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785A - 금형 - Google Patents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785A
KR20210075785A KR1020190167277A KR20190167277A KR20210075785A KR 20210075785 A KR20210075785 A KR 20210075785A KR 1020190167277 A KR1020190167277 A KR 1020190167277A KR 20190167277 A KR20190167277 A KR 20190167277A KR 20210075785 A KR20210075785 A KR 20210075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od
driving unit
slid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환
김지윤
김철우
이규철
이현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785A/ko
Priority to PCT/KR2020/015955 priority patent/WO2021118078A1/ko
Priority to EP20898438.5A priority patent/EP4049824A4/en
Priority to CN202080086296.7A priority patent/CN114786908A/zh
Publication of KR2021007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785A/ko
Priority to US17/838,905 priority patent/US2022030571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5Connecting parts, e.g. injection screws, ejectors, to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7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stri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금형은 코어 본체와 코어 본체에 안착되고 제 1방향으로 코어 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와, 코어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분리시키도록 슬라이딩 코어를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터와, 이젝터는 제 1방향으로 코어 후측에 배치되고 제 1방향으로 코어 후단까지 이동되는 구동부와, 제 1방향으로 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도록 제 1방향으로 이동되고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동부에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로드는 제 1방향으로 구동부보다 더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금형{MOLD}
본 발명은 무게가 감량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성형물을 사출하는 사출금형, 및 철판을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어내는 프레스금형을 포함할 수 있다. 금형은 제품의 원활한 생산을 위하여 가동형과 고정형으로 나뉘어 제작될 수 있다.
사출금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일반적인 사출금형, 및 금속을 녹여 플라스틱과 같이 만들어 내는 다이캐스팅금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출금형은 사출기기에 장착되고 사출금형의 내부에 마련된 캐비티에 사출기기에서부터 용융된 원료를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성형물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대형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사출금형의 크기가 커지고 사출금형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사출금형을 사출기기에 장착할 시, 무게에 의해 사출금형의 이송 및 장착 시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형을 이루는 구성에 있어서 고중량의 구성을 삭제하여 총 금형의 무게가 감량된 구조적으로 개선된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3면을 가지는 성형물을 취출할 시, 취출 중에 성형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구조적으로 개선된 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금형은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안착되고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단까지 이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구동부보다 더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코어를 지지하는 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형판은 상기 본체가 상기 형판 내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개방 공간 내부에서부터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단까지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코어와 상기 형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원판을 더 포함하고, 기 원판은 상기 원판 내부에서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이동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홀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의 후단과 마주하는 전단과 상기 개방 공간과 마주하는 후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코어 본체의 제 1부분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1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코어 본체의 제 2부분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2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로드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를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로드는 상기 구동부보다 상기 제 1방향으로 더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로드는 상기 구동부와 동일하게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이젝터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1로드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1로드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로드와 결합되고 상기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제 1로드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타측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젝터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커플러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커플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 1로드와 결합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로드와 분리되는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 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코어 본체의 후단에서부터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시 상기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구동부와 함께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커플러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시 상기 가압부와 접하여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이젝터와 상기 제 1로드 사이에는 이격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만 제 1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만 가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가 동시에 추가적으로 제 2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만 추가적으로 제 3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만 가압하는 제 3단계 순으로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가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금형은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안착되고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터와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단까지 이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가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로드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타측을 포함하는 커플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제 1부분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1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제 2부분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2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로드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를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로드는 상기 구동부보다 상기 제 1방향으로 더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로드는 상기 구동부와 동일하게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만 제 1거리만큼 이동되는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가 동시에 추가적으로 제 2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만 추가적으로 제 3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3단계 순으로 상기 제 1,2이젝터가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로드는 상기 제 1,2,3거리를 합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2로드는 상기 제 1,2거리를 합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금형은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안착되고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젝터와 상기 코어를 지지하는 형판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코어 본체의 제 1부분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1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코어 본체의 제 2부분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되는 제 2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고,상기 이젝터는 상기 형판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동부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1로드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2로드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1로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로드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커플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금형을 구성하는 이젝터 플레이트와 이젝터 플레이트가 병진 이동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금형을 통해 금형의 무게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3면을 가지는 성형물을 취출할 시, 취출 작업이 단계별로 진행되어 취출 중에 성형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가동 금형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이젝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가동 금형의 일부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 공정 후의 가동 금형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1단계의 상태를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2단계의 상태를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3단계의 상태를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일부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2단계의 상태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일부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3단계의 상태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형(1)은 사출장치(미도시)에 장착되어 사출물이 사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금형(1)에 대한 기술적 특징이 개시되는 바 사출 장치(미도시)에 대한 설명 및 사출물이 사출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가동 금형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형(1)은 제 1금형(10)과 제 1금형(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금형(10)과 함께 제조할 사출물(P)과 대응하는 형상의 캐비티(CA)를 형성하는 제 2금형(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금형(20)은 제 1방향(A)으로 제 1금형(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금형(20)은 고정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방향(A)은 상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인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방향(A)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방향(A)이 향하는 방향이 상측 그 반대 방향이 하측으로 설명하나, 제 1방향(A)이 향하는 방향이 전측 그 반대 방향이 후측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 1금형(10)은 상하 이동에 따라 제 1금형(10)과 제 2금형(20)이 결합 또는 분리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금형(10)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제 2금형(20)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금형(1)은 성형물(P)을 사출하도록 구성되는 코어(30,40)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30,40)는 제 1금형(10)에 안착되는 제1코어(30) 및 제 2금형(20)에 안착되고 제1코어(30)와 함께 제조될 성형물(P)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캐비티(CA)를 형성하는 제2코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어(3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제2코어(40)와 결합되면 캐비티(CA)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코어(3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코어(40)와 분리되면 캐비티(CA) 내에서 제조된 성형물(P)을 금형(1)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성형물(P)은 제 1코어(30)에 지지된 상태로 제 1금형(10)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측을 커버하는 제 2코어(40)와 분리되어 외부로 성형물(P)이 취출될 수 있다.
사출 성형 시, 캐비티(CA)로 원료를 주입하게 되면, 주입되는 원료의 고온에 의하여 코어(30,4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상승한 코어(30,40)의 온도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공정이 별도로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1)은 냉각장치(미도시)를 통해 물 등과 같은 냉각유체를 공급받아 코어(30,40)를 냉각할 수 있고, 캐비티(CA) 내에 주입된 원료의 경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코어(30) 및 제2코어(40)에는 냉각장치(미도시)에서 공급된 냉각유체가 통과하는 냉각유로(미도시)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유로(미도시)는 제1코어(30) 또는 제2코어(4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금형(10)은 제 1코어(3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 1원판(60) 및 제 1원판(60)이 설치되는 제 1형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형판(50)은 제 1코어(30)를 수용하는 제 1원판(60)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송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코어(30)는 제 1형판(50)에 지지되어 제 1방향(A)으로 승강될 수 있다. 제 1원판(60)은 복수개의 단위 구성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원판(60)은 단일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금형(20)은 제 2형판(70)과 제 2코어(40)가 지지되고 제 2형판(70)에 고정되는 제 2원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형판(70)은 제 2코어(40)와 제 2원판(80)을 함께 지지할 수 있다. 제 2원판(80)은 복수개의 단위 구성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원판(80)은 단일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금형(20)은 제 3원판(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원판(81)은 제 2원판(80)과 함께 제 2코어(4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3원판(81)은 복수개의 단위 구성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원판(81)은 단일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코어(30)에 대하여만 설명하는데 설명의 편의 상 제 1코어(30)를 코어(30)로 명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형판(50)에 대하여만 설명하는데 설명의 편의 상 제 1형판(50)를 형판(50)로 명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원판(60)에 대하여만 설명하는데 설명의 편의 상 제 1원판(60)를 원판(60)로 명칭하여 설명한다.
코어(30)는 성형물(P)의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보조 코어(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코어(30a)는 코어(30)와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어(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30)는 코어 본체(31)와 캐비티(CA) 내에서 경화된 성형물(P)을 분리하기 위한 슬라이딩 코어(9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코어(90)는 제 1방향(A)으로 왕복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코어(90)는 코어 본체(3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딩 코어(90)는 코어 본체(31)에 대해 제 1방향(A)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코어(90)는 캐비티(CA)에서 성형물(P)이 성형될 시 코어 본체(31)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코어(90)는 성형물(P)의 성형이 종료된 후 코어 본체(31)에 밀착해있는 성형물(P)이 코어(30)에서 이탈되도록 성형물(P)을 제 1방향(A)으로 가압하도록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 코어(90)는 제 1 금형(10)과 제 2 금형(20)이 분리된 상태에서 사출물(P)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캐비티(CA) 내에서 경화되어 제조된 사출물(P)에 접하여 사출물(P)을 밀어서 제 1금형(10)에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코어(9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 1슬라이딩 코어(91)와 제 2슬라이딩 코어(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금형(1)은 슬라이딩 코어(90)를 제 1방향(A)으로 이동시키거나 제 1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젝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100)는 상기 제 1방향(A)으로 코어(30)의 하측(또는 코어의 후측으로 표현할 수 있다.)에 배치되고 코어(30, 또는 코어 본체(31)) 하면(37 또는 후면으로 표현할 수 있다.)까지 이동되는 구동부(110)와, 제 1방향(A)으로 슬라이딩 코어(90)를 가압하도록 제 1방향(A)으로 본체(110)와 결합되는 로드(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20,130)는 제 1슬라이딩 코어(91)를 제 1방향(A)으로 가압하는 제 1로드(120)와 제 2슬라이딩 코어(92)를 제 1방향(A)으로 가압하는 제 2로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제 1로드(120)는 구동부(1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구동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젝터(100)는 제 1로드(120)가 구동부(1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커플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냉장고의 내상이나 의류 관리기의 내상 등은 금형에 의해 형성되는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을 가지는 냉장고 또는 또는 의류 관리기의 내상은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바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어려워 하나의 내상을 분할로 사출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내상을 형성하였다.
이 때, 분할된 구성으로 하나의 내상을 형성함에 따라 구성간의 추가적인 실링이 필요하고, 불완전한 실링으로 공기 또는 수분이 내상 외측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구성을 조립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이 추가적으로 필요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피가 큰 사출물을 일체의 사출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금형의 크기가 증가되어야 한다.
특히, 냉장고의 내상 또는 의류 관리기의 내상 등과 같이 대용량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내부 공간을 성형하기 위해 대용량의 부피를 가지는 코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 때 금형의 크기가 증가되고 특히 대용량의 코어에서부터 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해 이젝터를 가압하는 로드의 이동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취출 방향으로의 금형의 길이가 증가되어 금형의 크기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금형(1)에 의해 성형되는 성형물(P)과 같이 내부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3부분(P1,P2,P3)을 포함해야 한다.
이와 같은 성형물(P)을 성형하기 위해 코어(30, 또는 코어 본체(31))는 대략 제 1방향(A)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는 제 1부분(32) 제 1방향(A)과 제 2방향(B)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C)으로 제 1부분(32)의 양단에서 제 1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부분(33)과 제 3부분(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코어(30)의 제 1,2,3부분(32,33,34)에 의해 성형물(P)은 각각 제 1부분(P1)과 제 2부분(P2) 및 제 3부분(P3)이 각각 성형될 수 있으며 제1,2,3부분(P1,P2,P3)에 의해 내부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물(P)은 경화된 후 코어(30)에서부터 취출되도록 슬라이딩 코어(90)와 로드(120,13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성형물(P)의 내부공간(S)을 형성하기 위해 대략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제 2부분(33)과 제 3부분(34)에 의해 슬라이딩 코어(90) 및 로드(120,13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코어에서 성형물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로드와 복수의 로드를 고정시켜 복수의 로드가 일체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이젝트 플레이트를 포함하였다.
이 때, 이젝트 플레이트가 취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이젝트 플레이트에 고정된 복수의 로드가 이동되면서 성형물을 가압하여 성형물을 코어에서부터 취출할 수 있다.
이젝트 플레이트는 형판과 원판 사이에 배치되고 형판과 원판 사이에서 왕복 운동되도록 마련되는데 이와 같이 이젝트 플레이트가 취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형판과 원판 사이에는 이젝트 플레이트가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스페이스 블록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였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이 코어(30)가 취출 방향(A)으로 높게 형성될 경우 로드(120,130)의 이동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종래의 금형의 코어가 이와 같을 시 이젝트 플레이트가 이동되어야 하는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스페이스 블록의 형성 길이 또한 이젝트 플레이트의 이동 거리와 대응되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의 전체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금형의 크기가 증가될 시 이를 제작하는 제작비가 증가되는 문제도 있으나, 가장 큰 문제로 금형의 중량이 증가하여 금형을 사출 기기에 장착하기 어려워 성형물의 성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금형은 사출 기기에 장착되고 사출 기기에 의해 제 1금형 또는 제 2금형이 이동되어서 서로 결합 및 분리되고, 제 1,2금형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 내부에 성형물이 성형될 수 있다.
이 때 금형은 이송 기기에 의해 사출 기기로 이송되고 사출 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데 금형의 크기의 증가에 의해 금형의 중량이 증가될 시 금형을 이송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고 금형을 사출 기기에 장착하는 데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3부분(P1,P2,P3)을 포함하는 성형물(P)을 성형하기 위해 형성되는 금형의 경우 금형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금형의 중량의 최소화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1)은 슬라이딩 코어(90)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드(120,130)를 지지하는 이젝터 플레이트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종래의 이젝터 플레이트의 이동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마련되는 스페이스 블록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젝터 플레이트를 대신하여 슬라이딩 코어(9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110)를 포함하고, 구동부(110)의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는 거리를 최소화함에 따라 금형(1) 전체의 크기, 특히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금형(1)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금형(1)의 전체 중량을 저감시키고 이에 따라 대용량의 성형물(P)을 성형할 수 있는 금형(1)이 용이하게 이송되고 사출기기(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성형물을 취출하기 위해 로드가 이동되어야 하는 거리를 최소 확보 거리(l1)라고 가정하면 이젝트 플레이트는 원판과 형판 사이에서 l1의 거리만큼 이동되어야 하므로 원판과 형판 사이에는 l1만큼의 거리를 확보하도록 마련되는 스페이스 블록이 추가로 마련되어야 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1)의 이젝터(100)의 구동부(110)는 로드(12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최소 확보 거리(l1)보다 짧은 l2 거리만 이동되도록 마련되어 종래의 금형보다 제 1방향(A)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어 금형(1)의 총중량이 저감될 수 있다. 구동부(110)가 이젝트 플레이트보다 짧은 최소 확보 거리를 가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은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1)의 이젝터(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이젝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가동 금형의 일부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 공정 후의 가동 금형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100)는 상기 제 1방향(A)으로 코어(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코어(30) 하단까지 이동되는 구동부(110)와, 제 1방향(A)으로 슬라이딩 코어(90)를 가압하도록 제 1방향(A)으로 구동부(110)와 결합되는 로드(120.1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120,130)는 제 1슬라이딩 코어(91)를 제 1방향(A)으로 가압하는 제 1로드(120)와 제 2슬라이딩 코어(92)를 제 1방향(A)으로 가압하는 제 2로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슬라이딩 코어(91)는 코어 본체(31) 상에서 제 1방향(A)으로 최상측에 배치되어 코어(30)의 제 1부분(32)상에서 성형되는 성형물(P)의 제 1부분(P1)을 제 1방향(A)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 1슬라이딩 코어(91)는 제 1부분(3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코어(30)의 일부분 또는 코어 본체(31)의 일부분은 제 1슬라이딩 코어(9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슬라이딩 코어(91)는 제 1방향(A)으로 코어(30)의 상단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각각 코어(30)의 제 2부분(33)과 제 3부분(34) 상에서 성형되는 성형물(P)의 제 2부분(P2)과 제 3부분(P3)을 각각 제 1방향(A)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각각 제 1방향(A)으로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성형물(P)의 제 2부분(P2)와 제 3부분(P3)의 하단이 각각 제 1방향(A)에 대해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성형물(P)의 제 2부분(P2)과 제 3부분(P3)의 하단이 각각 제 1방향(A)으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시 각각의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제 1방향(A)에 대해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각각 동일하게 구동되는 바 이하에서는 한 쌍의 제 2슬라이딩 코어(92) 중 하나의 제 2슬라이딩 코어(92)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제 1로드(120)는 제 1슬라이딩 코어(91)의 하단(91b)을 가압하여 제 1슬라이딩 코어(91)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로드(120)의 상단(121)은 제 1슬라이딩 코어(91)의 하단(91b)과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로드(120)의 하부는 구동부(11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로드(120)는 구동부(110)에 대해 분리 가능하도록 구동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제 1로드(120)는 코어 본체(31) 내부에 형성되는 로드 관통홀(35)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로드(120)의 상단(121)은 로드 관통홀(35)을 관통하여 제 1슬라이딩 코어(91)의 하단(91b)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 1로드(120)는 구동부(110)와 함께 제 1방향(A)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되면서 제 1슬라이딩 코어(91)를 제 1방향(A)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 2로드(130)는 제 2슬라이딩 코어(92)의 하단을 가압하여 제 2슬라이딩 코어(92)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로드(130)의 상단(131)은 제 2슬라이딩 코어(92)의 하단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제 2로드(130)가 이동되는 거리만큼 동일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 2로트(130)의 하단(132)은 구동부(11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로드(120)와 달리 제 2로드(130)의 하단(132)은 구동부(110)와 분리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다.
제 2로드(130)는 코어 본체(31)와 원판(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로드(130)는 제 1로드(120)와 같이 코어 본체(31) 내부에 형성되는 로드 관통홀에 삽입되거나 원판(60)에 형성되는 로드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로드(130)는 구동부(110)와 함께 제 1방향(A)으로 소정의 거리 이동되면서 제 2슬라이딩 코어(92)를 제 1방향(A)으로 가압할 수 있다.
구동부(110)는 제 1,2로드(120,130)를 고정하는 부재로 종래의 금형의 이젝트 플레이트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110)는 제 1로드(1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 1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로드(120) 하단부는 제 1홀(111)에 삽입되어 후술할 커플러(140)에 고정되어 구동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10)는 후술할 가압부재(38)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홀(112)은 구동부(11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시 코어(30)의 하단(34)에 배치되는 가압부재(38)가 커플러(140)에 삽입되도록 가압부재(38)를 가이드할 수 있다.
구동부(110)는 구동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로드(39)가 삽입되는 제 3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드(39)는 코어 본체(31)의 하면(37)에서 제 1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구동부(110)는 가이드 로드(39)가 제 3홀(113)에 삽입된 상태로 제 1방향(A)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형판(50)은 구동부(110)가 형판(50) 내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 공간(51)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10)는 개방 공간(5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10)는 개방 공간(51)에서부터 코어 본체(31)의 하면(37, 또한 제 1방향(A)으로 코어 본체(31)의 하면)까지 이동될 수 있다.
종래의 금형의 경우 이젝트 플레이트가 원판과 형판 사이에 배치되어 제 1방향(A)으로 원판과 형판 사이의 길이가 증가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0)는 형판(50) 내부에 배치되어 제 1방향(A)으로 원판(60)과 형판(50) 사이에 추가적으로 연장되는 금형(1)의 길이가 없어 금형(1) 전체의 중량이 저감될 수 있다.
개방 공간(51)은 제 1방향(A)으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10)의 하면(110b)이 제 1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형판(50)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홀(111)에 삽입된 제 1로드(120)의 후단(122) 또한 제 1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형판(5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원판(60)은 원판(60) 내부에서 이젝터(10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이동홀(6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홀(61) 내부에서 구동부(110)와 제 1로드(120) 및 제 2로드(130)가 동시에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돌홀(61)은 대략 본체(11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최소 길이만큼 제 1방향(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홀(61)은 제 1방향(A)으로 코어 본체(31)의 하면(37)과 마주하는 전단과 개방 공간(51)과 마주하는 후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개방 공간(51)과 이동홀(61)이 제 1방향(A)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 공간(51)에 배치되는 구동부(110)는 제 1방향(A)으로 개방 공간(51)에서 이동홀(61)로 이동될 수 있으며 코어 본체(31)의 하면(37)까지 이동될 수 있다.
종래의 금형의 경우 이젝트 플레이트가 원판과 형판 사이에 배치되어 제 1방향(A)으로 원판과 형판 사이의 길이가 증가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110)는 원판(6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홀(61)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방향(A)으로 원판(60)과 형판(50) 사이에 추가적으로 연장되는 금형(1)의 길이가 없어 금형(1) 전체의 중량이 저감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이젝트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구동부(110)가 형판(50)과 원판(60) 내부에서 제 1방향(A)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 종래에 형판과 원판 사이에 배치되었던 스페이스 블록이 필요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 블록에 의해 제 1방향(A)으로 추가적으로 연장될 수 있던 길이가 감소하여 금형(1)의 전체의 중량이 저감될 수 있다.
제 1 로드(120)는 제 2로드(130)보다 제 1방향(A)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 2슬라이딩 코어(92)가 제 1슬라이딩 코어(91)보다 제 1방향(A)으로 낮은 높이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의 하단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데 제 2,3부분(P2,P3)의 하단은 성형물(P)의 제 1부분(P1)보다 제 1방향(A)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구동부(110)에서부터 제 1슬라이딩 코어(91)보다 제 1방향(A)으로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성형물(P)이 사출되고 경화되는 과정에서 성형물(P)이 일부 수축될 수 있다.
이 때 취출 방향인 제 1방향(A)과 직교되는 제 2방향(B)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성형물(P)의 제 1부분(P1)은 수축되어도 제 1슬라이딩 코어(91)에 지지될 수 있으나, 대략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제 1제 2부분(P2)과 제 3부분(P3)이 수축될 시 제 2,3부분(P2,P3)의 하단이 제 1방향(A)으로 수축되어 제 2슬라이딩 코어(92)와 이격(d1)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 1,2로드(120,130)가 동시에 제 1방향(A)으로 상승되어 동시에 제 1슬라이딩 코어(91)와 제 2슬라이딩 코어(92)를 가압할 시, 제 1,2로드(120,130)가 이격(d1) 거리만큼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는 동안 제 1슬라이딩 코어(91)는 성형물(P)의 제 1부분(P1)을 가압하는 반면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을 가압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성형물(P)이 전체적으로 제 1방향(A)으로 가압되지 못하고 제 1부분(P1)만 제 1방향(A)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물(P)은 경화되면서 발생되는 수축에 의해 성형물(P)과 코어(30) 사이에는 수축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수측 응력에 의해 성형물(P)은 코어(30) 방향으로 가압되고, 성형물(P)은 코어(30)에 끼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성형물(P)과 코어(30) 사이에 수측응력이 형성된 상태에서 성형물(P)의 제 1부분(P1)만 제 1방향(A)으로 가압되어도,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과 코어(30)의 제 2,3부분(33,34) 사이에 형성되는 수축 응력에 의해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은 제 1부분(P1)과 함께 제 1방향(A)으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물(P)의 제 1부분(P1)에서는 제 1방향(A)으로 가압되는 외력이 발생되고 제 2,3부분(P2,P3)에서는 코어(30)측으로 가압되는 외력이 발생되어 성형물(P)의 제 1부분(P1)과 제 2,3부분(P2,P3)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각각 다른 방향으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성형물(P)의 부분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성형물(P)의 제 1부분(P1)과 제 2,3부분(P2,P3)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절단이 발생하거나, 형상이 변하거나, 성형물(P)을 형성하는 분자구조가 변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S)을 가지는 성형물(P, 도 3참고)을 일체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금형(1)의 전체 중량을 줄이는 기술적 특징도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성형물(P)은 내부 공간(S)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3개의 부분(P1,P2,P3)를 포함하는 바 각각의 부분(P1,P2,P3)에 일정한 힘을 가압하여 파손 없이 성형물(P)을 코어(30)에서 취출하는 기술적 특징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젝터(100)에 의해 성형물(P)이 코어(30)로부터 안전하게 취출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 공정 후의 가동 금형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1단계의 상태를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2단계의 상태를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3단계의 상태를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성형물(P)이 수축되면서, 제 2슬라이딩 코어(92)의 상단(92a)과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 하단 사이에는 이격(d1)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젝터(10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면서 제 1,2 슬라이딩 코어(91,92)를 가압할 시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 하단을 가압하지 못하고 이격(d1) 거리 만큼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젝터(100)가 형판(50) 내부에서 제 1방향(A)으로 상승하기 시작할 때 제 1슬라이딩 코어(91)만 가압하지 않도록 제 1방향(A)으로 제 1슬라이딩 코어(91)의 하단(91b)과 제 1로드(120)의 상단(121)은 제 2슬라이딩 코어(92)의 상단(92a)과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 하단 사이에 발생되는 이격(d1)과 동일한 길이의 이격(d1)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젝터(100)가 구동되지 않고 금형(1)의 취출 단계전에는 제 1방향(A)으로 제 1슬라이딩 코어(91)의 하단(91b)과 제 1로드(120)의 상단(121)은 접하지 않고 이격(d1)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본체(11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기 시작하여 이격(d1) 거리와 대응되는 높이인 제 1높이(h1)만큼 이동될 시 구동부(110)와 제 1로드(120)와 제 2로드(130) 및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제 1높이(h1)만큼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으나, 제 1슬라이딩 코어(91)는 제 1방향(A)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젝터(100)가 제 1방향(A)으로 제 1높이(h1)만큼 이동된 위치를 이젝터(100)의 제 1위치(100A)라고 할 때, 이젝터(100)가 제 1위치(100A)일 시 구동부(110)는 시작 위치에서부터 제 1높이(h1)만큼 이동된 제 1위치(110L1)에 배치되고, 제 2슬라이딩 코어(92)도 시작 위치에서부터 제 1높이(h1)만큼 이동된 제 1위치(92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슬라이딩 코어(91)는 시작 위치에서부터 제 1방향(A)으로의 높이 변화가 없는 제 1위치(91L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2로드(120,130)는 구동부(110)와 같이 시작 위치에서부터 제 1높이(h1)만큼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100)는 사출 장치(미도시)에서 제 1방향(A)으로 이젝터(100)의 하측을 가압하는 가압 로드(R)에 의해 제 1방향(A)으로 가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젝터(100)의 구동부(110)의 하면(110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바(도 5참고) 금형(1)의 외부에서 이젝터(10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 로드(R)는 제 1방향(A)으로 제 1로드(120)의 하단(122)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 로드(R)는 제 1방향(A)으로 제 1로드(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 로드(R)의 직경은 대략 제 1로드(120)의 직경과 대응되거나 제 1로드(1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겠으나 가압 로드(R)는 구동부(110)의 후면(110b)에서부터 제 1홀(111)과 코어 본체(31)의 로드 관통홀(35)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가압로드(R)는 제 1로드(120)의 후단(122)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데 제 1로드(120)는 구동부(110)와 결합되는 바 가압로드(R)에 의해 구동부(110)는 제 1로드(120)와 함께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로드(120)와 구동부(110)뿐만 아니라 구동부(110)와 결합되는 제 2로드(130) 또한 제 1로드(120)와 구동부(110)와 함께 제 1방향(A)으로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이동될 수 있다.
이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100)는 가압 로드(R)의 지속적인 가압에 의해 제 1위치(100A)에서 추가적으로 제 1방향(A)으로 더 이동되어 구동부(110)의 이동이 제한되는 제 2위치(100)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100)가 제 1위치(100A)보다 더 높이 이동될 시 제 1로드(120)의 상단(121)은 제 1슬라이딩 코어(91)의 하단(91b)과 접하고 제 1슬라이딩 코어(91)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이젝터(100)가 제 1높이(h1) 이상으로 이동될 시 제 1슬라이딩 코어(91)도 제 2슬라이딩 코어(92)와 함께 제 1방향(A)으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100)가 이동된 높이가 제 1높이(h1) 이상일 때부터 성형물(P)은 이젝터(90)에 의해 가압되어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100)가 제 1위치(100A)에 도달될 시까지는 제 1슬라이딩 코어(91)는 이동되지 않고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제 2슬라이딩 코어(92)와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의 하단과 접하도록 이동되는 바 슬라이딩 코어(90)는 성형물(P)을 제 1방향(A)으로 가압하지 않는다.
이 후 이젝터(100)가 제 1방향(A)으로 제 1위치(100A)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될 시 제 1슬라이딩 코어(91)와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제 1로드(120)와 제 2로드(130)에 가압되어 동시에 성형물(P)을 제 1방향(A)으로 가압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제 1슬라이딩 코어(91)와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성형물(P)과 코어(30) 사이에 형성되는 수축 응력보다 더 큰 힘으로 성형물(P)을 제 1방향(A)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형물(P)은 제 1방향(A)으로 슬라이딩 코어(9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100)가 지속적으로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면서 구동부(110)의 상면(110a)은 코어 본체(31)의 하면(37)과 접하게 될 수 있다. 구동부(110)는 코어(30)와 접하면서 더 이상 제 1방향(A)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이 때의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10)와 결합되는 제 2로드(130) 또한 구동부(110)의 제 1방향(A)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이동되지 못한다.
구동부(110)가 제 1높이(h1)까지 이동된 후 코어(30)의 하면(37)과 접하여 이동되지 못하는 높이까지 이동된 높이를 제 2높이(h2)라고 가정할 때, 제 1로드(120)와 제 2로드(130)와 제 1슬라이딩 코어(91)와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모두 구동부(110)와 함께 제 2높이(h2)만큼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에 배치될 시, 구동부(110)는 구동부(110)의 상면(110a)이 코어 본체(31)의 하면(37)과 접하는 제 2위치(110L2)에 배치되고, 제 1슬라이딩 코어(91)는 제 1로드(120)가 구동부(110)와 함께 제 1방향으로(A)이동되어 제 2높이(h2)만큼 이동된 제 2위치(91L2)에 배치되고, 제 2슬라이딩 코어(92)는 제 2로드(130)가 구동부(110)와 함께 제 1방향(A)으로 이동되에 제 2높이(h2)만큼 이동된 제 2위치(92L2)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높이(h2)는 대략 성형물(P)과 코어(30) 사이의 수측응력이 소멸되도록 성형물(P)이 슬라이딩 코어(90)에 의해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는 최소의 높이로 정해질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보다 더 높은 위치로 이동될 시 제 1로드(120)만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는 바 성형물(P)의 제 1부분(P1)만 제 1슬라이딩 코어(9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성형물(P)의 제 1부분(P1)에만 제 1방향(A)으로 가압되는 외력이 전달되는데, 외력에 의해 성형물(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성형물(P)과 코어(30) 사이의 수측응력이 소멸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형물(P)과 코어(30) 사이의 수측응력이 소멸되도록 성형물(P)이 이동되는 최소 높이가 제 2높이(h2)의 최소 높이가 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높이로 설정되는 것은 무방하다.
다만, 제 1방향(A)으로 연장되는 금형(1)의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 2높이(h2)는 성형물(P)과 코어(30) 사이의 수측응력이 소멸되도록 성형물(P)이 이동되는 최소 높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에 배치될 시 커플러(140)는 제 1로드(120)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100)에 가압 로드(R)의 가압이 지속될 시, 구동부(110)는 코어(30)에 의해 제 1방향(A)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구동부(110)와 분리되는 제 1로드(120)만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 로드(R)는 제 1로드(120)의 후단(122)을 가압하고 제 1로드(120)의 직경과 대응되거나 더 작게 마련되는 바 가압로드(R)는 구동부(110)의 제 1홀(111)을 관통하고 코어 본체(31)의 로드 관통홀(35) 내부로 삽입되어 제 1로드(120)를 지속적으로 제 1방향(A)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 1로드(120)는 성형물(P)이 코어(30)에서 취출될 수 있는 최소 높이에 도달되도록 제 2높이(h2)에서 제 3높이(h3)만큼 더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3높이(h3)는 성형물(P)은 코어(30)에서 취출될 수 있는 최소 높이에서 제 2높이(h2)를 뺀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제 3높이(h3)는 성형물(P)은 코어(30)에서 취출될 수 있는 최소 높이에서 제 2높이(h2)를 뺀 길이보다 긴 길이로도 마련될 수 있다.
가압로드(R)는 제 1로드(120)가 제 2높이(h2)에서 추가적으로 제 3높이(h3)까지 이동될 시 가압을 중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로드(120)가 제 2높이(h2)에서부터 제 3높이(h3)까지 이동되었을 때의 이젝터(100)의 위치를 제 3위치(100C)라고 정의할 시, 이젝터(100)가 제 3위치(100C)일 시 제 1슬라이딩 코어(91)의 제 3위치(91L3)는 제 2위치(91L2)에서 제 1방향(A)으로 제 3높이(h3) 만큼 더 이동된 위치일 수 있다.
이 때, 제 2슬라이딩 코어(92)의 제 3위치(92L3)는 제 2위치(92L2)와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구동부(110)의 제 3위치(110L3)는 제 2위치(110L2)와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
제 2로드(130) 또한 구동부(110)와 같이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일 때와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슬라이딩 코어(92)의 제 3위치(92L3)와 제 2위치(92L2)는 동일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제 3높이(h3)의 길이는 제 1높이(h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슬라이딩 코어(91)가 이동되는 총 높이는 제 2높이(h2)와 제 3높이(h3)를 더한 높이이고, 제 2슬라이딩 코어(92)와 본체(110) 및 제 2로드(130)가 이동되는 총 높이는 제 1높이(h1)와 제 2높이(h2)를 더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로드(120)가 이동되는 총 높이는 제 1높이(h1)와 제 2높이(h2) 및 제 3높이(h3)를 더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젝터(100)는 시작 지점에서부터 제 3위치(100C)까지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는데, 제 1로드(120)가 이동된 총 높이는 구동부(110)와 제 2로드(130)가 이동된 총 높이보다 더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로드(120)는 구동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 1로드(120)가 구동부(110)보다 더 높은 높이로 이동 가능함에 따라 제 1슬라이딩 코어(91)가 성형물(P)을 취출하기 위해 이동된 총 높이 보다 구동부(110)가 이동된 총 높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1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기 위해 형성되는 형판(50)의 개방 영역(51)과 원판(61)의 이동홀(61)의 제 1방향(A)으로의 길이는 성형물(P)이 취출되기 위한 최소 높이 보다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성형물이 취출되기 위한 최소 높이만큼 이젝터 플레이트가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성형물이 취출되기 위한 최소 높이만큼 금형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여 금형의 중량이 증가되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이젝터 플레이트와 대응되는 구동부(110)는 성형물(P)이 취출되기 위한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이동되어도 성형물(P)을 성형물(P)이 취출되기 위한 높이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방향(A)에 대한 금형(1)의 전체 높이가 더 짧게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금형(1)의 중량이 저감될 수 있어 금형(1)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고 사출 기기(미도시)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는 이젝터(100)의 제 1로드(110)가 구동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었기 때문이다.
이젝터(100)는 3단계를 통해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이젝터(100)는 이젝터(100)가 제 1위치(100A)에 도달되는 제 1단계, 제 1단계에서 제 1방향(A)으로 추가적으로 이동되어 제 2위치(100B)에 도달되는 제 2단계, 제 2단계에서 제 1방향(A)으로 추가적으로 이동되어 제 3위치(100C)에 도달되는 제 3단계로 나뉘어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단계는 제 2슬라이딩 코어(92)만 제 1방향(A)으로 이동되어 성형물(P)의 제 2,3부분(P2,P3)과 제 2슬라이딩 코어(92) 사이의 이격을 소멸시키기 위함이다.
제 2단계는 제 1슬라이딩 코어(91)와 제 2슬라이딩 코어(92)가 동시에 제 1방향(A)으로 성형물(P)을 가압하여 성형물(P)와 코어(30) 사이에 형성되는 수축 응력으로부터 성형물(P)을 안전하게 제 1방향(A)으로 가압하고 성형물(P)와 코어(30) 사이에 형성되는 수축 응력을 소멸시키기 위함이다.
제 3단계는 성형물(P)와 코어(30) 사이에 형성되는 수축 응력이 소멸된 상태에서 제 1슬라이딩 코어(91)만을 이동시켜 성형물(P)을 코어(30)에서 취출하도록 성형물(P)을 가압하는 단계인데, 제 1로드(120)만 추가적으로 제 1방향(A)으로 이동시켜 구동부(110)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젝터(100)가 3단계를 통해 제 1방향(A)으로 이동되면서 성형물(P)이 파손되지 않고 안전하게 취출될 수 있으며, 구동부(110)의 제 1방향(A)으로의 이동거리를 축소시켜 금형(1)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로드(120)가 구동부(110)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일부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2단계의 상태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일부에 있어서, 성형물의 이젝팅 공정에서의 3단계의 상태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젝터(100)는 구동부(110)와 제 1로드(12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구동부(110)와 제 1로드(12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커플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140)는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로 이동되기 전에 제 1로드(120)와 결합되어 제 1로드(120)와 구동부(110)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플러(140) 제 2방향(B)으로 제 1로드(120)와 결합되고 제 2방향(B)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커플러(140)는 제 1로드(120)와 결합되는 제 1위치(140A)와 제 2방향(B)으로 제 1로드(120)와 분리되는 제 2위치(140B)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플러(140)가 제 2방향(B)이 아닌 제 1위치(A)로 이동되면서 제 1로드(120)와 결합되거나 분리될 시 제 1방향(A)으로의 구동부(110)의 두께가 증가되어 금형(1)의 전체 부피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커플러(140)는 제 1위치(A)와 직교되는 제 2방향(B) 또는 제 3방향(C)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플러(140)는 바디(141)와 바디(141)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부(110)와 결합되는 제 1결합부(145)와 제 1결합부(145)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제 1로드(120)와 결합되는 제 2결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로드(120)는 하단(122)을 형성하고 제 1로드(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123)는 제 1로드(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제 1로드(12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부(123)는 제 2결합부(144)가 삽입되어 제 1로드(120)와 커플러(14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12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24)은 하단부(123)의 외주면에서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커플러(140)는 제 1결합부(145)를 제 2방향(B)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49)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9)는 바디(141)를 제 1로드(120)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 2결합부(144)가 결합홈(12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49)가 바디(141)를 제 1로드(120)로 가압하는 방향을 제 2방향(B)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40)은 제 1로드(12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1결합부(145)는 제 1방향(A)으로 본체(110)와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결합부(145)는 구동부(110)와 접한 상태가 지속되어 커플러(140)와 구동부(11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젝터(100)는 커플러(140)가 제 1로드(120)와 결합되는 제 1위치(140A)에서 제 1로드(120)와 분리되는 제 2위치(140B)로 이동되도록 제 2방향(B)의 반대 방향으로 커플러(140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8)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140A)가 제 1위치(140A)일 시 바디(141)는 제 2방향(B)으로 가압되어 제 2결합부(144)가 결합홈(124)에 삽입되는 제 1위치(141A)에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38)는 코어(30)의 하면(37)에서부터 제 1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플러(140)는 가압부재(38)가 제 1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14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홀(142)은 제 1방향(A)으로 가압부재(38)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110)가 제 1방향(A)으로 이동될 시 삽입홀(142)은 제 1방향(A)으로 이동되고 구동부(110)가 코어(30)의 하면(37)과 인접해지면서 가압부재(38)는 삽입홀(14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재(38)는 가압부재(38)가 삽입홀(142)에 삽입될 시 제 2방향(B)의 반대 방향으로 바디(141)를 가압하는 가압부(38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38a)는 제 1방향(A)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커플러(140)는 삽입홀(142)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제 1방향(A)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가압부재(38)가 삽입홀(142)에 삽입될 시 가압부(38a)와 접하여 가압부(38a)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38a)와 경사부(143)는 대략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경사 각도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38)가 삽입홀(142)에 삽입되기 전에는 바디(141)가 탄성부재(149)에 의해 제 2방향(B)으로 가압되어 커플러(140)와 제 1로드(12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10)와 제 1로드(120)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젝터(100)가 제 1위치(100A)에 배치되거나 제 2위치(100B)까지 이동되기 전에는 구동부(110)와 제 1로드(120)가 제 1방향(A)으로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이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에 배치될 시 구동부(110)는 코어 본체(31)의 하면(37)과 접하게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코어 본체(31)의 하면(37)에 배치되는 가압부재(38)는 삽입홀(14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재(38)가 삽입홀(142)에 삽입되면서 가압부재(38)의 가압부(38a)가 경사면을 따라 삽입홀(142)의 경사부(143)를 비스듬하게 제 2방향(B)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바디(141)는 점진적으로 제 2방향(B)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후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에 배치될 시 가압부재(38)가 완전히 삽입홀(142)에 삽입되고 가압부재(38)의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 가압부재(38)는 제 2방향(B)의 반대 방향으로 바디(141)를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재(38)는 이젝터(100)가 제 2위치(100B)에 배치될 시 삽입홀(142)과 제 1방향(A)으로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가압 유지부(38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유지부(38b)는 삽입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141)가 제 2방향(B)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압 유지부(38b)에 의해 바디(141)는 제 2결합부(144)이 삽입 홈(124)에서 이탈되는 위치인 제 2위치(141B)에 배치되고 제 2위치(141B)에 배치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플러(140)는 제 1로드(120)와 분리되는 제 2위치(140B)에 배치되고 제 1로드(120)는 구동부(110)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와 같이 제 1로드(120)는 구동부(110)와 분리된 상태에서 가압 로드(R)에 의해 제 1방향(A)으로 가압되는 바 구동부(110)보다 제 1방향(A)으로 더 멀리 이동되고 이에 따라 구동 유닛(100)이 제 3위치(100C)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금형 10: 제 1금형
20: 제 2금형 30: 코어(제 1코어)
31: 코어 본체 40: 제 2코어
50: 제 1형판 60: 제 1원판
70: 제 2형판 80: 제2 원판
90: 슬라이딩 코어 91: 제 1슬라이딩 코어
92: 제 2슬라이딩 코어 100: 이젝터
110: 구동부 120: 제1로드
130: 제2로드 140: 커플러

Claims (20)

  1.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안착되고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단까지 이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구동부보다 더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지지하는 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형판은 상기 구동부가 상기 형판 내부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개방 공간 내부에서부터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단까지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형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판은 상기 원판 내부에서 상기 이젝터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이동홀을 포함하는 금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의 후단과 마주하는 전단과 상기 개방 공간과 마주하는 후단을 포함하는 금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코어 본체의 제 1부분에 배치되는 제 1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코어 본체의 제 2부분에 배치되는 제 2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로드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를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로드는 상기 구동부보다 상기 제 1방향으로 더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로드는 상기 구동부와 동일하게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되는 금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1로드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1로드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금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로드와 결합되고 상기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금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제 1로드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타측을 포함하는 커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커플러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커플러의 일측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 1로드와 결합되는 제 1위치와 상기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로드와 분리되는 제 2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커플러가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금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제 1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코어 본체의 후단에서부터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금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시 상기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구동부와 함께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커플러를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금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시 상기 가압부와 접하여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금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이젝터와 상기 제 1로드 사이에는 이격이 마련되는 금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만 제 1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만 가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가 동시에 추가적으로 제 2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만 추가적으로 제 3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3단계 순으로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가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금형.
  16.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안착되고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
    상기 코어에서 성형되는 성형물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후단까지 이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가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게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일측과 상기 로드와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타측을 포함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금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제 1부분에 배치되는 제 1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제 2부분에 배치되는 제 2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구동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1로드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를 제 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 2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로드는 상기 구동부보다 상기 제 1방향으로 더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로드는 상기 구동부와 동일하게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되는 금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만 제 1거리만큼 이동되는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가 동시에 추가적으로 제 2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2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만 추가적으로 제 3거리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3단계 순으로 상기 제 1,2이젝터가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금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로드는 상기 제 1,2,3거리를 합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2로드는 상기 제 1,2거리를 합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금형.
  20.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안착되고 제 1방향으로 상기 코어 본체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
    상기 슬라이딩 코어를 상기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젝터;
    상기 코어를 지지하는 형판;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코어는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코어 본체의 제 1부분에 배치되는 제 1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코어 본체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하측에 형성되는 상기 코어 본체의 제 2부분에 배치되는 제 2슬라이딩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는 상기 형판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구동부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1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1로드와, 상기 제 1방향으로 상기 제 2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제 2로드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제 1로드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제 1로드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금형.
KR1020190167277A 2019-12-13 2019-12-13 금형 KR20210075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77A KR20210075785A (ko) 2019-12-13 2019-12-13 금형
PCT/KR2020/015955 WO2021118078A1 (ko) 2019-12-13 2020-11-13 금형
EP20898438.5A EP4049824A4 (en) 2019-12-13 2020-11-13 MOLD
CN202080086296.7A CN114786908A (zh) 2019-12-13 2020-11-13 模具
US17/838,905 US20220305711A1 (en) 2019-12-13 2022-06-13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277A KR20210075785A (ko) 2019-12-13 2019-12-13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785A true KR20210075785A (ko) 2021-06-23

Family

ID=7633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277A KR20210075785A (ko) 2019-12-13 2019-12-13 금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05711A1 (ko)
EP (1) EP4049824A4 (ko)
KR (1) KR20210075785A (ko)
CN (1) CN114786908A (ko)
WO (1) WO20211180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8228B1 (en) * 2022-04-28 2024-01-02 King Steel Machinery Co., Ltd. Molding device and mol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692A (ja) * 1991-11-15 1993-06-08 Mita Ind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JPH11342524A (ja) * 1998-06-01 1999-12-14 Yoshihiro Aoki 成形金型
US6177041B1 (en) * 1998-10-13 2001-01-23 Portola Packaging, Inc. Method for forming cap with tear line
JP2001096586A (ja) * 1999-09-30 2001-04-10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金型
CN103781612B (zh) * 2011-09-01 2017-03-22 佳能株式会社 发泡成型零件制造方法、发泡成型零件和发泡模具
CN202607983U (zh) * 2012-03-15 2012-12-19 浙江凯华模具有限公司 注塑模具斜楔滑板式二次脱模机构
CN104029355B (zh) * 2014-05-29 2016-06-08 浙江凯华模具有限公司 注塑模具外侧带凸环筒形产品的脱模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05711A1 (en) 2022-09-29
EP4049824A1 (en) 2022-08-31
WO2021118078A1 (ko) 2021-06-17
EP4049824A4 (en) 2023-12-06
CN114786908A (zh)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8278A1 (en) Gas extraction structure for mold
US10226886B2 (en) Slim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20080175947A1 (en) Cut structure for mold
KR101036759B1 (ko) 사출금형
KR102102152B1 (ko)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의 제품취출용 이젝터 장치
CN212045728U (zh) 一种多模腔的光学镜片注塑模具
KR101191231B1 (ko) 사출 성형 금형
KR20210075785A (ko) 금형
CN211729971U (zh) 一种二次注塑模具
KR101889364B1 (ko) 유압식 캠 슬라이드 조립체를 가진 사출금형기
KR20160092457A (ko) 슬림 사출금형장치
KR101189111B1 (ko) 사출 성형 금형
KR20080104689A (ko) 금형장치
JP2006248055A (ja) 射出成形金型の2段突き出し機構
EP4100225B1 (en) Injection moulding machine with guide rail system for mould box
CN217373294U (zh) 静模斜抽芯模具
KR101171565B1 (ko) 사출금형기
JP6199346B2 (ja) 成形品の突き出しに特徴を有する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CN211640843U (zh) 一种能自动脱模的模具
KR101013360B1 (ko) 사출금형
CN220995325U (zh) 一种具有排气系统的注塑密封盖板模具
CN212653817U (zh) 导气顶出机构以及具备该导气顶出机构的橡胶件注塑模具
CN214605723U (zh) 一种汽车冷却管道分配头的注塑模具
CN215882444U (zh) 一种线束支架的成型模具
CN215550616U (zh) 型芯反置的注塑模具