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635B1 -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635B1
KR100542635B1 KR1020040018960A KR20040018960A KR100542635B1 KR 100542635 B1 KR100542635 B1 KR 100542635B1 KR 1020040018960 A KR1020040018960 A KR 1020040018960A KR 20040018960 A KR20040018960 A KR 20040018960A KR 100542635 B1 KR100542635 B1 KR 100542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glass plate
mold
glass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488A (ko
Inventor
고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정밀
Priority to KR102004001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63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836Preventing damage of inserts during injection, e.g. collapse of hollow inserts,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5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vacuum or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내입되는 유리판의 두께에 따라 가변코어가 임의 가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유리판의 파손율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동시에 득할 수 있는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측 설치판(2)(3)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 형판(4)(5)에는 삽입공간(P)이 형성되게 상/하 코어(6)(7)를 결합하여 유리판(8)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유리판(8)의 가장자리측 상/하 코어(6)(7) 상에는 지지테성형홈(9)을 형성하여 게이트(10)로 공급되는 수지물에 의해 지지테(11)가 형성될 수 있게 하며, 유리판(8)의 상하면에는 공기 흡입으로 유리판(8)을 고정하는 패드(12)를 상/하 형판(4)(5)에 고정한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1)에 있어서, 상 형판(4)에 결합되는 상 코어(6)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되는 지지테성형홈(9) 내측으로 요입홈(13)을 함몰 형성하여 가변코어(14)를 내입하고 볼트(15)로 유동 가능하게 상 코어(6)에 고정하되, 요입홈(13)상에 결합되는 가변코어(14)는 상 코어(6)와 1~2mm 정도의 이동공간(T)이 유지되게 하여 가변코어(14)가 상 코어(6)측으로 상향 이동되게 하며, 상 코어(6)와 가변코어(14)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수 개의 요홈(16)을 형성하여 우레탄과 같은 완충부재(17)를 개재한 것으로서, 금형(1)의 개폐에 따른 충격으로 유리판(8)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한 벌의 금형(1)으로 다양한 두께의 유리판(8)을 적용하여 유리선반 제조가 가능함으로 금형(1) 제작에 따른 경제적 부 담 및 금형(1) 교체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복수의 캐비티 적용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코어, 가변코어, 이동공간, 완충부재

Description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A shaping mold for glass shel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금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 코어 발췌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 코어에 가변코어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 코어와 가변코어 사이에 완충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요부인 상/하 코어 발췌 단면도로서 개방된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요부인 상/하 코어 발췌 단면도로서 폐쇄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2,3:상/하측 설치판
4,5:상/하 형판 6,7:상/하 코어
8:유리판 9:지지테성형홈
10:게이트 11:지지테
12:패드 13:요입홈
14:가변코어 15:볼트
16:요홈 17:완충부재
P:삽입공간 T:이동공간
본 발명은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입되는 유리판의 두께에 따라 가변코어가 임의 가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유리판의 파손율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의 효과를 동시에 득할 수 있는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유리선반의 경우 장식장이나 냉장고용 선반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유리판의 가장자리측에 합성수재로 지지테를 인서트 성형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유리선반의 제조하는 금형의 경우 상/하측 설치판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 형판에 각각 코어를 결합하여 유리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유리판의 가장자리측 코어 상에는 지지테성형홈을 형성하여 게이트로 공급되는 수지물에 의해 지지테가 형성될 수 있게 하며, 유리판의 상하면에는 공기 흡입으로 유리판을 고정하는 패드를 배치하여 상/하 형판에 고정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은 완충수단의 부재로 금형을 개폐시 충격으로 인한 유리판 파손율이 높으며, 유리판 고정의 경우 정밀한 수평도를 요구함으로 금형 내에 캐비티 수를 1개로 한정할 밖에 없어 생산성이 저조하고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리판 두께에 따른 가변수단이 없으므로 두께가 다른 유리판마다 별도로 금형을 제작해야 하므로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과다하게 투자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있고, 유리판 두께에 따라 금형을 교체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이 갖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완충수단과 유리판 두께에 따른 가변수단의 기능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금형 구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 형판에 고정 설치되는 코어에 가변코어를 설치하고 우레탄 등과 같은 완충부재에 의해 완충과 코어의 가변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유리판의 파손율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금형 교체의 번거로움 없이도 다양한 두께의 유리판을 적용 인서트 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금형 내에 복수로 캐비티를 제공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금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상 코어 발췌 분해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상 코어에 가변코어를 고정한 상태 및 완충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코자 하는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1)은 상/하측 설치판(2)(3)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 형판(4)(5)에는 삽입공간(P)이 형성되게 상/하 코어(6)(7)를 결합하여 유리판(8)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유리판(8)의 가장자리측 상/하 코어(6)(7) 상에는 지지테성형홈(9)을 형성하여 게이트(10)로 공급되는 수지물에 의해 지지테(11)가 형성될 수 있게 하며, 유리판(8)의 상하면에는 공기 흡입으로 유리판(8)을 고정하는 패드(12)를 배치하여 상/하 형판(4)(5)에 고정한 금형(1) 구성에 있어서, 상 형판(4)에 결합되는 상 코어(6)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금형(1)의 상 형판(4)에 결합되는 상 코어(6)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되는 지지테성형홈(9) 내측으로 요입홈(13)을 함몰 형성하여 가변코어(14)를 내입하고 볼트(15)로 상 코어(6)에 유통 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요입홈(13)상에 결합되는 가변코어(14)는 상 코어(6)와 약 1~2mm 정도의 이동공간(T)이 유지되게 하여 가변코어(14)가 상 코어(6)측으로 상향 이동되게 하되, 상 코어(6)와 가변코어(14)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수 개의 요홈(16)을 형성하 고 이에는 우레탄 등과 같은 완충부재(17)를 개재하여 금형(1) 개폐에 따른 충격을 완충함과 동시에 두께가 다른 유리판(8) 내입시 가변코어(14)가 상향 이동과 복원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이때 완충부재(17)는 상 코어(6) 또는 가변코어(14)에 볼트(18) 등으로 고정한다.
상기 요홈(16)과 완충부재(17)의 개수는 가변코어(14)의 크기에 따라 증감되거나 또는 형상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금형(1) 상에 1개의 캐비티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캐비티를 복수로 증가할 수도 있으며, 수지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관은 일반적인 구성으로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1)은 각종 장식장 및 냉장고용 유리선반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한다.
본 발명으로 유리판(8) 가장자리에 지지테(11)가 인서트된 유리선반을 성형코자 할 시에는 먼저 사출성형기의 노즐측과 가동부측에 각각 상/하측 설치판(2)(3)을 고정 설치한 다음 유리판 공급장치 등으로부터 개방된 금형(1) 내로 공급되는 유리판(8)을 하 형판(5)(또는 상 형판(4)) 측에 설치되는 패드(12)로 흡착 고정한 후 하측 설치판(3)이 고정되어 있는 가동부를 작동시켜 금형(1)을 밀폐하고, 노즐로부터 공급되는 수지물을 지지테성형홈(9)에 고압으로 주입하여 냉각한 후 금형(1)을 개방하여 유리선반을 제조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 형판(4)에 결합되어 있는 상 코어(6)의 내측으로 가변코어(14)가 결합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유리판(8)을 하 형판(5) 측에 흡착 고정한 상태에서 하 형판(5)을 이동시켜 금형(1)을 밀폐할 때 충격이 발생하면 상 형판(4)측의 가변코어(14)가 완충부재(17) 측(상 코어(6)와 가변코어(14) 사이에 형성된 이동공간(T))으로 조금 밀려지게 되는데 이때 완충부재(17)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므로 종래와 같은 유리판(8)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 코어(6) 내측에 결합된 가변코어(14)가 1~2mm 정도 간격을 갖는 이동공간(T)상에서 가변되므로 다양한 두께의 유리판(8)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유리판(8)을 최소 두께가 3mm인 금형(1)을 제작할 경우 최대 5mm 유리판(8)까지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금형(1)에 3mm 보다 두꺼운 유리판(8)(3mm 이상 5mm 이하)이 내입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금형(1)을 밀폐하게 되면 상 형판(4)의 코어(6) 내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변코어(14)가 이동공간(T) 측으로 1~2mm 내의 범위 안에서 이동되면서 완충부재(17)를 가압한 상태에서 유리판(8)에 밀착되므로 유리판(8)의 파손 없이 인서트 성형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발명의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1)은 상 형판(4)상의 상 코어(6) 내측으로 완충부재(17)에 의해 완충 및 가변되는 가변코어(14)를 설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금형(1)의 개폐에 따른 충격으로 유리판(8)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한 벌의 금형(1)으로 다양한 두께의 유리판(8)을 적용하여 유리선반 제조가 가능함으로 금형(1) 제작에 따른 경제적 부담 및 금형(1) 교체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복수의 캐비티 적용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다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상/하측 설치판(2)(3)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 형판(4)(5)에는 삽입공간(P)이 형성되게 상/하 코어(6)(7)를 결합하여 유리판(8)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유리판(8)의 가장자리측 상/하 코어(6)(7) 상에는 지지테성형홈(9)을 형성하여 게이트(10)로 공급되는 수지물에 의해 지지테(11)가 형성될 수 있게 하며, 유리판(8)의 상하면에는 공기 흡입으로 유리판(8)을 고정하는 패드(12)를 상/하 형판(4)(5)에 고정한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1)에 있어서,
    상기 상 형판(4)에 결합되는 상 코어(6)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되는 지지테성형홈(9) 내측으로 요입홈(13)을 함몰 형성하여 가변코어(14)를 내입하고 볼트(15)로 유동 가능하게 상 코어(6)에 고정하되,
    상기 요입홈(13)상에 결합되는 가변코어(14)는 상 코어(6)와 1~2mm 정도의 이동공간(T)이 유지되게 하여 가변코어(14)가 상 코어(6)측으로 상향 이동되게 하며, 상 코어(6)와 가변코어(14)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수 개의 요홈(16)을 형성하여 우레탄과 같은 완충부재(17)를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KR1020040018960A 2004-03-19 2004-03-19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KR100542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60A KR100542635B1 (ko) 2004-03-19 2004-03-19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8960A KR100542635B1 (ko) 2004-03-19 2004-03-19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488A KR20050093488A (ko) 2005-09-23
KR100542635B1 true KR100542635B1 (ko) 2006-01-11

Family

ID=3727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960A KR100542635B1 (ko) 2004-03-19 2004-03-19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350B1 (ko) * 2019-05-09 2020-09-03 황인형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9724B (zh) * 2019-05-31 2024-04-19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用于接线端子的注塑模具
IT202100008309A1 (it) * 2021-04-01 2022-10-01 Vetrerie Riunite S P 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oblò per lavatrici, sistema di stampaggio per l’implementazione di detto procedimento, e oblò ottenuto mediante tale procediment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350B1 (ko) * 2019-05-09 2020-09-03 황인형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488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393B1 (ko) 길이 가변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발포 금형
US20140212610A1 (en) Foam-molding parts manufacturing method, foam-molding part, and foam-mold
CN101439573B (zh) 玻璃隔板一体化注塑模具
KR20070105551A (ko) 유리선반 제조용 금형과, 이를 이용한 유리선반 제조방법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선반
CN112848104A (zh) 汽车仪表板装饰条双色注塑模具
KR101191231B1 (ko) 사출 성형 금형
KR100542635B1 (ko) 유리선반 성형용 금형
CN102784887B (zh) 重型卡车变速箱箱体的消失模模具
US20120114784A1 (en) Mould for the injection moulding of elements with undercuts made of plastic material, with an integrated ejection system
KR100896770B1 (ko) 일체형 푸쉬블록 유닛이 포함된 사출금형
CN211542144U (zh) 模具
CN209832481U (zh) 一种注塑模具用滑块防退结构
KR101861808B1 (ko) 디스플레이 윈도우 제작용 사출금형
CN209794442U (zh) 具有弹性顶出复位机构的内分型汽车保险杠注塑模具
KR20210075785A (ko) 금형
KR101298468B1 (ko) 사출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적용한 장치
KR101384323B1 (ko) 사출압축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압축성형 방법
CN215661599U (zh) 行位结构及注塑模具
KR20150066874A (ko) 슬라이더 장치를 이용한 이중사출성형금형
CN210996331U (zh) 一种高铁携门架生产用模具
KR100650310B1 (ko) 선바이저 패널용 금형
CN212400211U (zh) 一种用于薄壁产品成型的薄壁多穴模具
CN201342775Y (zh) 玻璃隔板一体化注塑模具
CN214324046U (zh) 一种多滑块模具
CN215320273U (zh) 一种模芯倒置的光学镜头罩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