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831B1 - 오토클레이브 - Google Patents

오토클레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831B1
KR101247831B1 KR1020110018318A KR20110018318A KR101247831B1 KR 101247831 B1 KR101247831 B1 KR 101247831B1 KR 1020110018318 A KR1020110018318 A KR 1020110018318A KR 20110018318 A KR20110018318 A KR 20110018318A KR 101247831 B1 KR101247831 B1 KR 10124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main body
autoclave
holding memb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849A (ko
Inventor
박웅기
Original Assignee
박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웅기 filed Critical 박웅기
Priority to KR102011001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831B1/ko
Priority to PCT/KR2012/001368 priority patent/WO2012118295A2/ko
Priority to CN201280011356.4A priority patent/CN103403611B/zh
Priority to TW101106053A priority patent/TWI513584B/zh
Publication of KR2012009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4Pressure vessels, e.g. autocl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구조의 패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가열 및 가압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오토클레이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내부 처리공간으로 처리용 기판을 내장한 상태로 출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처리부재와 본체의 사이에서 기밀유지를 위한 기술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원가절감과 함께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오토클레이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을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공간을 갖춘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처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추고 상기 처리부가 상기 수용부 내, 외측으로 서랍식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수용부와 상기 처리부 사이에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처리부에 있어서 처리공간의 전방위치로서 입구부 위치에 상기 처리부의 상, 하, 좌, 우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기밀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토클레이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본 발명은 적층구조의 패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가열 및 가압공정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오토클레이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의 내부 처리공간으로 처리용 기판을 내장한 상태로 출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처리부재와 본체의 사이에서 기밀유지를 위한 기술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원가절감과 함께 유지보수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오토클레이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오토클레이브는 평판디스플레이 등 적층구조의 패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내부 처리공간에 처리를 위한 패널을 거치하고 패널 내부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가열시키고 소정의 가압조건으로 일정 시간 동안 가압하는 작동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가열 및 가압작동을 수행하는 동안 내부의 처리공간은 외부와 차단시켜 기밀유지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 중 최근 매엽식으로 처리가 이루어지는 오토클레이브의 경우, 도 1 내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처리를 위한 기판(1)을 수용하는 처리부(2)를 이동형으로서 서랍식으로 구성하고 이 처리부(2)를 수용하는 상,하부 본체(3,4)엔 상기 처리부(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를 마련하되,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처리부(2)와 수용부(5) 상호간은 상기 수용부(5)의 상부 및 하부 양측으로서 이들 사이에 기밀유지부재(6,6)를 위치시켜 외부와 차단된 기밀유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이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기밀유지부재(6,6)는 상기 수용부(5)와 상기 처리부(2)에 있어서 처리부(2)의 대부분 수평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처리공간(20)을 중심으로 상기 처리공간(20)을 외측에서 감싸는 부위로서 상기 상,하부 본체(3,4)의 내측에 폐곡선 형태로 설치홈(60,60)을 각각 형성하고, 이 설치홈(60,60)의 내측에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변형 기밀유지부재(6,6)을 각각 설치하게 되는데, 이들 가변형 기밀유지부재(6,6)는 내측이 비어 있는 상태로서 외부로부터 기체를 불어넣으면 팽창하여 상기 처리부(2)의 상,하부와 각각 밀착 밀폐시켜 기밀유지기능을 수행하고, 처리부(2)의 처리공간(20) 내측에 있던 처리용 기판(1)에 대하여 가열 및 가압작동에 의한 오토클레이브 처리작업을 수행하고 나서, 반대로 상기 가변형 기밀유지부재(6,6)의 내측에 충전되어 있던 기체를 자체 탄성력이나 다른 배출기구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수축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처리부(2)와의 사이를 개방시켜 기밀유지기능을 해제하여 상기 처리부(2)를 상기 상,하부 본체(3,4)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다음 오토클레이브 처리가 완료된 기판(1)을 처리부(2)로부터 인출하고 다음의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위한 작업이 순차적으로 가능하게 구성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5)와 상기 처리부(2)에 있어서 처리부(2)의 대부분 수평면적을 차지하게 되는 처리공간(20)을 중심으로 이 처리공간(20)을 외측에서 감싸는 전체 부위를 폐곡선 형태로서 상부 및 하부를 동시에 기밀유지부재(6,6)가 위치하도록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오토클레이브의 특성상 가열 및 가압작동이 반복적으로 발생되어야 하고 움직이게 되는 처리부(2)에 있어서 특히 처리부(2)의 처리공간(20)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기밀유지부재(6,6)의 경우 기판(1) 및 처리공간(20)에서의 반복적인 가압 및 가열 작동의 가혹조건으로 인하여 이들 기밀유지부재(6,6)의 수명이 저하되고, 기밀유지부재(6,6)의 경우 수용부(5)와 처리부(2) 상호간 기밀유지를 위한 부위의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어 외부영향에 의한 손상가능성이 더 커지게 되어 이에 따라 기밀유지부재(6,6)와 관련된 유지 보수에 어려움을 끼치게 되며, 결국 생산성 저하 및 제조원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나쁜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토클레이브를 구성하게 되고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되는 수용부와 이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처리부 상호간에 있어서, 처리부의 처리공간과는 무관하게 단지 처리부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상응하는 수용부 내측에만 수축 팽창이 가능한 기밀유지부재를 설치하여 수용부로부터 처리부의 출입 작동시 기밀유지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처리부 내부에서 가열 가압 작동이 이루어지는 처리과정에서는 기밀유지를 위한 작동이 별도로 필요하지 아니하고 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밀유지부재엔 가압 가열에 의한 악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아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도 크게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판을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공간을 갖춘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처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추고 상기 처리부가 상기 수용부 내, 외측으로 서랍식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부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수용부와 상기 처리부 사이에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처리부에 있어서 처리공간의 전방위치로서 입구부 위치에 상기 처리부의 상, 하, 좌, 우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기밀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의 수용부와 상기 처리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부의 입구부 외측 위치에 폐곡선 형태이면서 좌, 우 양측이 만곡형 형태로 설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상기 기밀유지부재를 끼워 결합 설치하되, 상기 기밀유지부재는 내측이 비어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변형으로 이루어지는 오토클레이브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부의 수용부와 상기 처리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부의 입구부 외측 위치에 폐곡선 형태이면서 좌, 우 양측이 만곡형 형태로 설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 상기 기밀유지부재를 끼워 결합 설치하되, 상기 기밀유지부재는 내측이 비어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변형으로 이루어지는 오토클레이브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클레이브를 구성하게 되고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되는 수용부와 이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처리부 상호간에 있어서, 처리부의 처리공간과는 무관하게 단지 처리부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상응하는 수용부 내측에만 수축 팽창이 가능한 기밀유지부재를 설치하여 수용부로부터 처리부의 출입 작동시 기밀유지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처리부 내부에서 가열 가압 작동이 이루어지는 처리과정에서는 기밀유지를 위한 작동이 별도로 필요하지 아니하고 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밀유지부재엔 가압 가열에 의한 악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아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도 크게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으로서,
도 1은 일부 생략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개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로서 일부 생략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개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보다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의하면, 도 4 내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공통적으로 기판(1)을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공간(20)을 갖춘 처리부(2)와; 상기 처리부(2)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처리부(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0)를 갖추고 상기 처리부(2)가 상기 수용부(70) 내, 외측으로 서랍식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부(7)와; 그리고 상기 본체부(7)의 수용부(70)와 상기 처리부(2) 사이에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처리부(2)에 있어서 처리공간(20)의 전방위치로서 입구부 위치에 상기 처리부(2)의 상, 하, 좌, 우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기밀유지부재(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처리부(2)는 중앙에 요부 형태로 처리공간(20)을 마련하고 이 처리공간(20)의 내측에 처리하고자 하는 기판(1)을 거치 수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고, 소재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을 소재로 하여 절삭가공 또는 주물, 프레스 성형가공 등을 통한 가공에 의하여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본체부(7)는 내측에 상기 처리부(2)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면에 개방구(72)가 형성된 수용부(70)를 갖추어 이루어진 하부부재(7a)와,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7a)의 상부에 덮어 덮개 형태로 씌워 고정 설치되는 상부부재(7b)를 서로 고정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강도가 우수하고 내구성 및 가공성이 양호한 구리 합금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을 소재로 하여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구성도 개방구(72)가 형성된 수용부(70)를 갖추어 상기 처리부(2)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상, 하, 좌, 우, 전, 후의 6 방향에 걸쳐 일체 또는 분리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7)의 수용부(70)와 상기 처리부(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부(2)의 입구부와 상응하는 위치로서 상기 본체부(7)의 개방구(72) 내측 위치에 폐곡선 형태이면서 좌, 우 양측이 만곡형 형태로 설치홈(82)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82)의 내측에 상기 기밀유지부재(8)를 끼워 결합 설치하되, 상기 기밀유지부재(8)는 내측이 비어 있는 관통공(80)이 형성된 상태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변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7)의 수용부(70)와 상기 처리부(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부(2)의 입구부 외측 위치에 폐곡선 형태이면서 좌, 우 양측이 만곡형 형태로 설치홈(82)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82)의 내측에 상기 기밀유지부재(8)를 끼워 결합 설치하되, 상기 기밀유지부재(8)는 내측이 비어 있는 관통공(80)이 형성된 상태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변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오토클레이브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7)의 수용부(70)로부터 처리부(2)를 외부로 인출하여 개방한 상태에서 처리부(2)의 처리공간(20) 내측에 처리하고자 하는 기판(1)을 원하는 가공위치에 위치시키고 나서 처리부(2)를 수용부(7)) 내측으로 밀어 넣어 도 4 또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처리를 위한 위치에 이르도록 하고, 기밀유지부재(8)의 관통공(80) 내측으로 외부에서 기체를 유입시켜 팽창시키게 되면 기밀유지부재(8)이 팽창되면서 설치홈(82)으로부터 부풀어 올라 처리부(2)와 본체부(7) 사이로서 수용부(7)의 입구부로서 개방부(72)가 밀폐되어 수용부(7) 내측 및 처리공간(20)은 외부와 단절된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기판(1)에 대한 처리를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처리공간(20)의 내부 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기판(1)에 가압 가열에 의한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처리작동을 소정시간 동안 수행한다.
그리고, 위와 같이 처리작업이 완료된 다음엔, 기밀유지부재(8)의 관통공(80) 내부에 있던 작동기체를 외부로 배출시켜 팽창이 이루어지기 전 초기의 원상태로 수축시켜 기밀유지부재(8)의 기밀유지상태를 해제하고 처리부(2) 및 수용부(7) 내측이 외기와 연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처리부(2)를 다시 수용부(7)의 외측으로 개방부(72)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하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처리부(2)의 처리공간(20) 내부에서 이미 처리된 기판(1)을 외부로 인출하여 다음의 작업을 위한 기판(1)으로 활용하고, 다시 빈 처리공간(20)엔 처리를 위한 기판(1)을 거치하고 위와 같은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가열 가압처리작업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클레이브를 구성하게 되고 고정된 상태에 있게 되는 수용부(70)와 이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처리부(2) 상호간에 있어서, 처리부(2)의 처리공간(20)과는 무관하게 단지 처리부(2)의 입구부 가장자리에 상응하는 수용부(70) 내측으로서 상기 처리부(2)와 상기 수용부(70) 사이에만 수축 팽창이 가능한 기밀유지부재(8)를 설치하여 수용부(70)로부터 처리부(2)의 출입 작동시 기밀유지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처리부(2) 내부에서 가열 가압 작동이 이루어지는 처리과정에서는 기밀유지를 위한 다른 작동이 별도로 필요하지 아니하고 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밀유지부재(8)엔 가압 가열에 의한 악영향이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아 기밀유지부재(8)의 사용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고 설치홈(8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밀유지부재(80)의 설치길이가 짧아 사용중에 손상될 가능성이 낮아지며 이에 따라 유지보수비용도 크게 절감하여 관련 제품의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1: 기판, 2: 처리부,
7: 본체부, 7a: 하부부재,
7b: 상부부재, 8: 기밀유지부재,
20: 처리공간, 70: 수용부,
72: 개방부, 80: 관통공,
82: 설치홈

Claims (4)

  1. 기판(1)을 수용한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공간(20)을 갖춘 처리부(2)와; 상기 처리부(2)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처리부(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70)를 갖추고 상기 처리부(2)가 상기 수용부(70) 내, 외측으로 서랍식으로 이동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 본체부(7)와; 그리고 상기 본체부(7)의 수용부(70)와 상기 처리부(2) 사이에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처리부(2)에 있어서 처리공간(20)의 전방위치로서 입구부 위치에 상기 처리부(2)의 상, 하, 좌, 우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기밀유지부재(8);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7)의 수용부(70)와 상기 처리부(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부(2)의 입구부와 상응하는 위치로서 상기 본체부(7)의 개방구(72) 내측 위치에 폐곡선 형태이면서 좌, 우 양측이 만곡형 형태로 설치홈(82)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82)의 내측에 상기 기밀유지부재(8)를 끼워 결합 설치하되,
    상기 기밀유지부재(8)는 내측이 비어 있는 관통공(80)이 형성된 상태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변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7)의 수용부(70)와 상기 처리부(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부(2)의 입구부 외측 위치에 폐곡선 형태이면서 좌, 우 양측이 만곡형 형태로 설치홈(82)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82)의 내측에 상기 기밀유지부재(8)를 끼워 결합 설치하되,
    상기 기밀유지부재(8)는 내측이 비어 있는 관통공(80)이 형성된 상태로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가변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클레이브.
KR1020110018318A 2011-03-02 2011-03-02 오토클레이브 KR10124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318A KR101247831B1 (ko) 2011-03-02 2011-03-02 오토클레이브
PCT/KR2012/001368 WO2012118295A2 (ko) 2011-03-02 2012-02-23 오토클레이브
CN201280011356.4A CN103403611B (zh) 2011-03-02 2012-02-23 热压釜
TW101106053A TWI513584B (zh) 2011-03-02 2012-02-23 熱壓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318A KR101247831B1 (ko) 2011-03-02 2011-03-02 오토클레이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849A KR20120099849A (ko) 2012-09-12
KR101247831B1 true KR101247831B1 (ko) 2013-04-03

Family

ID=4675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318A KR101247831B1 (ko) 2011-03-02 2011-03-02 오토클레이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247831B1 (ko)
CN (1) CN103403611B (ko)
TW (1) TWI513584B (ko)
WO (1) WO201211829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902A (ko) 2013-12-02 2015-06-10 주식회사 이노테크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20170021391A (ko) 2015-08-17 2017-02-28 주식회사 이노테크 하스트 겸용 오토클레이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9637B (zh) * 2014-11-07 2019-01-1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稠油热采微观驱替实验系统
KR20170004773A (ko) * 2015-07-03 2017-01-11 김재욱 다단으로 탈포가 가능한 오토클레이브 장치
KR101933808B1 (ko) * 2017-12-29 2019-04-05 경규오 복수의 개별 챔버를 구비하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404Y1 (ko) * 2006-09-27 2006-11-13 박웅기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처리장치
KR100782119B1 (ko) * 2006-09-27 2007-12-05 박웅기 오토클레이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94B1 (ko) * 2004-03-23 2006-06-08 박웅기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처리장치
KR20070048439A (ko) * 2005-11-04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라인 오토 클레이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패널 처리 방법
GB0816114D0 (en) * 2008-09-04 2008-10-15 Airbus Uk Ltd Assembling and shaping laminate pa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404Y1 (ko) * 2006-09-27 2006-11-13 박웅기 오토클레이브에 의한 처리장치
KR100782119B1 (ko) * 2006-09-27 2007-12-05 박웅기 오토클레이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3902A (ko) 2013-12-02 2015-06-10 주식회사 이노테크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오토클레이브 장치
KR20170021391A (ko) 2015-08-17 2017-02-28 주식회사 이노테크 하스트 겸용 오토클레이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849A (ko) 2012-09-12
TWI513584B (zh) 2015-12-21
CN103403611B (zh) 2016-04-13
WO2012118295A3 (ko) 2012-12-20
WO2012118295A2 (ko) 2012-09-07
CN103403611A (zh) 2013-11-20
TW201240820A (en)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831B1 (ko) 오토클레이브
KR101751814B1 (ko) 복층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EP3031595B1 (en) Partial vacuum forming method using partial overlay of decorative film
CN102099192A (zh) 用于层压构件的层压装置
ITMO20090268A1 (it) Apparato e metodo di saldatura
US9656415B2 (en) Device for producing molded parts from particulate plastic materials
JP5549036B2 (ja) 真空成型方法
CN103302160A (zh) 金属层叠膜成型方法及其成型装置
KR20130037640A (ko)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US11459137B2 (en) Tray sealing machine
KR102299492B1 (ko) 절단 가공 장치
CN210730961U (zh) 一种带有顶出机构的芯盒模具
JP5969442B2 (ja) 中空成形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EP3838540B1 (en) Improved foaming system and method for cabinets of household appliances, in particular refrigerator cabinets
US20220212248A1 (en) Die casting machine with energy frame
KR102179570B1 (ko) 처리실의 수직 위치 고정
KR101057577B1 (ko) 내압챔버
KR101738411B1 (ko) 진공흡착이동식 유리성형장치
CN211598231U (zh) 一种密封性能良好的周边带通长密封沟槽的钢板门门框
CN214754813U (zh) 一种可视化安全性高的低压开关柜
CN218286788U (zh) 一种大型大曲率、大厚度蜂窝芯稳定化的装置
KR100866940B1 (ko) 벤트 홀을 구비한 용기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기성형 방법
JP4792088B2 (ja) 真空成形装置
KR101811697B1 (ko) 배출지지부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재 성형물 성형장치
KR100261651B1 (ko) 복합재료다중셀구조의성형방법및성형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