본체(910)와 맞닿아 있는 일단까지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일단이 제2 상단 기둥의 일단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950)는 본체(910)에서 교반이 완료된 양념장을 배출 가능하도록 오픈(open)또는 클로즈(close)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부(950)는 본체(910)에서 양념장의 교반이 완료되는 경우, 양념장을 배출하기 위하여 오픈(open)할 수 있고, 본체(910)에서 양념장의 교반이 진행 중인 경우, 양념장의 배출을 막기 위하여 클로즈(close)할 수 있다.
제1 배출부(970)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되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950)가 오픈(open)하여 교반이 완료된 양념장이 비어 있는 내부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양념장 투입부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양념장 투입부(100)는 중량측정부(110), 이동통로부(130), 제어부(150), 제2 배출부(170) 및 포장재수용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측정부(110)는 하단에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어 양념장이 포장되는 포장재에 투입되는 양념장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고, 하단의 장치를 통하여 측정된 중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의 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동통로부(130)는 교반부(900)의 제1 배출부(970)로부터 배출되는 양념장을 수용할 수 있고,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되 제1 배출부(970)의 너비과 같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제1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동통로부(130)는 제1 배출부(970)와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배출부(970)로부터 배출되는 양념장을 제2 배출부(170)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일단이 이동통로부(130)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있있을 수 있어 중량측정부(110)로부터 측정되는 포장재에 투입되는 양념장의 중량에 따라 이동통로부(130)로 이동되는 양념장의 이동을 지속시키거나 막을 수 있다.
제2 배출부(170)는 일단이 이동통로부(13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이동통로부(130)로부터 이동되는 양념장을 포장재로 배출할 수 있고, 타단이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포장재에 투입된 양념장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110)의 값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중량측정부(110)에 측정된 중량값이 일정한 중량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배출부(170)로 클로즈(close) 신호를 송신하여 제2 배출부(170)가 클로즈(close)하여 양념장의 이동을 제동시킬 수 있다.
포장재수용부(190)는 제2 배출부(170)로부터 양념장을 수용하는 포장재를 수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양념장이 수용되는 포장재가 흐트러지지 않을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포장마감부의 구성이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10)의 구성 중 일부인 포장마감부(300)는 마감제어부(310), 온도제공부(350) 및 열선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제어부(310)는 가장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온도제공부(350) 및 열선부(39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열선부(39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제공부(350)는 마감제어부(3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 온도의 열을 열선부(390)로 공급할 수 있으며, 마감제어부(310)가 사용자에게 입력받은 온도에 맞추어 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
열선부(390)는 온도제공부(350)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포장재의 상단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온도제공부(350)로부터 공급받은 열을 이용하여 포장재의 상단을 녹여 부착함으로 포장재의 포장을 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에 의해 양념장이 저장되는 포장재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으로부터 제조된 양념장이 투입되는 포장재(500)는 포장본체부(510) 및 제3 배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본체부(510)는 산소의 이동을 막는데 뛰어나 음식 등을 보관하기에 용이한 폴리에틸렌(LDPE)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념장 투입부(100)의 제2 배출부(170)로부터 배출되는 양념장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3 배출부(520)는 포장본체부(510)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비어 있는 내부로 양념장이 이동할 수 있다.
제3 배출부(5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 원기둥의 외부로 회전하며 고정 가능한 뚜껑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어 뚜껑을 열어 포장본체부(510)로부터 양념장을 배출할 수 있고, 뚜껑을 닫아 포장본체부(5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양념장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양념장 제조방법의 제조 순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10)에 의해 제조되는 양념장 제조방법은 양파 및 마늘을 투입한 후 교반부(900)의 회전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S1100).
양파 및 마늘을 투입하여 회전 구동 중인 교반부(900)에 송주냉육수를 투입할 수 있고(S1300), 이 후 간장, 식초, 까나리액젓, L클루타민나트륨 및 백설탕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S1500).
양념장을 제조하기 위한 모든 재료가 투입된 교반부(900)를 일정 시간 동안 구동하여 배합시킬 수 있고, 그 후 배합이 완료된 양념장을 양념장 투입부(100)로 배출할 수 있다(S170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일부 구성인 제1 배출부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먼지제거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교반부(900)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는 제1 배출부(970)의 외측면에 먼지제거부(99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먼지제거부(99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출부(97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배출부(970)와 마찬가지로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제거부(990)는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제1 배출부(970)에 고정 또는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배출부(970)의 외측면에 먼지제거부(990)를 배치하여, 신선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양념장의 위생을 철저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바닥 부분에 발생하게 되는 먼지를 흡입하여 보관함으로 보다 위생적인 작업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먼지제거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부(990)는 제1 흡입부(991, 991'), 제2 흡입부(992, 992'), 먼지수용부(993), 먼지배출부(994, 994'), 측면케이스(995) 및 전원부(996, 99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부(991, 991')는 상단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고, 원기둥의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내부에 미세먼지까지 흡입 가능한 흡입 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흡입부(991, 991')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개방되어 있는 상단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할 수 있으며, 먼지제거부(990)의 상단에 다수 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흡입부(992, 992')는 제1 흡입부(991, 991')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흡입부(991, 991')와 마찬가지로 원기둥의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내부에 미세먼지까지 흡입 가능한 흡입 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제2 흡입부(992, 992')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개방되어 있는 상단으로부터 제1 흡입부(991, 991')에 흡입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한 먼지는 하단의 먼지수용부(993)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제2 흡입부(992, 992')는 제1 흡입부(991, 991')의 하단에 위치함과 동시에 제1 흡입부(991, 991')의 두 배수의 개수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제거부(990)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제1 흡입부(991, 991')의 개수가 여섯개인 경우 제2 흡입부(992, 992')의 개수는 열 두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는 제2 흡입부(992, 992')를 통하여 제1 흡입부(991, 991')로 흡입되는 먼지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제2 흡입부(992, 992')로 흡입되어 먼지수용부(993)에 수용 및 저장될 수 있다.
먼지수용부(993)는 제1 흡입부(991, 991') 및 제2 흡입부(992, 992')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흡입부(991, 991') 및 제2 흡입부(992, 992')를 통하여 흡입된 먼지의 일정량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먼지배출부(994, 994')는 먼지수용부(993)에 수용되어 있는 먼지가 일정량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고, 일정량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먼지를 배출하여 제서할 수 있도록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배출부(994, 994')는 일정량 이상의 먼지가 수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실시간 오염 감지 장치 등의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측면케이스(995)는 먼지제거부(990)의 외측면에 제1 흡입부(991, 991'), 제2 흡입부(992, 992'), 먼지수용부(993) 및 먼지배출부(994, 994')를 모두 감싸며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996, 996')는 측면케이스(995)의 하단에 위치하여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제1 흡입부(991, 991') 및 제2 흡입부(992, 99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먼지를 배출하도록 경고음을 발생하기 위한 먼지배출부(994, 99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먼지제거부(990)는 연결고정부(997, 997') 및 상단케이스(999, 9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고정부(997, 997')는 먼지제거부(990)가 제1 배출부(970)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의 맞닿는 위치에 홈 또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어 서로 맞물려 먼지제거부(990)를 제1 배출부(970)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연결고정부(997, 997')는 먼지제거부(990)가 반원의 형태로 분리되어 제1 배출부(970)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좌측반원의 양단에는 홈이 마련되어 있고 우측반원의 양단에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먼지제거부(990)를 간편하게 제1 배출부(970)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다.
상단케이스(999, 999')는 먼지제거부(99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흡입부(991, 991')와 먼지제거부(990)의 상단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먼지제거부(990)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케이스(999, 999')를 먼지제거부(990)의 상단에 위치해놓는 경우, 제1 흡입부(991, 991') 및 제2 흡입부(992, 992')를 구동시킬 수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념장 제조장치의 제1 배출부의 노즐교환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노즐교환부(800)는 레일부(875, 876)를 따라 회전하며 제1 배출부(970)의 노즐(872, 873, 874, 877)을 교환하는 구성이 도시된 도면을 확인할 수 있다.
노즐교환부(800)는 다수 개의 노즐(872, 873, 874, 877)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한 레일부(875, 876)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레일부(875, 876)에 다수 개의 노즐(872, 873, 874, 877)이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일측면에 비상 세척되어 있는 비상 노즐(871)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어 레일부(875, 876)에 구비되어 있는 노즐(872, 873, 874, 877)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비상 노즐(871)을 레일부(875, 876)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노즐교환부(800)의 일단에는 교반부(900)의 제1 배출부(97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에는 양념장 투입부(100)의 이동통로부(13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노즐교환부(800)는 제1 배출부(970) 및 이동통로부(130)와 각각 연결되는 연결구(미도시)가 양단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구(미도시)는 양념장이 배출되고 있는 사이에 노즐(872, 873, 874, 877)을 교환해야 하는 경우, 연결구(미도시) 내부의 통로를 막은 후 레일부(875, 876)를 회전시켜 노즐(872, 873, 874, 877)을 교환할 수 있다.
레일부(875, 876)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하여 제1 배출부(97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노즐(872, 873, 874, 877)을 교환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마다 자동으로 제1 배출부(97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노즐(872, 873, 874, 877)을 교환할 수도 있다.
노즐교환부(800)를 통하여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 방법은 교반부(900)에서 교반이 완료된 양념장이 이동하는 제1 배출부(970)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노즐교환부(800)는 제1 배출부(970) 및 이동통로부(130)와 연결되어 있도록 양단에 연결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양단에는 레일부(875, 876)가 각각 마련되어 있되 레일부(875, 876)의 회전하는 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의 노즐(872, 873, 874, 877)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레일부(875, 876)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구(미도시)의 내부를 차단할 수 있고, 연결구(미도시)가 차단됨으로 양념장은 제1 배출부(970) 또는 이동통로부(130) 내부에서 정지된 채 고여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구(미도시)가 차단되었을 때, 레일부(875, 876)를 회전시켜 연결구(미도시)와 맞물려 있던 노즐(872, 873, 874, 877)을 제거하고, 타측에 있던 세척된 노즐(872, 873, 874, 877)을 연결시킬 수 있다.
노즐(872, 873, 874, 877)의 양단과 연결구(미도시)는 서로 회전하며 고정될 수 있는 볼트와 너트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자성에 의해 탈부착될 수도 있다.
즉, 다수 개의 노즐(872, 873, 874, 877)과 연결구(미도시)가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새로운 노즐(872, 873, 874, 877)이 연결구(미도시)와 맞물리게 될 때는 사용자가 회전함으로 인하여 자동적으로 서로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872, 873, 874, 877)과 연결구(미도시)가 맞물리는 방법은 볼트와 너트의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즐(872, 873, 874, 877)의 양단과 연결구(미도시)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장치는 그 명칭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양념장 제조장치
100: 양념장 투입부
300: 포장마감부
500: 포장재
900: 교반부

Claims (2)

  1. 양념장이 균일한 조성이 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교반부; 및
    상기 교반부에서 교반이 완료된 상기 양념장을 포장재에 투입하는 양념장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장이 투입된 상기 포장재의 상단을 열선에 의해 녹여 포장을 마감하는 포장마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양념장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을 수용 가능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T’모양으로 형성되어 가로 기둥의 양단은 상기 본체와 맞닿도록 형성되고, 세로 기둥은 상기 가로 기둥과 맞닿아 상기 본체의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로 기둥 및 세로 기둥은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타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 상단 기둥은 일단이 상기 회전체와 맞닿아 있으며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본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뻗어 타단이 상기 본체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하단 기둥은 일단이 상기 회전체의 가장 낮은 부분과 맞닿아 있으며 상기 회전체와 맞닿아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1 상단 기둥의 본체 방향의 일직선으로 뻗어 상기 본체와 맞닿아 있는 일단까지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상단 기둥의 타단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1 교반날;
    상기 회전체의 일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2 상단 기둥은 타단이 상기 회전체와 맞닿아 있으며 상기 회전체로부터 상기 본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뻗어 일단이 상기 본체와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2 하단 기둥은 타단이 상기 회전체의 가장 낮은 부분과 맞닿아 있으며 상기 회전체와 맞닿아 있는 부분으로부터 제2 상단 기둥의 본체 방향의 일직선으로 뻗어 상기 본체와 맞닿아 있는 일단까지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 상단 기둥의 일단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2 교반날;
    상기 본체에서 교반이 완료된 양념장을 배출 가능하도록 오픈(open)또는 클로즈(close)하는 연결부; 및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연결부가 오픈(open)하여 상기 교반이 완료된 양념장이 비어 있는 내부를 통하여 이동되는 제1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에서 양념장의 교반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양념장을 배출하기 위하여 오픈(open)하고,
    상기 본체에서 양념장의 교반이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양념장의 배출을 막기 위하여 클로즈(close)하고,
    상기 제1 배출부는,
    외측면을 따라 감싸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먼지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단에 위치하여 개방되어 있는 상단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제1 흡입부;
    상기 제1 흡입부로 흡입된 먼지를 흡입하는 제2 흡입부;
    상기 제1 흡입부 및 상기 제2 흡입부로 흡입된 먼지를 수용하여 일정량의 먼지를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먼지수용부;
    상기 먼지수용부에 일정량 이상의 먼지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먼지를 배출하도록 경고음을 발생하는 먼지배출부;
    상기 제1 흡입부, 상기 제2 흡입부, 상기 먼지수용부 및 상기 먼지배출부를 모두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흡입부, 상기 제2 흡입부, 상기 먼지수용부 및 상기 먼지배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먼지배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념장 투입부는,
    상기 포장재에 투입되는 상기 양념장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
    상기 교반부의 제1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양념장을 수용하고,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배출부의 너비과 같은 너비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통로부;
    일단이 상기 이동통로부의 일측면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중량측정부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포장재의 중량에 따라 상기 이동통로부로 이동되는 양념장의 이동을 지속시키거나 막는 제어부;
    일단이 상기 이동통로부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이동통로부로부터 이동되는 양념장을 상기 포장재로 배출하고, 타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하는 제2 배출부; 및
    상기 포장재를 수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양념장이 수용되는 포장재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포장재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마감부는,
    상단에 위치하여 입력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는 마감제어부;
    상기 마감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일정 온도의 열을 공급하여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온도제공부; 및
    상기 포장재의 상단과 맞닿아 상기 온도제공부로부터 공급받은 열을 이용하여 상기 포장재의 상단을 녹여 부착함으로 마감하는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재는,
    상기 양념장을 수용하는 포장본체부; 및
    상기 포장본체부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이 포함되어 있어 뚜껑을 열어 상기 포장본체부로부터 상기 양념장을 배출하고, 뚜껑을 닫아 상기 포장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양념장을 위생적으로 보관하는 제3 배출부;를 포함하는, 양념장 제조장치.
  2. 삭제
KR1020200114154A 2020-09-07 2020-09-07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8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154A KR102185936B1 (ko) 2020-09-07 2020-09-07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154A KR102185936B1 (ko) 2020-09-07 2020-09-07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936B1 true KR102185936B1 (ko) 2020-12-02

Family

ID=7379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154A KR102185936B1 (ko) 2020-09-07 2020-09-07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3289A (zh) * 2020-12-30 2021-04-30 安徽宴泰食品有限公司 一种油制颗粒类酱料灌装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143B1 (ko) * 2009-01-13 2009-04-03 (주)디에스알푸드 닭고기용 숙성 소스의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190807B1 (ko) * 2011-04-05 2012-10-12 주식회사 맛기신정 소스 제조 장치
KR101715877B1 (ko) 2016-09-30 2017-03-13 한석근 냉면용 양념장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143B1 (ko) * 2009-01-13 2009-04-03 (주)디에스알푸드 닭고기용 숙성 소스의 그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190807B1 (ko) * 2011-04-05 2012-10-12 주식회사 맛기신정 소스 제조 장치
KR101715877B1 (ko) 2016-09-30 2017-03-13 한석근 냉면용 양념장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3289A (zh) * 2020-12-30 2021-04-30 安徽宴泰食品有限公司 一种油制颗粒类酱料灌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936B1 (ko) 양념장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27758B1 (ko) 음료 성분들의 배분 및 배합/혼합을 위한 통합 방법 및 시스템
US20160353917A1 (en) Infant formula device
JP5057975B2 (ja) 個別のスムージの材料の密封パック、ならびに関連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022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ingredients for a baby bottle
US20030085234A1 (en) Food tumbler
CN105979789B (zh) 食品单剂量制备和分配的设备及方法和相关单剂量单元
PT770332E (pt) Sobremesa de camadas multiplas bem como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 sua preparacao
TW2011089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ood products
EP1596666B1 (e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ice-cream portions equipped with a feeding device for a preparation
CA2723426A1 (en) Machine for preparing pasta in single portions
US3433464A (en) Mixing apparatus
US200401078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ice cream products
KR101007337B1 (ko)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CN209218575U (zh) 小麦种植药剂拌种装置
US11613420B2 (en) Tumbler bottle
CN211246394U (zh) 一种临床药学用配药装置
ES2440078T3 (es) Máquina amasadora y método correspondiente de fabricación de una masa alimentaria
CN210364443U (zh) 一种脱氧剂半自动包装机
KR101397618B1 (ko) 초미세 기포를 이용한 건강차 제조방법과 이에 의한 건강차 제조장치
CN207169536U (zh) 一种改进型高位罐
ES1298781U (es) Contenedor mezclador y distribuidor de masa
JP3955465B2 (ja) 食品の殺菌装置
CN207902860U (zh) 一种医用毛巾消毒处理装置
RU157228U1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для гигиенической дозировки и упаковки хлебобулочных издел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